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정(槐亭)의 잔존 수종을 통해 본 괴목(槐木) 식재의 문화변용

        노재현,한상엽,최승희,Rho, Jae-Hyun,Han, Sang-Yub,Choe, Seung-Heuy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괴(槐)'를 전부지명소로 하는 괴정(槐亭)과 그 주변에 잔존하는 괴목(槐木)에 대한 문헌 및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 등을 통해 실제 괴정에 존재했던 수목 등을 파악함으로써, 회화나무와 느티나무의 문화변용(文化變容) 실태와 그 변용을 이끈 요인과 사유방식을 추적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괴정의 분포와 형태 그리고 정자 명칭과 조영자와의 관련성 등을 확인하는 한편 괴정에 내포된 의미 분석을 시도하였다. 핵심적으로 괴정 주변의 잔존 수종과는 관련 없이 괴목 식재의 표상성을 지배하는 수목은 지역에 관계없이 회화나무인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는 회화나무 문화가 느티나무로 완전히 변용되지 못하고 수용된 내면적 요인으로 간주된다. 괴정 조영자의 아호나 당호 등을 근거로 판단할 때 '삼괴' 또는 '삼공'을 표상하는 수종이 회화나무였음은 조선시대 전(全) 시대에 걸쳐 인식되었으나 지역 및 식재지 여건에 따라 선별적으로 느티나무가 회화나무를 대신하여 변용 식재되었을 확률이 매우 높음이 확인되었다. 괴정에 잔존하는 괴목은 느티나무와 회화나무였으나 전국적으로 괴목을 표상하는 나무는 느티나무가 우월한 점이 밝혀졌다. 이는 일종의 문화변용의 사례로 간주할 수 있으나 그렇다고 지역적으로 완전한 문화변용이 이루어진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남권에서는 비영남권과 달리 화화나무를 괴목으로 의식한 정황이 확연히 드러난 것이 이를 반증한다. 괴목의 문화변용을 이끈 문화적 변수로는 중국과 한국이라는 지리적 공간, 조선사회의 유교적 관행 그리고 왕래 및 서신교류, 서적 전파를 통한 중국과의 네트워크 강도 등이 깊이 개재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괴목 문화는 전 계층이 아닌 상류계층의 문화관습으로 이어져 온 것으로 추정되는바 영남권에서는 괴목을 훼나무 즉 회화나무로 인식하고자 행동화 하는 독자적 적응이 매우 강하게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영남과 비영남지역이라는 문화권역의 차이 또한 괴목 식재의 내부적 문화변동 요인으로 간주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eople in Korea recognize the cultural symbolism and the planting patterns of 'Guǐmok', pagoda tree(Sophora japonica). The species planted in the 'Guǐjeong' was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ich species of pagoda tree or Zelkova tree(Zelkova serrata) was taken through literature survey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ersons. This 'Guǐjeong' was combined to track how the culture of the 'Guǐmok' planting introduced in China was ultimately accepted and transformed in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implicit in the mystery while checking the distribution of the mystery and the form of the mystery, the name of the pavilion and its relevance to the contrast medium. Essentially, the trees that gover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nectar plant, regardless of the region, are considered to be a pagoda tree, which is considered an internal factor in which the pagoda tree culture was not completely transformed into a zelkova tree. It was recogniz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at the species representing 'Prime ministers(三公)' was judged from all the Joseon Dynasty periods, based on the builder of Guǐjeong's Aho(雅號) and Dangho(堂號).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e was very likely to be planted in place of the painting tree. But now is selectively zelkova tree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ation of planting site conditions and areas on behalf of the Change is very high probability that is planted. Cultural variables that led to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the 'Guǐmok' seem to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the geographical space of China and Korea, Confucian practices of the Choson society, comings and goings and letter bridge, and network strength with China through the book spread. In addition, the culture of 'Guǐmok' is presumed to have led to cultural custom of the upper class, not the whole class, in the Yeongnam region, it can be said that the independent adaptation to act to recognize 'Guǐmok' as a pagoda tree, that is a Sophora japonica, has occurred very strong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areas of Yeongnam and non-Yeongnam is also considered to be an internal factor tha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planting of 'Guǐmok'.

