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洪大容의 敎育思想

        권정미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洪大容의 敎育思想을 통해 그의 교육사상이 18세기 조선후기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社會改革思想의 일환으로 제기 되었음을 고찰해 보고, 홍대용 교육사상의 형성과정을 종합적인 측면에서 밝혀 봄으로써 그의 교육사상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18세기 조선사회는 閥閱政治로 인한 통치질서의 와해현상, 지주제의 심화와 상공업의 발달에 따른 농촌사회의 분화현상, 사회신분제도의 동요, 국가교육기관의 쇠퇴와 과거제도의 문란 등 교육을 비롯한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이를 변혁하기 위한 새로운 사회개혁사상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 되던 시기이다. 이에 실학적 학풍의 대두와 더불어 북학파의 선봉인 홍대용은 성리학의 空理空談과 觀念主義를 극복하고, 실생활에 유용한 實事實物의 학문을 추구하였다. 또한 人物性同論의 토대위에서 人物均의 원리에 도달하여 기존의 華夷論을 극복함으로써 인간과 사물은 물론 인간이 이루어 낸 문화까지도 그 개체성을 긍정하는 자주적 태도를 보이게 되었고 이와 같은 그의 사상적 배경과 조선후기 사회의 총체적 모순이라는 위기적 상황이 결합되어 마침내 홍대용의 진보적인 교육사상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홍대용의 교육사상은 교육목적에 있어 인간평등의 원리에 기초한 萬民皆勞思想과 四民平等을 실현하고 實心, 實事, 實地의 務實을 본령으로 한 道德的 實踐人을 양성해 내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성리학에서와 같이 경전 연구에만 충실하여, 居敬․主情하는 관념적이고 내면적인 방법에 의한 교육이 아니라 실증적이며, 실천적인 교육방법을 중시함으로써 과학적이고 체험적이며 知行이 一致 되는 교육방법을 지향하였다. 교육제도개혁론에서는 교육기회의 균등과 모든 백성의 의무교육 실시를 주장하였고, 관리등용방법에 있어서는 학교교육과 관리등용을 연계시키는 貢擧制를 제시하였으며, 인재의 適材適所配置論을 주장하여 교육을 통해 四民 모두가 사회에 유용한 인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홍대용의 교육사상은 氣一元論을 바탕으로 한 인간평등 원리의 실현을 이상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교육사상은 성리학적 범주에 귀일 되는 당시 조선후기사회의 한계와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개혁론의 일환으로 제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인터넷(WWW)의 登場에 따른 科學言論의 變化에 關한 硏究 : 國內外 新聞.放送의 인터넷 서비스를 中心으로

        홍대길 西江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WWW(World Wide Web)의 등장으로 인터넷이 새로운 미디어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이 기존의 신문과 방송에서 소외되어 왔던 과학언론을 활성화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신문의 과학보도와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비교하기 위해 미국의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국내 10개 중앙일간지(경향신문·국민일보·대한매일·동아일보·문화일보·세계일보·조선일보·중앙일보·한겨레신문·한국일보)를 대상으로 삼았다. 방송 채널로는 미국의 CNN, 우리나라의 KBS, MBC, EBS, SBS, YTN 등을 선택했으며, 독립 인터넷미디어로는 미국의 Yahoo!와 한국의 야후!코리아를 선택했다. 비교항목으로는 신문의 경우 과학관련 지면수, 방송의 경우 프로그램 시간, 그리고 인터넷 미디어의 경우 속보, 생방송, 과학뉴스 메뉴, 기사검색, 관련기사, 과학 디렉토리, 과학 포럼, 관련사이트, 과학 관련 AOD/VOD, 맞춤서비스 등를 설정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국내외 신문과 방송, 그리고 독립 인터넷미디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신문들의 과학 관련 지면은 미국의 뉴욕타임스에 비해 현저하게 적었다. 또 국내 신문들은 건강/의학면이나 정보통신면에 비해 과학면을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고 있었다. 이는 과학면이 건강/의학면에 비해 가독성이 떨어지고, 정보통신면에 비해 광고가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 뉴욕타임스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과학기사의 심층성을 추구한 반면, 국내 신문들은 대부분 신문에 게재된 과학 기사를 인터넷에 그냥 올려놓는 경우가 많았다. 3. 뉴욕타임스나 국내 신문의 인터넷 서비스는 모두 아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인색함을 드러냈다. 즉 텍스트 중심의 기사를 제공할 뿐 오디오 자료, 비디오 자료, 생방송 등의 서비스는 하고 있지 않았다. 4. 방송의 경우 미국 CNN에 비해 국내 방송들의 과학 관련 방송시간이 오히려 많았다. 그러나 국내 TV의 경우 과학과 정보통신에 대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고, 건강/의학과 환경/자연 다큐멘터리에 치중되어 있었다. 더구나 환경/자연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거의 수입된 것이고 국내에서 제작된 것은 거의 없었다. 5. 미국 CNN의 인터넷 서비스의 경우 신문보다 비교적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국내방송은 자체 제작한 과학 관련 프로그램이 매우 적어, 인터넷 서비스에서도 국내 신문들에 비해 과학 컨텐츠가 매우 적었다. 6. 독립 인터넷미디어는 자체 제작한 과학 관련 컨텐츠가 하나도 없으면서 기존 신문과 방송의 인터넷 서비스보다 우수한 뉴스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독립 인터넷미디어들이 새로운 과학언론매체로서 기존의 신문이나 방송과 경쟁관계에 설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인터넷의 등장은 과학언론의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다수의 인터넷 미디어가 탄생하고, 기존 매체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언론의 소외는 극복되리라고 본다. 새로운 인터넷 미디어는 속보, 생방송, 관련기사, 관련 사이트, AOD/VOD 서비스, 맞춤 서비스 등을 통해 과거의 신문과 방송이 갖지 못한 다양한 과학 관련 컨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과학언론의 다양화와 심층화가 이뤄낼 것이며, 그동안 과학언론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됐던 부정확성, 불충분성 등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매체들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속보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매체의 한계를 극복할 것이다. 따라서 신문과 방송은 인터넷을 통해 보다 풍부한 과학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언론을 활성화하리라고 본다. 둘째, 인터넷 미디어는 그동안의 매스미디어가 지니고 있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라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뤄냄으로써 미디어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미디어는 대중성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지금의 인터넷 미디어는 컴퓨터 리터러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미디어가 대중성을 가진 과학언론매체로 성장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 인터넷, 신문, 방송, 과학언론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cience Journalism with the Birth of Internet(WWW) With the birth of the WWW(World Wide Web) the interne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new form of medi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ossibilities of the internet being able to activate science journalism which has been shunned by ou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First of all, to compare the science related information in the newspaper and the internet contents service, The New York Times and ten other Korean daily papers(The Kyunghyang Shinmun, The Kook-min Ilbo, The Korea Daily News, The Dong-A Ilbo, The Munhwa Ilbo, The Segye Times, 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The Hankyoreh Daily Newspaper, The Hankook Ilbo) were chosen as the samples. For samples of broadcasting channels, America's CNN, Korea's KBS, MBC, EBS, SBS, and YTN were chosen, while America's Yahoo! and Korea's Yahoo!Korea were chosen as samples for independent internet media. The items for comparison were the number of pages allotted to science related topics in the case of newspapers, the length of programs in the case of broadcasting, and news flashes, live broadcasts, menus on science news, search on articles, related articles, science directories, science forums, related sites, science related AOD/VOD, and personalized services in the case of the internet media.