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30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에 관련된 요인 분석: 2016–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최민아,김민정,김석중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6

        Background: Research has reported that atopic dermatitis degrades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therefore, explored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ethods: Three hundred and forty-eight adul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recovery group, 146; atopic group, 202) in the Korean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Complex sample descriptive, crosstab, and logisticanalyse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erms of sociodemographiccharacteristics, lifestyle, ment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Results: Among sev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age, sex, and marital status. When these factors were included ascovariates in logistic regression models, adul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overy group if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ir health condition, iftheir stress recognition was low, and if they had enough sleep time during the week. Furthermore, adul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overygroup if they were engaged in high- and moderate-intensity activities at work and leisur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mental health, sufficient sleep time, and high- and middle-intensity activities are important factors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e expect that these findings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young working adults who suffer from atopic dermatitis. 연구배경: 아토피피부염은 사회초년생에 해당하는 20–30대 성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30대 성인 중 아토피피부염에 관해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348명(호전군: 146명, 비호전군: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요인, 생활습관및 정신건강, 신체활동 관련 요인으로 나누어 복합표본 기술 통계,교차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 중 연령, 성별, 결혼 여부가 성인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연령, 성별, 결혼 여부를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 스트레스 인지율이 낮은 경우, 주중 수면 시간이 많은 경우 아토피피부염 호전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일이나 여가 활동에서 중/고강도 신체활동을 한 경우 아토피피부염 호전군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성인에게 긍정적 정신건강, 충분한 수면, 중/고강도 신체활동이 아토피피부염 호전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아토피피부염으로 고통받는 사회초년생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서울지역 대학생 및 졸업생이 인식하는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전공변경 의도 및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관계

        최민아,김지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의 최초 전공선택 결정요인과 이후 전공 변경 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전공 만족과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추가로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시 거주 남녀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총 설문지 310부 중 응답 누락이 있거나 동일 응답을 반복하는 등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9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은 전공 만족, 전공 몰입, 전공 변경 의도에 유의미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공 선택 결정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이나 장래성 요인이 높아질수록 불필요하고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긍정적 심리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전공 만족과 전공 몰입은 전공 변경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선택 결정 요인의 하위 요인 중에서 개인적 요인, 장래성 요인과전공 변경 의도 사이에서 전공만족과 전공몰입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궁극적으로 부정적인 전공 변경 의도를 낮추는 효과와 연관됨을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실제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공에 대한 만족 및 몰입 수준을 높이고 전공변경 의도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핵심 변수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전공 및 진로, 미래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학술적시사점이 있다. 둘째, 최근 대학입학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른 우수 인재 유치 전략의 필요성과 대학 경쟁력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소속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실무적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법) 비대면 극창작 수업 사례를 통한 수업모형 개발

        최민아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4

        In college, teachers have taught playwriting to learners with the educational method used in novel or poem writing classes. The joint review is a primary teaching style to get feedback from peers and improve their plays. However, the method of the joint review needs to change for the learner who is familiar with multi-media and are comfortable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thod for playwriting classes using PBL(project-based learning) in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and to find ways to encourage peer's diverse feedback. Using the case of the students in Dramatic Writing major at Baekseok Art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s that steps of drama structure design the class, and through online feedback, learners exchanges their opinions and thoughts and follow these steps to achieve their small goal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 teacher sets the project's goal, the one-act play, and learners set the rules for a safe environment for discussion. Then, during the writing process, such as logline, synopsis, 3parts of play, learners submit their writing to the online classroom and get an opportunity to read their peers' writing. After reading, with both ways, actual speech and (writing) chat in the online class, learners can get much feedback within a short period. In each step of writing, learners observe mistakes in peers' writing that they usually make in their writing and learn how to be fixed or find a better way. That accumulates their knowledge, and a teacher does not need to give a lecture and guide them to complete their final project. Furthermore, they also feel achievement and solidarity that encourage learners to finish their final goal and give sincere opinions to peers. It demonstrates that through class satisfaction surveys and interviews, learners deeply realize that peers' feedback influenced the positive effect on their works, even though, sometimes, they were confused by feers’ diverse feedback. Consequently, this PBL class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stimulates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activeness of learners. 본고는 교실에서 대면으로만 이루어지던 합평 위주의 창작 수업을 테크놀로지와 멀티트래킹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성향을 고려하여 디지털 수업 환경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PBL(Project-Bas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 설계와 운영 사례를 연구하여 수형 모형을 제안한다. 수업은 단막극 창작이라는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하여 통합적 지식을 습득하고, 능동적인 자세로 동료 학습자들과 피드백을 나누며 협력하는 과정으로, PBL의 기본 목표에 맞게 활용되었다. 또한 자기주도적 역량을 강화한 창작 과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창작 과정을 극의 전개에 따라 세분화하여 (소)프로젝트로 만들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또한 비대면인 만큼 학습자들이 낙오되지 않고 집중할 수 있도록 수업 내외에 동료 학습자와 활발히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소통 창구를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스스로 세운 규칙에 따라 안전히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고, 지속되는 수업 가운데 생성된 서로에 대한 신뢰와 타당성 확보는 교수자의 주도적 역할을 축소시키는 대신, 학습자들 간의 유대감과 협력을 형성하였다. 학습자들은 의견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문자로 기록되는 피드백을 선호하였으며, 제한된 시간 안에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어 많은 학습자들과 함께한 창작 수업에 매우 효율적이었다. 축적되는 창작 과정의 공유는 학습적인 면에서도 극의 단계에 필수요소들을 파악하고, 다른 학습자의 많은 작품이 창작되는 과정을 처음부터 공유하며 다양한 창작의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는 유익함이 있었다.

