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병주,김용하,권영종,정회성,염형민,황희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8 도시정보 Vol.194 No.-
1995년 5월 기초·광역자치단체장을 모두 주민의 손으로 직접 선출함으로써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였다. 지방자치란 도시의 행정과 계획이 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며, 모든 의사결정과정에서 주민의 의견수렴과 참여가 보장되는 정치체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자치시대의 도시개발정책은 임명제시대의 개발정책과 근본적으로 달라야 한다. 중앙집권시대에 도시개발정책이 통치자 논리에 의한 획일성이 강조된다면, 민선시대의 도시개발정책은 주민의 가치가 보다 존중되는 도시개발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금년으로 8년째를 맞는 우리의 지방자치는 긍정적인 측면이 적지 않으나 부정적 측면을 만만치 않게 드러냈다. 개발정책과 관련해서는 어두운 면이 특별히 많았다. 얼마 후면 새로운 모습으로 출발할 지방화시대, 세차게 몰아치는 IMF한파 속에서 21세기를 대비한 도시정책을 어떻게 펼쳐야 할 것인가?
이종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3 도시정보 Vol.12 No.9
현재 가속되고 있는 도시권의 교통체증은 경제활동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금과 같은 교통시설 공급 추세로는 급증하고 있는 교통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 더우기 주로 승용차를 위한 도로 확충으로서는 단시일내에 수급격차를 좁히기 힘든 실정이다. 한편, 서울, 부산 등의 대도시에 있어서는 지하철이 건설되고, 도시권의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건설비가 막대하기 때문에 도입될 수 있는 곳은 큰 교통수요를 예상할 수 있는 대도시에 한정되며, 수요가 적은 중·소도시에서는 경제성이나 경영 채산성면에서 어렵다. 그리고 도시교통을 지탱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버스가 있지만, 버스는 도로교통 혼잡의 영향을 직접 받음과 동시에 버스 자체가 다른 자동차 교통의 방해가 되기 때문에 최선의 대안은 아니다. 대중교통수단은 다양한 승객의 성향에 따라 그 선택의 폭이 넓어야 개인 교통수단인 승용차의 대체적인 수단으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도시권 대중교통수단의 선택폭은 지하철, 버스로 한정되어 있으며, 그 서비스 또한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결과 대중교통수단은 대부분 자가용 이용이 어려운 계층에 의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자가용 소유자는 자가용 이용을 더욱 선호하고 있다.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의 제공은 이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여 결국 승용차 이용의 감소효과를 가져다 준다. 따라서 지하철과 같은 정시성의 버스와 같은 유연성을 가진 새로운 新 대중교통 수단의 도입이 필요하다. 신 대중교통 수단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명확히 구분하기가 어려우며 아직 선진국에서도 뚜렷한 분류기준이 없다. 대체로 신 대중교통수단을 크게 도시모노레일, 무인자동 대중교통시스템인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LRT(Light Rail Transit) 그리고 궤도버스 시스템 등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본 고에서는 이들 중 무인자동 대중교통 시스템인 AGT시스템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조명래,최병선,허재완,김창석,안건혁,황희연,배창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9 도시정보 Vol.206 No.-
본래 도시계획 전문용어이지만 이제는 일반인들에게도 친숙해진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의 의미는 도시의 과도한 성장이나 인접한 도시간의 연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도시의 주위 또는 도시와 도시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영구적 미개발 보전지대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