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에서의 디지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

        현은자 ( Eun Ja Hyun ),김태영 ( Tae Young Kim ),조메리명희 ( Mary Myung Hee Cho ),박은미 ( Eun Mi Park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 모바일기기의 사용현황과 그것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결과가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기독교 가정 내에서의 모바일기기 사용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는 모바일기기의 보유대수, 사용현황,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경기 북부지역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부모 241명이었다. 자료 처리는 SPSS 1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처리하였다. 결과는 첫째, 모바일기기 사용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부모들은 인식하고 있다. 둘째, 조사된 변인에 있어서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는 없었다. 셋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부모교육의 요구가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의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의 계발과 더불어 아동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기독교 부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s parents perceive their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counterpar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1 parents from 5 nursery schools in north part of Kyung Ki Do.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30 questions asking how many mobile devices is used at home, how to use them, and how to perceive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parents are Likely to use the digital devices at home not considering enough young children`s presence, 2) most of them show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common topics to share, time spent together, and the degree of intimacy). 3)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paren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4) majority of parents answered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regarding the use of mobile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as a role model of young children need to have reflective thinking regarding the use of the digital devices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서비스 로봇의 콘텐츠 개발

        현은자(Hyun Eun-Ja),윤현민(Yoon Hyun-Min),장시경(Jang Sie-Kyung),연혜민(Yeon Hye-Min),조경선(Cho Kyung-S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것을 현장에 적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유아 및 교사의 수용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콘텐츠 제작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하루일과를 관찰하고 일과 안에서 활용 가능한 로봇의 기능 네 가지(체크, 주의집중, 디스플레이, 멀티미디어)를 선정하였다. 이 네 가지 기능을 대표하는 콘텐츠로 출석, 정리정돈, 학습, 동화와 동요 감상을 선정하여 개발, 설계하였다. 개발된 교사보조용 로봇 콘텐츠를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두 곳에서 일주일간 현장 적용하였으며, 그곳의 만 4-5세 유아 31명과 교사 두명으로부터 체크리스트와 인터뷰를 통해 수용성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기능적인 면에서 몇 가지 개선할 점이 지적되기는 했지만 유아와 교사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는 로봇의 출석과 정리정돈, 디스플레이 기능이 도움이 되었다고 대답하였으며, 유아는 로봇이라는 매체 자체에 큰 관심을 보이고 개발된 로봇의 콘텐츠를 쉽게 사용하였다. 그러나 교사와 각 교실의 설비상태에 따라 실제 사용방법에 있어 차이를 보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터넷상에서의 교사 공유 커뮤니티 활성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s of educational service robot to b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Field study was implemented in two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examine the acceptability of the contents by young children and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robot contents, the daily schedule and teachers' role of a day 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was observed and listed. Based on the list, the function of the educational service robot was categorized as following: attendance check, attention, display and multimedia. The acceptability of the robot contents was measured based on the data from classroom observation, teacher checklist, and interview wi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s a result, teachers and children were likely to show positive responses on phys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teacher assisting robot. Teachers agreed that the robot lessened some of their work load and also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children. It was observed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both teachers in the way of utilizing robot functions, so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or teachers' community on internet was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우리반’콘텐츠 개발

