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唐代 천수천안관음보살 도상 연구

        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19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is an Esoteric Buddhism Bodhisattva known for saving humankind with its unique form, as depicted in iconography. Existing research on this bodhisattva has often focused on regional or period-specific aspects. In Japan, for example, many have been studied as instances of Transformed Avalokitesvara, and recent research has delved into individual artifacts. In this context, Chines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research requires a new perspective study through specific classification of artifact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iconography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categorizing artifacts into distinct types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 analysis extends to characteristic expressions observed in the Tang Dynasty and later period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the iconography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artifacts produced in Korea. The many faces and arm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er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m, drawing from Hinduism. Initially,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paving the way for the complete form of a Bodhisattva with numerous faces and arms in th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This Chinese Bodhisattva was venerated around Changan in the mid-to-late 7th century. However,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Persecutions in China, active creation centers shifted to Esoteric Buddhism areas such as Sichuan and Tunhuang. This paper conducts an analysi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artifacts,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ypes: A, B, and C. Type A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features several large hands and numerous small hands. Type B is characterized by an icon with 40 large hands, while Type C includes 40 large hands, a halo made up of small hands, and several families, including 28 families. Each type reflects the influence of specific scriptures and incorporates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iconography. Type A is found in the Changan and Sichuan regions, while Type B was produced in Sichuan and Tunhuang. Types A and B seem to represent early expression methods whe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first flowed into China and began to be created. Type C appears to have been formalized as the most prevalent style during the Tang Dynasty, influencing subsequent generations. Even after the Tang Dynasty, it also follows Type C. However, there are changes that emphasize a thousand hands or 11 faces, as well as the relics become huge. In Korea,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千手經' there are fewer artifact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Rather than creating a new heterogeneous shape, it appears that the character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as added to existing icons. In China, a common form of voyeurism was also made into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The Korean painting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supporting the opinio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ith its Esoteric Buddhism character, gained prominence during the Tang Dynasty and continued to be created steadily after the Song Dynasty. Beyond the character of Avalokitesvara, its many faces and arms facilitate visual expression of believers' aspirations. The C-typ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evolved after the Tang Dynasty, becoming popular and spreading to East Asia, where it became an object of faith in various countries. Building upon prior studie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ang Dynasty's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iconography,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East Asian research o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千手千眼觀音菩薩은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밀교계 보살로 도상에서 그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천수관음 연구는 지역별 혹은 시기별 양상에 집중하여 중국의 천수관음을 포괄적으로 살폈다. 