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international, and Korea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and independent internet media based on the above criterion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cience related pages in Korean newspapers was considerably low compared to The New York Times of America. In addition, Korean newspapers allotted less space to science topics than health/medical or information technology/communication. This is because less people read science articles, and because they have less advertisements than information technology/communication articles. 2. While The New York Times pursued profundity in its science articles through a more diverse internet service, most Korean newspapers simply ran science articles that had already been written in the newspapers. 3. The internet service of both The New York Times and Korean newspapers were loathe to provide sufficient multimedia data. That is, they were only providing articles based on the text, and no additional audio·video data or live broadcasts. 4. In the case of broadcasting, Korean broadcasting systems allotted more time to science related programs than America's CNN. However, Korean TV programs put too much emphasis health/medicine and environment/natural documentary and too less on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communication. Moreover, most of the Korean environment/natural documentary programs were imported while very few were produced domestically. 5. America's CNN was shown to provide more relatively diverse multimedia data through its internet service when compared with newspapers. However, there is a very small number of independently produced science programs at Korean broadcasting systems. As a result, the size of their science contents in their internet service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Korean newspapers. 6. As for independent internet media, although they did not have any science related contents produced on their own, they were providing news and multimedia services that are of higher quality than the internet services of existing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Therefore, there is a big possibility of a new science media independent internet media rising to compete against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study above, the birth of the internet will play a huge role in reactivating science journalism. First of all, a variety of internet medium will be born, and the existing medium will offer a more diverse multimedia service to overcome the current trend of shunning science journalism. Unlike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the new internet media offers a more diverse science related contents through news flashes, live broadcasting, related articles, related sites, AOD/VOD service, personalized service, and more. Such services will contribute to giving more variety and depth to science journalism, and will also be a big help in overcoming the terminal weaknesses of science journalism such as inaccuracy and insufficiency. In addition, by forming a database through news flashes and internet services, the existing media will overcome their limits. Therefor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ystems will be able to bring science journalism to life by offering a more substantial science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Secondly, the internet media is bringing rise to a media revolution by overcoming the fatal weakness of mass media which was the unilateral transmitting of messages. It has succeeded to achieve mutual communication to bring forth a media revolution. Lastly, the biggest task of the internet media is to become more mass-friendly. This is because the current internet media is only operated by computer literates. So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take a considerably long time for the internet media to rise as a science media that is closer to the mass. Key words : internet, newspaper, broadcasting, science journalism

      • 중소·중견기업 가업승계세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홍대길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의 업체 수가 전체 사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9%이고,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인원 수가 전체 종사하는 인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 이다. 이렇듯이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으로 크고, 매우 중요하여 국가산업 및 고용창출의 근간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경영노하우의 유지·발전에 필요한 가업승계를 가로 막는 장애요인인 상속·증여세의 세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엄격한 가업승계 세제지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가업상속 적용대상요건중 피상속인의 10년이상 계속 경영요건에서 피상속인의 과거 가업영위 기간에 대한 제한을 없앤다. 가업상속 적용대상 요건중 업종 요건에 관하여 열거주의가 아닌 포괄주의 방식을 채택 한다. 가업상속 적용대상 요건 중 상속인 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 경영인 또는 내부 유능한 직원의 대표자 취임 요건을 만들고 사후관리 한다. 둘째는 상속세 과세방식을 유산과세방식에서 취득과세방식으로 변경 한다. 셋째는 최대주주 주식에 대한 할증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은 보충적평가방법에의한 주식평가 시 할증 평가를 배제 한다. 넷째는 가업상속공제제도의 사후관리기간을 5년으로 축소 한다. 가업상속공제제도의 사후관리시 가업용자산의 처분비율을 완화 한다. 다섯째는 가업승계 주식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제도에서 상속 전 가업승계주식에 대해 증여세 납세 유예 후 상속 시 증여세 유예 세액은 면제하고, 가업승계주식을 상속재산에 합산하여 상속세로 정산 한다. 여섯째는 가업승계 주식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제도에서 법인기업 뿐만 아니라 개인기업의 경우에도 생전 가업승계에 대하여 증여세 과세특례를 적용 받을수 있도록 세제지원을 해야 한다.

