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인이 바라본 한국정원: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 Sang Jun Yoon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1 No.-

        한국이 서양세계에 처음 알려진 것은 16세기 후반이나, 한국과 한국정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네덜란드인 하멜에 의해서 이다. 1876년 개항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저서가 외국어로출간되었다. 당시 출간되었던 많은 책 중에서 한국의 정원과 식물상을 자세히 기술한 책들이 있다. 이 책들은 한국에 대한 선입견과 그들의 지식기준으로 기술된 부분도 있지만, 서양인들이 직접 관찰 기록한 것으로 당대의 한국정원과 경관을 알 수 있다는 면에서는 유용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세기 하멜에서부터 19세기까지 서양인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하여 이해한 한국정원을 조사하고, 한국정원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각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쉐필드 대학의 한국서고를 중심으로 영국 18세기 컬렉션 웹사이트에서 조사한 서양인의 여행기와 일지를 취합한 서적 그리고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경험을 기술한 책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하였다. 몇몇의 서양인들은 한국의 미는 그들의 주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소박함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연미학을 인공적이거나 관습적인 것이 아닌 자연적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양인은 그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그림이나 글을 통하여 느낀 한국 경관의 특징적인 부분은 실존한다고 믿지 못하였다. 직접 한국을 경험한 서양인들은 한국정원에 대한 특징으로 작은 정원을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코티지 화훼정원"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마을에서 커뮤니티 시설로서 그늘을 제공하는 정자나무가 있는 휴식공간을 마을 아고라(Village agora)라고 표현하였다. 한국정원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연못과 괴석을 언급하였다. 특히 정원 시설물로 전통재료와 방법으로 만든 온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으며, 현대적 개념의 원예산업과 재배원이 도입되고, 잔디밭 등 외국인의 기호가 한국정원에 혼합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시기로서 궁궐과 왕실정원이 버려지고,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시각이 정확했던 오류가 있었던 것을 떠나, 그당시의 한국과 한국정원이 외국인에게 비쳐졌던 면모로서 우리가 숙지해야 하는 우리 역사의 일부분이다. Although Korea was introduced to the West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Hendrik Hamel`s account was the earliest record, depicting a Korean garden in the 17th century. After signing Treaty of Kanghwa with Japan in 1876 Korea opened to the outside world, and a number of books were published in Western languages to satisf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former Korea. These records mentioned gardens and the variety of flora they contained -some were well elaborated and some were brief but above all they were valuable as they accoun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and landscape at that time, based on first-hand observation, even though some cases were disparage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r a supposed sense of superiority to the Korea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esterners` viewpoint of Korean gardens based on their first-hand observation in the seven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and evaluates their perspectives on Korean gardens. Henc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literature studies, published books which were compiled from travel notes, diaries and residential experiences from Westerners, found in the Korean Collection at the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as well as Eighteenth Century Collections Onlin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literature was made to draw the corresponding conclusions. Some westerners understood that Korean esthetics of nature, by means of art, with a focus on natural rather than artificial and conventional as well as the strong simplicity dominated Korean art inspired from surrounding nature but usually they refused to believe that the salient points of landscape features in paintings or texts were in reality without seeing with their own eyes.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that were noted we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gardens were expressed simply as "cottage flower-garden" no matter their position or location; an old big tree - called village agora - serving as a shady resting area, took on the role as a community facility and was placed in many villages; the lotus pond and the rock we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n gardens; there were garden facilities such as the greenhouse which was constructed with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the modern concept of horticultural business and nursery was introduced; the fusion garden blended with Western tastes and brought with i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lements such as the lawn; due to the unstabl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palace grounds and royal gardens began to be abandoned. Whether Korean approved it or not, or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the way Koreans are presented to the outside world is an integral part of them.