일본에서는 변화관음의 한 작례로 다룬 예가 다수이며, 최근에는 개별 유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천수관음 연구는 유물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를 통한 보다 새로운 시각의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국 당대 천수관음 도상에 집중하여 현전 유물을 유형 분류하고 각 유형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각 유형을 바탕으로 당대와 그 이후에 보이는 특징적인 표현을 살피고 아울러 한국에 유입된 천수관음 도상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천수관음의 다면다비 도상은 밀교가 전개되면서 힌두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먼저 십일면관음이 조성되었으며 다면과 다비를 갖춘 보살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는 천수관음이 등장하였다. 중국의 천수관음은 7세기 중후반 장안을 중심으로 신앙되었으나 폐불의 영향으로 사천이나 돈황과 같은 밀교 유행지를 중심으로 활발히 조성되었다. 본 고에서는 천수관음 유물을 분석하여 A, B, C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A 유형 천수관음은 大手와 간략한 小手를 갖추었으며 B 유형은 40대수를 지닌 도상이다. C 유형은 40대수와 소수로 이루어진 광배, 그리고 28부중과 같은 다수의 권속을 둔다. 각 유형은 특정 경전의 영향이 드러나기도 하며 기존에 조성된 도상으로부터 유입된 특징이 표현되기도 한다. A 유형은 장안 등지와 사천 지역에서 등장하며 B 유형은 사천과 돈황에서 조성되었는데 이들은 천수관음이 중국에 유입되어 조성되기 시작한 초기적인 표현법으로 확인된다. C 유형은 당대에 가장 많이 제작된 양식으로 정형화되어 이후 후대에까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이후에는 C 유형 도상을 따르고 있긴 하지만 조상이 거대해지고 천 개의 손이나 11면이 강조되는 등의 변용도 나타난다. 한국의 천수관음은 『천수경』이 유행한 것에 비해 전해지는 유물이 적은데 이질적인 형상인 천수관음을 새롭게 조성하기보다는 기존에 신앙되었던 도상에 천수관음의 성격을 더해 봉안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중국에서는 1면2비의 관음을 천수관음으로 조성하기도 하였으며, 한국에 남아있는 천수관음도에 수월관음의 도상적 특징이 표현되어 있어 의견을 뒷받침한다. 천수관음은 밀교적 성격을 지닌 존상으로 당대 밀교의 유입과 함께 신앙되었으나 송대 이후에도 꾸준히 조성되었다. 천수관음은 일반적인 관음의 성격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면다비를 갖추어 신도들의 염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에 수월하였을 것이다. 당대 이후에도 C 유형 천수관음이 변용되어 성행하였으며 동아시아에 전파되어 각 나라에서 신앙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당대 천수관음 도상의 유형별 특징과 전개 상황을 밝히고 동아시아 천수관음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알팔파와 무환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천연유화제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유화안정성 최적화

        추이웨이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71

        사회의 발전과 삶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과 삶에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늦잠, 과로와 같은 문제는 끝이 없다. 따라서 사람들이 화장품에 대한 요구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피부의 항산화 분야에 대해 늘 관심이 이어진다. 자유 라디칼 은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화학 물질로 만든 화장품에 비해 순수한 천연 물질로 만든 녹색 항산화 화장품은 시장 전망이 더 넓다. 본 연구에서는 용매추출법에 통해 추출 얻은 무환자 사포닌과 알팔파 사포닌을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하고 그중에서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한다. 위에서 만든 천연계면활성제는 뛰어난 항산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화 공정의 실험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CCD-RSM을 사용했다. 최적화 반응치, ESI, MDS, DPPH 자유라디칼소거 활성이며 유화시간, 유화제 첨가량, 총 천연계면활성제 중 무환자 추출물의 비율은 독립변수이다. 유화 공정을 최적화시켜 결과는 유화시간(25.76min), 유화제 첨가량(13.22wt.%), 총 천연계면활성제 중 무환자 추출물의 비율(44.22%)이었다. 위에 조건에서 ESI(88.65%),MDS(821.09nm), DPPH 자유라디칼소거활성(38.72%)의 예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적화 조건을 이용했고 실제 실험 결과의 오차율은 2.3%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환자 및 알팔파를 섞어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천연물질을 함유한 화장품 분야의 미래 발전과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이즈미 교카(泉鏡花)의 『데리하교겐(照葉狂言)』과 『우타안동(歌行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심상과 기교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이현승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71

