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병과 이야기

        황임경(Hwang, Im-Ky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문학과 의학은 모두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위로하고 치유하려는 공통의 목적을 갖고 있다. 문학에는 질병, 의사, 병원과 같은 각종 의학적 소재들이 가득하고, 의학 또한 환자의 이야기를 중시하는 문학적 전통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현대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문학과 의학의 만남은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학과 의학의 만남을 ‘질병’과 ‘이야기’라는 두 열쇳말을 중심으로, 이야기로서의 질병체험과 투병기, 타자에 대한 윤리와 사회적 조건으로서의 의학, 의학 속의 문학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문학은 질병에 대한 개별 인간의 체험을 이야기로 그려내는데, 이 이야기에는 질병을 앓고 있는 이와 그를 둘러싼 주변인물의 삶, 그리고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들이 모두 담겨 있다. 따라서 의학은 이런 질병 이야기를 통해 환자의 주관성과 주체성이 발현되는 장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문학은 의학으로 하여금 질병과 환자를 둘러싼 사회적 조건을 깨닫게 해주고, 고통의 형상화를 통해 타자에 대한 공감과 윤리의 길로 이끌어 주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의학은 문학적인 개념과 도구를 이용하여 현대의학의 지배적인 의학적 서사, 즉 객관성을 강조하면서 주관성을 철저히 배제하는 관습적인 서사틀을 바꾸기 위한 실천적 노력을 해오고 있다. 결국 문학과 의학의 만남은 ‘문학 속의 의학’에서 ‘의학 속의 문학’으로 그 관심 영역을 지속적으로 넓혀 왔음을 알 수 있다. Literature and medicine have a common purpose to alleviate and heal up human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Literature has a lot of medical materials, such as disease, doctors and hospitals, etc. Medicine also shows a literary tradition which emphasizes the patient’s story. However, with advances of modern medicine,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have been more complicated. In this paper,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is scrutinized and characterized by three aspects; story as illness experience and pathography, literature and medicine as ethics and social conditions, and literature in medicine. I summuarize the past scenery of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nd medicine, and I will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and medicine’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 KCI등재후보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Hwang Im-Kyu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11 생명윤리 Vol.12 No.1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다. 서사는 현실 또는 허구의 사건들과 상황들을 하나의 시간 연속을 통해 표현하는 것으로, 인간 삶의 근본 요소 중 하나이다. 서사는 삶을 살아가면서 인간이 겪게 되는 경험을 이해하고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해준다. 최근 인문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서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인간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드러내는 개별 서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학문적 영향 때문에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도 서사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의 지배적인 담론인 원칙주의가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구체적인 맥락을 추상적으로 재단하여 판단을 내림으로써 환자들의 고통이나 의료현장의 실제적인 갈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서사 의료윤리의 이론적, 실천적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서사와 생명의료윤리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는데, 이것을 크게 ‘보완으로서의 서사’, ‘방법으로서의 서사’, ‘형식으로서의 서사’, ‘토대로서의 서사’, ‘대체로서의 서사’ 로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서사적 평형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서사 의료윤리가 생명의료윤리의 한 방법론으로 유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서사는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 행위자의 의도, 감정 등을 알려줌으로써 윤리 원칙과 규칙을 현실에 적용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원칙과 규칙들은 삶의 서사적 맥락에서만 생겨날 수 있고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서사는 윤리 원칙의 토대가 된다. 그리고 좋은 서사를 통해 우리는 원칙뿐만 아니라 좋은 삶에 대한 태도, 품성 등을 기를 수도 있다. 결국 서사 의료윤리를 통해 우리는 더욱더 깊고 풍부한 생명의료윤리의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Narratives are discursive form which is to narrate the life events in time. Man is a storytelling animal. Human experience is understood, reconstructed and transmitted as a narrative form and we seek the meaning of life from the narrative. Recently, so-called ‘narrativist turn’ has occurred in the many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ology. The scholars influenced by postmodernism are concerned about narrative, because it represents the concrete aspects of the human life. There has also been growing interest about narrative in medicine to make an approach to the suffering of patients. Narrative approaches to biomedical ethics have been also well known in the fields of biomedical ethics. It is grounded in the certain assumptions of principlism, which is the dominant paradigm in the fields of biomedical ethics, can not represent and solve the real problems in clinical practice. Narrative approaches to biomedical ethics can be categorized as supplement, method, form, foundation and substitution in view of function and relationship to the principlism. This paper explores a context of a rise of narrative with a reflection of the success and shortcomings of principlism in biomedical ethics. By careful scrutinization of its method, theoretical framework and potential application to practice, the authors argue that ‘narrative biomedical ethics’ can be useful as an alternative method of biomedical ethics and its education.

