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수시 전기누전에 따른 위험거리 분석연구

        주재승(Joo Jae seung),최현석(Choi Hyeon seok),정도준(Jung Do joo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1990년대까지 가로등이나 신호등에서 누전되는 전기로 감전되는 사고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다가 2001년 7월 15일~16일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도로가 침수되면서 19명이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후 정부는 가로등 및 신호등 분전함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도록 법제화하였으나, 전력을 사용하는 입간판의 경우 이것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번화가 및 상가 거리를 단속하여 전력을 사용하는 입간판을 제거하고 있으나 일시적일뿐 매장마다 치열한 손님유치 경쟁 속에 버젓이 불법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행자의 감전위험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침수환경에서 220V 상용전압 누전시 위험성을 실증실험으로 분석하였으며, 보행자 스스로가 감전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Electric shock due to the electric leakages from the street lamps or traffic lights used to happen until the 1990. After the accident causing 19 casualties during the heavy rains on July 15-16, 2011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administrator established laws on installing circuit breakers to the street lamps and traffic lights. However, the standing signboard along the sidewalk remains a blind stop. Though some local government have tried to keep the streets safe from the electric standing signboards to prevent the pedestrian from getting shocked, most store-owners hardly observes and keep on using it illegally because of the promotion effects. Thus,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focused on providing the danger range of electric leakage in flooded situation and safety guidelines for the pedestrians.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주재승(Jae Seung Joo),윤지현(Ji Hyun Yoon),김두영(Doo Young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journal articl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disabled welfare in Korea,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in the field. For the purpose, the author selected 94 studies listed on 16 kinds of journal articl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disabled welfare, analyzed trend journals by year, trend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through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with disabilities were increasing, expecially representing a sharp increase from 2014. Second, the research topic areas most referred were studies related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 life-long learner and learner group. Third, most of the first authors came from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nd Yeongnam area. The research study using a questionnaires was that the majority method.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에 등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국내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학술지 16종에 등재된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 94편이며, 연도별·학술지별 동향, 연구주제별 동향, 연구방법의 특성을 분석준거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학술지별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2014년부터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평생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관련 연구와 평생학습자 및 학습자 집단 관련연구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주저자의 지역은 영남권과 수도권의 대학에 소속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유형은 주로 질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문헌연구, 질적연구, 실험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을 살펴본 결과, 장애인평생교육기관과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관련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LID 검증 시뮬레이터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신현석,주재승,장영수,이정택,김미은,Shin. Hyun Suk,Joo. Jae Seung,Kim. Mi Eun,Jang. Young Soo,Lee. Jung Teak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현재 개발되어있는 저영향개발(LID) 요소 기술들은 산재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에 적용하기 위한 효율성 검증기술 개발은 세계적으로도 미비한 실정이다. LID 효율성 검증기술은 실제로 LID 기술의 실용성, 상업성 및 파급성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선제적인 효율성 실험동 구축을 통한 검증 기술 획득과 시공평가 기술의 선정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LID)기법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Smart LID/NPS Simulator를 이용하여 시료에 따른 수문학적 물수지분석이 가능한지 판단여부를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TEX>$2{\times}5(m)$</TEX> 크기의 Runoff Plot 중앙을 구분하였다. Runoff Plot의 한 면에 스펀지를 이용하여 불투수면과 투수면을 구분하였으며, 두 CASE의 강우(10mm/h, 30mm/h)에 각각 <TEX>$1{\times}1{\times}0.1(m)$</TEX> 규격의 스펀지 1단과 2단으로 구분하여 30분간 강우를 모사하였다. 그리고 강우 종료 후 30분간 대기하여 지표유출 및 지하수 유출이 모두 종료 할 때 까지 대기하였다. 각각의 CASE별 결과로 먼저 10mm/h 강우강도에서는 스펀지를 이용한 투수면의 지표유출량이 불투수면보다 지표유출이 59%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강우강도가 4.5배 증가한 45mm/h에서는 불투수면과 투수면에서의 지표 유출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스펀지 2단에서의 지하수 유출량은 1단을 사용한 Case 보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펀지 내 함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우 본 검증기기를 이용하여 효율성이 높은 LID 기술요소를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자전거 전조등의 적절한 설치 각도 제시

        김예림(Kim, Yerim),주재승(Joo, Jaeseung),정도준(Jung, Dojoo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자전거 전조등의 설치 각도에 따른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마주 오는 자전거 운전자의 눈부심이 적은 최적의 전조등 각도를 제시하고 있다. 피험자는 자전거에 탄 채로 전조등이 설치된 자전거가 다가오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였고 마주 오는 운전자는 전조등과 지면의 각도를 0°에서 30°까지 하향 방향으로 변경하며 반복하여 주행하였다. 안구추적기로 피험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피험자의 시선이 전조등을 주시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degree of glare disturbanc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bicycle headlights. In particular,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eadlight angle that resulted in the least glare from the bicycle driver while securing a visible distance that ensured driver safety. The test subject was riding a bicycle and was requested to look at a bicycle equipped with a headlight facing the approaching direction. Additionally, the angle between the headlight and the ground was changed from 0° to 30°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the subject was requested to drive repeatedly. The subject s gaze was tracked using an eye tracker to measure the time spent gazing at the headlight. The results were then utilized to evaluate the degree of glare disorder.