      • EPL 모형에 기초한 과학관과 이용자 사이의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

        홍대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Risk information communication (RIC) in science and technology (S&T) should be facilitated in ways that reduce anxiety and the risk of damage occurring from danger, eliminate conflict among social constituents, and resolve distrust for S&T, and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by providing accurate and reliable risk information in S&T. This study proposes a solution in which science museums are utiliz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risks in S&T. Such establishments, their primary purpose being to provide a venue for education via exhibition, are ideal environments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facilitating mutual exchanges of risk information in S&T. Whereas possible risks in S&T are frequently referred to in the general population, currently these risks have yet to be defined. Therefore, in this study a definition of the risks inherent in S&T, on the basis of diverse related legislations, policy reports and researches, will be provided. It is believed that this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uture research, and hopefully the discovery of additional effective methods for RIC.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issues in communication that tend to arise between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he general public is the differing perceptions regarding what actually constitutes something being a genuine risk. Such differences in perception can at times result in a growing distrust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in particular, as well as in the development of an increasingly negative view of S&T overall. The media, positioned as they are at the very center of RIC, sometimes create harmful effects by exaggerating the level of danger, oversimplification, or simply a lack of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to discover alternative avenues, ones which are more likely to consistently provide reliable and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actual nature of the risk in question. This study proposes communication of risk information via science museums. Firs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e introduced as being a place to communicate risk information in S&T. Then the interests of the public, and also the influence and functions of science museum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grounds and needs for them to contribute to RIC. The public interest of science museums, which is illuminated through the study of the history of science museums, related legislations and researches, is based on seven bases: 1) the laws, 2) who established them and subsequently enforces them, 3) the source of the fund for establishment and ownership, 4) the purpose of their establishment, 5) openness or accessibility, 6) public services and 7) public assets. Science museums influenc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individual. This influence i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knowledge level, and the subsequent change in attitude, required for accurate information to be communicated regarding the level of risk. The functions of science museums, along with their public interest, serve as the ground for the argument for RIC in S&T. The study sees as the grounds for it the functions of the science museum as a source of data and a place for experience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RIC in S&T needs discussion from the viewpoint of popularizing science because it shares the context with popularizing science pursuing the understanding of, and change of attitudes towards, S&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RIC of S&T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adigm shift in popularizing science. It points out that there exist arguments on risks in S&T in this paradigm shift of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from ‘science culture’ to ‘popular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further to ‘science in society’. This finding should be the grounds for the science museum, an agency of popularizing science, to initiate RIC in S&T. Theoretical grounds for science museums to initiate this communication of the actual risks to be found in S&T lies in the public interest in, influence of, function of, and popularization of science as shown in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It is necessary, however, to examine whether or not science museums are actually capable of providing the conditions required to achieve success. This study presents the EPL Model for RIC. It enables communication in a plaza between Expert and Layperson. The science museums are where exhibition, experienc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can happen.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is communication between science museums (P) and users (L) in the EPL Model, examining whether science museums can serve for the users as an effective and efficient place for RIC. The responses receiv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s handed out to the users of science museums have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science museums actually do offer the conditions required to serve as a place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risks to be found in S&T. The propriety of a place for this purpose includes the function of a place of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ligned with the level of the users, and diverse ways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science museums, though still insufficient in its communicative function, have strengths