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직무에 관한 연구

        나운환(Na, Woon-Hwa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2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와 배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먼저,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재활관련 기관의 직무에대한 실태조사 방식을 통해 채용 직무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 형식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 직무는 양성과 교육관련 내용만 있을 뿐이지 배치 규정은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국제법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이 필요한 직무는 19개 직무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국토교통부의 장애인재활사업을 실시하는 기관들이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를 위하여 개정되어야 할 법 형식은 19개이며 법률과 시행령 각 4개, 시행규칙 3개, 고시 1개, 특수공법인의 직제 및 인사관리 규정 7개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가 조속히정착되기 위해서는 법 형식에 대한 개정 외에도 첫째, 장애인재활상담 분야에 대한 명확한 업무기준과채용 및 자격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교육과정 보완과 자격 응시자중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지고 응시하는 자와 장애인재활상담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의 구분된 보수교육 체계 개선과 이행을 통해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윤리기준 마련과 교육 강화를 통해 직무의 전문성과 배치 필요성에 대해 모두가인정하고 공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넷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적절한 보상체계와 위상확립을 위한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에 대한 지원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보수체계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jop development and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y and through a survey of the duti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is analyzed that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employ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re insufficient as they are found to have only training and education-related contents, but not only international law, Second, the jobs that require the recruit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include 19 job areas, including those that carry out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there are 19 laws that need to be revised for the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legal form is four each of the laws and enforcement decree, three enforcement regulations, one code, and seven personnel management regulations for special public corporations.

      • KCI등재

        직업재활영역의 전문가단체 설립준비와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박경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2

        본 연구는 직업재활영역의 전문가단체인 직업재활사협회의 설립준비를 통하여 직업재활사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직업재활사협회의 법인화 형태, 법적․제도적 설립요건 및 고려사항, 그리고 설립절차 등 설립준비에 필요한 내용을 고찰하고, 직업재활사협회의 기능과 역할을 모색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법인설립과 관련된 문헌 검토, 관련법률 및 규정분석, 국내·외 유사기관의 설립사례 및 역할 비교분석 등의 방식을 활용하였다. 직업재활사협회의 설립준비와 관련해서는 직업재활사협회는 비영리사단법인의 형태로 창립되어야 하며, 목적의 비영리성 ․설립행위 ․주무관청의 허가 ․설립등기 등의 4가지 설립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설립절차는 목적 및 명칭 만들기 ․정관준비하기 ․창립총회․주무부서 확인하기․소재지 확인․ 신청서류 준비 등의 6단계로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직업재활사협회의 기능과 역할과 관련 해서는 한국직업재활사협회의 명칭을 사용하는 방안과 직업재활사의 권익옹호 및 복지증진, 장애인직업재활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의 개발 ․보급, 장애인의 권익 및 복지증진 등 설립목적에 필요한 주요 내용들과 협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13가지의 주요 사업내용들이 제시되었다. 정부 관련부처와 한국직업재활학회와의 네트워킹도 제안되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requirements to prepare for found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association, which is an organiz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field, including the corporate type of the association, legal·regulative conditions, considerations, and steps to found it, and exploring its functions and roles in order to run the syste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as a basic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m,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es on foundation of corporation have been examine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analyzed, and case examples of similar associations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including its roles. In regards to preparation for found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associ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ports that it should be found as a form of non-profit corporation, meeting 4 requirements to establish itㅡnon-profit, founding, approval by the authorities in charge, and registrationㅡand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at it needs to take 6 procedural steps to found itㅡset up the name and purpose, prepare for articles of association, have the first general meeting, check the departments in charge, identify location of the association, and prepare for application form. Regard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ssociation, this research provides the ways to use the name as 'Korean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Association', protection of rights and promotion of welfare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development·distribution of special knowledges and skills related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protection of rights and promotion of welfare for the disabled individuals, and finally 13 major business related subjects that are needed to achieve the goals of foundation of association. The networking between Korean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association and the ministries·offices is also suggested.

