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아동의 배경변인 및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연구

        김태강 ( Taegang Kim ),정은희 ( Eunhee Je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연구 참여자는 청각장애아동 151명과 건청아동 252명이다. 청각장애아동은 배경변인(성별, 학교급, 장애등급, 청각보조기기 착용 여부,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 의사소통 방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 간의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아동의성별, 학교급, 장애등급, 청각보조기기 착용여부, 의사소통 방법 간에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5세 미만에 착용한 아동이 5~10세 미만에 착용한 아동보다 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다. 둘째,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의 학교급간(초, 중, 고)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요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건청아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각보조기기 착용 시기가 빠를수록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각장애아동이 건청아동보다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계획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examined 151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252 hearing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d F-test with diverse background variables, which was based o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ata. Also, t-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151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252 hearing children in the group of the school grades(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s a result, first, no difference was found in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gender, school grades,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way of communication practice and whether or not they use auditory assist device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time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start using auditory assist devices among the groups: the sooner children use auditory assist devices, the better the result comes in communication-related life qua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hearing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school grades.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emonstrated lower score than hearing-children in all configuration factors and total score. Based on the results above, I hope this study can be useful to develop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허유성 ( Yusung Heo ),박윤 ( Youn Park ),장은미 ( Eunmee Jang ),최은순 ( Eunsoon Choi ),양안숙 ( Annsook Yang ),김태강 ( Taega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집단 실험ㆍ준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적 연구에 대한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장애 관련 연구의 경우 우선 집단 실험ㆍ준실험 연구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거기반 교수법을 강조하는 현 상황에서 보면 보다 많은 실험ㆍ준실험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둘째, 학습장애 정의에 대한 명료화와 이에 대한 근거 제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정보 제공에서 반복 연구가 가능해야 함을 고려해보면 대상자 기술의 풍부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선배치를 활용한 연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추후 국가 및 연구기관의 지원을 높여 학습장애 연구의 규모를 확장하여 보다 강한 증거가 가능한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실험 집단의 정보는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충실히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충실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비교집단에 대한 기술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중재수행자에 대한 정보, 연구 도구, 자료 수집 및 분석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학습장애 실험ㆍ준실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공하고, 또한 보다 강한 증거기반 교수법을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st 10-year group experimental or quasi-experimental studies for student with L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es were limited in numbers considering the current import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did not provide clear definition of LD with reliable references. It makes hard to replicate the studies. Third, they did not provide enough data for the participants that enable future replication studies. Fourth, the studies that employed random assignment were limited in numbers. It indicated that more large scale of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Fifth, they provided relatively detail information on the interventions of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descriptions of comparison groups were not enough to replicate them. In addition, many studies skipped the reports on implementation fidelity. This study included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implementers, measurement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