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재 가치에 대한 주민 인식 제고방안 연구

        최성일(Choi, Seong il)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1

        홍천군은 예로부터 동(東)과 서(西)를 잇는 중부내륙의 교통 요충지이며, 지속발전 가능한 성장거점 도시이기도 하다. 그리고 맑고 깨끗한 홍천강줄기는 여덟 봉오리 우뚝 솟아 오른 팔봉산 자락을 휘어 돌아 1,000만여 서울시민의 휴식공간이자 식수원인 한강에 다다른다. 특히, 우리 민족의 정신적 지주이자 무궁화의 보급에 앞장섰던 한서 남궁 억 선생의 얼이 살아 숨 쉬는 애국 충절의 고장인 동시에 선조들의 오랜 삶과 영혼이 살아 숨 쉬는 역사의 고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 날의 우리 세대는, 우리 모두가 소중히 여기고 오래토록 영원히 간직해야 할 선조들의 옛 자취와 삶의 지혜가 담겨져 있는 문화재에 대해 소홀히 하고 무관심 속에 지나쳐버리는 경향이 짙어 더욱더 안타까움을 더해 가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역사·학술·문화적 가치가 높은 홍천지역의 문화재와 유적지 그리고 사료(史料)에 대한 가치향상 제고는 물론, 문화재에 대한 지역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문화재에 대한 주민 인식의 전환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지역의 문화재와 유산에 대한 유효적절한 관리와 보존을 위해서, 그리고 여러 방면에서의 복합적인 개발가치 조명 등 향후 발전방안을 정책적으로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 KCI등재

        무엇이 한국의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어렵게 하는가?

        최성은(Choi, Seong Eun)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와 경력단절 이후의 복귀가 저조한 이유를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환경에서 찾는 데 있다. 한국의 발전주의적 생산레짐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한국의 노동시장의 제약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여성 노동시장의 제약, 특히 고학력 여성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해 줄만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노동시장, 교육 · 숙련, 복지, 정치체제의 제도적 상호보완성에 따라 형성된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실행에 있어 어떠한 제도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의 경우 발전주의 생산레짐을 통하여 상당히 제약이 있는 여성노동시장 구조가 형성되어 왔다. 그런데 그동안의 여성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고자 추진하였던 대부분의 정책들은 성별화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 문제와 같은 큰 틀에서의 논의보다는 여성의 돌봄의 부담을 해결할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노동현장에서 남성 중심의 내부노동시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reasons why Korean highly educated women have low participation and low return rate in the labor market after career break, which are found in the environment of Korean female labor market which was form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ist production regime. Rec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duction regime of Korea has presented a very useful rationale to explain Korean labor market constraints. However, research that sufficiently explains the labor market constraints of Korean women, especially the problems displayed in the labor market of highly educated women, is largely inadequa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emale labor market that was formed due to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of welfare, political system, receiving industrial and labor market, education/training. Also I am looking for a policy implication that emphasizes institutional aspects in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최성은(Choi, Seong Eun),양재진(Yang, Jae-j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3

