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대면 수업의 상상 세계

        홍영일 ( Hong Young 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 교육 환경의 디지털화를 앞당겼다. 특히 교실에서 일어나는 대면 수업처럼 쌍방향으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화상수업은 교수실재감을 높여줌으로써 교실에서와 같은 소통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실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장점들이 확인되면서 이제 새로운 모임 문화를 형성해가고 있다. 비대면 요가 수업에서는 참가자들이 옆 사람 눈치를 안봐도 되므로 자신의 자세에 더 몰입할 수 있다. 비대면 등산 수업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면서 따로 또 같이 등산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비대면 토론 수업에서는 화상과 채팅을 동시에 활용하며 모든 참가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의견을 쏟아내면서 활발한 소통과 토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비대면 수업의 경험들이 쌓이면서 서로 공유하는 모임도 활성화되면서 많은 교육자들이 자신감도 회복해나가고 있다. 향후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전면 등교 수업이 진행되더라도 이미 경험하여 장점을 맛본 비대면 수업의 요소들은 그대로 활용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video classes, which allow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such as face-to-face classes in classrooms, are now forming a new gathering culture as they are not only capable of communicating in classrooms but also have 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classrooms by enhancing teaching presence. In non-face-to-face yoga class, participants don’t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erson next to them, so they can be more immersed in their posture. In non-face-to-face hiking class, participants can enjoy the effect of hiking separately and together while keeping Social Distancing. In the non-face-to-face debate class, video and chat were used at the same time, and all participants poured out opinions simultaneously, showing that active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ere possible. As the experiences of these non-face-to-face classes accumulate, meetings that share with each other are also being activated, and many educators are also recovering their confidence. In the future,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held in the With Corona era, the elements of non-face-to-face instruction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nd tasted advanta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y are.

      • KCI등재

        유머광고의 크리에이티브 표현과 제품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홍영일 ( Young Il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유머를 활용하여 이성/감성의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와 비주얼/카피의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를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엄격한 사전조사 과정을 거친 후에 본 조사를 실시하여, 확장된 형태의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무적 차원에서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유머를 활용한 이성제품(승용차)의 광고태도는 카피중심의 인쇄광고와 비주얼중심의 인쇄광고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브랜드태도에 있어서 카피중심의 인쇄광고가 비주얼중심의 인쇄광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승용차, 가구, 주택 등과 같은 이성제품의 인쇄 유머광고를 제작함에 있어서, 카피중심의 광고가 비주얼중심의 광고보다 브랜드태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유머를 활용한 감성제품(고급시계)에 있어서 카피중심의 인쇄광고가 비주얼중심의 인쇄광고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급시계, 화장품, 보석 등과 같은 감성제품의 인쇄광고를 실무차원에서 제작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카피중심의 광고가 비주얼중심의 광고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를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유머광고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는 상호작용효과가 없었으나, 유머광고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의 브랜드태도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쇄 유머광고의 제작에 있어서 변인에 따라 더욱 정교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요구됨을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consumer attitude according to rational/emotional product types using humor, and that according to visual/copy representation types on the basis of printed advertising. In particular,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strict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llowed by the main research to draw meaningful results in practice together with expanded theoretical background. As a result, the advertising attitude of rational products(car) using humor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py based printed advertising and visual focused printed advertising, but copy based printed advertisement had higher effect than visual focused printed advertising in terms of brand attitude. It demonstrates that copy focused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than visual based advertising in developing brand attitude in terms of printed humor advertising of rational products such as car, furniture and house. And, as to the advertising attitude of emotional products(luxury watch) using humor, copy based printed advertising had higher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attitude than visual based printed advertising. It demonstrates that copy focused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than visual based advertising in developing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attitude in terms of producing and implementing emotional products such as luxury watch, cosmetics and jewelry. Meanwhile, while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humor advertising product types and representation types, brand attitude had interaction effects. It means more detailed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is required by variables in the production of printed humor advertising.

      • KCI우수등재

        DRFM 적용을 위한 고속 능동 대역선택 RF 수신기 설계

        영일(Young-Il Jeon),성기민(Ki-Min Sung),상근(Sang-Geun Hong),나인석(In-Seok Na) 대한전자공학회 201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6 No.8

        본 논문에서는 DRFM 적용을 위한 고속 능동 대역선택 RF 수신기의 설계방안 및 측정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구현된 RF 수신기는 광대역 수신부, 협대역 수신부와 각 하부 모듈로 고속 능동 대역선택부로 구성된다. 광대역 수신부는 C-Ku 대역 수신 신호에 대해 하향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협대역 수신부는 디지털부가 순시 처리 가능한 S-C 대역폭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DRFM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대역, 협대역 검출부는 입력 펄스 신호의 채널 정보를 빠르게 획득하여 DRFM에 제공하며 동시에 수신대역 채널화 필터의 스위치를 제어한다. 제작된 고속 능동 대역선택 수신기의 측정을 통해 RF 입력 신호부터 디지털 부 전달까지 전파 지연시간은 최대 114 ㎱의 결과를 얻었다. 이는 매우 짧은 펄스폭의 레이다 신호가 운용주파수 내로 입력되더라도 펄스를 DRFM에 저장 할 수 있기 때문에 DRFM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design method and measurement result of high speed active band selection RF receiver for DRFM application are described. The implemented RF receiver consists of a broadband receiver and a narrowband receiver and high-speed band selection module. The broadband receiver comprises an up-down conversion function and a high-speed active band detection function for the C-Ku band reception signal. and the narrowband receiver converts the signal to a bandwidth capable of instantaneous processing by the digital par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DRFM. The wideband and narrowband detection part quickly obtains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input pulse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DRFM while controlling the switch of the reception band channelization filter. The propagation delay time from the RF input signal to the digital subcarrier was measured to be 114 ㎱ maximum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constructed high speed active band select receiver. This confirms that DRFM can be applied because a pulse can be stored in the DRFM even if a radar signal with a very short ns pulse width is input into the operating frequency.