in exhibiting, education and experiencing, are high in reliability, provide information in a format that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and learn, can do so at the level of the user, and have diverse ways of communication such as experiencing, visualizing, and collecting data. These findings indicate a high level of efficiency of science museums when it comes to RIC. Second, users of science museums saw a need for exhibition and education about the risks of S&T. Third, there exists a certain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level of risk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risks to be found in S&T, between the perceived level of risk and the need for the education via exhibitions in science museums, the level of interest in risks and the need for education via exhibitions in science museum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potential danger from risk factors in S&T, the higher the interest and the need for education via exhibitions. Conversely, the lower the awareness of the potential danger from risk factors in S&T, the lower the level of interest and the need for education via exhibitions. It indicates the need for science museums to educate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risk factors in S&T is affected by how high the danger is perceived to be. Fourth, the users of science museums demonstrated trust i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m. The level of this trust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rust in the science museum itself.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users of science museums showed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was related to the trust shown in the information provided.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that the users had in S&T, the more positive their notion was that S&T can actually reduce risk factors, rather than making the judgement that S&T was in fact the originator of the risk factors. Second, users who evidenced a high level of trust in those working in science replied they believed such would in good conscience communicate frankly and honestly regarding any possible risks. Third, whereas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risk enhances trust, inaccurate information was found to only have a minor affect upon the level of trust in science and those working in the fie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so far, the present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risk increases the level of trust in S&T, and those who work in these areas. Science museums should contribute to popularizing science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risks to be found in S&T on the basis of public interest, influence, function and the users' needs. Science museums enjoy a high level of trust, and can therefore increase the level of trust in the information concerning risks that they provide. Science museums have the merits of exhibition, experiencing, and education, and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via experiencing, visualization and collection of data.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suggest that science museums are one possible effective way of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risks to be found in S&T.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과학기술 위험정보를 제공해 위험으로 인한 불안과 피해를 줄이고, 사회 구성원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한 불신을 해결하는 방안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 방안으로 과학관을 이용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과학관은 전시·교육·체험 등의 기본 기능을 통해 과학기술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에서 소통 광장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과학기술 위험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과학기술 위험은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지만, 정의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우선 다양한 법령과 정책 보고서, 연구 사례 등을 기초로 과학기술 위험을 정의했다. 이 같은 정의는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 연구와 그 방안을 마련하는 데 출발점이 될 것이다.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의 문제점은 과학기술자와 일반인 사이의 위험 인식 차이로부터 발생한다. 이는 과학기술자에 대한 불신과 과학기술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의 중심에 있는 언론은 때로 위험정보의 과장, 전문성 부족, 단순화 등으로 인해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따라서 언론을 보완해,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위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학관의 위험정보 소통을 제안했다. 먼저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 현장으로서 국내·외 과학관과 관련 기관을 조사해 소개했다. 또한 과학관이 위험정보 소통을 해야 하는 근거와 필요성으로 과학관의 공공성, 영향력, 기능 등을 분석했다. 과학관의 역사, 관련 법령, 연구 사례 등을 통해 밝힌 과학관의 공공성은 다음 7가지의 근거를 기초로 한다. ① 법률, ② 설립 및 운영의 주체, ③ 설립 재원과 소유권, ④ 설립 목적, ⑤ 개방성 또는 접근성, ⑥ 공공 서비스, ⑦ 공적 자산 등의 근거이다. 과학관의 영향력은 특히 개인의 지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에서 요구되는 지적 수준 향상과 태도 변화와 관계를 맺게 된다. 과학관의 기능은 공공성과 더불어 과학관이 왜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자료 기능, 체험 기능, 교육 기능, 소통 기능 등을 근거로 삼았다.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은 과학 대중화의 관점에서 살필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태도의 변화를 추구하는 과학 대중화와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과학 대중화와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의 관계를 과학 대중화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살폈다. ‘과학 소양’에서 ‘대중의 과학 이해’로, 다시 ‘사회 속의 과학’으로 바뀌는 과학 대중화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는 과학기술 위험 논쟁이 자리 잡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는 과학 대중화 기관인 과학관이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에 나서야 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과학관이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에 나서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는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를 밝힌 공공성, 영향력, 기능, 과학 대중화 등에 있다. 