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 은퇴자들의 선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동현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1727

        This is a “study on the activation way of mission by early retire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mportant for mobilizing early-retired professionals and pastors as missionary resources. The life of a Christian, whose whole life should be devoted to worship and mission work, should not be wasted after retirement from work or pastoral ministry; rather, they should dedicate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to the mission of God. In this vein, this study covered the BAM(Business As Mission), a mission strategy attracting attention in modern missionaries; the BAM considers early retired professionals and pastors, whose strong points are with strengths such as professionalism, financial independence, and spiritual maturity, as important mission resources and the subjects who will implement the miss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and surve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BAM of early retirees,” and collected and organized the retiree’s mission cases. Chapters 2 to 6 consist of the body of this paper, and the following is described. Chapter 2 reviewe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he definition, the necessity and current situation, and the subject of laity mission. Chapter 3 examined the recent perception and trend of retirement and the age of retireme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missionary work for early retirees. Chapter 4 reviewed literature regarding the definition, mission theology, and biblical basis of the BAM, as well as understanding and current status of BAM training. Chapter 5 suggested occupation-tailored missions, missions of the platform, and application as vitalization strategies for BAM, which specialize in early retirees. Chapter 6 covered the BAM mission strategy; it presented the ministry-tailored mission, overseas mission work, and village pastoral ministry miss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contents that each chapter highlighted. Chapter 2: Above all, chapter 2 noted the necessity of conducting missionary training for laypersons in each church, religious body, missionary organization, and missionary graduate school so that laymen can professionally equip themselves with missionary-related capabilities. Chapter 2 especially asserted that the necessity of a Christian worldview in lay mission work cannot be too emphasized. If the Christian worldview of the lay is properly established, he or she will be able to properly deal with a myriad of problems that will arise in the mission field as the word of God ushers and conduct themselves in good ways and purposes. Chapter 3: Modern people tend to value work-life balance and pursue a value-oriented life; this paper examined newly coined words related to this trend, such as YOLO (you only live once), Hygge, Freeter, Well-Being, Work-life Balance, Fire(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 Quiet Quitting, etc. Accordingly, this study challenges lay to retire early after cultivating a specialty at work and have a missionary vision that pleases God and lives a worthy life in the second half of their lives. Moreover, the result of summarization regarding the movement to abolish the pastoral retirement system per God's sovereignty and the Bible in Christian perception of retirement and retirement age emphasized once again that man must live for the Lord and die for the Lord throughout his life according to the mission he was called to for the glory of God. Chapter 4: BAM refers to “Business as Mission”; it was explained that BAM suffices the spiritual and economic needs of local people as well as corporate activities; moreover, BAM transforms the country and its people using business as a medium. Business as a mission has existed in the past it has not recently embodied; BAM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nd has become a tren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quick information exchange across the world is possible. The paper could expect that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BAM would be further emphasized afterward. Chapter 5: Regarding the occupation-tailored mission, its necessity, the method that God selected before the occupation-tailored mission, and the direction of the mission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the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the necessity of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was referred to in missions with the pace of the development trend of moder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is, along with GMS-level platfor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examples of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issions that are practically in progress were briefly summarized as well. Chapter 6: This chapter asserted the following: when early retirement pastors carry out ministry-tailored BAM, the direction and goal of missions must follow the vocation of the calling; he or she must specialize in the gifts and talents that God endowed and in mission; retirees must conduct contextualized missions per the environmental and temporal changes. In this chapter, cases of early retiree pastors working in the fields of social mission, church reform movement, the special ministration of family ministry, publishing, and coaching-related ministry were examined; on top of the abovementioned, the early retiree pastor cases regarding the conduction of overseas missions and village pastoral work were collected and described. The mission to preach the Gospel to the ends of the earth must transcend age itself and the worldly-set age to work. Therefore, the chapter emphasized that the atmosphere that encourages and exhorts pastors to do missionary work in various fields after early retirement should spread more widely than before. In conclusion, the horizons of BAM will be broader in the future, if the church well trains, systematically educate, and used early retirees as missionary resources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strong points of early retirees, such as professionalism, maturity of faith, and economic independence. Social changes such as “early retirement,” “YOLO” and “quiet quitting” are subverting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views; due to the post-COVID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astoral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 studies on additional positions and ministry transition of pastors are being discussed. This is a high time to mobilize early retirees as mission resources;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ology of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the BAM, the mission strategy, and the main axis of the worldwide mission, is a desirable mission paradigm that all churches should comply with. God wants every Christian to be involved in the mission, through his or her profession, enterprises, and business. It is hop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BAM by Christians who inherited the life of Jesus Christ will expand; more early retired laymen and pastors will be dispersed throughout the world to fulfill their missionary vocations. 본 연구는 ‘조기 은퇴자들의 선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조기 은퇴한 전문인과 조기 은퇴한 목회자들을 선교 자원으로 동원하자는 데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삶 전체가 예배요, 선교가 되어야 하는 크리스천들은 은퇴 후 그들의 직업이나 목회적 사역을 중단하고 허송세월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후반기를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헌신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문성과 재정적 자립, 영적 성숙성과 같은 강점을 지닌 조기 은퇴한 전문인과 조기 은퇴한 목회자들을 현대 선교에서 주목받고 있는 선교 전략인 BAM 선교의 중요한 선교 자원이자 선교를 실행할 대상으로 보고, ‘조기 은퇴자들의 BAM 선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문헌연구와 조사를 실시하고 이들의 선교 사례들을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본문은 제2장부터 제6장까지이며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제2장은 평신도 선교가 무엇인지, 평신도 선교의 필요성과 현황, 평신도 선교의 주체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은퇴와 정년에 대한 최근 인식과 경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조기 은퇴자들에 대한 선교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4장은 BAM 선교가 무엇인지와 BAM 선교의 선교신학과 성경적 근거와 BAM 훈련의 이해와 현황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였다. 제5장은 조기 은퇴 전문인 BAM 선교 활성화 전략으로 직업 맞춤형 선교와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를 제안하였다. 제6장은 조기 은퇴 목회자 BAM 선교 전략으로, 사역별 맞춤형 선교와, 해외선교 사역, 마을목회 사역을 제시하였다. 본문의 각 장에 나타난 강조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 : 무엇보다 평신도들이 보다 전문적인 선교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각 교회와 교단, 선교 단체, 선교대학원에서는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는 선교 훈련을 실시해야 함을 주지하였다. 특히 평신도 선교에 있어 기독교 세계관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평신도들에게 기독교 세계관을 바르게 정립함을 통해 선교지에서 일어날 제반 문제 사항을 하나님의 말씀이 인도하는 대로 바르게 처리할 수 있고 선한 방법과 목적 하에 잘 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장 : 현대인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고, 가치지향적 삶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 그와 관련한 신조어, 욜로(YOLO), 휘게(Hygge), 프리터(Freeter), 웰빙(Well-Being), 워라밸(Work-life Balance), 파이어족, 조용한 퇴직(Quiet Quitting)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신도들이 자신의 직장에서 전문성을 기른 뒤 조기 은퇴하여 인생의 후반기를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선교의 비전을 가지고 가치 있는 삶을 살기를 도전한다. 또한 은퇴와 정년의 기독교적 인식과 동향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성경에 따라 목사 정년제를 폐지하자는 움직임을 정리한 결과, 이를 통해 인간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부르심을 받은 사명대로 일생을 주를 위해 살고 죽어야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제4장 : BAM 선교는 ‘선교로서의 비즈니스’이며 기업의 활동뿐만 아니라 영적인 필요와 경제적인 필요를 현지인들에게 동시에 채워주며 사업을 매개로 하여 그 나라와 국민들을 변화시켜주는 활동임을 설명하였다. 비즈니스 선교는 오늘날 새롭게 생겨난 선교 형태가 아니라 과거부터 이어져 내려온 선교로서, 전 세계를 무대로 빠르게 정보교환이 가능한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더욱 대세로 자리 잡은 선교 전략이다. 앞으로 BAM 선교는 역사적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제5장 : 직업 맞춤형 선교는 직업 맞춤형 선교가 왜 필요한지와 맞춤형 선교 이전에 하나님이 선택하신 방법을 알아보고 직업 맞춤형 선교에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에서는 현대 IT(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추세에 발맞춰 선교에 있어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GMS차원의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와 함께,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플랫폼 개발과 앱 개발 선교의 예시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제6장 : 조기 은퇴 목회자가 사역 맞춤형 BAM 선교를 할 때, 그 방향과 목표는 부르심의 소명을 따라 선교하고, 하나님께 받은 은사와 재능을 특화 시켜 선교하며, 선교의 환경과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상황화 선교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조기 은퇴 목회자들이 사회 선교와 교회개혁 운동, 가정사역 특수 목회, 출판 및 코칭 사역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례들을 알아보았고, 해외 선교와 마을 목회를 하는 조기 은퇴 목회자들의 사례를 취합하여 기술하였다.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사명은 나이를 초월하고 세상이 정한 일할 수 있는 나이를 초월함으로 목회자의 조기 은퇴 후 여러 분야에서 선교를 감당하는 것을 독려하고 권면하는 분위기가 더욱 널리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조기 은퇴자들의 전문성과 신앙의 성숙도, 경제적 자립의 이점을 고려하여 앞으로 이들을 잘 훈련하고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선교 자원으로 삼는다면, BAM 선교의 지평이 더욱 넓어질 것이다. ‘조기 은퇴,’ ‘욜로,’ ‘조용한 퇴직’과 같은 사회 변화와 맞물려 전통적인 직업관이 바뀌어가고 있고 코로나19 이후 한국교회의 전통적인 목회 패러다임의 한계로 인해 목회자들의 이중직에 대한 연구와 목회자들의 사역 전환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조기 은퇴자들을 선교 자원으로 동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AM 선교는 세계선교의 주축이 되는 선교전략으로써 온 교회가 따라가야 할 바람직한 선교 패러다임이라는 사실을 본 연구의 문헌 연구 고찰과 사례 연구 방법론의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하나님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이 가진 직업과 사업, 비즈니스를 통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기를 원하신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소유한 그리스도인들의 BAM 선교 실천이 확장되고 더 많은 조기 은퇴한 평신도들과 목회자들이 전 세계로 흩어져 그들의 선교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牧會的 觀點에서 본 새 信者 訓練方案에 關한 硏究

