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적용 및 경관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9개 마을을 대상으로-

        송희중 ( Hee Jung Song ),김대식 ( Dae Sik Kim ),도재형 ( Jae Heung Doh ),구희동 ( Hee Dong Ko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공간중심의 통합적 경관계획 수립에서 벗어나 마을경관의 특성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재 농촌마을의 경관수준을 진단하고 농촌마을 경관형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경관요소와 개선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점수화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어려워했던 정량적인 경관진단을 시도하였다. 객관적 점수화를 위해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의 점수화 방식을 참조하고 수정하거나 새로 도입하여 각 지표들의 점수화 방식을 설정하였다.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을 위해 충청북도 지역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경관형성계획을 수립했거나 수립 중에 있는 9개 마을을 선정하였는데, 비교적 경관 형성계획 수립에 적극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거북이권역(청원군), 대학찰옥수수권역(괴산군), 백마권역(괴산군), 송면권역(괴산군), 수레울권역(음성군), 상촌면(영동군), 칠성면(괴산군), 맹동면(음성군), 덕산면(진천군)으로 정하였다. 농촌마을별 현장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마을내부경관과 마을주변경관으로 나누어 진단하였다. 경관진단결과 전반적으로 권역단위 마을이 읍면소재지에 비해 평균 20%이상 경관이 우수하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권역단위 마을이 마을경관에서는 풍수적 입지의 안정감, 마을내 식생, 문화역사자원이 우수하고, 마을 주변경관에서는 농지, 마을과 인접한 녹지, 물환경자원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은 9개 마을 모두 정비 미흡과, 시설 노후, 정돈이 안 되고 산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송면권역이 가장 경관이 양호하였으며 상당히 많이 도시화 된 읍단위 마을로서는 맹동면과 덕산면의 경관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지역임에도 상촌면, 칠성면은 권역단위 마을보다도 우수한 입지와 마을식생, 역사문화 시설 자원 보유 및 유지로 높게 평가되었다. 지표별 분석결과, 마을경관 중 경관형성이 시급한 것은 기반시설, 건축물, 공공가로, 편익시설의 정비로 나타났으며, 마을 주변경관은 토지환경자원, 물환경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 결과 현재 경관 수준별 정책적 지원 판단 기준으로 살펴보면, 맹동면과 덕산면을 제외한 7개 마을은 본 연구에서 정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관수준 60%를 상회하지만 마을경관과 주변경관으로 나누어 마을경관을 보면 상촌면을 제외한 8개 마을이Ⅲ등급(60%) 이하였으며, 마을주변경관은 덕산면 1개 마을이 Ⅲ등급 이하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진단결과의 검증을 위해 실시한 각 마을별 경관 계획가 경관진단 종합점수에서는 본 연구자가 진단한 결과보다 마을 전체로는 225점(7%) 높게 평가되었으며, 권역단위마을은 평균 136점(4%), 읍면단위마을은 337점(12%) 높게 평가되었다. 마을별로는 대부분 마을이 10% 이내의 오차를 보이며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맹동면, 덕산면과 같이 도시와 농촌이 혼재돼 있는 마을은 20%이상 차이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경관진단지표에 의한 진단결과가 권역별로 심층 경관계획을 수립한 전문가에 의한 진단결과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접근하는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의 적용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농촌경관형성계획 수립 이전 농촌마을별 경관수준 진단에 따라 경관개선이 시급하고 중요도가 높은 요소를 찾아 계획을 수립하고 집중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등 다양한 정책적 접근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it propose what the landscape elements is to be improved urgently and how to improve landscape by reflecting the rural village characteristics away from the spatial integrated landscape planning. The study area for landscape research is selected as the 9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buk-do, and research is done by using village unit landscape diagnostic index(VULDI). the result is shown that average VULDI value of the rural village zones is bigger than one of the town village zones with difference of 15%. Two zones of Chilseong-myeon and Sangchon-myeon among the town village zones are appeared to be similar with the rural village zones in landscape level by VULDI value. Generally, the rural villages to maintain the good landscape have the low population and high engagement rate in agriculture. Looking political support criteria at the landscape level, the seven zones except Deoksan-myeon and Maengdong-myeon have high VULDI value more than 60%, which means that it seems un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However, when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the village inside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8 rural village zones except one zone of Sangchon-myeon have low VULDI value less than 60%, which mean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tical landscap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intensive support of ever urgent landscape improvements and high priority landscape elements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before planning of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 KCI등재