        이즈미 교카(泉鏡花, 1873-1939)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약했던 낭만주의 소설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문학적 측면에서 교카의작품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환상성의 원천으로써 작가의 내적 심상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작가의 내적 심상이 기교를 통해 환상으로 승화된다는 관점 하에 교카의 작품에 환상성이 성립되는 원리 및 의의를 밝히고 교카문학의 환상문학적 가치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교카문학의 환상의 본질을 이루는 작가의 심상에 대해 에로티시즘을 가장 핵심적으로 제시해온 바, 본 연구에서는 심상을 중심으로 한 교카문학의 환상성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데리하교겐(照葉狂言)』(1896)과 『우타안동(歌行燈)』(1910)을 선정하여 작가의 중심 심상과 문예적 기교가 이루는 일련의 결합과 연결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데리하교겐』에서는 현실서술로 비극성을 강조하는 기교와 마이너리티를 향한 작가의 연민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감정적 합일이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우타안동』에서는 아름다움을 극도로 강조하는 기교와 고전미의 아름다움을 예찬한 작가의 미적 철학이 연결되어, 전통 예능이 갖는 구극의 아름다움이 작품의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교카문학의 환상이 이상주의적 환상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상의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교카문학에 대한 입체적 분석과 논의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Izumi Kyouka(1873~1939) Izumi Kyoka is a Japanese romantic novelist. He worked in modern Japan from the Meiji era to the Showa era. This study aimed to discuss Kyoka’s literature in terms of fantasy literature and notes the author’s inner image as a source of fantasy. A further aim wa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bove perspective, and, finally, to discuss the literary value of Kyoka’s novels with regard to fantasy literature.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eroticism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Kyoka’s image, which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e literary fantasy in Kyoka’s literature.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with a focus on image. Two novels, Terihakyogen(1895) and Utaandon(1910),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e also conside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 and literary finesse. As a result, the emotional unity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hrough Terihakyogen and the expression of classical beauty through extreme finesse in Utaandon were confirmed as pursuits of each work. In addition, Fantasy stood out in a certain part intended to move the reader. In conclusi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author’s dream.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reconsider the existing discourse on fantasy literature is clarified. 泉鏡花は、明治時代から昭和時代にかけて活躍した浪漫主義の小説家である。本研究では幻想文学としての鏡花文学を論じ、幻想の源泉とは作家の心象を指摘している。また作家の心象が文芸的な技巧を通して幻想になるという観点で、鏡花文学に幻想が成り立つ原理と疑義を明かし、鏡花文学の幻想文学的な価値を論じることを目標としている。 今までの研究では、鏡花文学の幻想の源泉としてエロティシズムを核心的に指摘してきたが、本研究では心想を中心とした鏡花文学の幻想の追加的な研究の必要性を主張した。研究対象は『照葉狂言』(明治29)と『歌行燈』(明治43)を選択し、作家の心象と文芸的な技巧の一連の結合と繋がりを考察した。 その結果、『照葉狂言』では、現実の叙述で悲劇性を強調する技巧とマイノリティーへの憐憫が緊密に繋がっていて、『照葉狂言』を通した作家と読者の間の感情的な合一が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歌行燈』では美しさを極めて強調する技巧と古典美の美しさを賛美した作家の美的哲学が繋がっていて、伝統芸能が持つ究極の美しさが『歌行燈』の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このような分析から鏡花文学の幻想は理想主義的理想として考えられる。 以上の研究を通して最終的には鏡花文学への立体的な分析と論議を始め、鏡花文学の幻想について論じ、今までの幻想文学の談論の再考の必要を指摘していることを究明した。

      • 북한이탈주민 복음화를 통한 북한 선교 연구 방안

        천부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정착과 복음화를 돕고 이들을 통해 북한선교의 선교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전반에 대한 영향을 주는 주체사상과 북한이탈주민의 법률적인 지위와 유입 현황과 나아가 북한이탈주민의 발생 요인과 남한 사회의 정착과 복음화 현황과 갈등 등 전반적인 북한이탈주민 문제에 관하여 살펴 본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복음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 복음화 된 북한이탈주민들을 통한 북한선교 방안에 대한 선교 전략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and evangelize in South Korea, and suggest a missionary method for North Korean missions through them. The overall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luding the Juche idea that affects the overall social, cultural, and economy of North Korea, the legal status and inflow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factors of occurr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settlement and evangelization status of South Korean society, and conflicts Let's look at. In addition, it studies the plan for evange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resents a mission strategy for North Korean mission plan through evangelized North Korean defectors.