        박종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 전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51711

        한국교회는 길지 않은 기독교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서구 기독교 국가교회보다도 급성장을 이루어 왔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매 십년 마다 배가되는 수적인 부흥의 역사를 경험했다. 이것은 세계 교회로부터 주목을 받을 만큼 놀라운 교회성장이었다. 여기에는 우리에게 복음을 전해 준 선교사들의 개혁주의적 신학과 신앙, 열정적인 우리 민족의 국민성과 종교성, 역사적이며 사회적인 제반여건들이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 급성장은 무엇보다 하나님의 은혜 위에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성경, 오직 교회중심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했던 한국교회 성도들의 헌신과 충성으로 한국교회의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부터 한국교회는 점차 수적으로 정체 내지는 감소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는 첫째, 산업국가로의 변화와 경제발전으로 인한 소득향상이 국민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을 증가하게 하여 신앙생활, 종교생활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교회가 불신자들에게 신뢰의 대상이 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민주화 과정, 노동문제, 인권문제, 사회봉사 등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교회와 기독교 인사들이 많은 노력을 해 온 점은 사실이지만, 일반인들이 알기에는 기독교보다 타 종교인들의 역할이 크다고 인식하면서 기독교에 대한 불신이 커졌기 때문이다. 셋째, 교회가 교회로 유입되는 새 신자들을 효율적으로 잘 훈련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한국교회의 계속적인 성장을 하나님의 분명한 뜻이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한국교회의 침체 문제를 극복하고 주님의 지상명령을 감당하며 한국교회의 계속적인 성장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기존 새 신자 훈련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 신자 훈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2005년도 통계청의 인구 Census 종교분포 분석 결과를 근거하여 분명한 기독교인 감소현상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과 의의, 연구 질문과 용어 정의, 연구 방법과 내용 구성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여 본 논문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와 목적은 첫째, 교회 내 새 신자를 바르게 훈련함으로서 건강한 교회성장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성경속의 새 신자 훈련의 근거를 고찰해봄으로서 지역교회의 새 신자 훈련의 성경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과거 기존 교회와 선교단체의 새 신자 훈련과 현대교회의 새 신자 훈련을 연구 분석하여 평가하고 있는 점이다. 넷째, 교회에서 이탈하는 교인들의 이탈 원인과 그 유형을 살펴 진단하고 재 유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으로는 첫째, 목회와 새 신자 훈련과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둘째, 새 신자 훈련의 성경적 근거와 교회사적, 신학적 근거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교회 목회현장에서 새 신자 훈련의 현황 분석 및 이탈 새 신자의 재유입방안은 무엇인가? 넷째, 새 신자 훈련의 활성화를 위한 실제적인 목회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제2장 제1절에서는 기존 새 신자 훈련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논문의 유용성을 밝혔으며, 제2절에서는 목회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내용으로는 목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목회의 성경적 배경과 교회사적 배경에 대해 소개하고, 목회의 세 가지 구성요소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3절에서는 새 신자의 정의와 새 신자 훈련의 원리에 대하여 다루었다. 그 내용으로는 새 신자에 대한 정의, 상태, 유형, 특성 그리고 새 신자 훈련의 원리로서 요소와 목표를 연구하였다. 제4절에서는 교회성장과 새 신자 목회의 상관관계가 무엇인지 논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교회성장의 개념, 신학적 근거, 교회성장의 요인 등을 살펴보았으며, 교회성장과 새 신자 훈련과의 관계, 교회성장과 새 신자 목회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제3장에서는 새 신자 훈련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새 신자 훈련의 성경적 근거와 역사적 고찰, 신학적 의미를 논하였다. 제1절에서 구약에서 새 신자 훈련의 근거를 할례와 하나님 백성의 훈련, 출애굽과정에서 잡족들의 훈련, 그리고 구약의 개종자들의 훈련, Babylon 포로후기 유대 백성의 훈련을 연구하였다. 제2절에서는 신약에서의 새 신자 훈련의 근거로 예수님의 제자훈련, 그리고 예루살렘과 Paul의 평신도 훈련을 다루었다. 제3절에서는 새 신자 훈련 내용을 초대교회, 중세시대의 새 신자 훈련, 종교개혁시대의 새 신자 훈련을 통하여 논하였고, 그리고 근래 선교단체의 새 신자 훈련내용으로 Navigator 선교회와 대학생 선교회(C.C.C)의 새 신자 훈련을 예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4절에서는 평신도 신학과 교회에서의 평신도의 역할을 연구하여 신학적 이론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교회 목회현장의 새 신자 훈련에 대한 분석과 평가로, 제1절에서는 먼저 기존 교회의 목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목회전략에 대한 Model 분석을 실시하였

      • 한국 고령 사회 속에서의 노인복지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전략 연구

        김영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1711

        국문초록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마이너스 성장과 함께 급격하게 진입한 고령 사회 속에서 교회 성장의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위기 속에서 기회가 있듯이 지금의 한국사회의 고령 사회는 교회의 마이너스 성장의 분명한 한 측면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교회가 사회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고령 사회에 빠르게 대처해서 노인목회에 대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고령시대 속에서도 교회는 성장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연구하였다. 고령 사회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고령 사회의 노인 문제 에 대한 신체적, 경제적, 종교적, 사회적 고찰과 함께 가족 관계적인 부분을 문헌연구 했다. 세계UN에서 정한 기준으로 노인이란 65세 이상을 말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2000년에는 우리 국민의 평균수명이 남자는 71세, 여자는 79세였고 그 이후부터는 세계 역사에서 유례없이 급격히 평균수명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2000년에 이미 전체 인구에 있어 노인 인구가 7.1%가 넘어 이 수치를 놓고 보자면 이미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진입을 하였으며 2018년이 되면 노인 인구가 14.3%가 넘어 고령 사회(Aged society)로 고령 사회 이후의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6년이 되면 노인 인구가 20.8%가 넘어 초고령 사회(Post-Aged society) 사회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개념과 특징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면서 신체적 문제인 노화와 고령자의 건강에 대하여 문헌으로 연구를 하고, 고령 되면서 상대적으로 당하는 경제적 빈곤과 심리적인 문제인 고령층의 고독과 소외 그리고 우울증에 대하여 다루었다. 또한 종교적인 문제와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끼고 있는 노인의 현실적인 문제를 연구하고, 갈수록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노인 학대 및 독거 노인의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는 가족의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이는 특히 가족관계, 부부관계, 자녀와의 관계로 심층 연구하였다. 고령시대에서 대처해야 할 노인복지목회에 대한 신학적인 배경과 성경적 근거들을 연구하면서 이제 한국교회는 노령화 되는 사회구성원의 변화에 대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사회만이 노령화 되는 것이 아니라 교회도 노령화 되어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령시대 속에서의 노인목회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립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2가지의 영역에서 노인목회를 연구하였다. 첫째, 노인목회에 대한 신학적, 성경적 근거를 찾아 이론적 배경을 삼고자 하였다. 둘째, 고령시대의 노인목회에 대한 사회학적인 근거 대한 개념연구, 성경으로 조명하는 노인목회를 연구하면서 실천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연구했다. 셋째로 나아가서 신학적 관점에서도 노인목회를 고찰하였다. 특히 사회 선교학적 차원에서 노인복지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이제 고령 사회 속에서의 한국교회의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고령시대 속에서 한국교회의 현주소를 진단하였다. 한국교회는 외형적으로 비만증에 걸렸으며, 가속화 되는 세속화 그리고 그 세속화의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고령시대를 맞이하는 한국교회의 노인목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나 노인목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였으며, 노인목회와 복지의 상관성을 연구하고 복지 방안에 대하여 문헌으로 연구를 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목회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았고, 고령선교의 필요성과 노인선교에 당위성인 노인목회신학 정립과 목회학적 인식의 변화를 다루었다. 교회사명의 새로운 장으로서의 노인선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노인목회선교에 대한 연구를 바탕 하에서 이제 실제적인 고령 지역사회를 문헌적 연구했다. 우선 초기에는 선진국 사회가 이미 경험하였던 시행착오를 잘 검토하여 고령 사회와 노령사회에 대한 정책의 기초를 세우고 그에 따른 적합한 정책을 장기적인 안목에서 계획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 국민소득을 창출하는 선진국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세계 9위의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우리 사회는 이미 고령화 사회를 지나 고령 사회로 진입을 하고 있고 따라서 이미 이와 동일한 사회 발전 단계를 이행한 세계 선진국들의 노인복지 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동안 겪었던 제반의 경험들 거울삼아 우리 사회만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는 그러한 선진국 사회가 노령사회를 처음 경험하면서 겪어야만 했던 시행착오를 그만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들보다 우리는 유리한 역사적 발전 단계에 있다고 하는 대전제 하에 다음의 4개 교회에 대한 실제적 연구를 진행했다. 서울 서남부 지역인 영등포구, 금천구에서 2개 교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 사례를 고찰하고 경남김해지역에서 1개 교회와 풍기 성내교회의 노인목회사례를 살펴보았다.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선교학적 과제를 다루면서 교회 성장의 전략을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서남부 지역인 영등포구, 금천구에서 2개 교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 사례를 고찰하고 경남김해지역에서 1개 교회