      • KCI등재

        소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유량계측기술 개발 및 적용성 검토

        정태성(Cheong Tae Sung),주재승(Joo Jaeseung),최현석(Choi Hyunsuk),김서준(Kim Seoju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소하천은 상류에 위치해 하류에 위치한 국가 및 지방하천의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소하천 유역 내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예방ㆍ대응 대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하천은 미계측 유역으로 남아 있어 적절한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불어 국내 소하천은 22,800여개로 지자체 소하천 담당 공무원의 수에 비해 그 수가 너무 많아 홍수 시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소하천 계측이 가능한 CCTV 기반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립재난연구원에서 시범운영중인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서 유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도플러유속계를 이용하여 실측한 유량과 위어 유량을 함께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실측 유량을 잘 재현하는 것은 물론 계측시간이 짧아 소하천의 첨두유량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기술은 수면과 직접접촉하지 않고도 소하천의 표면영상만을 이용하여 유속을 계측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량을 계측함은 물론 하천흐름과 현장상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소하천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지속가능한 계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측기술로 인해 소하천에서의 모니터링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집된 수리량 자료는 홍수량산정을 위한 설계기준 개정이나 소하천의 재해저감을 위한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 고도화 지원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mall streams have flood effec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streams located further downstream. Moreover, damages are increasing in these basins, mak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n urgent necessity. However, the challenge is that small streams remain non-measuring sites. Furthermore, there are about 22,800 small streams, which are too man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measure during the flood season. Thus, in this study, a CCTV-based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monitoring, and minimize the labor required. To evaluate the new technology, discharges were measured in Jungsunfil-chun of Ulju-gun, which is a test bed opera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and compared with the Aquatic Doppler Velocimetry (ADV) based discharges and the weir discharges. The results show that measurements using the new technolog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DV based discharges. Furthermore, the new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pture peak flood discharges with short measurement times. Moreover, it is a sustainable measurement method to support flood control by verification of stream flow and situational influences, and provides stable measurements by using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new 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sites, and the hydraulic data sets collected from various small stream test be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design code for estimating flood discharges and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to reduce damage in small streams.

      • KCI등재

        부하지속곡선과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평가

        손태석(Shon,Tae Seok),주재승(Joo,Jae Seung),박재범(Park,Jae Beom),신현석(Shin,Hyun Suk)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1 No.5B

        유역관리제도로써 시행 중인 현재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기준유량은 과거 10년 평균저수량을 적용하고 있으며, 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는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을 만족할 수 있는 부하량에 대한 관리를 통해 시행되고 있다. 현재의 단순화되고 평균화된 개념의 기준유량을 이용한 단위유역별 부하량 할당과 관리는 목표수질 달성이라는 규제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관리측면에서의 편리성은 있으나 유역관리를 통한 유역 혹은 수체의 건전한 회복과 평기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유역관리의 역할은 미흡하다. 동일한 수질 농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시간, 매일 변동하는 유량, 즉 전체유량을 고려한 부하량 관리를 통해서만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해야 한다.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자연 현상인 강우-유출에 의해 다양하게 변동되는 유량과 인위적인 조절 유량 등을 고려한 오염총량관리 기준 설정과 이러한 양상을 반영한 과학적,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량 규모가 고려되는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오염총량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낙동강 수질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의 실적용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본 기법의 국내 오염총량관리의 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The TMDL standard flow as applying watershed management regime uses the average low flow of past 10 years. Moreover, the TMDL implementation assessment has been enforced through management of pollutant load satisfied objective water quality. Even though the present allocation and management through averaged low flow are still convenient, they are not enough to solve ultimate goals of watershed management to keep up recovery of water body. To maintain the same water quality concentration, the standard flow is required to consider total discharge in management plan which helps to keep healthy ecosystem. In view of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approach reasonable assessment by reflecting variably changeable discharge from precipitation-streamflow relation and the TMDL standard establishment considering artificial regulated flow.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he TMDL method using Load Duration Curve (LDC) and Streamflow-Load Rating Curve (QLRC) considering total discharge and finds drawbacks with solutions as applying on Nakdong river TMDL unit watershed. Finally, this research evaluates possibility of application on pollutant load allocating and implementation assessment in Korea.

      • KCI등재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실측자료 기반 노모그래프 구축

        정태성(Cheong Tae Sung),최현석(Choi Hyeonseok),주재승(Joo Jaese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has developed a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to reduce damages to small streams, which are estimated to be about 43% of total streams damages. This system, which was developed using a numerically-based nomograph to estimate discharge and depth, was based on rainfall estimates obtained by the 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by Lagrangian Extrapolation (MAPLE) because the small streams exist in unmeasured basins. Before implementing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a study was performed to test its accuracy in estimating measured data obtained from a test basin during 2016 and 2017. Because the results of that study showed that the discharges and depths underestimated the measured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new nomograph using measured depth and discharge data in the test basin for two rainfall events in 2016.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new nomograph correctly represents the measured depth and discharge, and it can be used for enhancing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행정안전부는 전체 하천 피해의 43% 정도에 해당하는 소하천에서의 피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은 미계측 유역인 소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를 통해 노모그래프를 구축하였으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MAPLE 예측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수위ㆍ유량을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소하천 예ㆍ경보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기에 앞서 정확도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로써 시범 소하천 유역에서 2년간(2016 ~ 2017) 실측한 수위ㆍ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예측유량은 실측치를 과대산정 하는 반면 예측수위는 실측치를 과소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하여 2016년 실측한 수위ㆍ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노모그래프를 새롭게 구축하였다. 구축된 노모그래프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9월 11일의 유효강우에 대한 수위, 유량 예측결과를 중선필천에서 실측한 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구축된 노모그래프는 실측치를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을 고도화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