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문화 관광콘텐츠를 활용한 동북아 어촌 활성화 사례 고찰 -부산, 후쿠오카, 청도를 중심으로-

        주현희,주현희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3 島嶼文化 Vol.- No.62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of fishing villages in Korea, Japan, and China that have activated local tourism by developing marine cultural contents. Fishing villages have traditionally lived by fishing. However, a new industrial structure was formed as the income base weakened due to the depletion of fish stocks and the decrease in fishermen. They use their own culture as tourism content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raditional fishing of fishing villages and the history of fishing villages ar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exhibitions, festivals, and experiences. The meaning of two can be found through this case study. First of all, it is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disappearing traditional fishing and marine culture in a modern way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rine cultural contents such as traditional fishing and history of fishing villages. And The fishing villages and regional identities are solidifying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fishermen. Through this study We knew the culture of fishing villages could be converted into tourism contents and used for modern reinterpretation and preservation.

      • KCI등재

        한국 원양어업 연관 기업변천사 연구: (주)남양어망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현희,주현희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서강인문논총 Vol.- No.65

        In this study, a section of the Overseas fishery industry was examined, focusing on Namyang Fishing Net Co., Ltd. of Korea and Nichimo Co., Ltd. of Japan, which are fishing net makers that flourished during the Overseas fishery period. Namyang is a pioneer in the fishing net manufacturing industry, and in the 1980s, it entered 11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exported fishing nets. Namyang produced Overseas fishing nets such as trawling nets through technology partnerships with Nichimo, and later succeeded in developing its own technology. Meanwhile, Nichimo, a large Japanese fishing net maker, flourished greatly with the revival of the Japanese fisheries industry and established itself as a large Japanese fisheries company today. However, the reason why Namyang, which grew into a world-class company as a large manufacturer of fishing nets and fishing gear, declined was compared with Japan's Nichimo. Since 1995, the fisheries industry has declined due to the 200 nautical miles regulation of each country, and the Japanese fisheries industry has attempted a land-based strategy, and Nichimo has also succeeded in a land-based strategy. However, the Namyang failed to land, and due to the decline of the Overseas fishery industry, the burden of logistics and development costs could not be compensated, and it was bankrupt. In this study, the rise and fall of the Korean Overseas fishery industry was examin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Namyang. Namyang, which once realized its grand ambitions as a global fishing net maker, remains only a record of one of the Korean Overseas fishery companies in the 1970s and 1980s. 본 연구는 국내 원양어업 발전기에 번성한 어망 제조사인 남양어망의 기업사 고찰을 통해 한국 원양어업 관련 산업사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찰과정에서는 남양어망과 동시기에 존재했고, 현재까지도 건재한 일본의 니찌모의 발전과정을 함께 살펴, 남양어망의 쇠락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남양어망은 한국의 어망 제조 업계의 선구자로서 1980년대에는 세계 110여 개국에 어망을 수출하였다. 또한 니찌모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원양어업 어망을 제작하고, 자체 기술개발에 성공하는 등 국내 독보적인 기업이었으나, 2004년 폐업하였다. 반면 남양어망의 자체기술 개발에 많은 영향을 준 일본의 대형어망 제조사인 니찌모는 일본 수산업의 부흥과 함께 크게 번성하여 오늘날 일본의 대형수산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남양어망과 니찌모는 같은 시기에 공존한 동종 기업이다. 그러나, 1995년부터 시작된 연안국의 200해리 어업규제와 원양어업의 쇠퇴기를 맞아 추진한 기업 전략은 이들 두 기업의 기업사(business history)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대외적인 환경 변화 등의 요인으로 수산업과 원양어업의 쇠퇴를 맞은 일본 수산업계는 기존 사업영역의 ‘육지화 전략’을 추진하였다. 니찌모 역시 이 전략을 추진하였고, 성공하였다. 그러나 남양어망은 육지화 전략에 실패하였으며, 자사의 독특한 물류체계에 따른 물류비 부담, 개발 비용 등으로 인해 부도를 맞았다. 한때 세계적인 어망 제조사로 부상했던 남양어망은 1970년대~1980년대 한국 원양어업사의 한 편에 기록으로만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남양어망의 변천사는 한국 원양어업의 흥망성쇠를 투영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 해양정책에 관한 연구: 정책변화 양상과 영향요소를 중심으로