      • KCI등재

        환자, 의사 그리고 텍스트

        황임경(Im-kyung Hwang) 한국의철학회 2007 의철학연구 Vol.3 No.-

        이 논문은 환자 자신이 아닌 질병에만 주로 관심을 가지는 현대 의학의 비인간적 속성을 보완하기 위해 철학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의학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질병은 단순한 물리적 실체만이 아니라 한 인간의 총체적인 삶에 영향을 주는 사건이다. 따라서 질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질병이 환자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이해해야 한다. 해석학을 통해 의학은 이러한 질병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환자와 의사의 만남은 치유라는 새로운 지평을 향해 나아가는 두 참여자의 해석적 만남이 되는 것이다. 환자는 질병을 담지한 텍스트이면서 질병을 해석하는 능동적 해석자가 된다. 의사 또한 질병과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이런 의학적 해석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적 이해와 공감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in view of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in order to overcome the inhumane attribute of modern medicine that seems to be generally confined to disease not to patient. Disease is not only the scientific object but also the adverse situation influenced on patient’s entire life, The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medicine is a key to understand the disease affected patient’s life. Clinical encounter can be understood as an interpretative meeting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with the aim of healing on the basis of hermeneutical cycle. In this sense, the patient is considered as ‘text’ consisting of disease and the active interpreter as well. On the other side, physician is required to understand patient and disease actively, and must have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empathy to reach the hermeneutical goal.

      • KCI등재

        의학은 어떻게 철학과 만나는가

        황임경(Hwang, Im-Kyung)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7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8

        의철학(philosophy of medicine)은 의학 특유의 개념과 방법론을 철학적 관점에서 사유하는 분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의철학이 의학과 철학 사이의 가교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놓아줄지 여전히 불분명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캉귈렘의 의철학, 의학적 현상학 및 해석학을 중심으로 의철학을 한다는 것의 주요한 특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캉귈렘은 역사적 인식론의 전통에서 건강과 질병을 단지 생리적 특성의 양적 차이로만 설명하려는 실증주의 의학의 관점을 거부하고 개체의 주관적 질병 경험에 근거하여 병리적인 것이 생리적인 것에 우선한다고 주장한다. 의학적 현상학 및 해석학은 질병의 체험적 의미와 질병에 관한 일인칭 관점에서 비롯되는 환자와 의사의 해석학적 만남을 의학과 의료의 본질로 본다. 이처럼 두 의철학적 흐름은 현대 의학에서 소외된 질병 체험의 주관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질병을 앓는 이의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도 의철학을 한다는 것의 어떤 본질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hilosophy of medicine is known as a field that explores concepts and methodologies unique to medicine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philosophy of medicine will specifically bridge the gap between medicine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oing philosophical inquiry of medicine based on the philosophy of Canguilhem and medical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Canguilhem rejected positivist medicine"s attempt to explain health and disease as quantitative differences based solely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sserted that subjective experience of illness in an individual would prioritize the pathological to the physiological. The medical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also understood the hermeneutical meeting of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 as the essence of the medical practice arising from the experiential meaning of the illness and the first person viewpoint about the illness. These two philosophical trends are attempting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the alienated illness experience in modern medicine and to furth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ttempts to establish the subjectivity of the person with the disease. And this also suggests an unchanging essential characteristic of doing philosophy of medicine in a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조롱박동루와 연관된 반복적 갑상선 및 주변 연조직 감염의 방사선학적 소견: 1예 보고