그런데 과학관이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을 위해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 위험정보 소통을 위한 EPL (Expert-Plaza-Layperson) 모형을 제안했다. EPL 모형은 전문가(Expert)와 비전문가(Layperson)가 광장(Plaza)에서 소통하는 모형이다. 과학관은 전시·체험·교육·소통이 이뤄지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EPL 모형에서 과학관(P)과 이용자(L) 사이의 소통에 주목했다. 과학관이 이용자에게 위험정보 소통을 위한 적합한 장소이며, 그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본 연구는 과학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관은 위험정보 소통 장소로서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위험정보 소통 장소로서의 적합성은 소통 공간 기능, 신뢰성, 대상의 수준에 맞는 정보 제공, 다양한 소통방법 등을 척도로 삼을 수 있다. 설문 결과, 과학관은 소통 기능이 아직 미흡하지만, 전시·교육·체험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고, 신뢰성이 매우 높으며,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쉽고 수준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며, 체험·시각화·수집자료 등 다양한 소통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과학관이 위험정보 소통에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관 이용자들은 과학기술 위험에 대해 전시·교육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셋째,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 과학기술 위험 인지도와 과학관의 전시교육 필요성,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관심도와 과학관의 전시교육 필요성은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시 말해 과학기술 위험요인에 대해 위험하다고 느낄 경우 관심도가 높고, 전시·교육의 필요성도 높았다. 반대로 과학기술 위험요인에 대해 위험하지 않다고 느낄 경우 관심도가 낮고, 전시·교육의 필요성도 낮았다. 이는 위험성을 높게 느끼는 과학기술 위험 요인과 관심도가 높은 과학기술 위험 요인을 과학관이 전시·교육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과학관 이용자들은 과학관이 제공하는 위험정보에 대해 신뢰를 보여줬다. 특히 과학관 신뢰도가 높을수록 과학기술 위험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한편 과학관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는 과학 대중화와 위험정보 소통이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줬다. 첫째, 과학기술 신뢰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과학기술이 위험요인을 줄인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과학기술이 위험요인을 만들어내는 주범이라는 것에 대해서 판단을 유보했다. 둘째, 과학기술자 신뢰도가 높은 사람은 과학기술자들이 위험정보를 정직하게 알려주고 양심에 따라 말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셋째, 정확한 위험정보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지만, 부정확한 위험정보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한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맺고자 한다. 정확한 과학기술 위험정보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 과학관은 공공성, 영향력, 기능, 이용자의 필요성 등을 기반으로 정확한 과학기술 위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과학 대중화에 기여해야 한다. 과학관은 신뢰도가 높으며, 과학관이 제공하는 과학기술 위험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과학관은 전시·체험·교육의 강점과 체험·시각화·수집자료 등 다양한 소통 방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학관은 과학기술 위험정보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자궁근종 관련인자의 역학적 연구

        홍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여성의 자궁근종 발생과 관련된 인자를 찾고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경북대학교병원을 정기 검사 및 부인과적 및 산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로 치료를 위해 방문한 환자 중 외과적 또는 초음파상으로 자궁근종이 진단된 244명과 자궁근종이 없는 269명의 대조군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의료기록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통계분석은 χ2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다변량분석상 나이, 인공유산 횟수, 음주는 증가시 자궁근종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수유기간에 따라서는 그와 반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BMI, 분만력, 초경 나이, 월경기간 및 간격, 카페인 섭취, 결혼 상태는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자궁근종 발생에 관련된 인자에 대한 첫 전향적인 연구로서 큰 의의를 가지지만, 한국여성에서의 구체적인 발생인자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였다. 한국여성에서의 자궁근종의 발생 인자에 대한 향후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의 관계

        홍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23

        Based on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their self-realization and exercise emo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systematic development required for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and motivate players to exert their potential at the situations of sport match in close associations with their exercise performance, so that it can show more positive directions of mentor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 a population of domestic high school and collegiate tennis players enrolled in Korea Tennis Association (KTA) as of Year 2013, and employed convenience sampling to select total 311 players as final subjects. A collection of any valid data were analyzed in form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Second,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self-real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correlated with players' exercise emo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correlated with self-realization. Fifth, it was found that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correlated with exercise emotion. Sixth, it was found that players' self-realization correlated with exercise emotion.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ennis coach's mentoring function, players' perceived sense of freedom, self-realization and exercise emotion. 본 연구는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에 필요한 기초자료와 체계적인 발전, 그리고 선수의 운동수행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선수들의 잠재력을 스포츠 경기 상황에서 최대한 발휘하여 보다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협회에 선수등록이 되어있는 국내 고교·대학 테니스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311명이 선택되었으며, 측정도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은 성, 학력, 경력 등 3개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멘토링 기능에 관한 측정도구로는 Noe(1988)가 개발하고 Dreher & Ash(1990), 이규태(2008), 전익기(2009)가 사용한 설문문항을 인지된 자유감(perceived freedom)은 여가진단도구(leisure diagnostic battery; LDB, witt & ellis, 1987)로서 원형중(1989)이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여가진단도구를 바탕으로 김용주(2005)가 사용한 문항을 자아실현은 POI(personal orientaion inventory; Shostrom, 1976)로서 설기문(1995)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사용한바 있는 자아실현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운동정서는 Watson, Clark & Mineka(1994)의 PANAS-X(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기초로 하여 유진, 김종오(2000), 정용각(2000)이 운동경험에서 느끼는 정서감정을 측정할 수 있도록 수정 개발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자아실현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자아실현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선수들의 인지된 자유감과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선수들의 자아실현과 운동정서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테니스지도자의 멘토링 기능과 선수들의 인지된자유감, 자아실현 및 운동정서는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높은 수율의 Circulating Tumor Cell 카운팅을 위한 이미지 센서가 결합된 저렴한 디바이스 개발

