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스로를 저성취로 평가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국어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만족 방해요인

        허유성(Heo, Yu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성취수준에 따라 3집단으로 구분한 후 그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방해요인을 탐색하여 그 상대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학업 및 학교생활만족을 방해하는 요인을 자유기술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도출된 10가지 주요 방해요인을 바탕으로 저성취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방해요인 간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9월 중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11월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과 ‘과다한 취미 활동’,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유의미한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방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 ‘이해할 수 없는 수업’, ‘개별화되지 않은 교육’, ‘아버지의 부정적 태도’가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수업 분위기’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hindranc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low achieving students placed in academic high schools. At the preliminary study, we analyzed the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with 82 10th grad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open-ended responses. At the main study, a total of 397 low achieving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such as 10 key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low-low’, ‘low-middle’, and ‘low-high’.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too much time on hobbies’ were found as the critical hindrance variable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language arts. In school satisfaction,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lack of individualized learning’, ‘fathers’ negative attitudes’ were found as the negatively critical hindrance factors. On the contrary, ‘negative class climates’ was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 KCI등재

        저성취 학생의 성격강점 특성 및 유형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허유성(Heo, Yu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고성취 학생과 비교를 통해 저성취 학생의 성격강점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저성취 집단 내 성격강점에 따라 하위 유형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주요 변인들(학습활동, 또래관계, 교사·학생 관계, 성적, 자기조절학습)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성취 학생이 226명, 고성취 학생이 234명이다. 성격강점은 6개 영역, 24개 구성요소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t-검정,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계층적 군집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6개 영역 중 2개 영역(지성, 절제)과 24개 구성요소 중 10개에서 고성취 학생과 저성취 학생 간에 차이를 보였다. 모두 저성취 학생의 평균이 낮았다. 한편, 진실성, 겸손, 감사, 영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저성취 학생의 평균이 오히려 높았다. 성격강점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저성취 학생을 유형화하면 약 8%에 해당하는 보다 긍정적 성격강점을 지닌 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할 결과, 저성취 학생은 또래관계의 영향력이 컸고, 성격강점 중 신중함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성취 학생에게서는 학습활동의 영향력이 정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성격강점에서는 유머감각과 신중함이 정적으로, 학구열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low-achieving student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strength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relativ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6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several questionnaires. 226 students were low-achieving students and 234 were high- achieving students. The character strength was consisted of 6 areas and 24 sub-factor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learning activities, peer relations, teacher-student relations, achievement level,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level were employed as criteria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results, 2 of 6 areas(wisdom and temperance) and 10 of 24 sub-factors were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means of high-achieving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achievi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honesty, humility, gratitude, and spirituality were higher in low-achieving students although they we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sub-groups in low-achieving students about 8% showing more positive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lative effect analysis, prudence and peer rela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in low-achievi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learning activities, humor, and prud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but the love of learning was negatively significant

      • KCI등재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허유성 ( Yusung Heo ),박윤 ( Youn Park ),장은미 ( Eunmee Jang ),최은순 ( Eunsoon Choi ),양안숙 ( Annsook Yang ),김태강 ( Taega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집단 실험ㆍ준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적 연구에 대한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장애 관련 연구의 경우 우선 집단 실험ㆍ준실험 연구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거기반 교수법을 강조하는 현 상황에서 보면 보다 많은 실험ㆍ준실험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둘째, 학습장애 정의에 대한 명료화와 이에 대한 근거 제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에서 반복 연구가 가능해야 함을 고려해보면 대상자 기술의 풍부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선배치를 활용한 연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추후 국가 및 연구기관의 지원을 높여 학습장애 연구의 규모를 확장하여 보다 강한 증거가 가능한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실험 집단의 정보는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충실히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충실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비교집단에 대한 기술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중재수행자에 대한 정보, 연구 도구, 자료 수집 및 분석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학습장애 실험ㆍ준실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공하고, 또한 보다 강한 증거기반 교수법을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st 10-year group experimental or quasi-experimental studies for student with L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es were limited in numbers considering the current import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did not provide clear definition of LD with reliable references. It makes hard to replicate the studies. Third, they did not provide enough data for the participants that enable future replication studies. Fourth, the studies that employed random assignment were limited in numbers. It indicated that more large scale of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Fifth, they provided relatively detail information on the interventions of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descriptions of comparison groups were not enough to replicate them. In addition, many studies skipped the reports on implementation fidelity. This study included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implementers, measurement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 실태 및 발전방향 탐색