        김흥철,황임경,남궁숙,홍명선,장지연,이지연,정희록,Heung Cheol Kim,M.D.,Im Kyung Hwang,M.D.,Sook Namkung,M.D.,Myung Sun Hong,M.D.,Ji Yeon Jang,M.D.,Ji Yeon Lee,M.D. and Hee Rok Jeong,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8 No.3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 recurrent left anterior neck infection and focal left suppurative thyroiditis that were associated with a congenital pyriform sinus fistula (PSF) in an 18-year-old male. Acute suppurative thyroidits is a very rare clinical condition and it is usually caused by infection that's derived from infected perithyroidal tissue or a congenital internal fistula. The PSF can lead to recurrent episodes of neck inflammation and abscess, and it is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suppurative thyroiditis in young man. In this current case, the CT scan showed an air-containing tract of a PSF from the left pyriform sinus to the left thyroid gland and the perithyroidal soft tissue. The CT scan also showed a neck inflammatory infiltration or abscess along the course of the sinus tract. The focal low density of the thyroid parenchyma was seen and this was suggestive of suppurative thyroiditis. Barium esophagography demonstrated the fistulous tract in the PSF. We performed laryngoscopy, and the internal opening of the pyriform sinus fistula was successfully cauterized with AgNO<SUB>3</SUB> and the post procedure course was fair. When an air-containing tract and a recurrent inflammatory infiltration or abscess are present at the left anterior neck with including the thyroid and perithyroidal soft tissue, a PSF should be strongly suspected. <B>(Ko</B><B></B><B>rean J Endocrine Surg 2008;8:206-209</B><B>)</B>

      • KCI등재후보

        갑상샘의 미만성 경화아형 유두상암의 1예 보고: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

        김흥철,남궁숙,홍명선,황임경,김한준<SUP>1<.SUP>,최영희<SUP>2<.SUP>,Heung Cheol Kim,M.D.,Sook Namkung,M.D.,Myong Son Hong,M.D.,Im Kyung Hwang,M.D.,Han Joon Kim,M.D.<SUP>1<.SUP> and Young Hee Choi,M.D.<SUP>2<.SUP>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8 No.1