      • KCI등재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이송민 ( Lee Song-min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 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on-site research as a case study of 14 artists' gardens with traditional themes presented at the garden fair. With Focusing on the design process for determining traditional reproducti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esign goals, selection of subjects for traditional reenactment, determination of methods for reproduction, and design stages of landscape components. First, the pattern of selecting traditional structures as subjects for reproduction in many artist gardens can be understood as an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narrow sites and having remarkable topic communicability. They directly delivered the design intent by adding the names of traditional structures such as Madang, Wool, Buttumak, Jangdokdae, Chuibyeong and Seokgasan. Works expressed indirectly, such as Wall, Korean Garden, Suwon, and Seoul craftsmen, have relatively weak topic communicability. There were also symbolic representations of objects to be reproduced, such as Seonbi, marginal spaces, and Pung-lyu. Second, while reproducing Hanok Madang, separate the gardens paved with grass and stone, the fortress wall of Suwon Hwaseong and the northwest Gongsimdon of the watchtower. Also the garden with a miniature version of the extraneous Yong-yeon and the garden, which was reproduced as a low decorative wall in the rest area based on Nakan-Eupseong Fortress, shows the need for a deep understanding of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reproducting works of choosing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garden, the Korean Garden showed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rrangem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beauty of the space in the courtyard of Hanok, the beauty of the slowness enjoyed by the scholars and the reenactments of the Pung-lyu culture of Moonlight boating are not only imitating traditional structures but also spreading understanding of tradition to garden culture and sentiment. Third, there were many works that reconstructed the real-size traditional structure in a straightforward way in relation to design. The garden was divided into Chuibyeong and the living space was decorated with Buttumak, chimneys, and gardens, and facilities representing Gyeongbokgung Palace, Soswaewon, and Seoseokji were systemically arranged. However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key design elements, constructing the elev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ense of scale of the space from works that reproduced the large Suwon Hwaseong and Nakan-Eupseong in an abstract way. While there are examples gardens of Hanok yards and Bazawul, which are far from the original image among the gardens that chose the dismantling method, the Blank-space garden expressed only by a frame composed of cubes, and Seonbi's Sarangbang garden, that permeated the moonlight with many traditional structures are the positive examples. The Seoul Artisan Garden, Jikji Simche Garden and Pung-lyu Garden, which display modernly designed landscape components, need an explanation to understand the author's intention.

      • KCI등재후보

        한국 개인정원의 시대별 일본정원 요소 적용과 영향요인 분석

        김정철,김도균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2

        Unlike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the Japanese garden style has been long remained in the garden field, But it is time to differentiate the styles of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and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style based on the influx and expansion of overseas gardening 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ivate gardens and to provide data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Japanese garden style so that it can be developed into a unique garden style by grasping how much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have been applied to Korean modern private gardens by period,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consistently remain. This study extracted and quantified Japanese garden factors applied to modern private gardens shown in garden magazines by planting type and facility type, and grasped the extent of application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by period. Although Korean private gardens are developi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garden styles and the expansion of garden materials such as planting trees and flowers compared to the past,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tinues in the Korean garden culture. The application index of the Japanese garden factors was 40.0 points from postwar to 1970, 20.3 points from 1971 to 1980, 26.0 points from 1981 to 1990, 7.3 points from 1991 to 2000, 17.8 points from 2001 to 2010, and 16.3 points from 2011 to 2019. The application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a slope of 4.1 from the Korean War to the present. It was shown that pruned pine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Kaizuka Variegata and pruned royal azaleas were frequently applied with an application frequency of 1.0 or higher among the Japanese garden factors.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of facility factors such as laying stepping stone, intentional arrangement of natural stones, stone pagoda, or stone lanterns, was also high by 1.0 or higher. The reason for the continue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in Korean private gardens was found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practical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at the garden construction site, in a situation where garden personnel who design and construct a garden have little clear understanding of garden culture and garden styles. Therefore,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fostering technical personnel for garden construction who should continuously escape from the Japanese garden factors remained in Korean private gardens, and apply an independent and unique Korean garden style.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시대를 지나 광복 75주년을 맞이하고 있으나, 정원 분야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문화와 달리 일본정원 양식이 길게 잔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정원 양식의 유입으로 한국 현대 개인정원의 양식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해외 정원양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개인정원에 잔재하는 일본정원 요소가 시대별로 어느 정도 적용되었는가와 지속적으로 잔재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현대 개인정원이 가진 개성 표출을 강화하고, 고유한 정원양식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일본정원 양식 적용현황과 영향요인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관련 잡지 등에 나타난 현대 개인정원에 적용된 일본정원 요소를 식재유형, 시설물 유형에서 추출하여 계량화하고, 시대별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대 개인정원의 설계 및 시공 과정에 참여한 주체에 따라 일본정원 요소 적용 영향요인을 선형 회귀분석으로 도출하였다. 한국 개인정원은 과거에 비해 다양한 정원양식이 전파되고, 정원소재의 다변화 방향으로 발전 중이나, 과거 일본 식민지 시대의 영향이 한국 정원문화에 잔재하여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전후∼1970년까지 40.0, 1971∼1980년까지 20.3, 1981∼1990년까지 26.0, 1991∼2000년까지 7.3, 2001∼2010년까지 17.8, 2011∼2019년까지 16.3로, 한국전쟁이후부터 현재까지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지수는 4.1의 기울기로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일본정원 요소 중 가이즈까향나무와 같은 전정한 소나무류, 전정한 철쭉류의 적용빈도가 1.0 이상으로 즐겨 적용되었고, 징검돌 놓기, 의도적인 자연석 배치, 석탑, 석등 등 시설물 요소의 적용 빈도가 1.0 이상으로, 주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개인정원에서 일본정원 요소의 적용이 지속되는 원인은, 정원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정원 전문 인력이 정원문화 및 정원양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정원시공 현장에서 관행적으로 일본정원 요소를 적용하는 영향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개인정원에 담긴 일본정원 요소의 지속적인 탈피와 독자적이고 독특한 한국정원 양식을 개발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민가 정원 쌍산재의 조영과 변화 과정