      • KCI등재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노재현,신병철,한상엽,Rho, Jae-Hyun,Shin, Byung-Chul,Han, Sang-Yub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3

        "탐라십경도"와 "탐라순력도"에 표현된 경관내용과 그 의미를 파악하여 현재 제주의 대표적 전통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영주십이경과의 관령성 및 변천과정을 밝힘으로써 제주 승경의 정체성과 전통을 조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 집경(集景)의 시원이 되는 탐라십경 중 백록담과 영실은 제주 신화 형성의 장(場)이자 상징체이며 해안에 포진된 조천진, 서귀진, 명월진은 강역 사수의 요충이로서 역사문화성을 함축한다. 그리고 성산 일출봉과 산방산, 취병담, 천제연폭포는 자금도 대표적인 제주 경승이자 영주십이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탐라순력도에서 보이는 제주마를 비롯 감귤 진상과 관련된 5장의 봉진 그림 속에 담겨진 '방어'와 '조정 진상'은 정치적 색채가 강한 제주 풍물경관이다. 특히 '고원방고'나 '귤림풍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귤림을 배경으로 한 풍류'나 '산장구마'나 '교래대협' 등에서 볼 수 있는 '방목된 제주마와 수렵생활' 등은 제주 고유의 풍물상으로 꾸준히 전승되었다. 탐라십경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영주십이경은 이형상목사의 순력회랑에서 벗어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한다면 '성산일출'의 성산, '백록만설'의 백록담, '영실기암'의 영곡, '산방굴사'의 산방, '용연야범'의 취병담 그리고 '서진노성'의 서귀소 등 총 6개 경승이다. 그밖에 탐라순력도의 '우도점마'와 '산장구마' 등을 통해 영주십이경의 제 10경인 '고수목마'의 경관이미지가 고스란히 표현되고 있다. 또한, 탐라십경의 10개 경승은 순력회랑에서 배제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하고는 모두 탐라순력도에 직간접적으로 집중 조명되고 있다.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에서 공히 강조되고 있는 공간 및 장소 그리고 경물은 제주의 위정자 등 선인들에 의해 꾸준히 전승되는 가운데 첨삭과정(添削過程)을 거쳐 오늘의 영주십이경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주십이경은 제주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탐구와 향토애에 대한 시적 표현을 빌려 오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유산경관이자 전통경관이 아닐 수 없다.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famous sceneries of Jeju Islan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oung Ju-Sipikyung(瀛州十二景)',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beautiful scenes of Jeju Island, and two paintings 'T'amna-Sipkyungtdo(耽羅十景圖)' and 'T'amna-Sullyokto(耽羅巡歷圖)' by a grasp of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se two painting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T'amna-Sipkyung', which is the origin of today's 12 beautiful sceneries of Jeju Island, Baekrokdam and Youngsil are both symbolic places and the backdrops against which Jeju's myths were formed. Jocheonjin, Seogwijin and Myoungwoljin, located near the seashores, are strategic footholds in protecting the territory of the island and connotatively contain its culture and history. Seongsan Ilchulbong, Sanbangsan, Chwibyeongdam and Cheonjeyeon Pokpo are not only the quintessentially beautiful scenes of Jeju but also belong to 'YeoungJu-Sipikyung'. And 'T'amna-Sullyokto', which describes the Jeju horses and tangerine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as tribute, offers scenic elements with a strong political tone and is related to the five scene of 'T'amna-Sullyokto', showing that 'defense' and 'tribute' are motives in choosing the sceneries of people's daily lives here. Jeju's daily scenes in particular have been continuously transmitted: 'Idyllic lives with the background of a tangerine orchard' are shown in 'Kowon Panggo' and 'Kyullim P'ungak', and Jeju horses grazing on pastures or being ridden in hunting trips are presented in 'Sanjang Kuma' and 'Kyorae Taeryop'.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巡歷) corridor of minister Lee Hyoungsang, 'Yeoung Ju-Sipikyung', directly related to 'T'amna-Sipkyung', has six beautiful sceneries: Seongsan of Seongsan Ilchulbong, Baekrokdam of Baekrokmanseol, Younggok of Youngsilgiam, Sanbang of Sanbanggulsa Chwibyeongdam of Yongyeonyabeom and Seogwiso of Seojinnoseong. The image of 'Gosumokma', the tenth landscape of 'Yeoung Ju-Sipikyung', was expressed as it is, through 'Udojeomma' and 'Sanjangguma'. The ten beautiful sceneries of 'T'amna-Sipkyung' were also especially described in 'T'amna-Sullyokto',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 corridor. As the places and landscapes emphasized on 'T'amna-Sipkyungto' and 'T'amna-Sullyokto' in common have been transmitted by the politicians and ancestors of Jeju Island, they have become established as today's 'Yeoung Ju-Sipikyung', passing through correction processes. When considering this process of development, 'Yeoung Ju-Sipikyung' are worthy of heritage and traditional landscapes accomplished in a long difficult period based on investigation into beautiful Jeju Island and the love of the island people for their home.