      • 韓國敎會의 現代禮拜 適用을 通한 敎會成長 方案 硏究

        김용신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기독교 역사는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을 만남과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일을 확신하여 기쁨과 축제의 예배가 되고 성령의 역동적인 역사 가운데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왔다. 한국교회의 마이너스 성장의 위기를 극복하고 교회성장을 이루기 위해서 한국교회가 현대 사회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대 문화가 반영 된 현대예배를 기획하므로 예배에 참여한 현대인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고, 삼위일체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의 예배를 할 때 교회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으로 본 논문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제1장 서론에서 문제의 제기,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한계, 연구 질문과 용어 정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은 현대예배를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로서 예배의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예배의 형태의 변화를 이해하였고, 본 논문의 핵심 주제가 되는 현대예배의 이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은 한국교회의 현대예배를 통한 교회성장의 방향으로서 한국교회 예배의 변화와 한국교회의 현대예배 이해를 살펴봄으로 교회성장을 위한 현대예배의 방향을 제시하고, 현대예배와 교회성장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현대예배의 모델 연구로 다섯 개의 교회를 살펴보았는데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단에 속하여 열린 현대예배를 실행하는 아름다운교회, 준 현대예배를 실행하는 세계로교회, 융합적 쌍방향 소통의 현대예배를 실행하는 새에덴교회와 감리교 교단에 속하여 다부제 현대예배를 실행하는 만나교회, 성만찬 현대예배를 실행하는 동수교회를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교회의 현대예배 적용을 통한 교회성장 방안으로서 현대예배의 적용의 원리와 현대예배의 단계별 실제 적용 방안을 6단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만인제사장의 원리에 근거하여 현대예배 사역자 양성 program, 현대예배의 기획과 콘티를 현대예배 6단계 실제 적용 방안에 맞추어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연구 결론을 내렸으며,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현대예배 이해와 실제적 적용을 통하여 교회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확신에서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한국교회가 실행한 전통예배가 잘 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현대 문화적 표현이 반영 된 예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현대예배는 개혁주의 신학에 타당한 예배이다. 개혁주의 신학 정신은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다. 이는 Calvin의 종교개혁의 원리일 뿐만 아니라 중세 시대의 예배가 인간들이 만든 법으로 전락되어져 제도화 된 예배, 형식적인 예배에 대하여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예배 개혁의 원리이다. 개혁주의 예배는 예배의 대상으로서 오직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위한 죽음과 부활, 승천에 대한 소망을 가진 그리스도 중심적 예배로 교회 공동체적인 축제의 예배이다. 또한 그리스도의 모든 구속의 일을 깨닫게 하시고 적용하시는 성령의 임재 있는 역동적인 예배이다. 그러므로 현대예배는 현대적인 표현의 방식으로 오직 삼위일체 하나님께만 예배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과 부활을 기뻐하며 성령의 임재가 있는 예배이다. 또한 은혜의 표지인 ‘말씀과 성만찬’을 온전히 시행할 뿐만 아니라 만인제사장의 원리를 적용한 평신도 참여의 예배가 되게 하므로 교회 공동체가 하나 되는 성경적 예배 원리를 바탕으로 한 개혁주의에 타당한 예배이다. 둘째, 현대예배는 성경적, 역사적 연속선상에서 이해되어진다. 기독교의 예배는 무형식적이며 관계적인 예배로 이루어진 에덴의 예배부터 시작하여 유목민들의 문화적 상황에 맞는 제단 예배와 이스라엘의 이동성에 합당한 성막 예배와 지역적인 안정 가운데 고정화 된 성전예배를 비롯하여 디아스포라의 회당 예배에 이르기 까지 문화적 상황에 따라 예배 형태는 변화하였다. 또한 예수그리스도는 ‘신령과 진정’의 예배로 기독교의 예배 근본을 바로 세워주셨으며 사도들은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예배를 드리고 복음을 증거하였다. 사도 바울은 삶의 예배로 확대하여 선교적 예배까지 발전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교회의 역사가운데 중세시대의 교회가 제도화, 형식화 되어짐에 따라 성경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이 일어났으며, 종교개혁자들인 Luter, Zwingli, Calvin의 예배에 대한 일치점과 차이점을 보이면서 조금씩 다른 예배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적인 예배의 근본은 변함이 없는 가운데 형식의 차이점을 조금씩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성경적인 예배의 근본은 변함이 없으나 예배의 형식은 교회의 역사 가운데서 시대성과 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표현이 변화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예배가 시대적인 산물로 비평되어질 것이 아니라 현대문화가 반영되어 표현된 예배로서 교회사의 연속선상 가운데 이해되어져야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셋째, 현대예배는 선교목회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선교란 타문화권에 아직 예수그리스도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복음을 증거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것이다. 선교에서 가장 중요한 성경적 원리가 성육신의 원리이다. 하나님 자신이 인간의 문화권에 도성인신 하신 것처럼 타문화권 선교사는 그 나라의 문화, 언어, 풍습을 잘 이해하고 적응하여 그들의 문화적 표현 방식으로 복음을 증거하는 것이다. 현대의 문화를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개인주의, 상대주의, 다원주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경험적, 참여적, 이미지 중심, 관계적인 면을 중요시하는 시대이다. 지식적인 존재론보다는 신적 존재를 체험하기를 원한다. 기독교 예배에서 하나님을 체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령의 임재를 통한 말씀의 깨달음, 감동, 감격이 있는 예배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 선교목회적인 관점에서 현대예배가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넷째, 현대예배는 현대적 교회성장의 전제가 된다. 교회성장은 ‘예수 그리스도와 아직 아무런 개인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와 더불어 교제를 가지도록 해주며 책임 있는 교인이 되도록 만들어 주는 관련된 모든 사항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교회와 성도의 사명이다. 그런데 이 사명을 얻는 동력은 예배이다.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을 확신하여 성령의 역동적인 역사로 사명을 감당하는 것이다. 현대예배는 현대인들로 하여금 예배를 통하여 성도들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어 자신들의 은사를 발견하므로 교회 공동체성을 세워가는 질적인 교회성장과 건강과 균형적인 교회성장을 이루어 복음전도와 선교 사명을 감당하므로 외적인 교회성장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 현대예배의 모델로 연구한 5개교회는 전통교회에서 현대문화를 반영한 현대예배를 실행하므로 마이너스 교회성장을 극복하고 모두 성장하는 교회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예배는 현대적 교회성장의 전제이며, 사명의 동력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현대예배는 현대의 성만찬 연구를 필요로 한다. 종교개혁자들은 ‘말씀과 성찬’을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정하신 예배 핵심으로 받아들이는데 일치한다. Calvin은 매 주일예배시마다 말씀과 성찬을 분리하지 않고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현대 개혁교회는 성만찬 예배를 통한 갱신과 이론은 주장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정하신 성만찬 예배는 1년에 2회 정도 시행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모델 연구한 동수교회는 다부제 예배를 드리면서 1부 예배를 성만찬예배로 드린다. 말씀과 성찬의 예배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매 주일 성만찬 예배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성만찬의 명령을 지키고 있고, 참여하는 성도들 또한 경건하게 적극적인 참여의 예배를 드린다. 성만찬 예배의 형식을 더 구체적으로 준비하여 경건하며 거룩한 은혜의 성만찬 예배가 되도록 진행한다. 그러므로 성만찬 예배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지속되어지기 위하여 현대교회가 성만찬 예배 실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여섯째, 현대예배는 만인제사장의 원리에 근거하여 평신도 참여예배를 활성화 한다. 현대예배는 목회자 한 사람이 주관하고 성도들은 관객과 같이 관람하는 예배가 아니라 평신도 예배 사역자와 예배 참여자가 함께 드리는 예배이다. 예배를 위하여 예배 기획팀이 준비하고, 찬양팀의 준비와 싱어팀, 악기팀의 연주, 방송실의 미디어, 조명, 음향, 카메라 등의 평신도들이 예배 사역자로 봉사를 한다. 또한 예배 참여자들은 찬양과 말씀에 함께 반응하며 구경꾼의 자세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의 예배가 된다. 그러므로 현대예배는 평신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예배가 되도록 봉사의 자리를 많이 마련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일곱째, 현대예배는 담임목회자의 확실한 목회철학과 예배철학을 기초로 기획 할 수 있다. 교회의 머리는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지상의 지역교회를 담당하고 목양하는 사명은 목회자에게 허락하신 것이다. 목회자는 교회의 성도들이 복음 증거의 사명과 예배의 사명을 잘 감당하도록 목회철학을 계획해야 한다. 또한 예배를 위한 분명한 목적과 방향, 중요 사항들이 명시된 예배철학이 필요하다. 현대예배를 실행하려면 담임목회자가 시대의 문화적 이해와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선행 이해 가운데 실현 될 수 있다. 목회자의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한 형식의 변화정도로만 현대예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5개교회는 담임목회자가 현대 문화를 이해한 분명한 목회철학과 예배철학이 있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교회 조직과 예배부가 운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小그룹 使役의 類型別 比較分析을 通한 敎會成長 方案 硏究