      • 전통 흑유자기 계승을 위한 유약 표현 연구

        경희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흑유자기(黑釉磁器)는 일반적으로 검은색 계통의 색을 지닌 도자기를 말한다. 유약에 철분이 많이 함유된 흑유는 유색이 갈색부터 칠흑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주로 산화철이 많이 함유된 도석질의 흙에 초목재(草木灰)를 혼합한 유약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의 흑유자기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작된 흑색토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고려시대의 흑유자기는 중국 송(宋)의 영향을 받아 강진과 부안을 비롯한 전국의 청자가마에서 특정한 기종(器種)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그릇으로 청자와 함께 제작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흑유자기는 생활식기로 제작되기보다는, 주로 저장 및 운반용의 항아리(壺)와 같은 질그릇으로 생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비색청자(翡色靑磁)를 선호한 고려시대 수요자의 취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시대 흑유자기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받아 초기에 분청사기 가마에서 적은 양이 생산되었고, 조선시대 후기에는 백자가마에서 백자와 함께 제작되었다. 18세기부터는 장류(醬類)를 바탕으로 한 음식 문화의 변화와 발달로 새로운 음식기와 용기에 대한 수요층이 증가하여 흑유자기의 제작 양이 증가하였고, 기종과 기형이 이전에 비하여 다양해졌다. 이에 19세기에는 흑유자기만을 생산한 전소(專燒)가마가 등장하였고, 흑유자기는 그 당시의 생활상과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도자기가 되었다. 이처럼 흑유자기는 고려 초인 11세기 전반부터 청자가마에서 함께 제작되어 조선후기인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생활용으로 널리 제작되었다. 그러나 19세기에서 20세기 초 전성기를 이루던 흑유자기는 일제강점기(1910-1945년)에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현재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32-나호 흑유장 천한봉(千漢鳳) 사기장이 복원, 재현하여 그 명맥을 잇고 있다. 본 연구자는 경북무형문화재 전수조교로서 천한봉 사기장의 전통 흑유자기를 계승・발전시켜 대중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태토 실험을 통해 태토의 종류별로 흑유가 어떻게 발색되는지 알아보았고, 흑토와 다섯 가지 초목재(草木灰)를 혼합한 흑유로 태토와 번조 조건에 따른 매용재마다 다른 발색의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특히 특정한 색상의 흑유자기를 안정적으로 다시 제작할 수 있도록 매용재의 종류와 비율, 태토와 번조 조건을 데이터화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차도구(茶道具)를 비롯한 다양한 생활자기로 제작하여 전통 흑유자기의 폭넓은 색상의 변화와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무문(無紋) 위주의 전통 흑유자기에 음각기법, 이중 시유기법, 무유그림 기법 등 검은색의 표면을 장식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흑유자기의 제작을 시도하였다. 천 년 가까이 지속된 우리나라 흑유자기의 전통이 단절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천한봉 사기장의 흑유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 조선후기 흑유자기의 조형(造形)과 색상을 분석하여 그 내용을 본인의 작업에 적용함으로써, 흑유자기가 현대에도 기능적이고 아름다운 전통도자기로 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Black glazed celadon generally refers to the porcelain which is blackish color. Black glaze is made from soils, which contain plenty of the iron oxide, and wood ashes. So the colors are various ranging from brown to black depending on the soils and the ashes. Korean black glazed celadon dates back to Black color earthen ware, which had been made before The age of Three kingdoms of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hina’s Song Dynasty, Black glazed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was manufactured into various types of vessels, which were not limited to certain types, along with Celadon at kilns for Celadon all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Kangjin and Buan. However, Black glazed celadon of the Goryeo Dynasty was mainly manufactured into earthen vessels for storage or carriage rather than for tableware. It is said that this was due to the taste of the people, who preferred Celadon porcelain. Succeeding the tradition of Goryeo, Black glazed celadon of the Joseon Dynasty was manufactured in small amounts at kilns for Buncheong Ware in early days but at kilns for Porcelain along with Porcelain later. From 18th century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food culture, based on sauces, forced new types of food vessels to be manufactured and this led to more various types of Black glazed celadon than before. This enabled kilns for Black glazed celadon only and Black glazed celadon became the leading porcelain that represented the life and food culture of the time in 19th century. However Black glazed celadon, which flourished from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rapidly got to disappear because of the Ethnic Culture Eradication Policy by Japan from 1910 to 1945. But then Cheon Hanbong, Royal Kiln Porcelain Craftsman, who is now Kyeongsangbukdo’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2-na for his craftsmanship of black glazed celadon, recreated the traditional black glazed celadon making the tradition keep alive. As the successor of Kyeongsangbukdo’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or the craftsmanship of Black glazed celadon, the researcher myself intended to proceed this research focusing on inheriting and developing and also popularizing the traditional Black Glazed Celadon. First, I intend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orcelain clay types on the coloration of black glaze through the experiments of different clays and also to research the differences in coloration between the baking conditions and between 5 different glazes by mixing black soil with 5 different ashes. Based on this research, I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and reliably reusable to manufacture the specific colors by making a database of black glaz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ratios of ashes, porcelain clays and baking conditions. In addition I expected to find out the potentiality of black glazed celadon with many variations of colors suitable for tea things. I also tried to manufacture new types of black glazed celadon by using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engraving, double-glazing technique, and non-glazing-drawing technique unlike the traditional Black glazed celadon, which generally has no patterns or marks. Hoping that the tradition of our country’s Black glazed celadon which has lasted over a millennium should not be extinct, I proceeded this research based on Black glazing of Cheon Hanbong, analyzed the shapes and the colors of Black glazed Celadon in late Joseon dynasty and applied it to my works trying to seek ways of recreating both functional and beautiful modern black glazed celadon.