        주현희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3

        Recently, China marine policy and their marine development investments has been getting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manned vehicles (AMV). China has maintained as one of a few socialist countries, while turing around for economic growth. This change of orientation has been substantially impacting on the marine policy of the country. From the ocean strategies that focused on the marine defense systems in 1950’s to the current ones emphasizing "marine integration management policy", Chinese marine policy has been evolving in accordance with the dynam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ffairs.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ical path of the modern chinese marine policy, and analyze the important factors led to these changes, the keynote, basic strategy, features in China's marine polic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causality or probability among the factors of policy impacts, policy changes and keynot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linkage theory. The output results suggest that China's marine policy has been rooted on the foundation of policy basis and strategy which respond to objectiv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Chinese marine policy has addressed such factors as resources and environment, leader’s perception,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nd population. Moreover, it has been developed as a form of comprehensive policy in line with the issues of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supply and demand of resources, and military elements. China's marine policy has appeared to ensure policy coherence and stability,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unified political system, and to entail closeness to an objective of national macro economic policies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ation In China's marine policy, a gap between policy-making and policy-operating occurs due to government-centered management, overlapping agency roles and unregulated enforcement systems. However, consistency of strategy that keeps marine policy as a prolongation of policy strategy, and that adheres to the promotion of closeness accompanying an economic and industrial macro economic policy will contribute to us to a great extent. 중국은 최근 세계 최대 수심의 잠항능력을 보유한 유인잠수정 개발에 성공하면서 해양개발 투자를 포함한 그들의 해양정책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중국은 세계에서 몇 안되는 사회주의 국가이자 경제성장 중심의 실용주의 표방 국가로 이러한 국가 시스템 전반의 성향은 해양정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50년대의 해양방위(海防) 측면의 해군중심의 해양전략 위주의 정책에서 부터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자원에 대한 개발과 보호정책을 거쳐 행정기구의 강화를 도모하는 “해양종합관리정책”의 단계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해양정책은 대내·외적 여건에 따라 변화를 겪어왔다. 본 고는 해양자원의 개발과 보호적 측면의 중국 해양정책의 역사적 변화과정과 이들 변화를 이끄는 영향요소, 정책의 기조와 전략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고찰과 분석은 노즈노어의 연계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정책영향요소와 정책변화 및 기조 간의 인과성 또는 개연성에 주목하였다. 노즈로어의 연계론적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해양정책은 내·외부적 환경요인을 객관적으로 인지하고 평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정책환경 투입과 산출의 인과성이 강한 정책기조를 나타내고 있었다. 정책산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자원환경, 지도부의 인식, 사회·경제적 변화, 인구 등 국가 전반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단일당 정치체제의 장점인 정책의 일관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사회, 경제적 발전을 위한 국가 거시정책과 목표를 같이 하는 유기성을 지니고 있었다. 중국의 해양정책에는 지나친 정부 주도형의 관리로 정책수립과 실제운영 간의 괴리가 발생하고 기구의 중복, 무질서한 집행체계 등에 대한 해결해야할 문제가 남아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해양정책을 결코 해양에 국한된 정책으로 분획하지 않고 육지 정책전략의 연장선으로 두며, 경제, 산업 등의 거시 정책과의 동반적 유기성 도모를 견지하는 일관성 있는 전략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우수등재

        국내 해양심층수 산업에 대한 고찰 -법제도 개선과 시장 변화를 중심으로-

        주현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3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26 No.4

        Korea began its deep sea water industry in earnest in 2008, and as of 2023, it has reached 15 years of in-dustrial history. So far, the deep sea water industry has achieved significant growth in quantitative terms. This situation is reflected in intuitive indicators such as increase in sales, number of companies, regional distribution of companies, and increase in number of products. In particular, the current growth stage of the deep sea water industry is diagnosed as having settled into the growth stage. This achievement of in-dustrial growth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various national policies and technical support promoted to expand the market and industrial revitalization, as well as the efforts of the industry. In particular, the re-vision of the「Deep sea 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Act」 and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R&D implemented after 2008 are evaluated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the deep sea water industry and creating a consumer-centered industrial environment. How-ever, behind these positive results and evaluations, there are also limitations and challenges. First of all, the industrial structure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drinking water has continued since the early days of the industry, and the entry of new companies is minimal,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deep sea water in-dustrial ecosystem. Another is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management system intertwined with the「Drinking Water Management Act」,「Korea Food Code」, and「Salt Industry Promotion Act」. This appears to be acting 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e company's ability to pioneer new markets and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2023 is the year in which the 4th deep sea water basic plan is es-tablished, and it is important to objectively evaluate and diagnose the domestic deep sea water industry and set a future-oriented policy direction by considering the chang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will be needed to consider the use of deep sea water acros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should be considered. also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concentrated industrial structure, advance the deep sea water industry into new markets, and encourage new companies to enter the deep sea water market. This paper examines the domestic deep sea water industry and presents policy directions that must be prerequisite for diversifying the use of deep sea water and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송헌석의 <최신속성 조선어자통(最新速成 朝鮮語自通)>(1928) 고찰—문자 및 발음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주현희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8