        김서린 ( Kim Seo-lin ),성종상 ( Sung Jong-sang ),김희수 ( Kim Hee-su ),최유나 ( Cui Yu-na ),정진아 ( Jung Jin-ah ),조성아 ( Cho Seong-a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2

        쌍산재는 1800년대 중반에 조성된 민가 정원이다. 북으로 지리산 줄기를 등지고 남으로는 섬진강을 내려다보는, 전형적인 한국의 배산임수 형국을 이루는 터에 입지하고 있다. 조성된 이후 6대를 거쳐 오면서도 정원에 큰 변화 없이 조선 후기 민가 정원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는 정원이다. 본 연구는 현장 조사와 인터뷰, 작정자의 유고집과 편액, 주련의 내용 분석을 통해 역사 정원으로서 쌍산재의 변화하는 경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완만한 구릉지에 위치한 쌍산재는 크게 내원과 외원으로 분류되며, 내원은 진입 공간, 주거 공간, 전이 공간, 후원 영역으로 구분된다. 후원은 서당채와 그 정원, 경암당 등으로 구성되며 외원인 사도저수지 영역으로 이어 진다. 쌍산재의 특징적인 식생 경관은 13,000㎡의 죽녹차밭과 잔디밭을 가로지르는 길 양쪽에 열식된 모란과 작약, 그리고 동백이나 사철나무의 휜 가지가 보여주는 액경, 마지막으로 탱자나무와 대나무로 이뤄진 생울타리를 꼽을 수 있다. 쌍산재는 지형과 원식생(原植生)을 고려한 공간 구성과 배치가 돋보인다. 주요 건축물은 후손들이 선대의 아호를 따 이름 지었는데,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은일하며 후학을 양성하고자 했던 선대 조영자들의 철학관이 묻어난다. 오주석 선생이 세운 입석과 하얀 경계석은 쌍산재만의 독특한 정원 시설이다. 현 소유자가 가족들과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조성한 석상, 돌의자, 수영장 등 또한 특징적인 경관을 연출한다. 쌍산재는 거주자에게는 살림집이자 친우들과의 교류의 장, 수신(修身)과 은일(隱逸)의 장이었으며, 아이들에게는 배움의 장이었다면 현재는 여러 사람들이 힐링할 수 있는 민가 정원으로서 성격을 갖는다. 20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쌍산재의 내외원의 경관은 일부 변화를 겪었다. 이렇듯 변화하는 속성을 가진 역사 정원의 특성은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정원 고유의 속성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쌍산재를 조경학 관점에서 다룬 최초의 연구로서, 현존하는 조선조 민가 정원이 매우 적다는 점에서 앞으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현재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정원 관광 상품으로서 역사 정원의 가치와 효용을 가늠해 볼 여지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sangsanjae was created in the mid-1800s, It is located at Jiri Mountain to the north and the Seomjin River to the south. This garden has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it has passed through the sixth generation since its creation, so it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a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ing landscape of Ssangsanjae as a historical garden; through field surveys, interviews and analysis of builder's collection, boards and couplets. Ssangsanjae is largely classified into inner and outer gardens, and the inner is divided into an entry space, a residential space, and a backyard. The backyard consists of Seodangchae, it's garden, Gyeongamdang, and swimming pool, and is connected to the Sado Reservoir area, which is the outer garden. The distinct vegetation landscape of Ssangsanjae are a 13,000㎡ bamboo and green tea field, Peony(Paeonia suffruticosa Andr. and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Bunge) Stern) planted on both sides of the road that crosses the lawn, the view through a frame(額景) shown by the twisted branches of Camellia and Evergreen spindletree, and a fence made of Trifolia Orange(Poncirus trifoliata) and Bamboo. Ssangsanjae stands out for its spatia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y and native vegetation. The main building was named by the descendants based on the predecessor's Aho(pseudonym), and it is the philosophical view of the predecessors who tried to cultivate the younger students without going up on the road. The standing stone and white boundary stone built by Mr. Oh Ju Seok are Ssangsanjae's unique gardening facilities. The stone chairs, and swimming pool which were created by the current owner for the convenience of families and visitors also make a distinctive landscape. Ssangsanjae, for residents, was a place for living, exchanging friendships, training himself and seculusion, for children was a place for learning, but now is ‘the private garden’ where many people can heal themselves. Over the 200 years, the landscape of Ssangsanjae's inner and outer gardens experienced large and small changes. As suc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historical gardens with changing properties as a living herit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s the first study to approach Ssangsanjae in the view of landscape research, it provides basic data on Ssangsanjae as a destination of garden tourism.