        ‘저복지 국가인 미국에서, 여성들의 일-가정양립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 왔을까?’ 이 질문에 답을 하고자, 미국 여성 일-가정양립경로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과관계를 4단계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과거 전업주부에 머물렀던 중산층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일-가정 양립모델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여성의 고등교육이 확대되고, 산업변화로 미혼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시작된 시기였다. 제2단계는 중산층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뉴딜, 소비자본주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확대된 시기이다. 제3단계는 여성해방운동으로 정부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적극적’ 시행이 요구되어 전문화된 직업영역으로 여성의 일자리가 확대된 시기였다. 제4단계에서는 더 나은 정규직 일자리로 진입하려는 여성 근로자의 공급 측면과, 양질의 근로자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부분이 개별고용관계를 통해 노동시장 제도 내에서 맞물렸다. 이로써 맞벌이의 규범화가 이루어졌다. 즉, 저복지국가인 미국에서는 여성의 개별적 노력(학업을 통한 능력향상과 여성운동)과 개별고용관계가 발달된 노동시장 특징으로 인하여, 고학력 중산층 여성의 ‘고(高)고용-고출산’이 가능하며, 정규직 일자리로의 재복귀가 비교적 용이한 여성 일-가정양립 패턴이 완성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route in which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s been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whose welfare standards are low, by using analytic narratives,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step saw an increase in the social advancement of unmarried women due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occupation of white-collar, as well as the increase of women in the Academy an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econd step, the social advancement of married women was increa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New Deal, consumption capitalism, and World War II. In the third step, the sphere of highly-educated women was expanded to a professional one through active measures aimed at gender equality, an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e 1960s took place. The United States’ path model was completed in the fourth step.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complete route of the American’s Route were individual efforts of women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n labor market.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 efforts of women, especially in building capacity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labor market, whos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s well-develope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leting the route of th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in Americ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최성은 ( Seong Eun Choi ),권준이 ( Jun-i Kwon ),신가원 ( Ga Weon Shi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1 국가정책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2013년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사례를 통해 한국의 아동보호정책 형성과 변동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 옹호연합모형(ACF)에 근거하여 외적요인, 정책하위체제 내 요소들을 구조화하고 정책산출을 분석하였다. 친권제한에 초점을 맞추어 친권제한에 대한 적극적 옹호연합과 소극적 옹호연합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동학대처벌법」 제정 찬성이라는 동일한 신념체계를 가진 민간단체 중심 옹호연합의 다양한 전략들이 여론의 흐름을 변화시켜 법 제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동학대처벌법」이라는 정책산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아동보호정책 변동과정 학습기회 제공, 정책옹호연합모형 적용 정책분야 확대, 정책옹호연합모형의 타당성 증명이며, 정책적 함의로는 법적ㆍ제도적 문제점 개선, 부처 간 정보공유 및 공조체계 구축, 훈육 및 체벌에 대한 교육시행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of child protection policy in Korea through the case of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2013. Based on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model, the external parameters and the element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were structured. In addition, policy output was analyzed. It was divided into a coalition that pass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and a coalition that actively supported parental authority restrictions. Various strategies of the coalition centered on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same belief system of support for enacting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changed the flow of public opinion, positively affecting the legislation. Through this,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was finally enact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learning in child protection policy variations, the expansion of ACF applicable policy areas, and the validity of the ACF. Policy implications included improv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systems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n awareness of discipline and corporal punishment.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선별검사를 이용한 발달지연 위험인자 분석

        최성은(Seong-Eun Choi),이건희(Kon-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al delays in preterm infants. Methods: We studied 151 preterm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t the Hallym Universit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November 2016. After discharge, the infants were evaluated by a pediatric neurologist via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ASQ:SE II, which consists of five domains: communication (CC), gross motor (GM), fine motor (FM), problem solving (PS), and social-emotional (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group and an abnormal group (abnormal results on at least one of the five domains). Several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risk factors for developmental delays were analyzed. Results: Several factors, such as birth weight (BW), gestational age (GA), Apgar score at 1 and 5 min (AS1, AS5), hospital days (H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chronic lung disease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early sepsis,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history of management of invasive ventilators, dexamethasone, anti-hypotensiv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groups. BW w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individual domain analysis, risk factors were lower GA for domains CC and FM, lower AS1 for GM domain, lower BW for PS domain, and longer HDs for SE domain. Conclusion: In preterm infants, regular developmental screening especially follow-up observation, is important for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elay, considering the risk factors, such as GA (≤30 weeks), BW (≤1,500 g), low AS1, and long HDs, which may be help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분석 : 세종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성은(Choi, Seong Eun),설진배(Sul, Jin Ba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정부 저출산 대응정책의 정책도구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저출산 대응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정책지원 분야를 8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정책도구를 직접성과 적극성을 기준으로 9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세종시의 저출산 대응을 위한 자체사업(2013년~2018년)에 적용한 후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책지원 분야별 사업의 수는 자녀교육, 자녀양육, 출산지원, 임신지원, 가정생활, 일자리, 결혼 및 정주여건, 기타 순으로 많았다. 둘째, 저출산 대응정책의 집행에는 간접도구가 주로 활용되었다. 셋째, 정책지원 분야별로 활용된 정책도구를 보면, 임신지원과 출산지원 분야의 경우 직접성과 적극성이 높은 직접공급방식의 정책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반면, 그 밖의 자녀양육, 자녀교육, 결혼 및 정주여건, 가정생활, 일자리 분야는 직접성이 낮고 적극성이 중간수준인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다 효과적인 정책도구 활용의 필요성과 지방정부의 저출산 대응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a direction for policies responding to the low fertility by analyz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tools used by local governments. In this research, the study categorizes the types of policy tools into nine types based on the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and, the fertility support projects conducted by Sejong City from 2013 the 2018 are divided into eight polici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projects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education for children, child-rearing, childbirth support, pregnancy support, family life, employment,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 Second, indirect tools were mainly used to enforce the low fertility policy. Third, the direct tools, which have high levels of directness and proactiveness, were employed the most in pregnancy support and childbirth support. For other areas such as child-rearing, children education, marriage and residency conditions, family life, and employment, indirect tools which have a low level of directness and an average level of proactiveness were mostly us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tools to resolve the low fertility issue.