        홍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Circulating Tumor Cell(CTC)은 암환자의 혈액내에서 순환하며, 전이에 관여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개수를 세어줌으로써 암환자의 생존률을 예측할 수 있지만, ml당 1~100개 정도 존재하는 굉장히 희귀한 세포이기 때문에 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기존의 CTC 관찰 방법으로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혈액에서 원하는 CTC만 분리해서 관찰하는 방법과, 두번째는 디바이스에 센서를 결합하여, 농축이나 분리작업 없이 관측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CTC를 분리해서 보게 되면 후처리과정이나 추가적으로 센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디바이스에 결합된 센서로 바로 관측할 경우에는 유속이 느려야 하기 때문에 테스트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점과 센서가 민감해야해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른 유속에서 CTC를 농축시키는 디바이스를 만들고, 이와 결합된 저렴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서 바로 개수를 세어주는 프로그램도 구성하였다. 높은 유속에서 CTC를 높은 효율로 농축시키기 위해서 deterministic migration의 원리를 이용하였다. 또한 유체의 저항을 조절하고 이미지 센서가 있는 부분에서 채널의 폭을 넓혀서, CTC 적당한 속도로 흘러가서 이들이 이미징될 때 최대한 streaking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이미지 센서와 농축 디바이스를 정렬하기 위하여 3D printing된 구조물을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촬영된 영상에서 각 프레임마다 나타난 객체들을 카운팅하였고, 중복되어 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프레임에 나타난 객체와 이전 프레임에서 나타난 객체를 짝지어주기 위한 Matching area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디바이스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600μl/min의 유속에서 15μm 형광비드와 2μm 형광비드에 코팅된 CTC를 카운팅한 결과, ml당 10개를 넣었을 때는 각각 100%, 85%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제안하는 방법은 짧은 시간안에 CTC의 개수를 세어줄 수 있고, 센서도 함께 결합되어 있어서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크기도 작아서 휴대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현장현시검사(Point of Care Testing)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irculating Tumor Cell (CTC) circulates in the blood of cancer patients and is involved in metastasis. By counting the number of these cells,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can be predicted. But, since CTC is rare cell (1~10 cells per ml), there are some method to detecting. There are 2 methods to detecting, one of them is concentrate CTCs from whole blood before detecting, and the other is detecting by integrated sensor without concentration of CTCs. But, concentrating of CTCs method often need to post-processing or additional sensor for detecting and detecting by integration sensor method have to low flow rate, so it need to long test time and expensive sensor. In this paper, we introduce CTC concentrate device in high flow rate and detecting by integration chip composed of CMOS image sensor for counting directly by customized program using matlab. Deterministic migration is used to concentrate CTC at high flow rate. Also, CTCs flow at a moderate speed so that it is not streaked as much as they are imaged by adjusting resistance of the fluid and widening the channel width at the area of the image sensor. In addition, Customized 3D printing structure is used to align the image sensor and the concentration device. Firstly, objects displayed for each frame in the captured image were counted. In order to prevent counting with duplicate, ‘Matching area’ is setting to matching objects in current and previous frame. Using the device and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we achieved to 100% and 85% of accuracy for using 15μm fluorescence bead test and CTC coated with 2μm fluorescence bead test at 600μl/min for 10 objects per ml. The proposed method can count the number of CTCs in a short time and it is easy to use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processing. It is also expected to be available for point of care testing (POCT) because the device is small and portable.

      • 朝鮮時代 倣作繪畵 硏究

        홍대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논문은 朝鮮時代 倣作繪畵의 시작과 전개양상 및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방작회화란 다른 사람의 회화양식을 모방하거나 인용하여 그린 그림으로 대개는 고전이나 앞선 시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지만 동시대의 우수한 작품을 본받아 그리는 경우도 있다. 방작회화는 실로 범위가 광범위하고 전통적으로 이를 지칭해 온 용어도 다양하므로 구체적인 고찰에 앞서 용어의 규명과 이에 따른 연구범위의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유사한 개념인 模作과 臨作과 倣作의 성격을 고대 사전과 문헌에 쓰인 예를 들어 정리해 보았다. 이들 중 본 논문에서는 방작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유형을 學形的인 倣作과 學意的인 倣作으로 분류하고 다시 學意的 倣作을 再解釋的 倣作과 追認的 倣作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기억에 의존해 그리는 追認的 倣作은 방작회화의 독창성을 규명할 수 있는 가장 발전된 개념이다. 방작회화는 중국에서부터 우리나라로 전래되었으므로 중국 방작회화의 시작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중국 방작은 倣古的인 문예성향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록상으로 보면 宋代에 이미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고 元代에는 吳鎭, 方從義, 莊麟 등의 작품에서 실재했다는 점이 확인된다. 조선시대 방작은 朱之蕃이 1600년 來朝하여 남긴 방작이나 각종 畵譜의 전래, 그리고 중국에서 들어온 倣作畵籍 등을 통해 볼 때 늦어도 朝鮮中期인 17세기 초에는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래된 방작이 빠른 시간내 높은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倣古的인 표현이나 내용이 조선시대 다른 문예에서 일상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문헌기록에서 볼 때 회화에서의 방작은 작품에 명기하지 않았지만 朝鮮初期부터 면면히 이어져왔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중기의 방작이 단순한 복고형식의 차용에 그치지 않고 창작의식까지 거론하면서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古文運動의 영향에 의한 것이었음이 주목된다. 