        최기열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51711

        【국문초록】 소그룹 사역의 유형별 비교분석을 통한 교회성장 방안 연구 최 기 열 Ⅰ. 소그룹은 보충적이며 규범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공적(公的) 예배와 함께 똑같이 중요하며, 교회의 기본구조가 된다는 의미에서 규범적이다. 그러므로 소그룹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본질적인 구조의 문제인 것이다. 이는 소그룹의 개념적,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목회 신학적 이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소그룹이란, 3-15명 사람이 영적인 목표를 위해 정기적인 시간에 의도적이면서도 자발적으로 모여 교회의 모든 기능(교제, 예배, 말씀, 섬김, 치유, 전도, 선교 등)을 담당하는 유기체적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소그룹은 죄로 말미암아 파괴된 모든 것에서 우리를 구원하고 회복시키기 위한 하나님의 전략으로서, 성경적, 신학적 근거는 창세기로부터 신약에 이르기까지 견고하고, 예수님께서도 세상을 변화시킬 제자들의 훈련방식으로 소그룹을 선택하신 것이다. 소그룹은 역사적으로 초대교회 시대, 중세교회 시대, 근대 시대를 거치면서 교회가 그 생명력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는 힘은 소그룹의 역동성이 건강할 때임을 크게 말하고 있다. 소그룹의 목회 신학적 이해를 볼 때, 하나님의 존재양식인 삼위일체(三位一體)의 모습에서 소그룹이 따라야 신학적 기초를 확증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님은 사람들을 공동체적 소그룹으로 불렀다. 그 공동체적 소그룹은 언약적 공동체(소그룹 공동체 신학)를 이루고, 노니아적 교제를 통해 회복과 사랑의 역사가 일어난다(코이노니아 신학). Ⅱ. 소그룹 사역의 필요성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째, 교회가 온전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케 하고 둘째, 교회성장 한계의 극복 대안이 된다. 특히 양육, 예배, 공동체적 교제, 선교가 역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소그룹 사역을 통하여 인간 본질의 변화와 신앙생활의 효과적인 영적 성장을 도모하여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을 이룰 수 있다. 소그룹 사역의 유형을 분류하는 견해들은 4가지로 대별(大別)할 수 있는데, 성경의 역사적 발전에 따른 분류, 삶과 진리의 균형에 따른 분류, 소그룹의 헌신정도에 따른 분류, 현대 목회 사역 현장에 따른 분류이다. 성경의 역사적 발전에 따른 분류는 5가지 모델로서, 구약: 소그룹 언약의 모델, 예수님과 열두 제자: 제자훈련 모델, 다락방: 협력 소그룹 모델, 초대교회: 융화 그룹 모델, 현대: 발전적 모델 유형이다. 특히 현대: 발전적 모델은 5가지로 세분화된는 바, 기초 언약 그룹, 협력과 회복 그룹, 메타(셀) 그룹, 통합 그룹, 세렌디피티 그룹이다. ‘삶과 진리의 균형’을 기준으로 하는 소그룹의 유형은 ‘말씀 중심의 그룹, 교제 중심의 그룹, 변화 중심의 그룹’으로 나눈다. 소그룹의 헌신 정도에 따라 소그룹을 분류하는 견해는, 소그룹에 참여했을 때,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출입정도에 따라 개방된 그룹과 닫힌 그룹을 분류한다. 또한 소그룹에 대한 헌신의 기간에 따라 언약 그룹, 보조 그룹, 초보적 책임 완수를 요구하는 그룹, 지속적 책임 완수를 요구하는 그룹으로 나눈다. 그리고 교회의 건강한 영적 성장을 위해서는 개방된 그룹은 닫힌 그룹의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이 좋다. 현대에 실제 적용되고 있는 목회 현실에 감안한 목회 목적에 따른 소그룹 유형은 양육을 위한 소그룹, 사역을 위한 소그룹, 교제를 위한 소그룹, 봉사를 위한 소그룹, 특수 목적을 위한 소그룹 등으로 분류된다. 목회 사역 중심의 소그룹 유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장점에 집중하고 단점을 보완하면 건강한 소그룹 사역이 될 것이고, 이것이 교회성장의 대안이 된다(각 유형의 장단점은 본론 제3장 제4절을 참조하라). Ⅲ. 특정 소그룹 사역 유형을 선택하고 집중한 결과, 해당 소그룹 사역 유형이 강조하는 목적을 이루고, 목회의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성장한 교회의 실제적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중심의 소그룹 사역으로 성장한 교회는 사랑의교회이다. 성도의 영적 성장을 위해, 제자훈련이라는 목회 방법을 도입한 제자훈련 소그룹이다. 둘째, 교제 중심의 소그룹 사역으로 성장한 교회는 안산동산교회이다. 안산동산교회는 전통교회와 제자훈련 중심의 교회의 과정을 거치면서, 교제 중심의 교회인 셀 교회로 변화하는 특별한 과정을 거쳐 성장하였다. 셋째, 사역 중심의 소그룹 사역으로 성장한 교회는 부산풍성한교회이다. 두날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사람의 성품이 아닌 가치 변화에 목표를 두고 재생산 사역자를 훈련하고 양성하였다. 넷째, 전도 중심 소그룹으로 성장한 교회는 대전제자들교회이다. “불신자(不信者)를 전도하여 제자삼는 교회”라는 사명 선언아래, 5단계 원리로 전도 중심 소그룹을 운영했다. 특히 사례 조사에서 의미가 있는 것은 소그룹의 실행 결과, 외형상 상반(相反)된 결과적 평가가 나왔음에도 교회는 모두 건강했다는 것이다. 이는 교회가 소그룹 사역을 한다면,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결과가 있든 없든 간에, 소그룹 사역 자체를 통해 교회를 건강하게 만든다는 의미심장한 결과이다. 왜냐하면 소그룹 사역 자체가 규범적인 목회의 본질임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Ⅳ.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해서 “소그룹 사역의 유형별 비교분석을 통한 교회성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장이며 연구의 중요한 결과이다. 먼저 모든 소그룹 사역 유형에 적용되는 교회성장 방안으로 소그룹 사역의 공통 원리(총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균형과 보완의 원리, 닮음과 차이의 원리, 그리고 4W의 대안화인 “Daily Devotion”은 눈여겨 볼만하다. 1. 모든 소그룹 사역 유형에 적용되는 소그룹 사역의 공통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견고한 소그룹 교회론과 목회 철학이다. 즉 소그룹 사역은 기존 목회의 적당한 변형이 아니라 성경이 말하는 목회이며, 목회적 기술이나 방법이 아닌 목회의 본질에 해당하기에, 소그룹의 교회론과 목회 철학에 관해서는 흔들림 없는 확고한 뿌리가 있어야 한다. 이는 소그룹 사역에 어려움이 있다고 해서 중도에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최후의 담보가 된다. 목회 철학이 중요한 이유는 목회 철학으로부터 목회 전략, 목회 방법(소그룹 사역의 다양한 유형), 목회 현장이 나오기 때문이다. 2) 모델의 원리이다. 모델의 원리는 ‘스스로 (소그룹의 목회 철학과 교회론의 신념 아래) 소그룹 사역의 현장에서 모델이 되어 보지 않고는, 소그룹 사역을 지도할 수 없다’는 원리이다. 즉 소그룹 사역을 이끌고 나가고자 하는 지도자나 리더는 그에 대한 경험과 함께 모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델의 원리는 ‘소그룹 사역에서 변화를 일구어 내는 가시적인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모델의 원리에 대한 확장 원리로는 리더의 전(全) 과정 경험의 원리, 위임 제한의 원리, 모델 소그룹의 원리가 있다. 3) 단순‧지속‧반복의 원리이다. 소그룹 사역을 하다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소그룹 사역의 계속을 결정하는 것이 단순‧지속‧반복의 원리이다. 즉 단순‧지속‧반복의 원리는 ‘소그룹 사역의 실행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4) 균형과 보완의 원리이다. 소그룹의 구성요소인 양육, 예배, 공동체적 교제, 선교의 요소가 소그룹 안에서 갈등 관계 또는 충돌 관계에 있을 때에, 갈등과 충돌을 바로 잡아주는 원리이다. 균형과 보완의 원리는 ‘소그룹 사역 유형의 역동성(Dynamics) 조절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균형의 원리는 소그룹의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역동성에 있어 충돌을 일으킬 때, 충돌 구성요소를 최소한도로 제약함과 동시에 다른 구성요소와 더불어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보완의 원리는 소그룹을 운영함에 있어서 해당 소그룹 안에 소그룹의 구성요소(양육, 예배, 공동체적 교제, 선교)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빠져 있을 경우, 그 요소를 보충함으로써 소그룹 사역을 온전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5) 닮음(resemblance)의 원리와 차이(difference)의 원리이다. 닮음의 원리는 그룹의 사역에 있어서 양육, 공동체적 교제, 사역, 선교의 내용이 서로 유사해지면서 닮아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소그룹 사역이 목회의 본질이라는 동일한 철학과 예수닮음(제자도)이라는 동일한 목회 전략을 가지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차이의 원리란 모든 소그룹 사역이 비슷하고 유사하다고 할 때, 작은 차이와 차별적 특성이 큰 차이를 만들어 내고, 교회의 성장과 부흥을 이끄는 것이다. 2. 소그룹 사역의 공통 원리를 적용한 각 소그룹 사역 유형의 성장방안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나오는 각 소그룹 사역의 유형에 대한 성장방안은 절대 공통 원리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 공통 원리에서 나오는 기술적 대안들이다. (적용된 공통 원리와 이유는 본론에 있는 제5장을 참조하라) 1) 양육 중심 소그룹의 교회성장 방안으로는 소그룹의 대화화(질문과 경청), 소그룹의 공동체 경험화, 변화의 모델 제시, 생활 숙제의 철저한 점검이다. ① 소그룹의 대화화를 위해서 ‘질문과 경청에 익숙하라’, ‘질문을 던지고 반응과 대답을 기다려라’, ‘절대 먼저 답을 말하지 말라’, ‘좋은 질문을 만들라’에 유의해야 한다. ② 양육 중심 소그룹의 공동체 경험화를 위해서 ‘양육 중심의 소그룹은 Touchable moment(성령님이 구성원들의 마음을 터치하는 순간)에 대한 민감성이 필요하고 경험되어야 한다’, ‘반드시 공동체 훈련의 경험이 필요하다’이다. ③ 변화에 대한 모델상 제시이다. ④ 생활 숙제의 철저한 점검이다. 2) 교제 중심의 소그룹 설계와 교회성장 방안으로는 Welcome의 다양화 및 보충화, 4W의 섬세화, 4W의 대안화, 4W의 균형화이다. ① Welcome의 다양화 및 보충화로서는, ‘교회가 직접 환영단계의 아이스 브레이크 종류와 내용과 실행지침을 매주 소개하기’, ‘교회가 아이스 브레이크를 할 수 있는 책자를 소개하기’, ‘어떤 대상이라도 자신의 마음을 열수 있는 고정 질문과 내용을 사용하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두가 나눌 수 있는 것으로 ‘순차적인 감사제목으로 하는 마음열기’를 제시하였다. ② 4W의 섬세화이다. 소그룹 운영을 위한 섬세한 운영을 위해서는 메시지와 함께 그에 따른 요약된 핵심 내용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나눔이 유인물로 제공되어야 한다. ③ 4W의 대안화이다. 4W의 대안화로 “말씀으로 사는 삶”(Daily Devotion; 일명 D.D.)과 예배 습성의 변화를 제안 한다. 특히 오늘날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일상화된 시대에 착안하여 Band를 이용한 Daily Devotion는 기존의 4W형식의 모임을 매일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새로운 것이다. “4W 모임을 매일 할 수 있으면 어떻겠는가?”라는 발상에서 대안을 찾아본 것이다. 만일 이렇게만 된다면 주일 강단에서 선포된 말씀이 매일 매일 성도들의 삶에, 소그룹 공동체에 녹아들어 갈 것이다. 그러면 말씀과 함께 동행하는 삶을 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임 목사의 성경적 가치관과 사역 방향을 성도들과 공유하기에 너무 좋은 방법이다. ④ 4W의 균형화:공바시(공동체를 바꾸는 시간)이다. 공바시는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어 갈 리더들에게 소그룹에서 나눌 삶의 교제를 말씀으로 잣대와 가이드라인을 정해주고 실습하고 경험하는 시간이다. 3) 사역 중심 소그룹의 성장방안으로는 소그룹의 제자도 확보, 소그룹의 슬림(Slim)화, 소그룹의 성품성 보완, 사역 방향의 다양화가 있다. ① 제자도의 확보는 담임 목사의 제자가 아닌 예수의 제자가 되는 필요최소한의 담보장치로서, 말씀을 가르치는 성경대학이나, 건전한 교리를 가르치는 교리대학이 필요하다. ② 소그룹의 슬림(Slim)화로, 복잡하고 많은 과정을 단순하화고 슬림화하여 성도들의 쉼을 확보해 줄 필요가 있다. 쉼이 있어야 다음 일을 진행할 수 있는 법이다. ③ 소그룹의 성품성 보완은 소그룹의 양육적 요소를 보완하는 것으로 생활 Q.T.(Quiet Time, 개인 말씀 묵상)가 있다. ④ 사역 방향의 다양화이다. 획일화된 최종 목표인 재생산에 유연성으로 더하자는 것으로, 사역 방향(목표)의 유연화, 세대별 유연화, 은사 발견 과정의 유연화가 있다. 4) 전도 중심 소그룹의 사역을 통한 교회성장 방안으로는 개 교회에 맞는 전도의 옷 입기, 전도 중심 소그룹의 적정한 배치, 교회 내 섬김 자원들 활용이 있다. ① 개 교회에 맞는 전도의 옷 입기는, 정서와 토양에 따라 전도 중심 소그룹 매뉴얼도 달라야 하며, 수정되어야 하며, 개 교회에 맞는 실행과 매뉴얼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② 전도 중심 소그룹의 적정한 배치는 개교회의 정서에 맞도록 전도 중심 소그룹의 배치를 양육의 전 단계에 시행하거나, 최소한의 양육을 거친 후(제자 훈련전) 중간단계에 배치하는 것이다. ③ 교회 내 섬김 자원들을 활용하는 소그룹 운영은 교회가 세상을 섬길 수 있는 특별한 자격이나 능력,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을 중심으로 그 섬김이 필요한 불신자들을 섬기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교회의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이 가진 목회 철학과 맞는 소그룹 사역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한 소그룹 사역 유형에 집중하고, 소그룹 사역에 적용되는 공통 원리와 원리에 따른 대안들을 잘 적용하여 실제적인 열매를 맺기 위함인 것이다. 목회 현장에서 맺히는 생명의 열매 맺음에 본 연구와 제안들이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신학대학원생의 상담태도에 따른 자기개념,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 신대원생이 지각한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자기인식,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김미경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신학교육을 이수하는 예비목회자인 신학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자기인식 능력과 공감능력과 그리고 대인관계 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차세대 목회자인 신대원생들이 가지고 있는 상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상담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상담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것. 둘째, 상담태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하고 자기 인식과 대인관계 능력 그리고 타인의 상황에 공감 할 수 있는 공감능력들을 비교 해보는 것. 셋째, 상담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자기개념과 공감능력, 대인관계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라 전문적인 도움추구 경향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라 공감 능력의 차이는 있는가? 셋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라 자기 개념 정도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라 대인관계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이며, 연구방법은 설문을 통한 양적연구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을 지닌 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술한 Rudoph의 공식에 따라 연구대상의 상담에 대한 태도를 분류하였다. 상담태도에 따라 분류된 집단별 상담 긍정 및 상담 부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전문적 도움추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경우, 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공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경우, 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자기개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경우, 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경우, 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인간 이해를 추구하는 상담에 대한 선호 집단이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집단, 비선호 집단, 무관심집단에 비해서 전문적인 도움 추구 태도, 자기개념, 공감능력, 대인관계 능력이 높았으며, 따라서 목회현장에서 요구하는 자기 성찰과 대인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자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목회자의 자질로서 요구되고 있는 자기인식 능력과 타인의 상황을 공감하고 소통 할 수 있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질을 함양하는데 신대원생들이 직접 내담자 경험을 하거나, 상담에 대한 임상적인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은 자기인식의 확장과 더 나아가 타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인격적인 성숙을 훈련하고 지향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Cell Church의 批評的 分析을 통한 改革主義的 Cell 牧會 方案