      • KCI등재

        합계출산율 변화에 대한 재이해: 연령별 출산율 변동 방향성 분석을 중심으로

        최성은 ( Choi Seong Eun ),최영준 ( Choi Young J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연령별 출산율의 증감변동유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합계출산율 증감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 계산식을 고려하여 전년 대비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을 일으키는 모든 경우의 수를 증가, 감소 각 5개 유형(총 10개)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논문 지면의 한계상 17개 시·도의 분석 결과를 담지 못하고, 대신 2012-2018년 합계출산율 평균 상위 10% 광역자치단체인 세종, 전남과 하위 10%에 속하는 부산, 서울의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 결과를 통해 각 지자체별로 합계출산율의 증감변화를 단순하게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수치의 증감은 분자요인인 출생아 수뿐만 아니라 분모요인인 여성 연앙인구수 변동에 영향을 받으므로, 합계출산율이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생 정책 대응 수준을 평가하는 잣대로 여겨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If the birth rate by age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births and women’s population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at policy responses should be follow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emographic profile of each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type of the birth rate by 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more accurate evidence of changes in the total fertility rate by accumulating the basic data of the fluctuation types of the birth rate. Taking the formula of the age-specific fertility rate into account, we create 10 fluctuation types of the fertility rate. Then, we analyze the types of local governments with the top 10% and bottom 10% fertility rates from 2012 to 2018. We foun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for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not be simply interpreted. The fact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increased’ and ‘decreased’ year-on-year for each local governme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number of newly-born babies but also b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female population, which is a denominator. Therefore, we argue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should not be considered a simple yardstick for assessing the level of low birth rate policies of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
      • M. Heidegger의 존재론 사상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Ⅰ] - opus magnum “있음과 시간” 이전까지

        최성도 ( Choi Seong-do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6 존재론 연구 Vol.14 No.-