      • KCI등재
      • KCI등재

        복원 사업에 따른 마을 비보숲 모니터링 -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두방 마을을 사례로-

        박재철 ( Jae Chul Park ),한상엽 ( Sang Yub Ha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0 농촌계획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monitoring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according to restoration project. Accordingly, this study was accomplished in case of Dubang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in Wanju-gun which was indicated as beautiful village forest by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restoration project and identifies the change of species diversity and succession through monitoring. For this, vegetational survey was performed in 2003 and 2010. D(Dominant degree) and S(Sociability degree) was measured by Brown-Blanquet`s method. The results demonstrate significant increase of species diversity and progress of natural succession. It means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have improved. Also ecological disturbance appears here and there on account of insufficient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곡성 동악산 청류구곡(淸流九曲)의 형태 및 의미론적 특성

        노재현 ( Jae Hyun Rho ),신상섭 ( Sang Sup Shin ),허준 ( Joon Huh ),이정한 ( Jung Han Lee ),한상엽 ( Sang Yub H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4

        동악산 청류구곡 일원은 아름다운 계류를 따라 와폭(臥瀑)과 담(潭), 소(沼), 대(臺) 등의 암반경관과 성리문화의 전형으로 향유되어온 구곡문화가 실증적으로 대입된 사례로, 1872년 곡성현 지방도에서 삼남제일암반계류 청류동(三南第一巖盤溪流淸流洞)으로 명기된 바와 같이 풍치가 탁월한 승경처임을 보여준다. 경물(景物)과 경구(警句)가 육로와 수로에 쌍으로 설정되어 차별성을 갖는 청류구곡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이전, 정순태와 조병순의 주도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지만 성리학자들은 물론 불교지도자, 독립운동가 등 선현들의 장구처 등이 다수 발견되는 것으로 볼 때 오래전부터 명인(名人)들의 산수탐방과은일처로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림사계곡의 기반암 암상에 구성된 청류구곡은 산지형 하천으로 총 길이 약 1.2㎞, 평균 곡거리 149m로 국내 여타 구곡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지역에서 유일하게 확증된 동악산 3개 구곡의 바위글씨는 총 165건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바위글씨의 집결지로 판단된다. 특히 112개소로 집계된 청류구곡 바위글씨의 내용 분석결과, ``수신(修身)``의 의미가 49점(43.8%)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명`` 21건(18.8%), ``경물`` 16건(14.2%), 장구처(杖□處)등 장구지소`` 12건(10.6%) 등이었고 ``시구(詩句)``가 차지하는 비율은 6건(3.6%)으로 나타났다. 육로상의 제1곡 쇄연문과 수로상의 제9곡 제시인간별유천(除是人間別有天)은 박세화(朴世和)가 충북 제천에 설정한 용하구곡(用夏九曲)의 제1곡 홍단연쇄(虹斷烟鎖) 및 제9곡 제시인간별유천과 일치하는 것으로 동일한 시원(始原)을 갖는 구곡명으로 유추된다. 또한 육로상 제6곡 대은병(大隱屛)은 주자 무이구곡의 제7곡과 일치하는 것으로 구곡원림의 거점으로 인식되며, 7곡과 8곡 사이의 ``암서재(巖棲齋)``와 ``포경재(抱經齋)`` 바위글씨와 석축 흔적 등은 무이구곡 은병봉 아래 무이정사와 비견되는 것으로, 기호사림의 청류동 활동거점으로 파악된다. 선사어제(鮮史御帝), 보가효우(保家孝友, 고종), 사무사(思無邪, 명나라 의종), 백세청풍(百世淸風, 주자), 청류수석 동악풍경(흥선 대원군) 등 명인들의 명구들이 망라된 동악산 구곡은 높은 유가미학적 가치를 표출함은 물론 의미론적 상징문화경관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청류구곡은 수심양성을 위한 유가적 가치체계와 불교 및 도교적 관념 등이 공존하는 유불선(儒彿仙)3교 문화경관의 결집체로 특성이 부각된다. 청류구곡은 최익현(崔益鉉), 전우(田愚), 기우만(奇宇萬), 송병선(宋秉璿), 황현(黃玹) 등으로 대변되는 조선 후기 사림계층이 성리학의 도통의식을 계승하고 ``위정척사``와 ``존왕양이(尊王攘夷)``, ``항일의지 고취`` 등의 수단으로 설정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배태(胚胎)된 항일 역사문화 항쟁의 거점으로서 장소성과 의미론적 특성에 충일하다.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emantic value and the layout of the Cheongryu Gugok of Dorimsa Valley, which exhibit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and scenic preservation value among the three gugoks distributed in the area around Mt. Dongak of Gogseong is as follows.4) The area around Cheongryu Gugok shows a case where the gugok culture, which has been enjoyed as a model of the Neo-Confucianism culture and bedrock scenery, such as waterfall, riverside, pond, and flatland, following the beautiful valley, has been actually substituted, and is an outstanding scenery site as stated in a local map of Gokseong-hyeon in 1872 as Samnam Jeil Amban Gyeryu Cheongryu-dong(三南第一巖盤溪流淸流洞: Cheongryu-dong, the best rock mooring in the Samnam area). Cheongryu Gugok, which is differentiated through the seasonal scenery and epigrams established on both land route and waterway, was probably established by the lead of Sun-tae Jeong(丁舜泰, ?