        현은자(Eun-Ja Hyun),장시경(Sie-Kyung Jang),박현경(Hyun-Kyung Park),연혜민(Hye-Min Yeon),김수미(Su-Mi Kim),박성주(Sam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는 유아기관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지능형 로봇 iRobiQ에 탑재할 교사보조 콘텐츠 ‘우리반’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하루일과 중 iRobiQ가 교사보조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추출하여 6개의 기능(출석, 활동, 갤러리, 배움터, 호명, 타이머)을 개발하였다. 유아가 매체를 다룰 때 수행하게 되는 주요 역할인 놀이자, 학습자, 사용자에 따라서 각각 오락적, 학습적, 도구적 요소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PLU 모델에 따라서 역할 모델에 따른 요소들을 기능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특히, 로봇은 정서적인 관계를 수행할 수 있기에 유아는 로봇을 친구(Companion)로서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또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정서적 요소들 또한 개발에 반영하였다. 유아기관에서 개발된 ‘우리반’ 콘텐츠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4주간에 걸친 관찰을 수행한 결과,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오락적, 정서적 요소에 더 많은 반응을 하였고, 로봇의 사용 방식이 점차 고정되는 교사와 달리 유아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요소를 탐색하였다. 개발 결과와 더불어서 향후 로봇 교사보조 콘텐츠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develop teacher assistant contents 'My Class' for an intelligent robot iRobiQ, us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 After observing daily activities and correspondence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al settings, we selected the robots' target contents as 6 main functions (Attendance, Activity, Gallery, Learning, Role Calling, and Timer). We design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PLU (Player-Learner-User) model which suggests importance of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nabling features to meet player, learner, and user requirements. We also considered 'emotional' features to satisfy 'companion' requirements. The developed contents in this study was deployed in kindergarten classrooms consisting of five- years-old for 4 weeks to see how they response and use the contents. We found that both teachers and children were likely to show positive responses to the contents. Especially, young children responded to the entertainment and emotional features more actively than to the other features. And they continually explored for something new inside the content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more useful teacher assistant contents for iRobiQ.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동물형 스마트 토이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요인

        현은자(Eunja Hyun),윤현민(Hyunmin Yo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는 동물형 스마트 토이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디자인 선호 및 토이 구매경험과 구매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자녀의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 6개 기관의 344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문항, 디자인 선호(유형, 외형, 기능, 정체성, 가격), 구매경향(구매 유무, 실제 구매토이, 만족/불만족 요인), 구매요인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예비설문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그 결과 부모가 선호하는 동물형 스마트 토이는 흰털 또는 갈색의 짧은 털을 가진 20∼30cm 크기의 강아지형 토이로, 소리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단순 장난감 외에, 애완동물, 친구, 동생 등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동물형 스마트 토이로 주로 강아지 토이를 구매했으며, 높은 재미와 상호작용성, 디자인 등에는 만족한 반면, 시끄럽고, 배터리와 내구성에 불만족을 보였다. 주요 구매요인은 안전과 견고성, 가격, 배터리 수명, 장기적 놀이성, 교육성, 세탁가능성이었다. 그리고 동물형 스마트 토이의 선호나 구매경험, 구매요인에 있어서 자녀의 성차나 연령차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유아의 동물형 스마트 토이 개발에 있어 기능 구성 및 디자인 등 설계 및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plore the design preference, consumer experience and purchasing factors of parents for smart animal toys and secondly,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childrens sex and age.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4 parents of younger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white or brown colored 20∼30cm, dog-type smart toy was preferred and the sound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Besides role of toy, smart toy was expected to play as a pet, a friend and a younger sibling. Actually, dog-type smart toy were most frequently purchased. And main satisfied causes were fun, interactivity and design and dissatisfied causes were noise, price, battery life and durability of purchased smart toys. Finally, the important factors in purchasing smart toy were the safety, durability, battery life, sustainable play, education and washability. The parents preference, customer experience and purchasing factors showe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x and the age of the children.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parents purchasing activity of smart animal toys and provide valuable data for function construction, design and service planning necessary to develop the smart animal toy.