        한성철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critical analysis and theological basis on Cell Church which is currently emerging to recover the community which the modern society requires and to overcome dismantlement and negligence of community, extreme individualism and bureaucracy of traditional church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The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can be sought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Cell Church through overall study on it. Secondly, consider benefits and shortfall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issues through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based on reformed ministry theory. Thirdly, search for ministry applicable foundation by providing theological groundwork of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ly, provide practical ways to apply and change to reformed cell ministry through such study. The study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ministry method? Second, what are the theoretical, practical challenges and theological issues of Cell Church? Third, what are the historical, theological basis of reformism for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 what ar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asure for admirable reformed Cell ministry? The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the topics for each are as following: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the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and a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Chapter 3,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Cell Church; Chapter 4, theological and historical basic of reformed Cell ministry; Chapter 5, practical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Chapter 6, conclusi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first,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nd then closer look at Cell Church, ministry t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Cell ministry. Secondly, problem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analysis, church historical analysis on Cell Group and case study of Cell ministry application principle on Ilsan Hansomang Church for analysis on Cell ministry application were studied. Thirdly, history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providing reformed Cell ministry theology were considered. Fourthly, role of the leader in Cell ministry, transformation method towards Cell ministry, Cell ministry's training method, and promotion metho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Cell ministry were searched.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Chapter 1 is introduction that gives overall explanation on issues raised,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udy,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questions and term definitions, and assumptions of the study to provide direction of the study. Chapter 2 considers historical background and Cell Church development in Korea as part of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s part of theoretical examination, the history of Cell Church were stud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The study was made on early church and Cell Group, Cell ministry model before religious reforms such as The Unity of the Brotherhood, Luther and Wesley's small group movement, George Whitefield's small group movement, small group movement of chinese churches under communism, modern day discipleship training movement and Cell ministry model presented in gift movement. Next,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were examined to find out first, Cells were considered small church within a church; second, Cell Church considers Cell group and large group congregation as two wings; third, Cell Church theory emphasize importance of priesthood ministry for all congregation. That is, "all believers are ministers." Fourthly, Cell itself is considered church community. Regarding ministerial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first, the spirit of Cell Church regards ordinary believers as ministers, and second, in terms of christianity educational aspect, Cell ha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 small group. Regarding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 of Cell Church, its structure and ministry principles were examined. When classifying Cell structure into model types, first, there is Church school and Cell combination model; second, Cell Staff Model; third, G-12 Model; fourth, Band Model; and fifth, 5×5 Model. Finally, regarding the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aspects of social cultural paradigm, church growth, effectiveness, and future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of Cell Church were pointed out as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Regarding theoretical issues, wrong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Cell, contradiction on the concept of minister, situation-centered and biased bible education and sermon on evangelism, misuse of gifts of holy spirit and revelations were pointed out. Regarding practical problems, too much dependency on the leader, closed Cell group fellowship, deterioration of sermon and bible study, difficulty in forming consistent relationship, limitations of gathering places, and limits of special ministry were pointed out. Regarding church histor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Grou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gainst traditional small groups were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are that both required small group gatherings per period and both claim for the recovery of church suggested in the new testament through harmonization between the small and large groups, and that these small group movements have continued on in the church history. The difference is that Cell is considered the essence of church, that is, Cell is considered the church and there are differences regarding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ological analysis of Cell Church, difference in form between Cell Church and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reformed church and Cell Church were examined through theological analysis on church theory of Cell Churc 본 논문의 연구동기와 목적은 21세기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동체성의 해체와 소외현상, 지나친 개인주의와 관료화 현상을 극복하고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 대두되고 있는 Cell Church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 개혁주의적 Cell 목회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첫째, Cell Church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해 Cell Church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점이다. 둘째, 개혁주의 목회론을 토대로 Cell Church에 대하여 비평적 분석과 평가를 통해 Cell Church의 장, 단점과 신학적 문제점을 고찰한 점이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함으로 목회적용의 근거를 모색한 점이다. 넷째,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로의 전환과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첫째, Cell Church의 이해로서 Cell Church의 목회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과 신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를 위한 개혁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기초는 무엇인가? 넷째, 바람직한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인 적용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Cell Church의 일반적 이해, 제3장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 제4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기초, 제5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 제6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첫째,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과 Cell Church에 대한 연구, 목회 신학적 특징과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Cell Church의 문제점과 신학적 분석,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Cell 목회 적용사례에 대한 분석으로 일산 한소망 교회의 Cell 목회 적용원리에 대한 사례연구로 이루어졌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고찰에서 개혁주의 Cell Group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개혁주의적 Cell 목회 신학을 제시하였다. 넷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으로 Cell 목회에서의 목회자의 역할, Cell 목회로의 전환 방안, Cell 목회의 양육방안,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서론적 연구로써 본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 질문과 용어 정의, 연구의 가정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함으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로서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한국 내 Cell Church 발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로써 Cell Church에 대한 이해를 위해 먼저 Cell Church의 교회사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 내용은 초대교회와 Cell Group, 종교개혁 이전의 Cell 사역 Model로서 Bohemia 형제단, Luther와 John Wesley의 소그룹 운동, George Whitefield의 소그룹 운동, 현대 제자훈련 운동과 은사운동에 나타난 Cell 사역 Model 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Cell Church가 가지는 교회론의 특징을 살펴 첫째, Cell을 교회속의 작은 교회로 여긴다는 점. 둘째, Cell Church는 Cell Group과 대그룹 회중 모임을 두 날개로 여긴다는 점. 셋째, Cell Church 교회론의 특징은 전 신자 제사장직을 사역적인 측면에서까지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 즉 ‘모든 성도는 목회자’라고 본다는 점. 넷째, Cell 자체를 공동체적 교회로 본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의 목회 신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첫째, Cell Church의 정신인 평신도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평신도 신학으로 지칭되는 평신도에 대한 재발견과 평신도를 사역자로 인정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둘째, 기독교 교육학적 측면으로는 Cell은 소그룹이 가지는 특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는 Cell Church 구조와 사역원리를 고찰하였는데, Cell의 구조는 Model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교회학교와 Cell 혼합 Model, 둘째 Cell Staff Model, 셋째 G-12 Model, 넷째 Band Model, 다섯째 5×5 Model들로 구분함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로서 먼저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Cell Church의 이론적 문제점으로는 Cell 개념에 대한 잘못된 인식, 사역자 개념의 모순, 전도와 상황 중심의 편향된 성경 교육과 설교, 성령의 은사와 계시의 오용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Cell Church의 실천적 문제점으로는 Leader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 Cell Group 교제의 폐쇄성, 설교와 성경공부의 약화, 지속적인 관계 형성의 어려움, 모임 장소의 한계성, 특수 사역의 제한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평가에서는 Cell Group이 전통적 Small Group과의 공통점은 시대마다 소그룹 모임의 필요를 요구하였다는 점과 소그룹과 대그룹의 원만한 조화를 통한 신약성경이 제시하는 교회로서의 회복을 주장한다는 점이고, 이러한 소그룹 운동의 형태는 교회사에서 계속되어 왔다는 점이다. 그 차이점은 전통적인 소