~1916) and Byeong-sun Cho(曺秉順, 1876~1921) before 1916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However, based on the fact that a number of Janggugiso(杖구之所) of ancient sages, such as political activists, Buddhist leaders, and Neo-Confucian scholars, have been established, it is presumed to have been utilized as a hermit site and scenery site visited by masters from long ago. Cheongryu Gugok, which is formed on the rock floor of the bed rock of Dorimsa Valley, is formed in a total length of 1.2km and average gok(曲) length of 149m on a mountain type stream, which appears to be shorter compared to other gugoks in Korea. The rock writings of the three gugoks in Mt. Dongak, such as Cheongryu Gugok, which was the only one verified in the Jeonnam area, total 165 in number,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assembly place for the highest number of rock writings in the nation. In particular, a result of analyzing the rock writings in Cheongryu Gugok totaling 112 places showed 49pieces(43.8%) with the meaning of ``moral training`` in epigram, 21pieces (18.8%) of human life, 16pieces(14.2%) of seasonal scenery, and 12pieces(10.6%) of Janggugiso such as Jangguchur(杖구處), and the ratio occupied by poem verses appeared to be six cases(3.6%). Sweyeonmun(鎖烟門), which was the first gok of land route, and Jesiinganbyeolyucheon(除是人間別有天) which was the ninth gok of the waterway, corresponds to the Hongdanyeonse(虹斷烟鎖) of the first gok and Jesiinganbyeolyucheon of the ninth gok established in Jaecheon, Chungbuk by Se-hwa Park(朴世和, 1834~1910), which is inferred to be the name of Gugok having the same origin. In addition, the Daeeunbyeong(大隱屛) of the sixth gok. of land route corresponds to the Chu Hsi`s Wuyi-Gugok of the seventh gok, which is acknowledged as the basis for Gugok Wollim, and the rock writings and stonework of ``Amseojae(巖棲齋)`` and ``Pogyeongjae(抱經齋)`` between the seventh gok and eighth gok is a trace comparable with Wuyi Jeongsa(武夷精舍) placed below Wuyi Gugok Eunbyeon-bong,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activity base of Cheongryu-dong of the Giho Sarim(畿湖士林). The rock writings in the Mt. Dongak area, including famous sayings by masters such as Sunsaeuhje(鮮史御帝, Emperor Gojong), Bogahyowoo(保家孝友, Emperor Gojong), Manchunmungywol(萬川明月, King Joengjo), Biryeobudong(非禮不動, Chongzhen Emperor of the Ming Dynasty)``, Samusa(思無邪, Euijong of the Ming Dynasty), Baksechungpwoong(百世淸風, Chu Hsi), and Chungryususuk-Dongakpungkyung(淸流水石動樂風景, Heungseon Daewongun) can be said to be a repository of semantic symbolic cultural scenery, instead of only expressing Confucian aesthetics. In addition, Cheongryu Gugok is noticeable with its feature as a cluster of cultural scenery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Buddhism-Taoism, where the Confucianism value system, Buddhist concept, and Taoist concept co-exists for mind training and cultivation. Cheongryu Gugok has a semantic feature and spatial character as a basis for history and cultural struggle for the Anti-Japan spirit that has been conceived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utilizing the spirit of the learning, loyalty for the Emperor and expulsion of barbarians, and inspiration of Anti-Japan force, by inheriting the sense of Dotong(道統) of Neo-Confucianism by the Confucian scholar class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that is represented by Ik-hyun Choi(崔益鉉, 1833∼1906), Woo Jeon(田愚, 1841∼1922), Woo-man Gi(奇宇萬, 1846∼1916), Byung-sun Song(宋秉璿, 1836∼1905), and Hyeon Hwang(黃玹, 1855∼1910).