      • KCI등재

        대학에서의 아동미디어교육 수업을 위한 액션러닝 사례 연구

        현은자(Eunja Hyun),국경아(Kyeong-a Kook),김보규(Bo-Gyu Kim),김민정(Min-Jung Kim),김혜민(Hye-M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액션러닝은 실제 문제를 찾아 해결책을 찾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수방법으로 최근 대학 수업에서도 그 사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에 위치한 S 대학교의 아동청소년학과에 개설된 ‘아동미디어교육’ 수업에서 액션러닝 교수법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Marquardt(2000)가 제안한 액션러닝의 구성 요소들과 과정에 따라 학생들은 아동의 뉴스리터러시 교육이라는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초등 6학년을 위한 뉴스리터러시 교육 목적과 목표, 내용을 설정하고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액션러닝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과 평가는 설문지와 구두로 수집되었다. 그들은 액션러닝 적용 수업 방식을 통한 능동적이며 자발적인 문제 탐구와 현장에서의 적용이 아동미디어교육 수업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액션러닝 수업방식의 필요조건으로서 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협조와 현장 적용 시 적절한 피드백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Action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is taught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real problems and finding sol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ction learning for the college course ‘media education for children’ which wa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Seoul.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ction learning suggested by Marquardt(2000), college students developed the problem of childrens news literacy education and set the purpose, goal and contents of news literacy and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applied it to the education field. The college students’ evaluation about the action learning lesson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verbal. They found that active and voluntary problem-solving and field application through action learning help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hildrens media education class. Finally, the importance of close cooperation with the educational field and of appropriate feedback were discussed as a necessary condition of action learning teaching method.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현은자 ( Eun Ja Hyun ),조메리명희 ( Myung Hee Cho Mary ),조경선 ( Kyung Sun Cho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과 그로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일산 4곳의 시립어린이집과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6세 어머니 247명 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성인스마트폰중독 자가 진단 척도,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축약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x²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일반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61.5%, 일반사용자군 126.7%,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1.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은 어머니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 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들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는 스마트폰에 대한 내성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았으며 스마트폰에 대한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preventing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u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7 mothers each of whom had one child between the age of 3 and 6 years of age attending either one of four public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Iisan, GyeongGi-Do or one of fiv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angdong-gu, Seoul.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SRSASA), Le K-Echee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 and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chi-suq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got 40~43 points on the SRSASA or more than 14 points o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one of the sub factors of the Scale are categorized as the At-risk group, while those who got 30~39 and less than 30 on the SRSASA are did as general user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of mothers could be considered as being at the lower end of general users Group 1while Group 2 consisted of more frequent general users at 61.5%. The At-risk group Group 3, consisted of 11.7% of mothers. Second, in general the study finds that the more mothers used their smartphone, the higher were thei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Third, group 2 mothers rated highest in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At-risk group rate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ourth, mothers with highest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rated lowest in parenting efficacy an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ifth, the higher the tolerance for smartphones, the lower the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the mothers` directivity with the virtual world of smart phones, the higher thei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ve use.

      • KCI등재
      • ViPR 기술을 이용한 유아교육 지능형 로봇의 보드게임 개발 및 사용성 연구

        현은자(Eunja Hyun),연혜민(Hyemin Yeon),한아름(Ahreum Ha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ViPR 기술을 이용한 유아교육지능형 로봇의 보드게임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보드게임의 목적은 ViPR 기술을 로봇에 적용하여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성 받달을 도모하고 로봇의 활용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ViPR 카드 인식시간은 6초 미만이었으며 사용편이성와 만족도는 아주 높았다. 유아가 인식한 로봇의 역할은 놀이를 안내하고 퀴즈를 내며, 동물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사용중인 유아교육 지능형 로봇에 ViPR 기술을 적용해 본 최초의 연구로서 향후 로봇 컨텐츠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developing board games of a educational robot and assess the usability by young children. The board games were designed to help young children's linguistic, cognitive and social skill and improve the feasibility of the use of educational robot in a kindergarten. As a result, young children were likely to play the game without difficulty, spend less than 6 seconds to read the ViPR cards and furthermore, the score of usability and satisfaction was very high. Young children perceived that the robot played the role of guiding, asking questions,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imals. This study imply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ViPR technology to be us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robot contents for young childre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로봇은 살아 있을까?

        현은자(Eun Ja Hyun),손수련(Soo Ryun Son)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a teacher assistant robot, IrobiQ. in a kindergarten classro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6-year-olds attending to G kindergarten located in E city, Korea, where the teacher assistant robot had been in operation since Oct. 2008. Each child responded to questions assessing the child`s perceptions of IrobiQ`s identity regarding four domains: it`s biolog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identity. Some questions asked the child to affirm or deny som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robot and the other questions asked the reasons for the answer giv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majority of children considered an IrobiQ not as a biological entity, but as a machine, they thought it could have an emotion and be their playmat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wo folds: firstly, they force u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ontological categories regarding intelligent service robots to understand human-robot interaction and secondly, they open up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sign of teacher assistant robots for use with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