        We report here on a case of diffuse sclerosing papillary carcinoma (DSPC), which is a subtype of papillary carcinoma of thyroid, in a 27-year-old female. The ultrasound images showed diffuse enlargement of the thyroid lobes and this was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ffuse scattered microcalcifications and a heterogeneous hypoechoic background parenchyma that was without any masses. The CT image showeddiffuse scattered dot-like hyperdensities with bilateral multiple metastastic lymph nodes. Because making the cytological diagnosis of DSPC is still challenging, the radiological findings that show this disease's characteristic features may be important clues for making the correct diagnosis. <B>(Ko</B><B></B><B>rean J Endocrine Surg 2008;8:43-47)</B>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노대원(Noh, Dae-won),황임경(Hwang, Im-ky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코로나19 팬데믹은 포스트휴먼 시대를 가속화한다. 첫째, 인류세적 위기 속에서 팬데믹의 근본 원인에 대한 생태적 인식은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과 탈-인간중심주의(post-anthropocentrism)를 확산시켰다. 둘째, 팬데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이즘(posthuman-ism)’으로서, 인공지능과 의료기술에 대한 기대가 고조된다. 셋째, 학계는 비대면 온라인 강의와 초학제적 연구를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휴먼 대학으로 변모한다. 또한, 신종 바이러스, 기후 변화 등 전 지구적인 위기 속에서 ‘취약성’(vulnerability)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한다. 인간의 존재론적 취약성은 물론, 사회구조로 인한 다양한 취약성의 조건들이 비판적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기술 발전과 인간 향상(human enhancement)에 대한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취약성을 비롯하여 인간의 다양한 취약성은 제거될 수 없다. 그보다는 상황적 취약성의 조건을 개선하고 취약성이 연대와 사회적 상호 의존의 윤리로 나아가도록 해야 한다. 포스트휴머니즘 생태학(posthumanist ecology)은 인간 역시 생태계의 한 구성원임을 강조한다. 인간-동물-환경의 건강을 아우르는 원헬스(one health)도 포스트휴먼 과학의 중요한 사례이다. 그러나 팬데믹에 대한 성찰에는 탈인간중심주의적(post-anthropocentric) 생태론에 더해 사회정치적 조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팬데믹은 생태계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자본주의의 문제이고, 생물학적, 의학적 현상이면서 동시에 사회정치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포칼립스 SF와 인류세 서사는 이 시대의 위기를 사실적으로 재현한다. 팬데믹-포스트휴먼의 시대에 취약성을 공유하는 인간과 비-인간 환경의 연대는 전 지구적으로, 행성의 윤리로 확장되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해체한다. 이러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는 새로운 희망의 서사를 만들어나갈 것이다.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s the posthuman era. First, the ecological thought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pandemic in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spread “post-humanism” and post-anthropocentrism. Second, as “posthuman-ism”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andemic, expecta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dical technology are heightened. Third, universities are transformed into posthuma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features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and trans-disciplinary research. In addition, “vulnerability” emerges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mid global crises such as novel viruses and climate change. The conditions of various vulnerabilities due to social structure, as well as human existential vulnerabilities, should be critically reflected. Despite expectations of transhumanism for technological advances and human enhancement, various human vulnerabilities, including physical vulnerabilities, cannot be eliminated. Rather, it should improve the conditions of situational vulnerabilities and allow them to move toward the ethics of solidarity and social interdependence. Posthumanist ecology emphasizes that humans are also a member of the ecosystem. ‘One Health’ that encompasses the health of humans, animals and environments is also an important example of posthuman science. However, in reflection on the pandemic, the recognition of socio-political conditions is needed in addition to post-anthropocentric ecological theory. Pandemic is not just ecosystem problem, but also capitalist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biomedical phenomenon and a socio-political problem as well. Apocalyptic science fictions and Anthropocene narratives realistically reproduce the crisis of this era. In the era of the pandemic-posthuman, the solidarity of human and non-human environments that share vulnerabilities globally, extends to the ethics of the planet, and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critical posthumanist ethic will create a narrative of new hope.

      • 제2새열 낭종의 초음파 소견;다양한 소견들과 진단에 도움이 될 만한 소견들

        김흥철(Heung Cheol Kim),이준호(Jun Ho Lee),남궁숙(Sook NamKung),홍명선(Myung Sun Hong),황임경(Im Kyung Hw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8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ble sonographic features in addition to clas-sic findings and to find the helpful characteristic findings for diagnosis of branchial cleft cysts. Subjec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onographic finding of 16 histopathologically proven branchial cleft cysts. Assessment involved the following variables : location related to carotid artery, size, cyst wall, border, margin, shape, internal echotexture, post echoic enhancement, orientation of longitudinal axis rel-ative to the long axis of the neck, and tapering edge. Results :Most branchial cleft cysts were seen as well defined(15/16), oval shape(13/16), smooth inner (12/16) and outer margin(13/16), and post echoic enhancement(16/16). Their diameter varied from 1 to 6cm (mean 3.3cm). The branchial cleft cysts showed variable internal echopatterns;hyperechogenicity or pseu-dosolid appearance(1/16), heterogeneous echogenicity(4/16) in addition to classic form of anechoic(5/16) or hypoechoic internal echogenicity(6/16). Longitudinal axis of most branchial cleft cysts we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of the neck(13/16) and some branchial cleft cysts had tapering edge(6/16). Conclusion :If both atypical sonographic findings and location are showed, longitudinal arrangement of long axis and tapering edge of branchial cleft cysts are helpful findings for differential diagnos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