        This article examines Song Heon-seok’s Korean language study,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which discussed writing and pronunciation descrip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 large number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were published for Japanese of which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was one such book. The author, Song Heon-seok, published various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including about Japanese and Chinese.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of Song Heon-seok's Japanese and Chinese language study books,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So in this article reviewed his own Korean study book,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and compared it to his following book, Soksu Joseoneo-jatong (1926/1939). During this period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artially amende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hich was enacted in 1912, and in March 1921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 The Outline stipulated the abolition of Arae-A(·), the unification of the marking of a fortis ㅅ, the 7 final consonants, the Initial Sound Law, and palatalization. Choisin-sokseong Joseoneo-jatong (1928) examined how text and pronunciation were described in light of these revised regulations and compared the new described elements with those described in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ing books published in the 1920s. 이 논문에서는 송헌석이 저술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 <최신속성 조선어자통(最新速成 朝鮮語自通)>(1928)에 나타난 문자 및 발음 기술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1910년 일제의 국권 침탈 이후 일본인 대상의 한국어 학습서들이 대량으로 간행되었다.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도 이 시기에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 중 하나이다. 저자 송헌석은 여러 종류의 외국어 학습서를 간행한 이로 본고에서는 그의 한국어 학습서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을 고찰하고 이를 그가 이전에 저술한 <속수 조선어자통(速修朝鮮語自通)>(1926/1939)과 비교⋅분석하였다. 한편 조선총독부는 1912년에 제정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을 일부 수정하여 1921년 3월에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 대요(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를 공표하였다. 여기에서는 아래아(ㆍ) 표기의 폐지, 된시옷 표기 통일, 7종성, 두음법칙, 구개음화 등의 표기 및 발음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최신속성 조선어자통>(1928)에서는 이 규정을 토대로 문자 및 발음을 어떻게 기술했는지 1920년대에 간행된 여러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일어의 후각 형용사 의미 대조 연구 - 형태 확장과 의미전이를 중심으로 -

        주현희,채영희 한국어의미학회 2016 한국어 의미학 Vol.53 No.-

        A study on the compare of olfactory adjectives in Korean and Japane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and Japanese olfactory adjectives based on the lexical semantics. First of all, I classified according to meaning. The eight kind of basic olfactory adjectives in Korean ‘향내, 고린내, 노린내, 비린내, 고소한내, 지린내, 매운내, 쉰내’ and corresponding to Japanese ‘かぐわしい(kaguwasii), 臭(くさ)い(kusai), 獣(けもの)臭(くさ)い(kemonokusai), 生臭(なまぐさ)い(namakusai), 小便臭(しょうべん)臭(くさ)い(syoubenkusai), かび臭(くさ)い(kabikusai), 饐(す)え臭(くさ)い(suekusai)’. And they are classified again according to shape. I analyzed the olfactory adjectives types and forms of Korean and Japanese, and also find 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urthermore, I delineated primary meaning and meaning extension, meainng transfer idiom of Korean and Japanese olfactory adjectives. The olfactory adjectives of Korean were used in more productive way in sense of meaning and form than that of Japanese. In this sense, the Korean olfactory adjectives were rather more used in the productive way than the Japanese were. In conclusion, we have looked at one of many discussions of these meaning transition; smell to taste given the example of ‘고소하다, 구수하다’-‘香ばしい(koubasii)·芳ばしい·馨しい(kanbasii), かぐわしい(kaguwasii)’, and 臭(くさ)い(kusai)-‘구리다.’ By comparing of Korean and Japanese olfactory adjectives, I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and usage of Korean olfactory adjectives and based on this study, I expect the result of research will be helpful in u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전쟁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내용 및 체계 연구 - 실제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주현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0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 간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피란수도 부산에서 국어 교육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전시 상황에서 운영된 교수요목 및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편찬된 국어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교육 자료가 전쟁 상황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당시 피란학교의 교무일지 등의 학교사 자료와 아울러 살펴보았다. 전시 상황에서 피란수도 부산의 학교 교육은 문교부가 공포한 「전시하 교육 특별 조치 요강」에 맞춰 긴급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시 상황에서 피란학교에서는 교사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규교과 과정을 운영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전시 상황에 맞추어 정규교과 과정은 군 위문 활동 등의 특별 활동으로 대체하였으며 국어 교육 또한 이러한 상황에 맞춰 이루어졌다. 국어 교과서도 국군의 승리를 기원하는 글이나 위문편지 등을 학습 내용으로 구성하여 편찬하였다.