        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임상봉 ( Sang Bong 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계획수립 정책과 마을주민의 요구를 분석하여 농촌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마을재개발 주요 내용으로는 생활편의성 향상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역사문화와 같은 어메니티 자원과 경관자원 등의 보전과 활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하였다. 마을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마을재개발 계획수립 과정 및 결과에 분석을 토대로, 농촌마을재개발 계획의 특징을 파악한 후,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재개발시 국토이용계획과 농촌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토지이용 및 농촌개발 관련법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에 주거 및 취락지구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마을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계획수립 체계를 토지이용계획과 마을재개발 추진에 적합한 형태로 확립, 운영토록 한다. 넷째, 마을개발 부지 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농지교환분합 제도를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다섯째, 지역계획과 마을재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추진될 수 있도록 우선 개발 마을을 선정하고, 마을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며, 농촌취락지구와 같은 농촌토지 용도지구를 도입,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마을재개발 시범사업의 추진 및 평가를 토대로 체계적인 본 사업을 확대, 시행해 나가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농촌지역의 낙후도를 고려한 사업지원 및 추진에 차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촌계획 : 구례군의 사례를 통하여 본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

        서정호 ( Chung Ho Se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1

        마을만들기는 “주민 스스로가 마을주민들이 더불어 함께 사는 지역공동체를 창조하기 위한 모든 활동”이다. 우리나라의 이러한 마을만들기는 각종 법령이나 정부의 시책으로 2000년 전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제 그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마을만들기를 위한 방향정립이 필요한 때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외에 구례군의 4개의 사례마을과 인근마을 주민 75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결과를 분석하여 향후의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상마을은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과 행복마을사업을 시행한 상사마을, 오미마을 그리고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시행한 지리산참새미골, 구례군이 독자적인 사업으로 시행한 예술인마을이다. 조사결과, 4개 마을 공히 근래에 개통된 지리산둘레길이 통과하는 구간에 소재하고 있으며,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을이었다. 그러나 생태적 고려는 미흡하였다. 또한 참새미골은 소프트웨어사업을 병행하였으나 나머지 3개의 마을은 하드웨어에 중점을 둔 마을만들기였다. 인구 유입 측면에서는 상사마을과 오미마을에만 효과가 있었으며 지리산참새미골과 예술인마을의 경우 인구유입효과가 미미하였다. 또한,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지 않거나 문화, 교육, 복지 등 마을만들기의 개념에 부합하지 않은 하드웨어 중심의 마을만들기 사례가 대부분이었으며, 마을소득창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 반면, 참새미골은 면 소재지를 포함하는 거점개발로 활성화되었다. 이에 향후의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으로 교육·문화·복지를 지향하는 마을만들기, 거점개발, 소득창출 등을 제안하였다. 이는 마을만들기의 개념에 부합하며, 사례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마을만들기의 추진과정과 성과 및 장·단점 중 본받아야 할 점과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다. 마을만들기에서 교육·문화·복지를 지향하는 것은 지역 공동체의 형성과 복원상태가 미흡하며 하드웨어사업에 치중한 결과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구과소화 마을들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개발함으로써 권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거점개발이 필요하며, 마을주민의 삶의질 향상을 위하여 소득창출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향들은 지역주민에 의한 지역주민을 위한 마을 만들기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의 회복과 이를 통한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될 뿐 아니라 마을 만들기의 개념과 부합하며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점의 보완책이기도 하다. 다만, 이론적 배경으로 마을 만들기의 개념 등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구례군의 4개 마을만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기에 우리나라 전체의 농촌지역마을 만들기의 방향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지만 이는 이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향후 농촌지역에서 마을 만들기가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전체 마을 또는 여러 지역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향후의 농촌지역 마을 만들기의 방향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Community building has been carried out from around the year 2000 by various statutes and government policies in Korea.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 of the future for rural community building as surveyed cases of completed four villages in Gurye-county.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s objectives,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ed 75 person`s residents in cases villagers. The target villages are Sangsa, Omi, Chamsaimigol and Artists village. As survey results, four villages utilized local resources, most of villages were focused perform hardware. On the other hand, Chamsaimigol was parallel software. In addition, communities didn`t form and not agree with concept of community building as culture, education, welfare, etc., also didn`t creation the case of village income. but active village as base development. Therefor, proposed the point to education, culture and welfare, base development and generating of income as directions for future rural community building. These direc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community building and the goal tha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ultimately through community building.