      • KCI등재

        19세기 서울 옥호정(玉壺亭)과 석파정(石坡亭)을 통해 본 정원 특성

        이원호 ( Won Ho Lee ),김동현 ( Dong Hyun Kim ),김재웅 ( Jae Ung Kim ),신현실 ( Hyun Sil Sh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옥호정과 석파정을 대상으로 두 정원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조영 배경과 공간구성, 정원구성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옥호정과 석파정은 조선 후기 권력가의 정원으로 정치적 기반 및 부의 축적을 통해 당대의 고급 기술과 자본이 투여되어 창출된 정원문화를 현실화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 상위계층의 정원문화가 투영된 각각의 정원이 아니라 옥호정이 석파정의 조영에 관련 있었음을 조영자 간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다. 둘째, 옥호정과 석파정의 공간구성은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각각의 작은 정원공간이 정자 단위로 분화된 공간 구성으로 분절된 집산적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원공간은 정자의 경영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경관에 대한 주제를 부여하였으며, 식재 및 단의 처리로 경계를 설정하고 계절별 경관의 다양화를 통해 단위 공간 내 다양한 원예 요소를 도입하는 등 각 공간에 장소성의 부여가 시도되었다. 셋째, 옥호정의 공간구성을 도식화하고 이를 석파정과 비교분석한 결과, 옥호정의 조영특성 대부분이 석파정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석파정의 정원이 옥호정의 공간구성기법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조성 과정에서 변용되는 등정원의 구성기법이 반영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선 후기 화훼에 관한 취미는 단순한 애호의 차원을 넘어 벽의 단계로까지 접어든 경우가 적지 않다. 옥호정과 석파정에서는 당시 진귀하게 여겨지는 기화요초 및 수반, 석상, 괴석, 분재, 석가산, 등나무 시렁 등 다양한 정원소재들이 정원구성요소로서 각 공간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ison of spatial composition tha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Construct background and space structure in both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3) First,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of the nobles gardens in late Joseon dynasty. They had the advanced techniques of contemporary based on their political power and wealth, and therefore could built garden and enjoy the garden culture of the upper layer. Furthermore, composition of the Okhojeong garden can be assumed that it is related to construction of the Seokpajeong garden throug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ers. Secondly, Space structure of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is divided into pavilion unit of small gardens with living space as the center. Construction pavilion in each garden space imbues certain landscape theme. In addition, authorization of characteristics of a place in each area is attempted through boundary establishment and selective garden culture of varied seasonal landscape. Thirdly, In Seokpajeong garden, most of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Okhojeong garden are appeared. This indicates that Seokpajeong garden was affected by space-configuration-technique of Okhojeong garden such as acceptation or modification recreation. Fourth, In many cases, fanciers regarding floriculture are expanded to enthusiasts in late Joseon dynasty. In Okhojeong garden and Seokpajeong garden, herbaceous ornamental is considered to be precious and garden materials such as water tray, stone couch, oddly shaped stone, potted plant, artificial hill, wisteria trellis are diversified at the time.