      • KCI등재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주현희,채영희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5 No.-

        1880년대 개화기부터 1945년 해방되기까지 일본인에게 한국어 교육을 하기 위해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일본인의 한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간행된 학습서를 시대별로 나누어 그 간행 양상을 먼저 살펴보고 그 중 문법 학습서를 중심으로 문법 내용의 성립 양상을 고찰하였다. 1880년대 이전까지는 단어나 문장, 간단한 회화문 제시 등의 발음 교육 중심의 학습서 간행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05년을 기점으로 한국어 문 법 체계 및 품사를 학습 내용으로 다룬 학습서의 간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법 학습 내용을 다룬 학습서 간행이 증가하게 된 요인으로는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 거류민의 증가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 하게 된 것, 일본인의 조선어 및 외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한 언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 행된 것, 서양 언어학이 도입된 것 등으로 보았다. 한국어 학습서는 단순한 어휘나 문장을 나열하는 내용 구성 방식의 회화 학습서에서 시작하여 점차 문법 체계의 정립 등 언어학적 방법론의 도입 에 따라 체계화된 문법 내용을 다룬 학습서로 변화,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및 교육이라는 관점의 변화가 한국어 학습서 편찬 및 문법 내용 심화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았다. 또 한 한국어 학습서는 시대적인 정치적 상황과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수요 에 따라 학습서의 구성과 내용이 변화되어 온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 송헌석의 저술을 중심으로 -

        주현희,채영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he Joseon society has adopted Western newspapers and new knowledge,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values and forming a modern way of thinking. Prior to the opening of the port, he gradually developed into modern knowledge, either by accepting Chinese knowledge or by accepting Western books and newspapers through China.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gradually sought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foreign language skills, gradually breaking away from the acceptance of knowledge dependent upon China and Japan, to translate foreign language books and send students to various countries to import new knowledge and new culture materials. Meanwhile, the Korean society, which used to trea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as the exclusion of foreigners and barbarian before modern times, has changed its outlook on the world since its opening in 1876. The world map, which was embedded in Koreans' perceptions, was newly drawn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through modern knowledge and new culture, and the world, which was recognized around East Asia, expanded to Western Europe. Within this extended modern space of time, various cultures and concepts were formed and a new language was needed to represent them. In additio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new cultur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new knowledge structure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world. Korea has moved away from the agrarian society to an industrial society that manufactures new culture and to a material civilization that consumes them. The new culture and the need for a name for the new world were needed, and the naming of the various concepts derived from it was also rapid. And many new words were created to do this, which in turn affected the formation of modern language education and knowledge structure. Song Heon-seok (1880?-1965?) was one of the new intellectuals wh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new knowledge in modern times thr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during these modern times. Through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 he wrote, we looked at the introduction of new vocabulary and the acceptance and reproduction of concept in the modern era. 조선 사회는 1876년 개항 이후 밀려오는 서양의 신문물과 신지식을 수용하고 전통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사고방식을 형성해 나갔다. 개항 이전에는 주로 중국의 지 식을 수용하거나 중국을 통해 서양의 서적과 신문물을 받아들여 이를 모방하거나 변용 하면서 점차 근대 지식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후 점차 중국, 일본에 의존한 지식의 수 용에서 벗어나 외국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외국어 서적을 번역하고 여러 국가 로 유학생을 파견하여 신지식과 신문물을 직접 수입하고자 하였다. 한편 근대 이전에는 중국을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그 외의 국가들은 양이, 오랑캐 등 으로 치부해왔으나 1876년 개항 이후 서양 세계의 근대 문물을 접함으로써 조선 사회의 세계관에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인들에게 인식 속에 내재되어 있던 세계 지도는 근대 지 식과 신문물을 통해 재구조화 과정을 거쳐 새롭게 그려졌으며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인 식했던 세계는 서구 유럽으로까지 확장되어 나갔다. 이러한 확장된 근대의 시공간 속에 서 다양한 문물과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나타낼 새로운 언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 한 다양한 신문물의 소비와 유통은 새로운 지식구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직업 세계의 확 장도 초래하였다. 한국은 농경사회에서 벗어나 신문물을 제조하는 산업사회로, 그리고 이를 소비하는 물질문명세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한편 새로 접하게 된 문물과 신세계에 대한 명명이 필요했으며 이에서 파생한 다양한 관념들에 대한 명명 또한 급속도로 이루 어졌다. 그리고 이를 위해 많은 새로운 단어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다시 근대 언어 교육과 지식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송헌석(1880?-1965?)은 이러한 근대 시기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서 근대 시기의 신 지식의 도입과 재생산에 기여한 신지식인의 한 사람이었다. 그가 저술한 외국어 학습서 를 통해 근대 시기의 새로운 어휘와 개념의 수용 및 재생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