특히 枕流臺詩社의 학풍을 받은 近畿南人 實學者들이나 西人系 진보적인 문예관을 가진 白岳詞壇 사람들의 활약이 컸다. 朝鮮後期에도 고전의 답습적인 모방을 지양하고 개성적인 생각으로 새롭게 해석하자는 文人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주로 김창협을 중심으로 하는 서인계 문사들과 남인 실학파들로 古文的인 문예관을 가지고 있었던 인물들이었다. 朝鮮末期에는 金正喜를 비롯한 閭巷文人들의 창작성향에서 방작 회화와의 상관관계를 뚜렷하게 찾아볼 수 있다. 김정희는 회화의 이상을 元代 문인화로 두었고 元人의 필치를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조선말기 추사파 화가들이 元代 화가들을 집중적으로 방하는 것이나 그림에 ‘倣元人筆意’라고 표기하는 것도 김정희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방작회화는 방한 대상을 기준으로 나누어 볼 때 중국의 화보를 바탕으로 한 畵譜 倣作과 중국의 회화를 대상으로 한 中國畵 倣作 그리고 우리나라 화가들을 방한 韓國畵 倣作으로 구분된다. 조선후기 방작회화 가운데 가장 흥미있는 점은 우리나라 화가들을 대상으로 삼아 방한 작품이 자연스럽게 제작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우리나라 화가들의 작품을 방한 경우는 原作家의 양식에 대한 이해가 보다 완전했던 점이 돋보인다. 그 이유는 대상 작가의 眞作을 쉽게 접할 수 있었고 그만큼 선배 화가들의 작품성에 대한 신뢰가 컸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화의 방작은 조선말기에 이르러 색다른 양상이 보이는데, 당시 김정희에 의해 조선후기 대가들의 그림을 배우는 것이 의도적으로 거부된다는 점과 김정희 및 추사파 가운데 일가를 이룬 화가들이 새롭게 방작되는 점이 흥미롭다. 조선시대 방작은 그 자체로도 연구할 가치가 크지만 방작회화가 조선시대 남종회화 전개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나아가 방작은 우리나라 회화에 대한 史的인 파악과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동기를 제공했다는 점도 아울러 강조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This Thesis aims to make research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ang-Jak(倣作) paintings of Chosoˇn dynasty from its beginning to the development. 'Bang-Jak' is a traditional term which indicates the works painted in imitation of other works or other painters' style. Bang-Jak paintings were generally painted in the style of classical painters or those of former ages, but sometimes they were done on some well-known contemporaries. Since the domain of these kinds of paintings is wide and various terms have been applied to them,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set up the limi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cient dictionaries and literatures, I first determined each concept of similar terms: 'Mo-Jak'(模作), 'Im-Jak'(臨作) and 'Bang-Jak'(倣作) on which this thesis is especially focused. Bang-Jak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of which is 'form-studying painting'(學形的倣作) and the other is 'thought-studying painting'(學意的倣作). The latter can also be divided into 're-interpretative painting' and 'recollective painting'(追認的倣作) a which I myself named. Especially the recollective painting made only from the painter's memory without seeing the original is the most developed form to prove the originality of Bang-Jak paintings. Because Bang-Jak paintings came to Korea from China, I briefly examined the beginning of Chinese Bang-Jak to confirm that it had naturally emerged in the mood of the revival of ancient literature. According to some reliable documents, it can be suggested that it existed as early as Song(宋) Dynasty in China. And we can find some actual Bang-Jak paintings from the works of painters such as Wu Zhen(吳鎭), Fang Congyi (方從義), Jiang Lin(莊麟 ) in Yu¨an(元) Dynasty. I presumed that Bang-Jak came to Korea at least in the early 17th century, namely in the middle of Chosoˇn Dynasty. It is confirmed by some facts: the coming of Zhu Zhib6n(失之藩), a Chinese envoy to Chosoˇn in 1606 with his Bang-Jak paintings and the importation of various picture albums containing Bang-Jak paintings. It was parallel to the common .tendency of restoration or revival in other fields of arts that the Bang-Jak painting improved and developed rapidly in Chosoˇn. Some historical records say that there have been Bang-Jak paintings from the early period of Chosoˇn dynasty on although there was no inscription of 'Bang'(imitation) on them. In the development of Bang-Jak in mid-Chosoˇn period, it is noticeable that its creativity was affected by 'Gomun-Wundong(古文運動)'. The leading people in the movement were from Sirhakp'a(實學派), the practical literati of Namin(南人) near Kyoˇnggi province or the progressive Bagack-sadan(白岳詞壇) of Soˇin(西人). Their influence continued to the late Chosoˇn dynasty, when scholars headed by Kim Ch'ang-Hyup(金昌協) appeared among them. They asserted they were not merely imitating the classics but also reinterpreting them from a new perspective. At the end of Chosoˇn dynasty, this cor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literature became more evident in the creative inclination of ordinary literati men such as Kim Choˇng-Hui(金正喜). He thought the ideal of painting could be found in the style of the literati artists of Chinese Yu¨an dynasty and valued its brushwork. Influenced by him, many artists in the school of Chu-Sa(秋史) made their works in the styles of Yuan painters, on which they wrote following those styles. Korean Bang-Jak paintings are classified by the subjects they imitate: 'Bang-Jak of picture albums' based on Chinese picture books, 'Bang-Jak of Chinese paintings,' and 'Bang-Jak of Korean paintings'. Most appealing is the fact that the 'Bang-Jak of Korean paintings' has risen spontaneously. Many of these paintings were based on full understanding of their models, for the painters could see the original paintings and had deep reliance upon senior artists. At the end of Chosoˇn period, something different happened in the field of 'Bang-Jak of Korean paintings'. It is interesting that Kim Choˇng-Hui refused to learn from the former late Chosoˇn painters, and that his contemporary artists tended to select their models from Kim Choˇng-Hui or his outstanding followers. Korean Bang-Jak in Chosoˇn dynasty is worth studying not only for itself but also for its important position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Namjong-hwa(南宗畵: literati painting). Furthermore, it is worth stressing its role of motivating the examination and study of Korean paintings historically and positively.