      • 카를로 스카르파 (Carlo Scarpa) 정원의 디자인 철학과 특성 연구 - 베니스의 퀘리니 스탐팔리아 정원을 중심으로 -

        ( Lee Hyung-S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5 No.-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건축가인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주로 건축물의 리모델링, 전시관, 박물관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지만, 20세기 모더니즘 시대의 많은 정원과 외부공간을 설계하였다. 그는 조경사적으로도 가치있는 근대적 조경 설계작품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원 작품들은 최근까지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스카르파의 대표적인 정원작품인 꾸에리니 스탐빨리아(Querini Stampalia) 정원의 분석을 통하여 그의 디자인 철학 및 정원특징, 역사적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정원에는 베니스의 역사 및 지역특성들이 상징적으로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지역재료와 현대적 재료의 수공예적인 세심한 디테일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또한, 통일성 있는 재료사용 및 시각적 개방을 통한 건물 내외부의 유기적 연결, 이슬람 및 일본 정원 문화의 영향을 엿볼수 있는 조경요소 등이 스카르파 정원의 특징이다. 그의 정원 설계기법은 역사 및 지역적 고유성을 유지하며 오늘날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는 데 있어 많은 교훈이 되고 있으며 베니스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정원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Carlo Scarpa is an Italian designer who is renowned worldwide for his remodeling of buildings, exhibitions and museums. Scarpa designed more gardens and outdoor spaces than buildings, and he has left important modern landscaping works. His works in garden design, however,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recentl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is design philosophy, garden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gardens by analyzing the garden of Querini Stampalia in Venice. His garden symbolically reflects the histor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Venice, and the handcraft detailing of local materials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way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garden and interior of building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unified materials and openness of glass door. In addition, the influences of Islamic and Japanese garden culture are reflected in the garden. The small enclosed garden has become the icon of a modern garden in Venice with a wealth of details and respect for craftsmanship.

      •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가치발굴

        ( Shin Hyun-sil ),( Lee Kyung-mi ),( Jin Hye-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8 No.-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예비 잠재자원을 추출하고 각 정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라도 지역 민가정원의 역사성은 조선 중기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정원들은 대종가의 형태가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등록문화재를 넘어 국가지정문화재에 버금가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현존 민가정원들은 대부분 조영자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일상관리를 통해 전반적인 주거형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과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의 입지는 대부분 배산임수 지형을 바탕으로 동족촌 인근 또는 농지로 사용되는 넓은 평야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집성촌이나 전통마을, 주요 역사문화자원들과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전통공간에 대한 통합적 보호 속에서 현재까지 그 모습이 이어져 올 수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 가옥의 배치는 二자형, ㅁ자형, ㄱ자형, 축선형, 병렬형 등이 확인된다. 각 공간들은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건조물을 기준으로 공간의 위계를 설정하였으며, 가옥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정원 공간의 성격을 부여하였다. 특히 축선형 가옥은 가옥 내부에서 정원 조망에 용이하도록 지형을 활용하거나 건조물 일부를 덧달아 조성한 사례가 확인된다. 넷째, 전라도 민가 정원 대부분 노거수가 현재까지 생육하고 있어 가옥의 오랜 역사를 짐작케 한다. 또한 향토 수종을 중심으로 전통재식 방법에 따라 수목들이 식재 되었고 각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개화 특성 및 수목이 지닌 상징성, 계절감을 고려한 수종의 선정 및 식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분석 결과 각 민가정원 모두 조영자의 후손들이 실제 거주함으로써 역사성과 주거 형태가 유지되고 있었으며, 집성촌 기반 정원의 입지선정 및 정원의 배치, 향토수종 중심 소규모 정원의 조성, 대형 연못 조성, 외부 수림과의 유기적 연결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유주의 노령화, 현대적 생활공간으로 개조, 부지 또는 건조물의 매매에 따른 변형, 소유주나 관리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정원의 변형 등의 위협요인에 대해 시급한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초기 조성형태로의 시기적 분류, 민가정원으로서의 가치 강화 등의 중장기적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tracted preliminary potential resources from unregistered private gardens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garden, resulting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rivate households in Jeolla Province vary from the mid-Joseon period to the modern era, and some gardens had historical characteristics comparable to thos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s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continued to the present. Most of the existing private households are inhabited by descendants of the creator, and the overall change in residential type was not seen through daily management, allowing us to infer the past. Second, most of the gardens were located near a clan village or on a large plain used as farmland, based on the feng shui thought,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n addition, it has been able to continue to the present day in the integrated protection of traditional spaces, adjacent to clan villages, traditional villages, and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ird, the subject houses to investigation are arranged in 二-shaped, ㅁ-shaped, ㄱ-shaped, axis-type, and parallel-type.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a relatively flat terrain and the hierarchy of the spac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 space were given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houses. In particular, the axis-type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by utilizing terrain or adding some of the buildings so that they can easily view the garden from inside the house. Fourth, most of the private house gardens in Jeolla-do have grown old trees so far, which gives us an idea of the long history of the house. In addition, trees were plant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farming methods, focusing on local species,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rees were selected and planted considering the symbolism and seasonality of the trees.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unregistered garden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the descendants of the creators of each private home are actually living, so historicality and residential type are maintained.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location selection and the placement of gardens based on clan villages, the creation of small gardens centered on native species, the formation of large ponds, and the organic connection with external forests. However, urgent maintenance is required for threats such as aging owners, remodeling modern living spaces, changing sites or buildings according to sales, and transforming gardens without owners or management personnel. In addition, mid- to long-term measures such as time-based classification into the initial form of creation and strengthening the value as a private garden should be considered for continuous preservation management.