      • KCI등재

        한국농촌계획의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한국농촌계획학회 학술논문(1995-2014)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김솔희,서교,김태곤 한국농촌계획학회 2016 농촌계획 Vol.22 No.1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s used to identify key subject areas, research trends over time, and new discussions in a study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area of rural planning using bibliometric method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Rural Plannin g」 from 1995 to 2014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nual publications, the number of periodical contributions, the authorship patterns, and popular research subjects and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and authors has increased over the 20 years periods (1995-2014); (2) The most published authors are associated with the study of rural plan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ve highly contributed to the paper publications; (3) The most frequent word in titles is “Rural“ for the whole period from 1995 to 2014. The most frequent words are “Village“ and “Planning“ from 1995-2006, and “Landscape“ and “Village“ in 2007-2010, and “Village“ and “Area“ from 2011-2014; and (4) The most used keywords are “Rural amenity“, “Rural village“, and “Rural landscape“ for all of the different time frames.

      • KCI등재

        국내 농촌 경관계획 가이드라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West Australia의 경관계획 매뉴얼을 대상으로 -

        신재선,김상범 한국농촌계획학회 2016 농촌계획 Vol.22 No.2

        Landscape elem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element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teem in rural area. Due to this,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visual landscap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For that, this study measure guideline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gainst guideline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analyze th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of australia which is similar to domestic rur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to compare both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stage of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assessment progressed systematically, but it was not practical because for the lack of survey and assessment method. Therefore, it should be suggested for the survey and assessment technique. The rural landscape plan, established in master planning stage, do not necessarily reflect local government’s landscape management on the ground of abstract technic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is sake, to develop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landscape element seems necessary.

      • KCI등재

        농촌계획 : 농촌마을 공간특성과 어메니티자원의 입지분석

        최영완 ( Young Wan Choi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1

        이 연구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및 어메니티자원을 이용한 지역활성화 등의 계획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농산어촌 마을별 공간특성과 마을특성별 어메니티자원의 입지 분포를 분석한 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마을과 어메니티자원의 공간입지적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사례마을 선정 및 어메니티 자원조사는 그린투어 경남과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시스템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원조사 결과, 공공시설자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관자원, 수자원 순이었다. 그러나 생산환경자원의 경우 대부분 정보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어 이 연구에서는 어메니티자원 중 경관자원과 수자원, 공공시설자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공간구문론(SSM)을 이용하여 마을별 공간구조 분석 및 어메니티자원 입지특성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SPSS를 사용하여 군집화(군집분석)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농촌마을의 평균깊이(MeanDepth)는 4.482, 전체통합도(GInteg)는 0.956으로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고 통합도가 높아 농촌마을이 산촌 및 어촌마을에 비해 외부인이 인지하기 쉽고 접근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별 어메니티자원의 공간입지특성을 분석한 결과도 마을전체 공간구조분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공간분석 자료를 비계층적 방법(K-평균법)으로 군집화한 결과 농촌마을은 대체적으로 어메니티자원의 평균깊이가 얕고 전체통합도가 높아 접근이 용이하며 통합도가 높은 군집으로 군집화 되었으나, 산촌마을은 마을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어촌마을은 경우 중간 정도의 공간입지 특성을 갖는 군집에 대부분 군집되었다. 결과적으로 농산어촌 마을별 어메니티자원의 공간입지 특성은 농촌마을의 경우 산촌 및 어촌마을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고 통합도가 높아 외부인이 인지하기가 더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마을이 다른 마을에 비해 지형적 조건이 양호하여 도로망 등이 잘 정비되어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산어촌 마을정비 또는 농산어촌체험마을 조성 등에 있어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원으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로망 정비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마을개발 및 리모델링 사업추진에 있어서도 공간분석 기초한 계획수립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rural villages and a space of amenity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basic data for rural renewal planning in the future. 15 villages were selected to analyze amenity resources. A Space Syntax Method(SSM) was used to analyze a spacial structure of each villag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amenity resources. Finall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was used for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spacial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Depth of rural villages was 4.482 and Global Integration Value(GInteg) was 0.956. Relatively, a depth was lower and GInteg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villages. Rural villages were easily recognized and accessible by outsiders, compared to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In the case of rural villages, the MeanDepth of amenity resources was low and GInteg was high i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a nonhierachical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an access was easy and amenity resources were closely located each other. However, the deviation of each village was great in mountain villag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n effective maintenance of road network for improving accessibility would be given priority in an undevelope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renewal. Especially, using a spacial analysis in village renewal planning process can improve accessibility and maximize a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amenity resources.