      •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 성장 방안

        엄현목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1711

        【Abstract】 A Patterns of the Problem of the Aged in the Aging Era and Church Growth Plan through the Pastoral Program for the Aged Eum, Hyun Mok Major in Church Growth Professional Gradute School of Pastoral Theological Chongshin University The year of 2018 was definitely a thoughtful year in Korea due to the Olympics that were held in Pyeongchang. Out of the world, the national prestige of Korea soared and we were able to spend a memorable time. Just like any national prestige, Korea has been struggling with various amounts of hurts and problems, which resulted in the heartache of many. The conflict of the ideology of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are still lingering. Also while the population of the world has been increasing, Korea is showing a decrease in their population. As the population decreases, more conflicts are developing, especially the labor in the aging society. Unlike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our nation is rapidly spreading as the aging society. Even a few years back, we never took the conflict seriously. But now it has spread way too fast, showing unprepared signs nationally and also in churches. Although, we are trying to take this conflict into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elders and their welfares, we are still seeing some troubles in coming up with a solution. Not only is it bringing risk to the nation but to the church as well. To this day, the church was never able to prepare for the conflict of the aging society, in particular, bring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the elders. So in result, the church was unprepared for a pattern of the problem that the elders brought in the churches. This author realized aging of the society was the aging of the church so the author decided to research the different types of problems, how they are actually going to approach the problem, the rise of the church from the solution, and in hopes of improving the church’s achievement in overcoming the problem. Also, to give more of our attention to the elders by trying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eir interests, showing sympathy for their pains so that they can reflect and set a goal from the hurtful past that have occurred. The Korean church has been getting into the aging society, and because of the problems with the elderly, we cannot ignore the fast growth. So starting from now, we should reflect back on the problems of the elders and find out the solution individually with the church. There are many different methodologies for Korean church growth. However, without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 it seems difficult to suggest a church growth plan easily In the previous experiments, they carefully observed the problems with the elders in the aging society with the help of the solution the church finalized and through those solutions, they experimented more towards the way of overcoming the problem. While performing the experiment, followed by precise observations, they took the base of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by looking further into the advices of the elders, their welfare, education, and their care. The previous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each of them relates to the same prompt.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idea, second chapter discusses about the improvements of the church and the understandings of the elderly ministry, third chapter is the elders realization of the aging society, fourth chapter provides the topic of the aging society and the types of conflicts within the elders, fifth chapter continues with the types of the conflicts that had rose from the aging society and the alternative of the improvement of the church, and sixth chapte concludes with the solutions that were discussed previously. In chapter 1, the problem, the research motivation,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methods, research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introduced. In chapter 2, along with the church growth including the biblical and pastoral understanding of the senior ministry, it provides a logical reasoning academically to make the understanding easier. To understand the correct growth of the church, we looked into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hurch’s meaning and essence. We also looked further into the biblical essence of the senior minis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the church and the ministry itself. In this age of situation, church growth and the elderly ministry can not be considered separatel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ynamic force of the church growth is from the elderly people now beyond next generation. The population of elders had been increasing, out-numbering the young adults. From those circumstances, the relationships of the church growth and the ministry was understood and explained. In chapter 3, followed by the understandings of the aging society, we discussed how we can come to understand their general, theological, biblical, and historical part of them. Also, through the various theories of the elders, that became a catalyst to understand their conflict’s essential reasoning. Seniors usually want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especially learning from young adults about the society and experience, while gaining the satisfaction and completing their achievements. Furthermore, their physical, mental, social, educational, and religious aspects were researched to understand the various conflicts and different types of individual interests they had in mind. Including the influential change that they have been going through from the society, while learning about their homes and family, culture and the generation that they had lived in. In chapter 4, it discussed the aging society and the various types of conflicts within the seniors. the concept and the cause of the aging society was found and thoroughly observed how the social status wa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flicts. the questions of their financial problems, physical problems, problems within the families, and even death were approached by carefully examining those types of conflicts, the influence in the church and the society can be seen by the elders.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ociety, the causes and effects, cultural changes, and changes that affected the church as a whole can be seen. In chapter 5, the way to approach the aging society’s problems and another way to improve the church growth through senior ministry was suggested. First, the importance of the ministry counsel and strategies were suggested by practical alternatives to directly promote the cure through counseling. The various programs and the necessity of the counseling theory research also were allowed by training professional counselors to offer counseling systematically. Second, they were able to apprehend the elder’s needs through the senior ministries and education, setting specific goals for senior educations, hiring professional professors to actually train to richly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The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secure the manpower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to help solve a wider variety of elderly problems by establishing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through alliances with churches or welfare institution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Third, while discussing elderly pastures and welfare, the church presented more interest in the welfare of the elderly and the access to welfare of the elderly at the church level, as well as various means of welfare for the elderly at the church, while presenting what the basic direction should be. The church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 a more aggressive manner. Fourth, discussing the elderly and pastoral care, it was suggested that, through various types of care, the church should actually look back and take care of the elderly first. A pastoral care can function and play a role through healing and maintenance, reconciliation and parenting. With today's call for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church members toward the elderly, the elderly need to recognize that they are the object of care and honor the Bible says, and guide the elderly to faithfully handle their roles through practical care. For the care of the elderly, the church should approach them from a consultative, educational, and welfare, and further, the elderly themselves should be able to realize their care. By taking care of the elderly themselves, the church has shown that it can grow healthier. Chapter 6 summarized the research in this paper, presented its conclus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the next study.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types of problems of senior citizens in the aging era and ways to grow churches through the aged population. It has come to the following research conclusions. First, how important it was realized that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the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enior ministry. Awareness of an aging era must precede, and without knowing what age it is in, it will never be easy to approach even the various problems of older people. In that respect,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understandi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aged,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church are important factors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church growth and the elderly. Having understood church growth as the number of Christians and the building of the church, it was true that there was a lack of real understanding of church growth and elderly pastoralis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growth and the elderly pastoral society, the church was able to understand where the church should be concerned and in what direction the church should grow. Second,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was able to be better in an ageing age. The vision of the elderly has simpl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older people, the theory of the elderly has enabled them to trace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 its essential respects, and the various changes that older people have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society. The Korean church will suffer from various elderly problems due to ag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and urgent to understand the elderly. As there is a wid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ere will be growing interest in the elderly in the future. It should become a Korean church and society that recognizes the elderly at the center of various changes and harmonizes with them. Third, the types of elderly problems in the aging era, along with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aging were looked at specifically. The problem of aging is now seen as a social problem and a national problem, now the national burden will increase and economic growth will also slow down. Along with the unemployment of youth, the same problem for the elderly will emerge, putting pressure on social and 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may be government-level difficulties