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Efficacy of Body Weight Reduction on the SGLT2 Inhibitor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조현아,Young Lee Jung,이용훈,이유창,Jung Eun Lee,이솔재,정수진,김종화 대한비만학회 2017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6 No.2

        Background: Dapagliflozin, a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reduces hyperglycemia and body weight by inhibiting renal glucose reabsorption.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demonstrated efficacy of dapagliflozin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in Korea.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dapagliflozin for Korea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data from 61 patients who received 12 months of dapagliflozin therapy and who visited a single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15 and July 2016.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dual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 triple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 with sulfonylurea, or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s, and quadriple combination of dapagliflozin, metformin, and sulfonylurea with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s. Patients who achieved ≥5% body weight reduction were classified as responders, and those who achieved <5% body weight reduction were classified as non-responders. Results: After 12 months, the mean change from baseline body weight was -3.4±2.6 kg (P<0.001) for all patients, -3.4±3.1 kg (P<0.001) for group 1, -2.7±2.0 kg (P=0.008) for group 2, and -4.0±2.3 kg (P<0.001) for group 3. Fasting C-peptide level was high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3.25±1.07 ng/mL vs. 2.62±1.02 ng/mL, P=0.023). In total, reductions in HbA1c, PP2, and FPG levels were -0.61±0.82% (P=0.000), -35.4±62 mg/dL (P=0.000), and -21.3±56.2 mg/dL (P=0.012), respectively. They had mild adverse events included orthostatic dizziness and urinary tract infection. Conclusion: SGLT2 inhibitor improved glycemic control and reduced body weight in a safe manner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KCI등재후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조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music therapy literatur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122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from 1999 to 2012 and 76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formerly known 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from 2004 to 2012 were analyzed.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following items: type, population, topic, and methodology of published articles.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between these two publication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scriptive studies (KJMT, 46%,; JMHB, 45%), applied research (KJMT, 51%; JMHB 66%), and quantitative studies (KJMT, 82%; JMHB 37%). In addition, ordinary people with no particular diagnosi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population (3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a historical study was only found in KJMT whereas a philosophical study was published only in JMHB.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JMHB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applied research than KJMT. In KJMT,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eared twice as often as qualitative a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ed. On the other hand, a similar number of each of the three methodological types of studies appeared in JMHB.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학술지 연구의 현황과 미래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한국음악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122편과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전, 음악치료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76편의 총 198편의 논문을 유형, 대상, 주제 및 방법에 따라 연도별 게재 현황과 비율을 고찰하고 각 영역별 비율에 대한 두 학술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유형 중 기술연구가 46%(KJMT), 45%(JMHB)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일반대상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34%). 연구주제에서는 학문연구가 51%(KJMT), 66%(JMHB)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82%(KJMt), 37%(JMHB)를 보이며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차이점으로 KJMT에 게재된 연구유형에는 역사연구가 있었으나 철학연구는 없었던 반면, JMHB에는 철학연구는 있었으나 역사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에서는 KJMT보다 JMHB에서 학문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KJMT에서 양적 연구가 질적, 통합적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JMHB에서는 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동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학문발전을 위한 연구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도덕적 사실은 도덕 관찰의 인과적 전제인가?