      • KCI등재

        한국의 농촌개발 경험이 베트남에 주는 시사점

        임상봉 한국농촌계획학회 2016 농촌계획 Vol.22 No.3

        Korea is becoming a model country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Drawing implications for Vietnam from Korea’s experiences can help make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as well as for Vietnam itself. Vietnam is facing an inefficiency i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growth has been widening. Farm sizes per household are small and farmlands are scattered. Diversification in rural industry is very restricted. To attack these problems, investment is urgently needed for rural infrastructure building as well as agricultural structure adjustment. In the process of rural development, there have been also encountered such problems as financial procurement, community’s spontaneous participation, manpower development for adjusting to industrial structural change. Korea’s experiences may be helpful for establishing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in Vietnam. Benchmark scopes can go beyond Saemaul Undong in 1970s. Korea’s pre- and post-Saemaul Undong era as well as the Saemaul Undong era can be referred. In the wake of globalization, Vietnam has not only experienced compressed rapid economic growth but also encountered policy tasks to eradicate poverty, to realize self-reliance and income increase, and to lessen urban-rural development gap, at the same time. Korea’s experiences show that priority needs to be put 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nd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Vietnam-specific conditions, utilization of village’s resources including community tradition and social capital, fund raising for rural development, farmland development and mobilization, production and living infrastructure building, technology transfer for farmers and vocational training for new job seekers.

      • KCI등재

        농촌체험프로그램 운영 유형 및 실태분석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황한철,노용식,박정수 한국농촌계획학회 2015 농촌계획 Vol.21 No.2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CRVDP) have been carried out as the core one of the rural development schemes in Korea since 2004. CRVDP included the various rural experience programs to increase rural income and in order to promot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roject area.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ng management condition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targeting the 168 CRVDPs have been completed so that the recommendations and lessons which were found the usefulness, challenges and improvements to the CRVDP can be provided to be better the same kind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s such as increasing village income and uti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to the CRVDP and operational management types of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as well. Employ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found 5 clusters of rural experience programs among 168 CRVDPs.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such as the uti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0.01), income of rural experience programs(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i-squire test, there was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homepage operation and clusters(0.01). Finally, the analysis of covariance about the income of rural experience program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clusters(0.05).

      • KCI등재
      • KCI등재

        주민참여와 농촌 마을만들기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거버넌스의 매개효과 실증분석 - 제주 웃뜨르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

        강기호,이진희 한국농촌계획학회 2015 농촌계획 Vol.21 No.1

        As rural development projects, mostly carried out in a top-down development method in the past came to take a bottom-up development method in earnest, entering the 2000s, resident participation became an essential element of a rural community design project, to the extent that it can influence the success or failure of a rural community design project.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rural residents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community design projects, but as they are accustomed to various subsidy project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nd become increasingly aging, it is not easy to induce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farming areas with such problems. Especially, to prevent the distrust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residents from serving as an obstacle in the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horizontal governance among the village resident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group of experts supporting for the proje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over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rural community design project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a survey with residents in Utturu Village, Hangyeong-myeon, Jeju-si, which was completed by carrying out a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project, the typical bottom-up community design project was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directions, establishing strategies and constructing governance of rural community design projects in the future, and especially,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governanc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the projec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