        M. Heidegger는 대단히 많은 저서들을 냈다. 그러나 그 중 그의 주요작품인 “Sein und Zeit”(다음부터 SuZ로 줄여 씀)은 “이 세기의 저서들 중 그것과 비교될 책이 없을 정도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H. Arent, W. Biemel, D. F. Bollow...). 우선 철학 분과에서 현상학과 해석학에 새로운 전기를 주었고 시문학, 신학, 언어학, 심리학, 역사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빛과 그늘을 드리웠다. 그럼에도 “SuZ가 출판된지 50여년이 지났어도(1984년에) 하이데거의 창조적인 새로운 사상에 걸맞는 것은 거의 하나도 없고 뿌리 깊은 선입견만 있다”고 하여 SuZ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하기란 불가능한 것처럼 말하는 이도 있다(F. W. von Hermann). 한편 SuZ가 출간되자 엄청난 환영의 반대편에는 극단적인 비난이 서린 비판도 있었다. “그것은 독자적 인 사상이 아니라 키에르케고르, 쇼펜하우어, 니체, 딜타이. 훗설, 막스의 사상의 종합 작품이고”(M. Beck), “도처에 모순된 내용에다 억지 설명이 경이롭다”고 경멸하는 이도 있었다. (W. Jens, A. Fischer) 이 같은 극단적인 양쪽의 주장은 SuZ가 명쾌하게 이해될 수 있게 쓰이지 않았다는 것을 거꾸로 반증하는 셈이어서 그 해석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랐다. 실존철학도 아니고 인간론도 아니고 윤리학과도 전혀 관계가 없으며 오직 실존론적 “기초 존재론”이라고만 완고하게 주장하는 책의 지은이인 하이데거의 견해를 충성스럽게 따르는 철학자들이 대부분이지만, (R. Schaffler. F. W. von Hermann, H. Otto..), 인간학이다(E. Husserl), 신학과 관련이 깊다(Gethmann, Siefert, M. Jung, D. Caputo, T. Kisiel, L. Weber…)고 보는 학자들 외에 아예 위장된 신학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K. Loewith, E. Schlier...). 이밖에도 어떤 이는 그것을 실존철학으로 간주하기도(F. Heinemann, J. P. Sartre) 하는데, 한국에서는 후설의 현상학의 영향을 받은 “해석학적 현상학”이라고 주장하기도 하고, 나아가 “하이데거는 현상학자다”라고 선언하는 이도 있다. 이 연구의 주요목표는 하이데거가 완고하게 주장하는 그의 “존재론”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어 발전 또는 전환되어 갔는지를 추적하여 그 실체를 밝혀내고 나아가 저렇게 많은 견해와 주장들이 제기된 배경을 애들러 드러내주고자 한다. 덧붙여서 지금까지 한국의 하이데거를 연구하는 철학계에 고착된 “실존론적 기초존재론”이란 단편적 연구와 교육에 반성의 소지를 제공하고 보다 넓은 시야를 열어주어 사색의 길을 풍성케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사제가 되기 위해 또 기독교 철학과 교수가 되기 위해 청춘을 다 바친 하이데거가 ⅰ. 신학적 유산을 형성한 것을 성장과정에 따라 확인하고 이를 철학의 주제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살필 때 ⅱ. 후설에게서 현상학을 받아들였으되 그 방법만을 흡수하여 자기의 연구방법으로 삼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ⅲ. 신학적 인간관에 접목된 딜타이의 삶(생활)의 철학을 채용하여 1927년 SuZ가 출간되기 직전까지 존재론이란 이름의 사상에 개념적 분석으로 전환되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이데거는 SuZ의 S. 72의 아래설명에서 “지은이는 환경세계분석과 Dasein의 실제사실의 해석학은 WS 1919/20 이래 반복해서 강의해 왔다”고 알린다. 이는 하이데거가 SuZ의 내용의 전체적인 것을 초기 강의시절부터 다루어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그의 존재론의 형성과 발전과정의 탐구를 그 때부터 아니 그 때의 학문적 풍토에 밑거름이 된 그 이전 시기부터 추적해 보면, 하이데거의 철학이 순전히 처음부터 후설의 현상학의 영향을 받아 철학을 했다거나 젊은 시절 많은 현상학의 이름으로 강의를 했다고 하여 그의 철학이 현상학이라고 단순히 말할 수가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오랜 신학공부를 통해 습득한 신학적 유산으로부터 얻은 지식으로 자기 철학 사장의 내용을 형성하고 있으며, 후설에게서 배운 현상학을 채용하였으되 그대로 현상학 연구에 몰두하여 그의 이론을 깊이 있게 발전시킨 것도 아니고 자기 나름대로 받아들여 연구의 방법으로 이용하였는데 그것은 단순하면서도 핵심적인 것 하나-존재를 현상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행위하면서 관계를 맺고 지향하는 정신의 이행 양상을 드러내어 밝히고 이해하는 해석으로서 받아들이면서 나아가 이를 딜타이의 삶의 철학에서 기본적으로 학문적 분석의 다양한 틀을 얻어내어 이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형성하는 기초는 신학적 인간관과 그 삶의 방식인데, 종말론적 역사의식을 갖고 사는 기독교인의 치열한 삶의 정신이야말로 살아있는 역사적 정신이요 존재자의 존재이해의 구심점이 되었다는 것이라 하겠다. (다음 논문 Ⅱ에서는SuZ에서 신학적 내용과 용어가 어떻게 탈색되어 철학적으로 전용되어 사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게 될 것이다. Heidegger veroffentlichte viele Bucher, die entweder theologisch gestimmt zu sein scheinen oder oberflachlich betrachtet von der Theologie ganz frei sind - entsprechend kann man seine Vorlesungen und seine Schriften lesen. Doch die Tatsache, dass SuZ das Hauptwerk Heideggers ist, kann niemand leugnen. Mit dessen Erscheinen. so schien es. war ein unbekannter Professor' an die Spitze der damals Philosophierenden uberhaupt gelangt und daruber hinaus ist es ein Werk mit 'ungewohnlichem Erfolg'. In der Tat bot SuZ nicht allein fur die Phanomenologie und die Hermeneutik einen erneuten Wendepunkt in der Philosophie, sondern auch in Theologie, der Literatur-und Sprachwissenschaft, selbst in der Psychologie (Psychiatrie). Historiografie, Kunst und Physik entfaltete es eine reichhaltige Wirkung durch eine sehr starke Rezeption in den verschiedenen Bereichen. Was besagt es, wenn ein Buch eines jungen Philosophen in vielen verschiedenen Bereichen eine große Wirkung entfaltet? Es wird sich zeigen, dass das Buch einerseits in der Philosophiegeschichte von epochaler Bedeutung und andererseits, dass eine eindeutige Interpretation nicht einfach ist. Die vorliegende Frage bringt uns zuruck