      • KCI등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이섬(Yeon, Lee Seo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9 재활복지 Vol.23 No.4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the main exper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can result in a significant loss of expertise and skills accumulation.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affect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affect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5.0. As a result, the higher the Empower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lower the intention to turnover.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the intention to turnover.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found to affect only the semantics among sub-variables of empowermen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necessity of finding ways to improve seman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ower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raised.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는 장애인직업재활의 주요한 전문 인력이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 증가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전문성과 기술 축적에 큰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조직몰입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도 이직의도를 감소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타났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 간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중 의미성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 중 의미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학술지 재활복지에서 나타난 재활연구동향 : 1997년~2012년 연구를 중심으로

        이문정,유명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이 연구는 한국장애인 복지에 많은 영향을 끼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가 발간하는 학술지‘재활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선행연구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과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인 1997년부터 2012년까지‘재활복지’에 게재된 논문 총 389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첫째, 연구주제가 심리재활 및 사회재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둘째, 연구대상이 지나치게 장애인과 재활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셋째, 연구방법에서 이용 자료는 직접조사 이용비율이 높다는 것과 연구유형은 조사연구가 비중이 다소 높다는 점, 통계기법은 기술통계와 단편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기초통계비율이 여전히 높다는 점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위해 교육재활과 의료재활의 연구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둘째, 연구대상에 있어 장애인 당사자 보다는 재활전문가뿐만 아니라 고용주, 가족, 동료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활발히 전개될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질적연구의 확대와 더불어 현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따라가면서 정책과 실천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는 문헌연구의 지속적인 확대와 인과관계 등의 심층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and to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which have published by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KSRPD). For this Purpose, 389 research papers from journals were selected and analysed in terms of topic of research, subject of research and method of research, type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ssues about psychology rehabilitation, social rehabilitation were the main topic of the researches. Second, the most subject of research wer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most researches on physical/brain lesion disabilities, intellectual/developmental/mental disabilities. Thirds, a majority of researches were survey researches also experiment researches and literature researches were increasing gradually. And the most researches use with intermediate statistic such as regression analysis, covariance analysis. And recently intermediate statistic and advanced statistic had been increasing.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장애인재활 60년의 분석과 재활의 방향성

        나운환,이임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4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 60년의 역사적 변천과정에서의 사회·환경, 장애 관점, 재활 패러다임과 재활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장애인 재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장애인 재활 60년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먼저, 한국의 장애인은 사회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비장애인과 30년 정도의 격차가 있었으며, 둘째, 장애인 재활에 영향변인인 사회환경은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 지식정보, 융합사회로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셋째, 장애 관점은 사회·환경변화에 따라 점차 사회적 모델로 전이되고 있으며 재활 패러다임도 장애인 개인을 대상으로 한 치료와 교육, 훈련 패러다임에서 장애인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회의 성원으로서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넷째, 재활정책은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복지 정책에서 권리기반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다. 따라서 미래 한국 재활의 방향성은 먼저, 보편적 장애 관점을 조속히 정착시켜야 하며, 둘째, 재활 패러다임을 총체적, 보편적 서비스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변화시켜야 하며, 셋째, 재활 정책의 목표는 평등, 정책 수단과 대상은 보편적 서비스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disability perspective and rehabilitation paradigm of Korea rehabilitation for the past 60 years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for rehabilitation of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of all, there is a disparity of 30 years between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for the perspective of social inclusion in Korea. Second, soci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ffective variable on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it has been rapidly changed from agrarian society, going through industrial society and intellectual society, to convergence society. Third, disability perspective has been changing to universalist model with change of the social environment and also paradigm of the rehabilitation has been changing from the target of treat,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member of society that can empower and support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th, rehabilitation policies have been changing from the welfare policies to the empowerment policies in company with change of paradig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 First, universalist model have to be permeated in the society at large. Second, rehabilitation paradigm should change to emphasize the holistic and universalist perspective. Third, the main purpose of rehabilitation policies are equality, mean and target of the policies are to emphasize universal services.

      • KCI등재

        장애인의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류명화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1 재활복지 Vol.5 No.1