      • KCI등재

        태화강 국가정원의 경관평가구조 및 개선방향

        이혁재,송즈쉬앤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by conducting a landscape evaluation on the gardens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to identify the landscape evaluation structure and present improvements to the results. The landscape evaluation scale was extracted by comparing the preferences of the target gardens using the property Grid Development Method and expressing the results as adjectives. The landscape evaluation structure of each garden of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was identified by conducting a survey. As a resul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that could evaluate the Taehwagang National Garden, an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target garden in the space of each factor, overseas artist garden and citizen student garden were relatively highly evaluated, but seasonally, flowerless chrysanthemums or peony gardens were low.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each garden could be presente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evaluating the national garden in terms of landscape and presenting specific direc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improvemen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garden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garden culture. 본 연구는 태화강 국가정원의 정원들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여 경관평가구조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함으로써 태화강 국가정원의 향후 조성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Repertory Grid Development Method를 사용하여 대상지 정원들의 선호도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형용사로 표현함으로써 경관평가척도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경관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태화강 국가정원의 각 정원에 대한 경관평가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태화강 국가정원을 평가할 수 있는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의 공간상에 대상지 정원을 배치해본 결과, 해외작가정원, 시민학생정원은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계절적으로 꽃이 없는 국화원이나 작약원의 경우에는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각 정원들에 대한 평가결과 및 개선방향성에 대해 제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국가정원을 경관이라는 측면에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개선을 통해 정원문화의 확산과 정원문화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원 치유활동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미옥,서주영,이성준,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1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on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For the study subjects, 13 elderly people with a stress index score of 9 or higher were selected among the sensitive and vulnerable groups who received a lot of stress in the Cheonan area.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9 times in a place that was created as a healing garden.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rough brainstorming FGI by forming an expert group, and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garden decoration, garden appreciation, and garden management. The program diagnosis tool used the PWI-SF questionnaire, which is a stress scale test paper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and consists of 18 item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res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y, the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program activity decreased in a significant range for all 9 programs. In the garden,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stress and has a physical and healthy healing effect. The program that showed the highest change was [Making a garden sculpture], showing the largest difference with a difference of 0.26 points. The type appeared as a garden decoration. The program with the least stress change was [Understand me sweetly], showing the lowest difference with a score of 0.09. Second, as a result of pre- and post-analysis according to the stress items before and after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8 were most significant in the 3rd session [Making a garden sculpture] program. In the 4th [Maintaining the garden] and 8th [My Garden Story] programs, the least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ith 0.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item scores before and after program activities, most items had lower item values than before and after, and some physical activities caused physical stress in energy-consuming activities, or increased item numbers as part of the healing proc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arden healing activity program affects the stress change of the elderly, an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suggested as a way to solve the stress problem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rough garden healing activities, people and nature coexist, and it will be possible to realize green welfare to enjoy a healthy life, and it is judged that the garden will be widely used as a function of a healing garden. 본 연구는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천안지역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민감취약층 중 스트레스지수가 9점 이상인 노인 13명을 선정하였다. 치유정원으로 조성된 곳에서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을 9회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브레인 스토밍 FGI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검증하였으며, 정원장식, 정원감상, 정원관리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프로그램 진단도구는 프로그램 활동 사전 사후에 스트레스 척도 검사지인 PWI-SF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결과 프로그램 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는 9개 프로그램 모두 유의한 범위에서 감소하였다. 정원에서 치유활동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건강적으로 치유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높은 변화를 보인 프로그램은 [정원 조형물 만들기]로 차이는 0.26점으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형은 정원장식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변화가 가장 적었던 프로그램은 [달콤한 나를 이해하기]로 0.09점으로 가장 낮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 활동 전-후 스트레스 항목에 따른 전후 분석 결과, 3차시 [정원 조형물 만들기] 프로그램에서 8개로 가장 많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차시 [정원 유지 관리하기], 8차시 [나의 정원이야기] 프로그램에서 0개로 가장 적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프로그램 활동 전-후 항목 점수 차이 결과 대다수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항목 수치가 낮아졌으며, 일부 신체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활동에서 신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부정적이게 되거나, 치유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항목 수치가 높아진 것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정원 치유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스트레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원 치유활동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녹색복지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정원이 힐링정원의 기능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영국 코타지 정원의 발전과 정원요소 -Barrington Court와 Hidcote Manor를 중심으로-