      • 金時習의 「關東日錄」·「溟洲日錄」소재 漢詩 硏究

        홍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고는 김시습의 晩年期에 關東 지역을 遊歷하는 과정에서 창작된 「關東日錄」과 「溟洲日錄」의 漢詩를 바탕으로 그의 주제의식과 문학적 성격을 조명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는 신동이라 불리울만큼 유년기부터 탁월한 학문적 소양을 겸비하였고 世人들의 관심 속에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世祖의 왕위찬탈 사건을 계기로 부조리한 현실에 환멸을 느끼고 기나긴 청·장년기 시절을 방랑으로 보냈다. 그리고 城東의 은거생활 이후로 還俗하였던 그는 50에 가까운 나이에 뜻한 바 있어 재차 關東으로 방랑길에 올랐다. 이 시기의 關東遊歷 과정에서 수많은 詩文을 남겼고 각 작품마다 문학적 재질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Ⅱ장에서는 김시습 이전에 나타나는 關東遊歷의 사례, 금오산의 은거생활을 정리한 뒤로 한양으로 돌아와서 10여 년의 생활을 보내다가 晩年의 나이에 關東으로 방랑하게 된 배경과 동기, 만년의 關東遊歷 과정에 있어서 구체적인 행적을 규명하였다. Ⅲ장에서는 「關東日錄」과 「溟洲日錄」의 한시에 담긴 작가의식을 크게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보았다. 첫 번째로 인간적 삶의 비애와 초극이란 주제를 통해 신세에 대한 자탄과 비애, 출처에 따른 갈등과 초극, 노경의 탈속적 정신과 노화로 나누고 이러한 작가의식이 드러난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외물과 민생에 대한 관심이란 주제를 통해 영물이 투사된 내면과 세태, 민생에 대한 연민과 애착, 성리학적 이상세계의 구현으로 나누고 이러한 작가의식이 드러난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關東日錄」과 「溟洲日錄」에 수록된 작품에서 대표적인 중국 문인으로서 屈原, 陶淵明, 杜甫의 시풍과 정서로부터 영향을 받은 詩文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처럼 김시습이 일생을 현실체제 밖을 노니는 삶을 누렸던 점을 바탕으로 그의 만년기에 펼쳐진 시 세계의 양상은 굴곡진 인생만큼이나 매우 曠達하고 深奧하며, 또한 부조리한 사회현실을 성리학적 수양 덕목으로써 이상세계를 구현해 보려는 정신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연구를 통해서 김시습의 만년기 행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또한 「關東日錄」·「溟洲日錄」의 작품들을 다각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Kim Si-seup’s time spent in later years in the Gwan-dong region, and a topic written about literal characteristics on Chinese poetry in「Gwan dongillok」and「Myeongjuillok」. As a child, he had a superior talent for learning and many people called him a “genius”. As he was growing up, he caught other people’s interest. However, his adolescence came to an end and he had to mature, by the turmoil of King Sejo’s usurping to the throne. After spending a hidden life in Seong-dong, he came back to real life, but again went back to wander in Gwan-dong. He wrote great poetry, and each poem had excellent literature characteristics. In Part II, It investigated instance of wandering the Gwan-dong region on before Kim Si-seup's age, To determine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 again to the Gwan-dong region on his latter years, a detailed track of wandering the Gwan-dong region. In Part III, his thoughts on Chinese poetry in 「Gwandongillok」and「Myeongjuillok」 are divide into two theme patterns. First of all, it is thought that the tragedy of human life and conquest were the meanings for his topics. And these motivations came from complains and sorrows of his life. Also, conflict and conquest by the sources, advanced ages freedom spirits and aging are concluded. Second of all, the literatures are analyzed through the interest of outward things and ordinary people‘s life; the inner sides of poem on thing's inwardness and social conditions. Also, sympathy and attachment of ordinary people’s life and Neo-Confucianism ideal world’s realization is concluded. In the IV Part, specific words of Chinese poetry in「Gwandongillok」 and 「Myeongjuillok」 are searched and how they were affected by Qu Yuan[屈原], Tao Yan Ming[陶淵明], Tu Fu[杜甫]’s poetic characteristics and feelings. Through Kim Si-seup’s life wandering outside of real life, his poetic characteristics in later years is comparable to his extraordinary life. Also, irrational social conditions that changed spirits by the Neo-Confucianism ideal world’s realization are searched. Through this study, it is analyzed that Kim Si-Seup spent times in later years in Gwan-dong regions. Also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lit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ry in 「Gwandongillok」and 「Myeongjuill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