      • 중소기업의 기업가 정신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우성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과 조직문화와의 관계에 관하여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기업가정신과 기업이 가지고 있는 조직문화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이다. 특히 중소기업에서는 창업자나 최고경영자의 역량과 의지는 경영성과 및 기업의 비즈니스 방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에 이러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최고 경영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기업가 정신과 이러한 기업가 정신이 조직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 측면에서는 각 중소기업별로 혁신성, 위험감수성, 그리고 진취성의 세 가지 측면이 고르게 나왔다. 둘쨰, 조직문화는 기업가정신의 성향으로 결정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업의 CEO의 성향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 기업가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가 개인의 역량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기업을 운영하여야 하겠다. 또한 이를 위한 기업가 개인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범람원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중류를 사례로

        미연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clarify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lake-like swamps formed in channels of Nakdong-gang river and its tributary, Gumho-gang ri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lake-like swamps, I compared topographical maps of three years(1918, 1962, 2005), analyzed the outline change of swamps, and draw their cross-sectional view. In addition, I analyzed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from swamp to natural levee in order to clarify the direction of sediment transportation and to understand better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at tim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Saegang swamp and Geumgang swamps are residual swamps which are formed in abandoned distributary channels of braided reach. In braided reach, tributaries wind freely to create a new channel or to eliminate a old channel. In case of distributary with relatively weak stream power, the waterway entrances will become blocked by superabundant sediment which exceeds transportation power. Additional flowing water does not enter into blocked waterway, and relatively deeper area of blocked waterway forms residual lake swamps as the water gather and stagnate. Second, the Ssiksil swamp and Nat swamp are yazoo-type swamps. Their stream channels run parallel to the natural levees, as it blocks the waterway of a effluent tributary flowing from backward mountains to main stream. Residual lake swamps can be formed at relatively deeper part of yazoo channel when a gateway of tributary flowing into main stream become blocked by natural levees to cause more difficultiy in the flowing of tributaries. Third, the Secheon, Hochon and Jinchon swamps are backswamp behind natural levee. As main stream overflows, natural levee and backswamp are formed. Later flowing water of next bigger flood enter through natural levee into backswamp, create a channel following backswamp. Next smaller flood recover heights of natural levee, and a channel following backswamp is abandoned to be a lake-like swamp. The overflow water which flows into the marshes at extreme flood, change the width and depth of the swamp channel to form the current swamp. And lake-like swamp retains their current form in accordance to human interference. 본 연구는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호소성 습지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세 시기(1918년, 1962년,2005년)의 지형도를 비교?분석하고 단면도를 작성하였다.그리고 하 천 유로와 호소성 습지 사이의 퇴적지형에서 퇴적물이 이동한 방향과 퇴적 당 시의 환경을 구명하기 위해 범람원 내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경을 분석하였 다.이를 바탕으로 낙동강에 분포하는 호소성 습지의 형성과정을 3가지로 유 형화하였다. 첫째,샛강습지와 금강늪은 망류하천을 이루고 있는 구간에서 분류하여 흐 르는 유로의 자유로운 이동 과정에서 남아 형성된 잔적호 습지이다.망류하천 의 경우 분류는 자유롭게 이동하여 소멸한다.분류들 가운데 비교적 하천력 (stream power)이 약한 유로에 퇴적작용이 활발하게 나타나면 유로의 입구가 차단된다.차단된 유로는 더 이상 유수가 유입하지 못하므로 비교적 깊은 곳 은 물이 고여 잔적호 습지를 형성한다. 둘째,씩실늪과 낫늪은 배후산지에서 흘러나온 지류가 자연제방의 방해로 유로가 차단되어 자연제방과 평행하게 흘러 본류로 유입되는 yazoo형 습지이 다.대부분 배후산지에서 흘러나오는 지류는 본류로 유입되지만 본류로 합류 하는 지점이 자연제방으로 차단되어 지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때는 자연 제방을 따라 지류가 흘러 호소성 습지를 형성한다. 셋째,세천늪과 호촌늪,진촌늪은 본류 하천의 범람으로 자연제방과 배후습 지를 형성한 이후에 다음 홍수 시 범람하는 본류 하천이 습지로 유입되어 형 성된 습지이다.본류 하천의 범람으로 자연제방과 배후습지라는 전형적인 범 람원 지형이 형성되고,이후에 여러 번의 홍수를 겪으면서 본류 하천이 다시 범람할 때 자연제방의 비교적 낮은 부분을 따라 범람수가 흘러들어 습지로 유 입한다.습지로 유입된 범람수는 습지의 폭과 수심 등을 변화시켜 현재의 습 지 형태로 형성하며,인간의 간섭으로 개간을 통해 현재의 형태로 고정되었다.