        장애인의 정보격차 요소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크게 경제력, 지식과 교육,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한 제약, 컨텐츠의 부재 등 네가지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문제는 지식정보사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서 정부를 중심으로 공동의 책임하에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하는 정보권을 장애인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제공실태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별기관들이 기관을 홍보하는 홈페이지 성격의 아주 초보적인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이 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제약받는 장애인에게는 사회의 주체세력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을 질적인 다양한 컨텐츠제공, 커뮤니티형성, 응용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 등 장애인복지분야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이용욕구조사에서 장애인과 장애인단체의 욕구는 모두 높았으며, 욕구의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재활관련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이용욕구는 평균 2.78로 높았으며, 의료재활, 종합, 정보통신 및 보장구 순이었으며, 교육재활영역이 가장 낮았다. 구체적으로 장애인들은 재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컨텐츠 외에도 재활보조기 및 생활용품, 교통 및 편의시설, 자동차, 정보접근을 위한 특수장비, 정보화교육, 컴퓨터보급, 여행이나 여가시설 정보 등 사회에 참여하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장애인단체의 컨텐츠 이용욕구 또한 평균 3.44로 매우 높았으며, 단체가 장애인보다 많이 높았다. 재활영역 중 가장 높은 욕구를 보인 영역은 재활종합영역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정보통신 · 보장구, 의료 순이었다. 이는 장애인의 의료, 재활종합, 정보통신 · 보장구와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순과 대조를 보였다. 이와 같이 재활단체는 전문가들이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텐츠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민간재활기관간 사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공유와 연계를 위한 컨텐츠와 재활관련 전문자료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컨텐츠지원방안으로 제공 주체는 장애인복지의 전반적인 사업을 정부와 연계하에 운영하거나, 관련 산하 복지시설을 관리하여 정보의 생성,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 비영리단체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화된 컨텐츠의 경우에는 영리단체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유지관리방안으로는 질적인 컨텐츠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와 컨텐츠제공자, 그리고 정보제공자간의 연계하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ccurs in various factors. Mainly, four factors can be investigated: financial state, knowledge and education, the limitations caused by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and the lack of content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formation rights have to be ensured for all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ommon responsibility of, especially, the government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ual state of cont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nsufficient. Most of the web sites run by individual agencies to publicize their activities are in an elementary level. Although the Internet is a key way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of access to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mainstream of society, they have not utilized properly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supplying diverse qualitative contents, forming community, and providing applied rehabilitation services, etc.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both high in the needs survey on contents utiliz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tems of needs. The total utilization needs for rehabilitation-related content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high as an average, 2.78. Medical rehabilitation is top, followed by and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ssistive devices in sequence and the edu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is the lowest. To put it concrete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 needs of practical contents necessary for participating in social life, such as, assistive devices, daily necessaries,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vehicles, special equipments for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computer education, providing computers, and information on traveling or leisure facilities, as well as basically necessary contents for rehabilitation. The utilization needs of contents by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also very high as an average, 3.44; their needs are superior to tha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st Held is general rehabilitation, followed by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medical rehabilitation. It contrasts with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dical rehabilitation,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 sequence. Thus, the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request necessary contents for providing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tents for shared information and linkage on activities and programs of inter-agencies for rehabilitation and contents for specialized data are highly needed for them. Therefore, as the assistance schemes of contents, assistance subjects have to operate overall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or through the management of government-subordinate agencies cre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formed the basis to precede information programs are most appropriate and in case of specialized contents, profi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onsider as assistance subjects. As the maintenance schemes of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linking between the government, contents provid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secure and manage qualitative contents.

      • KCI등재

        장애인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류명화(Ryoo, Myung-Hw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1 재활복지 Vol.5 No.1