with regards to pension and medical expenses. With these problems, the elderly will face a variety of problems. Through this types of problems, we can understand them and think about how to achieve church growth through the senior ministry. As a whole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problem on society and church, changes and trends in society, economy, culture, and church were looked at. As the saying goes, "Know your enemy and who you are, then you'll never lose." An understanding of the elderly's problem will make the direction and goal of the senior ministry even clearer. Fourth, what direction the church should lead in the future was realized in, as looking specifically at senior ministry and church growth plans through the types of problems of aged people in the aging era. The church cannot avoid the old age probl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roblem of the elderly, look at the more senior citizens, take a change in the pastoral paradigm for the elderly, and to be able to draw a blueprint for a real aged gathering in terms of counseling, education, welfare, and care for the elderly. The elders assume that they are not needless in church, is not worthy in this era, and will realize that they can be the main force for church growth in aging age, and in hopes to help achieve church growth through old people by referring to practical alternatives presented in chapter 5. This dissertation looked at the types of elderly problems in the ageing age and how to grow a church through the senior ministry. Then, studied how to grow the church through a gathering of senior citizens. Recognizing that the problems of older adults in the aging era are problems for individuals, families, churches and the nation. More active attitudes can greatly help solve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older people in the aging era. The interest for the elders is the concern for the soul, and the interest for the soul is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growth. We should be true Jesus’ disciples who serve the elders with constant interest and love. 【국문초록】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 엄 현 목 2018년은 세계가 주목하였던 평창 동계올림픽이 우리나라 평창에서 열리게 된 참으로 뜻깊은 해라 할 수 있다.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이 더욱 높아지는 참으로 중요한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의 위상에 못지않게 한국은 여러 가지 아픔과 문제로 가슴앓이를 하고 있다. 진보와 보수라는 이념의 갈등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인구는 늘어났지만 한국은 점점 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가 줄면서 여러 가지 나타나는 문제들 중에 하나는 바로 저 출산, 고령화의 문제이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고령화에 대한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너무나 급속하게 찾아온 고령화로 인해서 준비되지 못한 모습들을 국가적으로 혹은 교회적으로 바라보게 된다. 늦게라도 고령화의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국가적으로 노인 문제와 노인 복지에 대해서 대책을 세워가고 있지만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게 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는 국가적인 위기 뿐만 아니라 교회의 위기로 다가오게 되었다. 그 동안 교회는 고령화에 대한 대비를 전혀 하지 못했다. 특별히 노인의 문제에 대해서 전혀 관심을 갖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고령화 시대에 교회는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를 무방비 상태로 접할 수 밖에 없었다. 필자는 이러한 사회의 고령화는 곧 교회의 고령화임을 깨닫고 고령화 시대에 노인들의 문제의 유형들을 살펴보면서 교회가 실질적으로 노인들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의 유형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교회의 부흥, 교회의 성장을 조금이나마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또한 고령화 시대 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므로 교회와 가정과 개인이 노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지며, 노인의 아픔과 문제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닌 개인과 가정과 교회, 더 나아가 국가적인 문제와 아픔으로 여기며 돌아보기를 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교회는 이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고,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문제들을 방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제라도 노인의 문제를 돌아보고, 개인과 교회는 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쉽게 교회성장 방안을 제시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면에서 고령화 시대 노인들의 문제 유형을 면밀히 살펴보고, 교회의 고령화 속에서 노인 문제 해결과 함께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 문제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실질적인 대안으로 노인 상담과 노인 교육, 노인 복지, 노인 돌봄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의 이해, 제3장 고령화 시대의 노인의 이해, 제4장 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의 유형, 제5장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 그리고 제6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써 문제 제기, 연구 목적, 연구 질문, 연구 방법, 연구 의의, 연구 한계, 그리고 선행 연구 및 용어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의 성경적·목회적 이해’로써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이론적 학문적인 논리를 전개하였다. 교회성장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교회성장의 이론적 근거와 교회의 의미와 본질을 살펴보면서 교회성장의 다양한 근거를 살펴보았다. 노인 목회에 대한 이해와 성경적인 근거,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시대의 상황을 볼 때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이유는 교회의 성장 동력은 다음세대를 넘어 이제는 노인들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인들의 인구가 늘어가고 있고, 노인들의 숫자는 젊은이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한 차원에서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의 관계를 이해하고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의 이해’를 다루면서 노인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노인에 대한 일반적,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인 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통해서 노인들이 가지는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을 깊이 이해하고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인은 스스로 사회적 활동과 참여를 원하고 있고, 사회나 젊은이들로부터 분리를 경험함으로 오히려 만족감과 성취감을 높이려는 모습들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교육적, 종교적인 특성을 이해함으로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문제 유형의 모습과 노인들이 가지는 개개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들이 사회적인 변화 속에서 다양한 영향 아래에 놓여 있음을 살펴보면서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위치와 가족, 문화와 세대 간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고령화 사회와 노인 문제의 유형’을 다루었다. 고령화에 대한 개념과 원인을 찾고, 고령화의 문제로 인해서 사회적인 상황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고령화 사회 속에서 노인 문제의 유형을 아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노인이 가지는 경제적인 문제, 신체적인 문제, 가정의 문제, 심리적인 문제, 죽음의 문제 등등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접근해 보았고, 그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인들이 교회와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볼 수 있었다. 아울러 노인 문제가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미치는 변화와 영향, 문화적인 변화, 그리고 교회 전반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목회 상담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면서 상담의 유형과 방법, 그 실천대안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상담을 통한 치료와 예방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상담 기법 연구의 필요성, 전문적인 상담자를 훈련하며 제도적으로 상담을 제공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로 노인 목회와 교육에 대해서 논하면서 노인의 욕구를 파악하고, 노인 교육의 목표를 설정, 기획하고 전문적인 교사를 양성하여 실제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풍요롭게 하도록 제시하였다. 전문적인 교사의 인력을 확보하고, 지역 사회 내의 교회나 복지 기관과의 연합을 통해서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보다 다양한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로 노인 목회와 복지에 대해 논하면서 교회에서의 복지 정책과 기본적인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제시하면서 교회가 노인의 복지에 더 많은 관심과 함께 교회에서 할 수 있는 노인 복지의 다양한 방법들, 교회 차원에서의 노인 복지에 대한 접근을 제시하였다. 교회는 지역 사회에 노인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하며 교회 내의 노인들에게도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노인들의 문제를 이해해야 한다. 넷째로 노인과 목회적 돌봄에 대해 논하면서 다양한 돌봄의 유형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교회가 노인을 돌아보고, 살피는 일이 우선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목회적 돌봄은 치유와 유지, 인도와 화해, 양육의 모습을 통해서 그 기능과 역할을 해 나갈 수 있다. 오늘날 노인에 대한 교인들의 태도의 변화 촉구와 함께 노인들은 돌봄의 대상이요, 성경이 말하는 공경의 대상임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돌봄을 통해서 노인들이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돌봄을 위해서 교회는 상담과 교육과 복지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더 나아가 노인 스스로도 돌봄을 실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노인 스스로를 돌보는 모습을 통해서 교회는 더욱 건강하게 성장해 나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제6장은 본 논문의 연구를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다음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은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령화 시대의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문제와 노인에 대한 이해 그리고 노인 목회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인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고령화 시대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금 현 시대가 어떠한 시대적인 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면 결코 노인들이 가지는 다양한 문제에 조차도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노인 목회에 대한 바른 이해와 교회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에 대한 관계성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 동안 교회성장을 교인의 숫자나 교회의 건물로 이해를 하다 보니 실질적인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교회성장과 노인 목회의 관계를 통해서 이 시대에 교회가 어디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어떠한 방향 속에서 노인 목회를 통하여 교회가 성장해 나가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둘째, 고령화 시대에 노인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노인을 바라보는 안목이 단순히 나이가 많은 사람에서 보다 체계적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으며, 노인에 대한 이론을 통해서 노인 문제를 본질적인 차원에서 추적할 수 있었으며, 노인의 특성과 노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서 노인이 가지는 다양한 변화의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한국 교회는 고령화로 인해서 다양한 노인의 문제를 겪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노인을 이해하는 폭 만큼 앞으로 한국교회는 노인에 대한 관심이 커져갈 것이다. 다양한 변화 중심에 노인들이 있음을 알고 함께 조화를 이루어가는 한국교회와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고령화로 인해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문제와 함께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령화로 인한 문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이제 사회적인 문제, 국가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국민적인 부담이 증가하며, 경제성장률 또한 둔화되거나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청년 일자리 문제와 함께 노인의 일자리 문제가 나타나며, 사회개발과 국가 발전에 부담으로 다가올 것이다. 아울러 연금 및 의료비 부담에 대한 정부차원의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함께 노인들은 다양한 문제 앞에 놓여 있다. 이러한 노인 문제 유형을 통해서 노인들을 어떻게 이해하며, 노인 목회를 통해서 교회성장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를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노인 문제가 사회와 교회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서 사회, 경제, 문화, 교회 전반에 나타난 변화와 흐름을 살펴보았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한다는 말처럼 노인 문제에 대한 이해는 노인 목회에 대한 방향성과 목표를 더욱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의 유형을 통해서 노인 목회와 교회성장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앞으로 교회가 노인 목회를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아가야 할지를 깨닫게 되었다. 교회는 노인 문제를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노인 문제를 인식하고 더욱 노인을 살피고, 노인들을 위한 목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야 하며, 노인을 상대로 하는 상담, 교육, 복지, 돌봄의 차원에서 실질적인 노인 목회에 대한 청사진을 목회자들이 그릴 수 있어야 한다. 노인은 교회에서 필요 없는 존재들, 이 시대에 가치 없는 존재들이 아님을 기억하고 더욱 존귀하게 여기고, 노인들이 고령화 시대에 교회성장의 주역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고 5장에서 제시한 실천적인 대안을 참고함으로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을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본 논문은 고령화 시대 노인 문제 유형과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노인 문제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노인 목회를 통한 교회성장 방안을 연구하였다. 고령화 시대 노인의 문제는 개인과 가정, 교회와 국가적인 문제임을 인식하고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때 고령화 시대의 노인의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한다. 노인의 관심은 곧 영혼의 관심이요, 영혼의 관심은 곧 교회성장의 밑거름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끊임없는 관심과 사랑으로 섬기는 참된 예수의 제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 : 목회상담적 함의