        조현아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1 No.-

        이 논문은 우리가 도덕 관찰을 설명하기 위해 도덕 사실의 존재를 상정할 필요가 없다는 길버트 하만의 주장에 대한 도덕 실재론자들의 반론을 검토한 글이다. 하만은 도덕의 경우에는 과학의 경우와 달리, 도덕 관찰을 하는 사람의 심리적 배경 및 사회화 과정에 의해서 그 사람의 도덕 판단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도덕 사실에 호소하는 모든 도덕 실재론의 시도는 틀렸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하여 도덕 실재론자들은 도덕 사실들이 도덕적 확증을 위해 요구되는 설명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반론을 제시한다. 하만의 반실재론에 맞서는 도덕 실재론자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도덕 관찰이 보고하는 외부 세계의 도덕적 실체를 가정함으로써 도덕적 관찰이라는 일상적인 도덕적 경험을 최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우리가 도덕 사실이 비도덕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덕 실재론자들의 노력이 하만 식의 도덕 반실재론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주장들이 있는데, 주요 주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 실재론은 도덕 사실이 도덕적 관찰을 일으키는 인과적 관계 뿐 아니라 인과성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을 유발시키는 원인에 대하여 보다 본격적인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덕적 측면, 속성, 사실 등을 실체로서 가정하는 도덕 인과론 논의는 애초부터 성립되기 어려운 주제이기 때문에, 메타윤리학적 담론에서 도덕 존재론, 도덕 인과론에 대한 논의를 중단해야 한다.도덕 실재론의 가장 큰 의의는 그간 메타윤리학에서 논의의 맥락을 떠난 것으로 치부되어 온 도덕 존재론의 영역을 그 중심주제로 끌어들임으로써 새로운 메타윤리학의 영역을 개척하고자 한 데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 실재론의 주장이 보다 강력하게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것은, 도덕 실재론이 그 존재론의 핵심이 되고 있는 도덕 인과성 개념 자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도 철저한 논의를 하지 않은 데에 있다. 도덕 실재론자들은 도덕 사실이 어떻게 도덕 관찰을 일으키는지, 또 우리가 그 방식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하여 보다 본격적인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moral realists' opposing arguments against Gilbert Harman's moral anti-realism. Harman asserts that we do not need to concede the existences of moral facts in order to explain 'moral observation'. According to Harman, because we can explain moral judgments or moral beliefs of someone who experiences moral observations on the basis of his psychological background or his socialization process, the moral realists' efforts which would rely on moral facts is in the wrong way. The realists try to refute Harman's anti-realism like this way: First, we can explain ordinary moral experiences (i.e., moral observation) by affirming moral realities which are reported by moral observations. Second, although it is unclear whether moral facts have to explain nonmoral facts in order to defend moral realism, there are sufficient reasons for us to believe that moral facts can explain nonmoral facts. But, many moral philosophers doubt whether these efforts of moral realists completely overcame Harman's moral anti-realism or not. They said that moral realism needs to argue about not only the causes which brings about metaphysical idea of moral causality but causal relations of moral fact with moral observation. Besides, those who criticise moral realism asserts that moral realism have to give up the mention of the subjects in moral ontology and in moral causation theory because it is difficult and even impossible for us to discuss moral ontological concepts (e.g., moral aspects, properties, facts) as realities. It seems to be meaningful that moral realism confirms the metaphysical status of moral realities and its recognizability through arguments regarding moral ontology. That status had been degraded by early metaethics theorists. But in spite of the moral realists' efforts, there are subject to criticism. I think the key weakness of moral realism is that it has not an exhaustive discussion about the very idea of moral causality which is central to moral ontology in moral realism. Moral realism needs to devote itself to moral caus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고찰

        조현아,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2

        창의성의 연구와 관련해,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논쟁은 최근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고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논쟁을 중심으로 과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름대로의 대답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에 대한 상반된 논의를 검토한 후, 각 입장에 따른 객관적 ‘측정’ 방법과 주관적 ‘측정’ 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본고는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데에만 그친 것은 아니다. 나아가 양자의 논의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첫째로 창의성의 ‘영역’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맥락에 의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관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영역’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측정’과 관련해서는 대안으로 제시된 새로운 ‘영역’에 입각한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양자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무엇보다도 이원론적 논의의 극단성을 지양하고자 시도하였다. 본고는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이 부분적 존재가 아닌 총체적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즉,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은 일반성, 특별성, 객관성, 주관성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및 공간적 상황에 따라 때로는 그 중 하나, 혹은 그 전체로서 발현될 수도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고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하여 이러한 논쟁들이 종결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이러한 논쟁들은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는 창의성의 ‘영역’이 아직도 명확히 개념화되어 있지 않으며, 창의성의 ‘측정’에 대해 여전히 여러 제한점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사실은 있다. 모든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창의적이라는 사실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보여줄 수행이나 산물 모두가 창의적일 수 있다. 세계화․정보화․지식화 사회에서 독특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세계를 주도한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사회나 기업, 학교에서는 이제 획일적인 한 가지의 정답만을 요구하지 않는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이 아닌 창의적인 해답을 요구한다. 창의성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Concerning the study of creativity, the dispute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are still spreading. We are trying the answer about the question of what is creativity, focusing on the recent topical issues. For the purpose, we observed the recently discussed concepts of creativity, and reviewed the opposite opinions between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 methods according to them. Not only did we review the already-existing opinion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but also tried to propose the solutions about both two disputes. Firstly, as for the domain of creativity, we proposed an alternative by establishing the model related to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considering its social context. Secondly, as for the test, we also proposed an alternative test method based on the mentioned model. To overcome both two disputes, we tried not to endanger the extremity of dualistic disputes, and gave all eyes to the fact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partly being but a whole one. In other words, we noticed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being obviously distinguished by generality, specificit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but one to be realized at a time by one of them, or at another as a whole. That\ s the way we could propose alternatives. Nevertheless, we don\ t believe that those disputes will come to an end soon. They are still and will still be, because the domain of creativity doesn\ t still have its exact concept, and the test of creativity also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there is one obvious fact. It is the fact that everyone is potentially creative. It can be possible that all their behavior or products can be creative.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is too certain that the world is being led by unique, innovative idea. Societies, companies, and schools don\ t require a uniform given solution any more, but they require a creative on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we need the deeper study on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