        장애인의 정보격차 요소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크게 경제력, 지식과 교육,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한 제약, 컨텐츠의 부재 등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문제는 지식정보사회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서 정부를 중심으로 공동의 책임하에 모든 국민이 누려야 하는 정보권을 장애인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제공실태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이 개별기관들이 기관을 홍보하는 홈페이지 성격의 아주 초보적인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이 사회에 대한 접근성을 제약받는 장애인에게는 사회의 주체세력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을 질적인 다양한 컨텐츠제공, 커뮤니티형성, 응용장애인복지서비스 제공 등 장애인복지분야에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이용욕구조사에서 장애인과 장애인단체의 욕구는 모두 높았으며, 욕구의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의 재활관련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이용욕구는 평균 2.78로 높았으며, 의료재활, 종합, 정보통신 및 보장구 순이었으며, 교육재활영역이 가장 낮았다. 구체적으로 장애인들은 재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컨텐츠 외에도 재활보조기 및 생활용품, 교통 및 편의시설, 자동차, 정보접근을 위한 특수장비, 정보화교육, 컴퓨터보급, 여행이나 여가시설 정보 등 사회에 참여하면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장애인단체의 컨텐츠 이용욕구 또한 평균 3.44로 매우 높았으며, 단체가 장애인보다 많이 높았다. 재활영역 중 가장 높은 욕구를 보인 영역은 재활종합영역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정보통신 · 보장구, 의료 순이었다. 이는 장애인의 의료, 재활종합, 정보통신 · 보장구와 직업, 교통 · 편의시설, 교육 순과 대조를 보였다. 이와 같이 재활단체는 전문가들이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컨텐츠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민간재활기관간 사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공유와 연계를 위한 컨텐츠와 재활관련 전문자료 컨텐츠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컨텐츠지원방안으로 제공 주체는 장애인복지의 전반적인 사업을 정부와 연계하에 운영하거나, 관련 산하 복지시설을 관리하여 정보의 생성,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된 비영리단체가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특화된 컨텐츠의 경우에는 영리단체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유지관리방안으로는 질적인 컨텐츠의 확보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와 컨텐츠제공자, 그리고 정보제공자간의 연계하는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ccurs in various factors. Mainly, four factors can be investigated: financial state, knowledge and education, the limitations caused by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and the lack of content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nformation rights have to be ensured for all people,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ommon responsibility of, especially, the government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ual state of cont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nsufficient. Most of the web sites run by individual agencies to publicize their activities are in an elementary level. Although the Internet is a key way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of access to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mainstream of society, they have not utilized properly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supplying diverse qualitative contents, forming community, and providing applied rehabilitation services, etc.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both high in the needs survey on contents utiliz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tems of needs. The total utilization needs for rehabilitation-related contents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high as an average, 2.78. Medical rehabilitation is top, followed by and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ssistive devices in sequence and the edu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is the lowest. To put it concrete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high needs of practical contents necessary for participating in social life, such as, assistive devices, daily necessaries,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vehicles, special equipments for having access to information, computer education, providing computers, and information on traveling or leisure facilities, as well as basically necessary contents for rehabilitation. The utilization needs of contents by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re also very high as an average, 3.44; their needs are superior to tha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highest Held is general rehabilitation, followed by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medical rehabilitation. It contrasts with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dical rehabilitation, general rehabilit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sistive devices, vocation,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education in sequence. Thus, the professionals in the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request necessary contents for providing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tents for shared information and linkage on activities and programs of inter-agencies for rehabilitation and contents for specialized data are highly needed for them. Therefore, as the assistance schemes of contents, assistance subjects have to operate overall rehabilit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or through the management of government-subordinate agencies cre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formed the basis to precede information programs are most appropriate and in case of specialized contents, profit organizations are needed to consider as assistance subjects. As the maintenance schemes of contents, the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linking between the government, contents provid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secure and manage qualitative contents.

      • KCI등재후보

        장애인 직업재활 관점에서 독립생활 운동의 재조명

        이달엽,조영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5 재활복지 Vol.9 No.1

        우리나라 정부가 장애문제에 대해 개입을 시작한 것은 1961년 생활보호법의 제정을 통해서이다. 이 때부터 빈곤장애인. 즉 장애로 인해 근로능력이 결여된 빈곤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가 시작되었다. 장애문제에 대해 방치하던 정부가 군사정권이 들어 선1960년대에 전쟁참여자와 군인에 대한 예우차원에서 생활유지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 대해 먼저 생계보호, 의료보호, 해산보호, 상장보호 등을 실시하였다. 이후 민간차원에서 일반장애인을 시설 보호하던 외원기관들이 국가경제성장과 함께 점차 철수함에 따라 정부는 1970년 사회복지사업 법을 제정하여 이들 시설운영을 담당하도록 사회복지법 인이 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1970년대에는 이 외에도 산업재해장애인들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들이 생겨났지만 일반장애인들에 대한 보호조치는 민간부문과 외국의 원조에 의존했고 단순 수용만 하는 형편으로 장애정책은 시설보호 수준에 머물렀다(조흥식, 2004). 그러나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 등 국가 경제력이 커진 1970년대 후반과1980년대에는 장애정책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전두환 정권은 복지국가 구현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소외계층에 대한 여러 가지 국가정책들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독립생활 (independent living: IL)은 가능한 한 이동과 생산적 활동과 같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최대한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특히, 통상적인 고용으로의 전환이 이러한 노력의 가장 상위목표와 중요한 부분이 되는 동시에 바람직한 사회적 정체감의 확립에 기여하게 된다. IL을 통해 얻게 되는 독립생활이 가능하고 나아가 성취하게 되는 고용은 개인에게 있어서 새로운 자기존중감, 존엄성. 그리고 독립성에 대한 느낌을 전달한다. 전문적이고 정책적인 관점에서도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IL접근은 동료상담을 근간으로 하는 전문 활동인 만큼 중증 뇌성마비와 같은 이동영역에 있어서 제한이 따르는 사람들이 전문 훈련을 통해서 훌륭하게 소화해 낼 수 있는 직무인 동시에 취업에 있어 큰 제한점을 안고 있는 이 사람들이 전국의 IL센터에 적절히 상담사로서 배치된다면 수많은 일자리들이 새로이 제공되어 중증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과 재활이 더욱 앞당겨지리라는 점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 삶의 질도 사회적신분과 더불어 한 단계 상승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보다 자기 충족적 이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사회운동의 성격을 지니는 이 과정은 경제적 존재로서의 역할도 강조한다. 직업재활의 궁극적인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입법을 통해서 공적 부조의 형태보다는 재활을 우선 고려하도록 하고, 공공 의료서비스와 장애수당과 같은 재활을 가로막는 역기능적 요소들도 재활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해결되어야 한다. 남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이러한 스스로의 노력과 활동만이 장애인과 장애를 지니지 않은 시민들 사이에 놓여있는 커다란 걸림돌과 장벽들을 하나씩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and meaning of the independent living (IL) movement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oth IL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important pubic services enabling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navigate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y live and have difficulties in differentiate between them on the continuum. Since the revision of rehabilitation act in 1987 independent l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important government initiativ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United Sates. Many states in United States set a goal to work with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chieve increased independence through the provision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ve and support services in a partnership with all stakeholders. Defining independent living requires an examination of many basic rehabilitation concepts. To live independently,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greatly dependent on the availability of both person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 services. Many observers of society's reaction to disability have described how socially imposed roles of dependency limit the freedom of choi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living (IL) movement can be characterized as apolitical or civil rights movement involving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been denied access to those rights. The civil rights movement with its emphasis on entitlement and benefit rights has provided an effective action-oriented model for the IL movement, The IL movement actively fought for the right to equal access to employment, medial care, education, social services, transportation, etc.