      • KCI등재

        이상한 나라에서 온 소녀:영화 <마녀>와 <한나(Hanna)> 속 소녀 캐릭터의 특성 연구

        최민아 한국극예술학회 202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70

        According to Rosi Braidotti's view, which is that these words 'mother, monster, machine' are closely related and directed to feminist theories and cultural phenomenon, the emergence of powerful feminine adolescence in the films, <Maneyo> and <Hanna> could be explained with three words in this paper. These films that have a girl killer as a leading role, have similarities in their plots. These girls in the films are born by advanced science such as gene manipulation and constantly confront enemies who try to kill them. The girls' birth without mothers illustrat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ol woman's body as well as mother's role. The absence of mother and the substitute of mother trying to kill girls mean male patriarchal society's attempt to tame them. During the enemies' attack and the girls' resistance, the girls have processes of developing as themselves. Finally, their enormous power and uniqueness are revealed the world and instantly the girls are considered as a monster. Although the girls are not a man nor an adult, they became a threat to the male-society. The girls' power created by science and their immature images are shown as a marker of malleable identity at the same time potentiality for the future. Even though the images of feminine adolescence are consumed in the popular culture,the emergence of a powerful and strong girl in films means the crucial markers of cultural and social change. 본 연구는 브레이도티가 여성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들을 위해 제시한 ‘어머니/괴물/기계’의 개념을 차용하여 조 라이트 감독의 <한나>와 박정훈 감독의 <마녀>에 등장하는 소녀 캐릭터를 분석한다. 두 영화 속에서 과학기술에 의한 두 소녀의 탄생은 출산의 영역을 과학이 장악하면서 어머니의 존재는 부재하고, 고립된 소녀들은 가부장적이고, 남성위주의 합리적인 질서가 강요되는 세계 속으로 뛰어드는 현실을 보여준다. 괴물이 가진 상징성이 다름에서 오는 이질성을 의미하듯이 소녀들 역시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을 가진 가늠할 수 없는 존재, ‘타자’라는 낙인이 찍혀 억압당하고, 배척당하는 존재로 규정지어지게 된다. 여성이라는 구체적 정체성을 가진 괴물로서 소녀들의 탁월한 능력 역시 소녀들을 위협적인 타자로 규정짓게 만들어 기존 논리들과 사회 체제를 보다 단단히 구축하고 존속하기 위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 되고 만다. ‘과학적 합리성’을 규범적 범주로 규정할 때 과학적 효용의 측면을 위해 만들어진 소녀들의 향상, 증강된 능력은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지만 그 능력이라는 것이 기득권이 감당할 수 없는 과도한 것이 되는 순간, 사회구성원으로서 그녀들은 배제되고 만다. 영화 속에서는 포스트휴먼인 소녀들의 이미지는 보호받아야 할 존재이면서 동시에 괴력을 가지고 있는 이중성과 함께 과학의 영역을 몸에 소유하며 이상화 혹은 대상화되어 드러난다. 남성도, 어른도 아닌 ‘이중적 타자’로서 소녀 캐릭터는 관객과 거리를 유지하면서 과학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남성중심 사회의 허구와 악들을 드러내며 전복을 꾀하는 창조적 파괴성과 변화의 역동성을 표현하려 한다. 아울러 그녀들이 가진 젊음과 능력은 가능성과 잠재력에 등가물로 미래에 대한 희망과 함께 지금의 현실이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중요한 지점에 있음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관객이 마지막으로 주목하게 되는 것은 그녀들의 이야기와 목소리가 아니라 소진되어 가는 소녀의 이미지에 담긴 괴물적 능력, 그리고 그 놀라운 능력을 만들어낸 과학의 우월함이며 나아가 굳건한 가부장적 체제 속에서 위태로운 그들의 미래이다.