      • KCI등재

        진안 마이산 명승구역 내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노재현 ( Rho Jae-hyun ),오현경 ( Oh Hyun-kyung ),한상엽 ( Han Sang-yub ),최영현 ( Choi Yung-hyun ),김은옥 ( Kim Eun-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2호 진안 마이산 명승 지정구역 및 일부 보호구역에 급격히 침투되어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동태에 주목하여, 마이산 고유의 식생경관을 조속히 회복하는 한편 향후 귀화식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마이봉과 숫마이봉 일원에서는 총 76과 192속 286분류군, 경내 및 시설지구에서 76과 138속 16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총 28분류군으로 이는 전체 395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7.1%의 귀화율(NR)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33분류군의 8.4%에 해당된다. 조사구역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 1분류군이었다. 마이산 명승 지정 및 보호구역 내에서 별도의 인위적 식생관리를 통해 통제하고 관리해야 할 귀화식물은 초본류의 애기수영, 돼지풀, 큰김의털 등 3개 초종이며 목본류는 큰낭아초와 아까시나무 등 2개로 총 5개종이 판별되었다. 마이산 일대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거해야할 목표종과 관리공간으로는 암마이봉 정상부로 향하는 등산로 계단 주변 큰낭아초와 큰김의털 군락과 암마이봉 정상부의 족제비싸리와 큰낭아초, 돼지풀, 가는털비름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탑사 주변 애기수영 군락은 암마이봉의 고유종 보존을 위해 우선 제거할 것을 제안하였다. 식생 회복 방안으로 암마이봉 등산로 구간 큰낭아초의 경우, 제거 후 국수나무, 산조팝나무, 병꽃나무 등으로 대체식재하고 큰김의털 또한 제거 후 그늘사초, 가는잎그늘사초, 애기감둥사초 등의 종 도입을 제안하였다.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Scenic site No.12 Maisan Mountain, Jinan’ designated areas and some protected areas, and taking into account the dynamics of naturalized plants causing problems, we will restore the original vegetation scenery of Mt. Mai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76 families, 192 genera, 286 taxa, and inland and inhabited areas, 76 and 138 genera and 163 taxa were identified in the areas of Ammaibong. The total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a is 28 taxa total, which corresponds to 7.1% naturalization rate(NR) among the vascular plants of all 395 taxa, and the urbanization index(UI) corresponds to 8.4% of the 333 taxa of Korean naturalized plants.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identified in the survey area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1 taxa. The naturalized plants controlled and managed by separate anthropogenic vegetation management within the designation and protection area of Maisan scenic place are three species of herbaceous Rumex acetosella, A. artemisiifolia and Festuca arundinacea. It was identified as a breed. Indigofera bungeana and F. arundinacea communities around the stairway and Amorpha fruticosa, I. bungeana, A. artemisiifolia and Amaranthus patulus of the top of Am-Maibong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iority sites for exclusion of exotic species in Maisan area and target naturalized plants species to the Ammaibong peak. In addition, R. acetosella community around the temple was suggested to be removed first to preserve endemic species. For the restoration of vegetation, we suggest that Stephanandra incisa, Spiraea blumei, Weigela subsessilis, etc. should be planted after removal of I. bungeana, and F. arundinacea, C. lanceolata, Carex callitrichos var. na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