      • KCI등재

        FCB Grid 모델에 따른 모바일 배너광고의 유머소구 효과 연구

        홍영일 ( Hong Young I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2019년 모바일 광고시장은 전년에 비해 17.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5조 원을 돌파했다. 광고주들은 앞으로도 모바일 광고가 시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국내의 학문적 접근은 아직도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머소구를 통해 4가지 제품유형과 표현유형(비주얼, 카피), 그리고 소비자태도(광고태도, 클릭의도, 브랜드이미지)를 포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매체는 네이버 모바일 메인화면의 모바일 스페셜DA를 활용하였으며, 피험자들의 혼동효과(Confusing Effects)를 고려하여 가상의 브랜드명 ‘신비론(고관여-이성제품, 카메라), 미인도(고관여-감성제품, 고급 화장품), 세프랩(저관여-이성제품, 주방용 랩), 슬림쿨(저관여-감성제품, 다이어트 음료)’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제품유형과 표현유형에 따른 소비자태도에서 고관여-이성제품(카메라)의 광고태도를 살펴보면,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이 광고태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감성제품(고급화장품)의 클릭의도 역시 비주얼중심 광고보다 카피중심 광고에 노출된 집단의 클릭의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저관여-이성제품(주방용 랩)과 저관여-감성제품(다이어트 음료)의 경우 광고태도와 클릭의도, 브랜드이미지를 살펴보면 비주얼중심 광고와 카피중심 광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브랜드이미지는 제품유형에 따른 표현유형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모바일 배너광고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외연 확장과 모바일광고 실무에 차별적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Mobile advertising market in 2019 broke through five trillion won for the first time, recording 17.2% growth rate comparing to last year. Advertisers are expecting that mobile advertising will be in important charge of market, but domestic scholarly approach is still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verified four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visual, copy), and consumers’ attitude(attitude towards advertising, intention of clicks, and brand image) through humor appeal. As a method of research, media utilized mobile special DA of Naver mobile main display, and took imaginary brand name of ‘Sin-bi-ron(high involvement-ration product, camera), Mi-indo(high involvement-emotion product, luxury cosmetics), Chef-rep(low involvement-ration product, kitchen plastic wrap), Slim-cool(low involvement-emotion product, diet drink)’ considering subjects’ confusing effects. As a result, examining consumers' attitude according to product type and expression type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of high involvement-ration product(camera), attitude toward advertising of exposed group to copy-focused advertising is higher than that of visual-focused advertising. And click intention of high involvement-emotion product(luxury cosmetics), turned to be higher in exposed group to copy-focused advertising than that of visual-focused advertising. However, in case of low involvement-ration product(kitchen plastic wrap) and low involvement-emotion product(diet drink), visual-focused advertising and copy-focused advertising made n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and intention of clicks. Entirely, brand image in product type showed little difference to expression typ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xpand theory of communication through mobile banner advertising, suggesting discriminative strategy in work site of mobile advertising.

      • KCI등재

        스마트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예비교사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임철일 ( Cheol Il Lim ),한형종 ( Hyeong Jong Han ),홍영일 ( Young Il Hong ),이선연 ( Sun Yeon Lee ),이은영 ( Eun Young Lee ),장수 ( Shuai Z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실제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본 교육 프로그램 모형에 대한 효과와 개선점을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최근 학교교육 맥락에서 스마트 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향후 학교교육을 운영하는 주체로서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관련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성평가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2015년 가을학기 서울 소재 ‘S’대학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효과와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설계 원칙을 도출하고 운영단계에 따라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을 위한 교수설계’, ‘마이크로 티칭’, ‘학교 현장 수업 실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예비교사’, ‘현장 교사’, ‘교육공학 및 교과교육 교수’, ‘온라인 지원 시스템’의 주체를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도출하였다. 예비교사 대상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효과 측면에서 본 모형에 포함된 스마트 교육 통합활용을 위한 수업 설계의 개념과 주요 활동은 스마트 교육을 운영하는 측면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며, 온라인 지원 시스템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기제역할을 수행하고 용이성 등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점으로는 스마트 교육 통합 활용을 위한 자료의 다양성 고려, 지원 시스템의 프로그램오류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의 개선을 위해서는 대학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통해 보다 개선점을 확인하여 최적화를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 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원칙과 지침을 제공하는 처방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educational program that improves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and integrate smart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has been raised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 able to implement smart education for the future. However, studies for smart education implemen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insufficient.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on smart education. Using a formative evaluation methodology, a model of educational program including major design principles was derived. It was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ing steps and participants. The major steps were as follows: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grating and utilizing smart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systematic micro-teaching; and teaching practice on school context. Also,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guide activities of pre-service teachers on smart education such as providing feedback. It facilitates interaction with members such as professors, pre-service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After applying a model to a course, responses of thirteen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on its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areas. The major effective strategies were as follows: ‘helping per-service teachers prepare to operate and integrate smart education on classroom teaching’, ‘providing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guidelines’, ‘the usefulness of interaction with members including feedback and data utilization by online support system’. For major improvements, offering various resources related smart education and revising the smart education support system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