        ( Eun Yeong Park ),( Sang Jun Y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환경의 질적 쾌적성 추구 경향과 도심부의 과밀 및 각종 공해와 교통문제 등의 도시문제로부터 탈출을 통해 생활의 여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이유로 전원주거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다. 앞으로 전원주거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고, 이상적인 전원주거에는 정원이 필요하다고 볼 때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전원풍의 정원을 갖고자 하는 사회문화적인 가치를 수용하려면 정원문화의 선진국인 영국정원에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와 방향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원주거의 정원에 몇 가지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영국의 코타지 정원양식에 관한 연구로 코타지 정원의 개념과 기원, 발전을 살펴본 후 사례를 통해 정원요소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대상지는 Gertrude Jekyll의 Barrington Court와 Lawrence Johnston의 Hidcote Manor이다. 19세기의 전원지역에 나타난 코타지 정원은 경제적 필요에 의해 생겨난 생산정원의 유형을 기본으로 하고, 부유층과 중간층의 코타지 정원은 미적 향유를 위해 상당히 장식적인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영국 코타지 정원양식을 요약하면, 디자인은 직사각형으로 단순하며, 직선의 통로로 구성된다. 영국 전원의 자연을 모사하고 숲속과 같은 자연을 표현하고 있다. 자생 식물 종위주의 풍부한 초본류와 관목들의 조합으로 코타지 정원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As people`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they have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rura llife-purposefully pursuing qualitatively comfortable environments, keeping themselves from pollution and traffic jams in over-crowded urban areas, and thereby realizing a more easy and relaxed life. As future demands for rural life are expected to continue growing and as ideal rural living requires a garden,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learn organic information; to do so, a worthwhile place to look is gardens in England, where a garden culture is firmly established, to incorporate socio-cultural values that pursue beautiful natural landscapes and rustic gardens. This study focuses on the English cottage garden style, which serves as a reference for gardens in rural houses. We investigated the concept, origin, and development of cottage gardens and conducted case studies. The research studied Gertrude Jekyll`s Barrington Court and Lawrence Johnston`s Hidcote Manor. The study interpreted the cottage gardens in two places by dividing garden eleme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some cottage gardens, despite detailed advice from John Claudius Loudon, served no purpose other than food production. However, cottage gardens made by the rich and middle classes were developed into decorative places, as noted in Robinson`s journal, to satisfy their aesthetic demands. In sum, English cottage gardens had simple rectangular shapes and linear paths. They were modeled after English natural environments and forests. The image of cottage gardens were established by combinations of plants and bushes that were primarily n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