        지의정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51711

        본 연구의 목적은 칼빈주의 신학과 청교도 신앙을 창의적으로 계승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을 목회상담과 연결하여 목회상담학에 대한 이론적 근간 및 방법론적 통찰, 영혼 돌봄의 원리와 자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특별히 에드워즈의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의 현장에 어떤 유익과 함의를 제공하며 오늘날 한국교회의 목회상담의 정체성과 방향성에 어떤 기여를 하며 도전을 주는지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드워즈의 인간론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드워즈의 인간이해는 칼빈주의 인간론을 계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인간은 죄인이며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을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다. 둘째, 하나님의 형상을 담지한 존재이자 전인적인 존재라는 인간 이해였다.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타락한 이후에도 여전히 하나님의 형상을 일부 가지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타락한 인간이 중생하게 될 때 참된 회심과 진정한 신앙은 인격 전체에 어느 부분도 제외되지 않고 영향을 미치며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통합적이고 전인적이며 유기적인 존재로 회복된다고 보았다. 셋째, 그는 죄로 타락하여 성향이 변화된 존재로 이해하였다. 원죄론에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은 창조된 인간은 선한 성향을 지닌 존재였으나 아담의 범죄로 인해 악한 성향을 지닌 존재로 변질되고 성향이 변화되었다고 본 것이다. 넷째, 그의 인간론은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이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간 이해였다. 그는 인간의 타락이후 하나님의 형상이 파괴되었지만, 완전히 상실된 것이 아니라고 이해하였다. 그는 일반은총의 영역에서 이성의 빛을 통하여 많은 학문이 발달 되며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드러낸다고 주장하였다. 다섯째, 청교도주의와 계몽주의를 결합한 인간이해였다. 에드워즈의 사상은 자연을 무시하지도 파괴하지도 않고 오히려 자연주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여섯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철저한 회심과 회개를 통해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 마음의 변화와 신앙감정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일곱째, 그의 인간론은 실천적인 삶을 성화의 표지로 보는 인간이해였다. 그는 1차 부흥운동을 경험하면서 참된 신앙은 반드시 외적인 실천을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성과 감정이 균형적이고 통합적으로 작용하는 실천적인 삶의 변화를 강조하였다. 에드워즈 인간론의 한계는 개별성과 차이성을 간과한 것이다. 에드워즈는 모든 인류가 아담의 대표성의 원리나 동일성의 원리에 의해 죄인이라는 동일한 신분과 본질을 지녔다고 주장하면서 모든 사람의 공통성을 강조하였지만 반면에 인간의 개별적인 차이를 충분히 인식하고 강조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남녀노소의 차이나 차별, 세대와 계층 간의 차이, 문화적 다양성, 가치관의 다양성 등이 특징적이다. 이런 현대사회에 그의 인간론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은 불가피하다. 에드워즈의 인간이해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개혁신학적 관점을 견지하는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것을 지지한다. 에드워즈는 인간 행복의 기초와 근원이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무의식 속과 의식 속에서 자리 잡은 하나님에 대한 오해와 불신, 부정적인 마음들을 수정하도록 돕고 내담자와 하나님의 관계를 바르게 연결 짓도록 돕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둘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하나님의 형상과 관계중심적 인간이해”가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는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의 하나는 모든 관계에서 회복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의 원죄론은 우월과 열등의 관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 속에서 상대방의 아픔과 문제를 공감하고 경청하며, 하나님의 형상인 내담자를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기는 관계 중심적 상담을 지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셋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죄와 병리성의 통합적인 관점”이 목회상담에 필요함을 요청한다. 죄로 인하여 부패하고 파괴된 인간성이 어떠한 양태와 증상의 문제로 드러나는지 정신의학이나 심리학을 포함한 타 학문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요청하며 인과론의 패러다임만으로 죄를 규정하지 않도록 요청한다. 넷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하나님을 경험하는 현장으로서 목회상담”으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인간의 진정한 변화는 하나님 사랑을 느끼고 경험할 때에만 가능한 것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목회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나님을 경험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감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목회상담에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그의 인간론은 감정의 문제가 지성과 감정과 의지가 전인적으로 통합된 믿음의 문제임을 알려준다. 여섯째, 에드워즈의 인간론은 “칭의와 성화의 균형을 지향하는 목회상담”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수직적 관계와 수평적 관계의 회복을 위해 목회상담자는 칭의와 성화가 주는 유익을 균형있게 이해하고 내담자가 하나님의 온전한 형상으로 회복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적으로 에드워즈는 인간의 본질, 정체성, 기원, 행복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고 오늘날의 목회상담이 다시 근원되시는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한다는 엄중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인간론과 개혁신학과 목회상담학 을 연결짓는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한국교회의 목회상담운동에 개혁신학적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nsight into the theoretical basis and methodology of pastoral counseling and find the principles and resources of care of soul by connecting pastoral counseling to the theory of man by Jonathan Edwards, who inherited creatively the Calvinistic theology and Puritan faith. The investigator, in particular, discusses the benefits and implications of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for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and its contributions and challenges for the identity and directional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oday's Korean Church.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assessments of Edwards' theory of man: first, his understanding of man inherited the Calvinistic theory of man. Edwards believed that men are born sinners and could be saved only by the grace of God; second, his understanding of man was that man is an entity reflecting the image of God and whole person. According to him, men still kept parts of God's image even after they fell low due to their sins. He also argued that when corrupted men were saved, their true convincement and real faith would have impacts on their personality with no parts excluded and be interconnected closely, helping men restore themselves to be integrated, whole, and organic beings; third, he understood that men fell low and had their tendency altered due to their sin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theory of original sin is that men had a good tendency when created by God and had their good tendency altered into an evil one due to Adam's sin; fourth, Edwards' theory of man is based on his human understanding of considering reason to be positive in the area of general grace. He understood that God's image was destroyed after the corruption of man but was not lost completely. He maintained that many different disciplines developed through the light of reason in the area of general grace and revealed the greatness of God; fifth,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Puritanism and Enlightenment. His ideas neither disregarded nor destroyed nature, rather going beyond the limitations of naturalism; sixth, Edwards believes that men would have a change of heart and develop a feeling of faith by making an alliance with God through their thorough convincement and repentance in their relationship with him; and finally, Edwards' theory of man is based on the human understanding regarding a practical life as a sign of sanctification. After experiencing the first revivalism, Edwards maintained that true faith should never fail to reveal itself through external practice. He highlighted man's change to a practical life in which reason and emotion would work in a balanced and integrated manner. Edwards' understanding of man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first, his theory of man supports the argument that pastoral counseling needs "human understanding based on the viewpoint of reformed theology." Edwards maintained that the basis and origin of human happiness should derive from God, which means that pastoral counselors should help their clients address their misunderstanding, mistrust, and negative ideas of God deep in their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and mak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second, Edwards' theory of man implies that pastoral counseling needs an "image of God and relation-centric human understanding." According to Edward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n that have been restored to the image of God is that they have a restoration in all of their relationships. Edwards' theory of original sin implies that pastoral counselors should sympathize with and listen to the pain and problems of their clients in equal relations with them instead of superior-inferior relations and be oriented toward relation-centric counseling to serve their clients in the image of God with God's love; third, Edward's theory of man raises a need for an "integrated viewpoint between sin and pathology" in pastoral counseling. It asks pastoral counselors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symptoms of humanity corrupted and destroyed by sin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y connecting their connections with other areas of science, including psychiatry and psychology, and not to define one's sin only by the paradigm of causationism; fourth, Edwards' theory of man proposes directionality for "pastoral counseling in the field of experiencing God," highlighting that people can have a true change only when they feel and experience God's love. Pastoral counselors thus need to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for their clients to experience God; fifth, Edwards' theory of man emphasizes that pastoral counseling requires a "new paradigm for emotions." His theory of integrated and whole man suggests that the issues of emotions are issues of faith in which intellect, emotion, and will are integrated in a whole person; and finally, Edwards' theory of man proposes directionality for "pastoral counseling oriented toward the bala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Pastoral counselors should thus understand the benefits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a balanced manner and help their clients restore themselves fully in the image of God to restore their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In short, Edwards gives a strict lesson that today's pastoral counseling should return back to God as its root, knowing that nature, identity, origin, and happiness of man stem from his relationship with God.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kes a connection between Jonathan Edwards' theory of man and reformed the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and proposed reformed theology-based directionality for the pastoral counseling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