        허유성 ( Yusung Heo ),김정연 ( Jeongyou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등 법적, 제도적 개선 결과로 장애인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늘어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인간대상 연구윤리를 어떻게 공론화하여 제도화하고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특수교육 공동체 내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한 연구 참여자를 주 대상으로 하는 특수교육 분야의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관련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 석·박사 과정, 국내 특수교육 관련 기관의 연구원,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연구윤리 실태, 지식 및 인식 수준,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해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인식을 물어보는 문항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구체적 경험이나 지식을 물어보는 문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해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개선 노력보다는 개인적, 사회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특수교육 분야 인간대상 연구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특수교육 전문가 단체에서 인간대상 연구윤리 원칙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문가 집단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생들은 특수교육 학과에서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영역이 다른 어떤 학문 분야보다 인간대상 연구윤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수행하였지만 국내 어떤 인문·사회분야도 인간대상 연구윤리에 대한 준비와 실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간 대상 연구윤리가 특수교육만의 문제로 보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Curr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increased after passing several significant laws and policies. Consequently, researches on people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lated persons also were expanded.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earches and dialogues on research ethics, in particular protecting participan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although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critically vulnerable research participants in self- decision on research participation. This study tried to analyze current situations, perceptions, and future efforts in research ethics in special education with current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into four. First, there were discrepancy between general awareness and more detail knowledge about research ethic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many participants in this study emphasized improving individual and social awareness rather than establishing laws and system including training graduate students as well institutionalizing IRB. Third, participants favored more inactive ways in approaching research ethic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researchers in perceiving effective future ways of enhancing research ethics in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관련 법률 지식 및 현장 적용 수준이 장애학생 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도현(Do-hyun Yun),허유성(Yusung He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지원을 위해 필요한 법률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식수준, 현장 업무 활용 수준, 법률 습득 경험과 현황, 그리고 법률 활용 효능감 및 장애학생 지원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8개의 장애인 관련 법률을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5개 영역에서 교육 현장에 필요한 법률 세부 조항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총 104명의 특수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장애학생 관련 법률의 지식수준에서는 권리보장, 교육보장, 복지서비스 영역의 점수가 70점대 후반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거 및 소득보장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법률의 현장 업무 활용도는 평균 3.16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서비스 영역이 가장 높았다.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약 93% 이상의 특수교사가 장애학생 관련 법률에 관한 추가 지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관련 법률에 대한 지식수준이 활용 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학생 지원 효능감에는 관련 법률 활용 효능감과 관련 법률 지식수준, 그리고 교직 경력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knowledg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law required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evel of field work utilization, the experience and current status of law acquisition, and the efficacy of law application and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8 laws related to the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5 areas. In five area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based on the detailed provisions of the law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field. A total of 1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first, in the knowledge level of the law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cores in the areas of rights guarantee, education guarantee, and welfare service were high in the late 70s, and the housing and income security areas were the lowest. Second, the average use of field work in the law was 3.16, and the welfare service area was the highes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teacher's background. Third, more than 93% of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needed additional knowledge about the law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laws rela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law application. Fifth, on the efficacy of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efficacy of using the relevant laws,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related laws, and the teach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송민애(Min-ae Song),허유성(Yusung He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교육에서 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 활용 프로그램의 특성, 중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2~2021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3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대상의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양적 측면에서 제한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프로그램을 보면, 모바일러닝과 지능적 첨단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내용은 학습태도, 읽기 이해, 철자 쓰기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교수·학습 방법은 명시적 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종속변인은 학습태도 및 동기와 읽기, 수학에 관한 것이 많았다. 논의에서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intervention effects by analyz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total of 33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2012-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key results, first, technology related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progressing steadily, but it was found to be limited in terms of quantity. Experimental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were the most frequent. Second, looking at the programs, mobile learning and intelligent cutting-edge learning were the most common, and learning attitude,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were relatively common in educational content.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ratio of explicit teaching was the highest. Third,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s, and most of them have positive effects.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s for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uman Resources Opportunity Index (HROI)

        나일주(Rha Ilju),허유성(Heo Yusung),이예경(Lee Yekyung),홍영일(Young-il Ho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With increased exchange of human resources (HR) among countries, there has emerged an urgent need to identify the quality of HR in each country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from a global perspective. Developing an index which can be used both as a tool to identify the quality of HR at a national level and to make cross‐national comparisons would be an effective way to address this need.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a nation‘s current state of the quality of its HR, the index should cover not only intellectual abilities of its HR but also their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s and values, and other aspects. At the same time, the index should reflect features of today’s globalized labor environment to promote cross‐national comparisons.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meet global needs for such an index.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comprises the development of an index which can assess the quality of a nation’s HR from a global perspective and the second part applies the index in measuring the quality of HR in 55 nations in pursuit of cross‐national comparisons. The index is named as the Human Resource Opportunity Index (HROI). To develop the index, well‐established existing indexes including the Digital Opportunity Index, the Growth Competitiveness Index, the Human Development Index, an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Index were extensively analyzed with regard to conceptual frameworks, specific measurement indicators and development procedures. Based on the analysis, HROI indicators were creat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raining. The revised HROI indicators were then sent to a group of researchers in the HR field for confirmation. As a result, nine indicators in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is index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HR opportunities of 55 nations. Quantitative data on the indicators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ocuments of sever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s and used to calculate the HROI of 55 countries. Using these HROI indice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index scor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index.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overall productivity were the most influential indicators for HROI values. The concurrent validity was secured by the high correlations between HROI and other indices; GCI(.78), HDI(.80), and WCYI(.80). It is concluded that the HROI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a nation's quality of HR.