      •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과 다양성 경영에 관한 사례연구

        하종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 초록]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과 다양성 경영에 관한 사례연구 하 종 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한국은 1988년 올림픽 이후 외국인 기술 산업연수생제도 도입 이래 외국인 노동자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력이 집중되고 있는 한국 중소기업의 사업장에서 노동력 부족은 외국인 노동자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인력의 부족 현상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뿌리 산업 분야의 제조라인을 보유한 생산직과 농업 현장에서 노동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뿌리 산업인 제조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 및 다양성 경영에 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CEO들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크게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CEO의 인식 및 태도, CEO의 다양성 경영 실태 및 개선 방안 등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CEO의 인식 및 태도 범주는 문화 다양성 영역, 의사소통과 조직문화 영역, 외국인 노동자 정책 영역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중소기업 CEO들은 각자의 소신과 의지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한국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많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식 정도는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를 생산에 필요한 ‘소모품’이나 ‘도구’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CEO들은 한국어 의사소통, 외국인 노동자에 관한 정책, 외국인 노동자들의 다문화 활동 지원에 관한 인식, 다양성 경영 등에 대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현장에서 실천하기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고, 전반적으로 외국인 노동자와 의사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외국인 노동자들의 정부고용정책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양성 경영 실태와 개선 방안과 관련해서는 CEO들이 많은 관심은 가지고 있지만, 방법론적 측면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는 잘 모르고 있었다. CEO들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열악한 환경과 다문화관련 교육이나 행사에는 전혀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몇 연구 참여자들은 외국인 노동자들과 접촉을 강화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하고 있다고도 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의 증가는 한국 사회에서 불가피한 현실이 되었다. 한국인 노동자를 구하기 어려운 중소기업 현실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그 대안으로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문화 시대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들의 다문화 인식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들이 채용된 조직문화로의 적응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의 생산성 측면을 감안한다면, 이들을 고용한 중소기업 CEO들의 다문화관련 교육은 절실히 요구된다. 세계화된 경쟁시장에서 한국기업들이 계속적인 경쟁우위 선점을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이들의 자원들이 가진 차이와 가치를 배려하고 이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외국시장 개척에 인적 네트워크로 적극 사용하려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자세와 세계화 마인드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 개선, 다양성 경영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 개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문화 전문 강사들이 지속적으로 다문화관련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회사의 오너인 CEO들의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 한, 생산직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들은 외국인 노동자들을 하나의 ‘부속품’이나 ‘기계’로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외국에서 온 노동자를 출신지역이 다른 ‘우리나라 사람’으로 인식하듯이 ‘우리 회사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가 점차적으로 사회로 확대되어서 외국인 노동자를 우리나라의 경제를 책임지는 하나의 축으로 간주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다. 둘째, 생산직 외국인 노동자들의 고용정책이 체계적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의 조직문화 적응과 우리 사회에 빠르게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정책 개선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숙련공이 될 때까지의 시간과 비용, 그리고 숙련공이 되고난 후에 본국으로 돌아야가야 하는 현 법적인 상황에 따른 어려움들을 하소연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감안할 때 이들의 고용정책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중소기업 CEO들은 외국인 노동자의 다문화 활동 또는 다문화행사에 지원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지금 당장은 생산을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일지는 몰라도, 외국인 노동자들이 회사에서 받는 스트레스 등은 이러한 본국 출신들과 함께 하는 다문화 활동이나 다문화행사 참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국인 노동자들은 자신의 정서적 안정을 찾고, 회사차원에서는 보다 좋은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간에 윈 윈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중소기업의 체계적인 다양성 경영에 관한 모델 도입이 시급하다. 중소기업 CEO들은 다양성 경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현장에 활용할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에 적용될 체계적인 다양성 경영 모델이 제공될 경우, 외국인 노동자와 갈등 없이 상생할 수 있는 해결책들이 마련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고용한 CEO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외국인 노동자들과 서로 상생하고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CEO의 관점에서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외국인 노동자, 중소기업 CEO, 다양성 경영, 조직 문화 적응, 사회적응, 다문화 인식. Abstract A Case Study on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Diversity Management of CEOs Employing Foreign Workers in Small medium-sized industry Jong Chun Ha Maj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After the Olympics in 1988, Korea has been continuously receiving foreign workers with trainee system for foreign technology industries. In spite of this, the shortage of labor force in Korean smaller companies is getting worse. In particular, it is inevitable that laborers are needed in production and agriculture fields.