zur 'theologischen Herkunft" Heideggers, als er so beknnte, "Ohne diese theologische Herkunft ware ich nie auf den Weg des Denkens gelangt. Herkunft aber bleibt stets Zukunft." Lasst der Einfluss der Theologie auf die Entstehung, Entwicklung und den Aufbau von SuZ beweisen, so kann man SuZ besser verstehen werden. Es liegt doch nicht in der Absicht dieser Untersuchung, die Daseinsanalyse von SuZ als Fundamentalontologie begrifflich zu erortern, vielmehr sollen die Gange der Entstehung von SuZ unter Einfluss der Theologie im Einzelnen verfolgt, der gesamte Inhalt und die Baugefuge von SuZ im Hinblick auf Theologie(bzw.Bibel) ausgelegt, sowie die jeweils verschiedenen Phasen ihrer Gestaltung aufgezeigt und verglichen werden. Heidegger schreibt in der Anmerkung auf der Seiten in SuZ: "Der Verfasser darf bemerken, dass er die Umweltanalyse und uberhaupt die Hermeneutik der Faktizitat' des Daseins seit dem WS 1919/20 wiederholt in seinen Vorlesungen mitgeteilt hat." Auf dieser Basis gehe ich davon aus, dass zunachst die Stufen der Aneignung der theologischen Herkunft Heideggers in ihrem chronologischen Verlauf (1889-1926) ausgeleuchtet werden sollten. Darauf folgt die Erorterung der Entstehung, der Entwicklung und des Aufbaus des Denkens in SuZ (1927), die ich anhand einer strengen Untersuchung der Vorlesungen von 1917 bis 1926 entfalten mochte. Nun wird zunachst die religiose, christliche Situation der Kindheit Heideggers als verborgener Anfang seines Denkweges freigelegt Dabei wird auch Heideggers Gang nach Konstanz interessant werden, da er diesen in der Absicht unternahm, Priester zu werden. Anschließend wird die Freiburger Gymnasial-und Studentenzeit in ihrem Zusammenhang mit der christlichen Lebenserfahrung betrachtet. Diese Einzeluntersuchungen sollen helfen zu begrunden, warum - meiner Meinung nach mit Recht - von Heideggers Philosophie als theologia generalis gesagt worden ist. 1915 begann Heidegger mit seiner akademischen Laufbahn als Privatdozent. Er hatte dabei sowohl die Gelegenheit, seine bisherige theologische Herkunft weiter zu entwickeln und zu vertiefen. gleichzeitig seinen eigenen philosophischen Denkweg zu suchen konnen. Anschlissend zeigt sich. wie Heidegger die phanomenologische Methode Husserls und die hermeneutische Methode Diltheys in SuZ anwandte. Heidegger lernte einerseits von Husserl die phanomenologische Methode als die Intentionalitaet und andererseits von Dilthey das Sein als das Leben aus der Geschichte zu interpretieren. Wie fuer Husserl. so ist auch fuer Heidegger Phanomenologie Ursprungswissenschaft mit einer radikalen Tendenz. Der Weg zum Ursprung ist aber nun der Weg vom Leben in seiner Faktizitaet zum Leben in seiner Geschtlichkeit. Phanomenologische philosophieren ist ein Mitgehen mit dem Leben. Heidegger gruendet die Phanomenologie im Versthen des faktischen Leben in der Hermeneutik der Faktizitaet. Das faktisches Leben hiess es. zur geschtlichen Erfahrung des lebendigen Geistes in der Welt zu fuehren. wie Urchristliche Gemeinde. Seit 1919 deshalb hat Heidegger den Gegenstand der Phanomenologie als diefaktische Lebenserfahrung begriffen. die aus dem Urchristentum ihr Vorbild (Paradigma) bezogen hat. Diese 'faktische Lebenserfahrung'wird nun in SuZ in 'Sein des Daseins in Alltaglichkeit" umgewandelt. (d.h. faktisch = Alltaglichkeit. Lebenserfahrung = Sein des Daseins) anders gewendet. zu Seinsweise der Existenz. Daraus koennen wir bemerken. dass Heidegger auf den Boden seiner eigenen theologischen Herkunft eigene phanomenologische Methode und das Lebensform von Dilthy zusammengestelt hat. Die Auslegungdes faktischen Lebens muss die ueberlieferte Begrifflichkelt von Grund aus neu zur Fragemachen. die Seinslehre oder Ontologie von der Auslegung des faktischen Lebens aus neu Problem werden lassen. Im naechsten Untersuchung II wird- in einer starken Beschraenkung der entwickelten Fagestellung-gezeigt werden. wie Heidegger sich die Erfahrung der Geschichte von Philosoph wie Dilthey und von der Lebenserfahrung des christlichen Glaubens nahebringen liess, um diese Erfahrung dann hinzutragen in die neu zur Entscheidung gestellte fundamental Ontologie der Su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