      • KCI등재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지원요구

        이수림 ( Lee Surim ),허유성 ( Heo Yusung ),김정연 ( Kim Jeongyo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 운영실태, 그리고 교사들인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개선을 위한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35개 병원학교 중 23 병원학교 담당교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운영 취지의 이해와 운영 지침의 반영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병원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목표로 치료, 학교복귀, 개인관리 및 적응을 중요하게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 내용 편성 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학교와 지역사회의 여건을 상대적으로 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한다는 점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가장 중요한 교육성과로 인식하였다.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과 자료 개발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주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implementation state, and their support needs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hospital schools. For this, 23 teachers from 23 out of the 35 hospit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wareness level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hospital school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reflection of operating guidelines was relatively low.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medical treatment, return to schools personal management, and adaptation were important for the goal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hospital schools. Third, students' needs and parents' needs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response to considering the school and community conditions was low. Fourth, in terms of performanc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e rate of respondents that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students was high. Fifth, it was found that the most urgent needs to develop programs and materials related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that can be used when operating creative experiences. In discussion,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육관,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및 상호협력관계에 대한 인식 비교

        정은희 ( Jeong,Eun Hee ),허유성 ( Yusung He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최근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통합교육이 확대되면서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가 늘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중요한 요소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육관에 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교육관과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상호협력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53명, 일반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전반적인 교육관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객관주의적 성향이 강하였다. 둘째,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인식을 보여주었다 즉,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수법, 연습 및 반복수업을, 일반교사는 강의식교수법, 문제해결학습을 가장 효과적이고 가장 필요한 교수법이라고 하였으며, 덜 필요한 교수법은 이와 반대로 특수교사는 강의식 수업을, 일반교사는 연습 및 반복 학습 등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서로 다른 교육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상호협력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일반교사들이 특수교육학 학습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교원양성과정과 교원연수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였다. Currently as inclusive classes increased, researchers emphasized effective collaborations and team works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olve many problems that they faced in inclusive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differentl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knowledge, curriculum, purpose of learning, teachers and students’ roles, content knowledge, effec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 total of 104 teachers including 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51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a survey that researchers developed.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in their overall educational paradigm favoring objectivist approach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condar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paradigm except teachers and students’ roles. In addition, their perceptions on effective, necessary, unnecessary instructional practices were different. Fortunately, the two groups showed positive levels of mutual understandings.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nd in-service trai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학습동기의 차이

        김민성(Kim, Minseong),신택수(Tacksoo Shin),허유성(Yusung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전환 시기 교사-학생관계 내에 구분되는 유형의 존재여부와 학년에 따른 유형 간 이동양상, 교사-학생관계 유형에 미치는 성별, 고교유형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학생관계의 유형에 따라 학습동기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교육종단조사2005 3-5차년도(2007-2009년도) 연구에 참여한 5,347명 학생의 중3-고2시기 종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세 개의 구분되는 교사-학생관계 유형(상위, 중간, 하위집단)을 확인하였고, 대부분 학생이 ‘보통’ 수준의 중간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생관계 유형 간 이동은 중3-고1 시기 하위집단이 중간집단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중간집단이나 상위집단의 경우 계속 동일한 집단에 머무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고1-고2 시기는 상위집단에서 중간집단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이전 시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학생관계 유형에 미치는 성별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교유형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였다. 교사-학생관계의 유형에 따라 상위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학습동기에서 더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의 교사-학생관계의 개선과 고등학교 진학 시기 긍정적인 교사-학생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의 교육적 조치와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t cluste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inter-cluster movement, and the effect of gender and high school track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uring transitions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data of 5,347 students from 9th to 11th grade, there were three cluste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uch as ‘high’, ‘middle’ and ‘low’ level groups. Most students belonged to the middle level group. The movement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usters was made in a positive direction from low level to middle level group between 9th and 10th grade. However, from 10th to 11th grade, the movement from high to middle level groups were higher than before, indicating a more negative direction. The effects of high school track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usters were significant. The high level group showed more adaptive motivational orientation to learn than other groups. The findings showed the needs of school-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o foster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hen students starts high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