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ttitude, and diversity in Korean smaller busine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CEO’s in the smaller business, who hired production foreign workers. As a result of analyzing interviews of CEO, there are three main categories: CEO’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foreign workers, CEO’s diversity management, CEO’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improvement and diversity management direction. Though each CEO has slightly different opinions or wills, they are usually lacking in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despite the fact that smaller business in Korea needs a lot of foreign workers. In fact, there is a tendency that foreign workers are recognized as “consumables” of “tools” for the production. Moreover, despite the fact that CEOs are making a lot of efforts to recognize foreign workers, Korean communication, foreign worker’s policies, support for multicultural activities, diversity management, in general, there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aking action ,and they think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Government’s employment strategy for foreign workers. CEOs are interested in about diversity management, yet they do not know what to do in terms of methodology. Many CEOs have been appeared that they do not care about the poor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tion or events of foreign workers, however, some CEOs responded that they are resolving conflicts by strengthening contacts with foreign workers.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inevitable reality in Korean society. Because it is hard to hire Korean workers, many smiler industries are looking for foreign workers as an alternative. In preparation for this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CEO’s of smaller companies hiring foreign workers is absolutely necessary. Especially,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is increasing steadily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productivity of labor, CEOs who hired foreign workers need to ge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for Korean company in globalized market,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differences and values of human resources of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not only, use their full potentials, but also utilize the long-term and strategic approach with global mind for using them as human network in global market. Base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 of multicultural awareness, diversity management of CEO in smaller business, and following four times to help foreign workers adapt to the culture at work and social adaption. First, in order for CEOs to improv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professional trainers should continue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If CEO’s perception does not improve, foreign workers would be recognized as an “accessory” or “machine.” Through such education, foreign workers will be perceived as “one member of our company.” This atmosphere will gradually be expanded into the Korean society, and a social atmosphere will be created in which foreign workers are regarded as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Korean economy and country. Secon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 employment policy of production foreign workers. In order for the foreign worker to adapt the culture at work and to adapt quickly to the Korean society, support of the policy should not be spared. Foreign workers complain about the time and expenses for becoming a skilled worker and the current legal situation, which they must return to their country after becoming the skilled workers. Therefore, with these difficulties of hiring foreign workers, the employment policies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ird, CEOs should supper and care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events for foreign workers. Production may be the first priority task, yet the stresses that foreign workers receive from the company can be solved through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event. By doing this, foreign workers can find their own mental stability. At the company level, they can produce better quality products, which will give great results for both foreign workers and company. Fourth,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a model about systematic diversity management for the smaller company. Many CEOs have ideas of what diversity management is, but they do not really consider using it in the field. If a systematic diversity management model is provided, there would be solutions that can cooperate with foreign workers without conflict.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through the case study of CEOs who hired foreign workers found a way to corporate form CEO’s perspective. Key Word: foreign workers, smaller business, diversity management, workplace, culture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