      • KCI등재

        피그말리온의 재현─텔레비전 드라마 <보그맘>과 <로봇이 아니야>속 여자 로봇

        최민아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3

        Television drama <Borgmom> and <Roboti Aniya>(It’s Not a Robot) are based on the myth in which Pygmalion falls in love with a ideal woman who he created. Revealing their sexuality, female robots in the dramas are illustrated as a perfect mother or a lovely girl friend reinforced stereotypes and femininity. Basically women robots can be read as temptation of technology and incomprehensibility which are double threat for man centered society. However, female robots in the dramas are created as a controllable and dependent character and are granted “otherness” who people hardly can sympathized with. The man who created the female robots always take care of them and become leading roles, assuring patriarchal rules. Even though their fixed positions between a creator(man) and a creature(woman) are problematic, people's fear and horror of technology and uncertain future are reflected on their relationship. In the end of the dramas, finally female robots are united with men therefore doubt and fear for woman and technology are gone which means patriarchal rules are firmly rebuilt and nothing can be changed. 자신이 만든 완벽한 여인상과 실제로 사랑을 하게 되는 피그말리온 신화의 기본 서사는 예술의 여러 분야에서 매력적인 소재로 사용되고 있지만 창작의 주체인 남자의 관점에서 그들의 능력으로 통제되는 객체인 여자를 그리며 남성중심적 가치관을 드러내는 한계를 보여준다. 피그말리온 신화의 서사를 기반하고 있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보그맘>에서는 무슨 일이든지 해내는 엄마와 사랑스런 아내의 모습으로, <로봇이 아니야>에서는 사랑스런 여자 친구의 모습으로 섹슈얼리티를 드러내며 언제든 남자 주인공의 필요와 결핍을 채워주는 대상으로 형상화된다. 이처럼 드라마는 여자 로봇의 여성성과 전형성을 부각시킴으로 남성과 여성에 대한 관습적인 가부장적 사고방식을 재연하고, 감정의 이입이 어려운 낯선 대상으로 그려내 ‘타자성’을 부여한다. <보그맘>과<로봇이 아니야> 속 여자 로봇은 테크놀로지 기술의 유혹과 함께 여성이라는 정체성으로 인해 위협적인 존재이지만 드라마 속에서 만큼은 제어가 가능한 사랑스러운 존재로 창조자인 남성 캐릭터에게 의존적이고, 종속적으로 그려진다. 실상 드라마 서사 속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창조자-피조물의 고정된 성역할과 이들의 관계는 기술과 문명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여성에게 집중적으로 투사하는 경향의 또 다른 표현으로, 여자 로봇은 “남성적 의지에 의해 형상화되는 대상” 윤조원, 「미적가치와 여성성의 교착: 피그말리온 신화를 넘어」, 『미국소설』 17권 3호, 미국소설학회, 2010, 72면. 이며, 불완전한 기계적인 특성으로 끊임없이 창조자에 의해 점검과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드라마 속에서 여자 로봇들은 결국 창조자와의 감정적 교통으로 화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테크놀로지와 여성에 대한 불안감이 제거되고, 동시에 기존의 남성중심 권력관계는 다시 한 번 확고히 정립되는 것이다.

      • KCI등재

        黃連解毒湯 외용제를 적용한 국내 치험례 고찰

        최민아,김규석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22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35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view study is to identify clinical indications of Hwangryunhaedok-tang(HHT) external appli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reatment by analyzing domestic cases applying HHT external treatment except for pharmacopuncture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235 studies published in Korean since 2000 from four domestic database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KTKP),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s(KISS) using keywords such as 'HTT and external use', 'HHT and external agent' 'HHT and wet dressing', or 'HHT and case'. We excluded duplicate papers, papers related to acupuncture including pharmacopuncture, or papers not related to the topic. Results : We selected and analyzed seven case reports. HHT external agent was used alone in one case, as main treatment in two cases, and as adjuvant treatment in four cases. HHT external application was applied to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mainly in the form of wet dressings. Conclusion : HHT external agent may be effective on various skin diseases accompanied by inflammation when a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tage. Based on this resul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primary clinical indication of HHT external agent.

      • KCI등재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의 그릿(Grit)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민아,한수정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이 인식하는 그릿(Grit)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평생교육 기관 등에서 평생교육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수강생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6.0,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연구 과정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의 그릿과 긍정심리자본, 교육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모든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기관 수강생의 그릿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매개효과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그릿, 긍정심리자본,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밝힌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역할을 밝혔다는 점에서 평생교육기관 교육만족도와 관련된 이론적 기초자료가 될 것임을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민아,서미아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과 PROCESS macro 4.0을 통해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및 매개 효과,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Boostraping을 통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정서표현양가성,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는 변인 간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가 모의 심리적 통제와는 달리 직․간접 영향력이 모두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의 심리적 통제보다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양가성에 의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추가분석을 통해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요인인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이성 간 비현실적 기대의 하위요인인 독심술과 조절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이성 관계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상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unrealistic expectations among romantic relationship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f major variables applying SPSS 26 and PROCESS macro 4.0, and a boosting algorithm was employed to verify significance. Results: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unrealistic expect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were confirm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lational ambivalence lowers mind reading among unrealistic expectations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f you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emotions through counseling, you can help restor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form healthy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