      • KCI등재

        유형재편 후 직업재활시설 중증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정연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problems of leisure progressing and search origin meaning of leisure of the sever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work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mposed through depth-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parene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service providers in Seoul and Kyunggi. Data analysis was consisted of gronded theory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a results, meaning of leisure, problem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job stress of ervice provide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aking two rabbits, awareness of service providers on the leisu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ind of leaders on leisur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earching original signific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conclusion, restructuring of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rought improvement of training function of workers with severe disabilities, productivity, wage inflation and operating system, but it needed consideration for the welfare and vocational adjust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중증장애인 여가활동의 의미와 문제점들을 탐색하고 본래의 의미 찾기에 목적을 두었다. 자료 수집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직업재활시설의 근로 장애인 5인, 근로 장애인 부모 3인 및 시설종사자 6인과의 심층면담과 근로 장애인 여가활동의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의 한 영역인 근거이론의 방법에 맞추어 개방코딩, 축 코딩 및 심층코딩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가의 의미, 유형재편 후 직업재활시설의 여가활동, 직업재활시설 본래의 의미 찾기 등이 대주제어로 나타났으며, 대주제어에 따른 소주제어로는 장애인에게 있어 여가의 의미, 중증장애인 소외 및 문제행동, 시설종사자 직무 스트레스, 재활의 기본 이념인 인간의 가치실현 등이 생성되었다. 또한 핵심주제어 생성의 인과관계로는 유형 재편으로 인한 요구들, 여가에 대한 시설종사자의 이해 부족 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형재편이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훈련기능의 개선, 생산성 향상 및 임금상승, 운영 기준의 개선이란 측면에서 발전과 향상을 가져왔지만, 직업재활시설 내의 장애인 복지 측면, 삶의 질과 직업적응이란 측면에서는 제고해야 할 여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과 생활재활교사의 상호작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영신(Young Shin Choi),연이섬(Lee Seom Ye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2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재활교사와 장애인 간의 정서적·행동적·언어적 상호작용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 생활재활교사에 대한 동료와 원장의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생활재활교사와 장애인 간의 상호작용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제주도에 소재하는 53개 중증장애인거주시설의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였으며, 생활재활교사와 장애인 간 상호작용과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 제안한 방법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생활재활교사와 장애인 간 상호작용 중 정서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인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없다면 생활재활교사와 장애인 간 정서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은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단독으로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rect effects of emotional‐behavioral‐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the disabled an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n housing facilities of the severely disabled upon job satisfaction, and to assay indirect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nd the disabled upon job satisfac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support for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from facility directors and co‐work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n 53 housing facilities of the severely disabled respectively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buk, Chungnam, Gyeongbuk, Gyeongnam, Jeonbuk, Jeonnam, Gangwon, and Jeju. This study utilized SPSS 22.0 for research analysis, and conducte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 interactions between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nd the disabled and the job satisfac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of interactions between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nd the disabled, emotion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showed positive effects upon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s for social support, that is an objective of this study, emotion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were analyzed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t was meaningful in that if it were not for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between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and the disabled coul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