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한국의 마약소비와 확산

        조석연(Cho, Seok-yeo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1 No.-

        This article is a review of studies of the drug problem in the 1980s. In the 1980s, Korea methamphetamine problem was a serious social problem. Korea and Japan in the 1980s was interrupted by a joint drug trafficking. Therefore, the methamphetamine produced in Korea in the 1980s, has never been exported to Japan. And the methamphetamine produced in Korea were brought back to Korea. Meth addicts in the 1980s, Korea has increased every year. Methamphetamine has been introduced according to Seoul from Busan Gyeongnam and Gyeongbuk. Korea"s economy has grown significantly in the 1980s. Korea has hosted the Olympic Games in the Asian Games, in 1986 and 1988. Korea in the Asian Games and Olympics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event. And Korea has grown significantly entertainment industry in the 1980s. Methamphetamine addicts, Korea was increasing in the 1980s. It was because increasing the income and consumption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has pointed to problems with methamphetamine ‘social evils". And the government tried to eradicate methamphetamine. Th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enforcement and penalties for drug users. But methamphetamine addicts has increased. Looking at the Methamphetamine problem and government policy in the 1980s can be found inconsistencies. It is a methamphetamine problem has been developed in a different direction and intention of the government at the time. Thus, the drug problem has been highlighted as the most important social issue in Korea in the 1980s. This article also examined the government"s recognition and response to the drug problem. The government has used the drug for social control in 1980s. Korea has continued to strengthen the enforcement and penalties for drugs. Howeve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rug addiction had shortage. Therefore, the government was promoting a drug called ‘social evils" to the people. Drug addicts in Korea have been promoting the community as a "criminal" rather than "patients".

      • KCI등재

        1970년대 한국의 대마초문제와 정부 대응

        조석연 ( Cho Seok Y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고는 1970년대 한국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된 대마초문제에 주목해 이 문제의 현상과 원인, 당국의 인식 및 통제과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당대의 대마초문제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대마초`가 한국사회에 흡연도구로 소개되고, 1970년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소비되게 된 원인을 찾아보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대마초 파동`에 주목해 이 현상의 성격과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이와 함께 당대 정부가 이용한 대마초 근절의 논리를 검토해 보았다. 바로 여기에 당국이 당시 대마초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통제 의도가 투영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당대의 대마초문제는 그 실체보다 확대, 과장되어진 측면이 없지 않았다. 정부는 대마초문제를 청년 및 사회풍속 등의 문제에서 나아가 당대의 국가적 과제였던 경제개발과 남북문제 및 국가안보 등의 문제와 직접 연결하며 대마초를 `반국가`, `반사회` 등의 이미지로 대중에 형상화하며 통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성과는 당대의 각종 통계자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1970년대 한국에서 대마의 재배와 사용은 국가의 관리 및 통제대상으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으며, 대마초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또 하나의 `마약`이자, 국가와 사회를 병들게 하는 `사회악`으로 각인되게 되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roblem of Korean cannabis in the 1970s. In the 1970s, Korea`s Cannabis Problems w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1970s was the growth of Korea`s economy. And 1970 young people have had a free thinking than before. It was called `youth culture` or `popular culture.` Cannabis was called `happy smoke` to young people in the 1970s. `Happy smoke` was fashionable around the youth. In the 1970s, large scale cannabis scandal became social problems in Korea. In Korea, this is called a `cannabis wav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annabis wave` that occurred in 1975. The `cannabis wave` was exaggerated by the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arrested a number of popular artists as smokers of cannabis. But popular artists were not the main culprits. The arrest of popular artists was a means of making cannabis is a narcotic drug. The government has prescribed cannabis as a `narcotic drug` in the 1970s. Therefore, the government was promoting cannabis through the media as `social evils.` The government has enacted the “Cannabis Control Act” 1976. And it was critically aware of the cannabis community. As a result, cannabis was strongly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궁형공후(Arched harp)의 전파와 접변

        조석연 ( Seog Yeon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고대 문화교류의 실상을 궁형공후를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최초의 궁형공후는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 지역에서 기원전 3000년경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두 지역 모두에서 궁형공후는 수형공후가 출현하기 시작한 기원전 2000년경 전후까지 사용되었다. 이처럼 문명의 발달과 함께 등장했던 활모양의 궁형공후는 수형공후의 등장을 계기로 점점 자취를 감추고 말게 되지만, 해양 실크로드를 통해 유일하게 궁형공후를 수용했던 인도에서만큼은 궁형공후가 고대 비나라는 이름의 악기로 변용되어 그 명맥을 고집스럽게 이어나갔다. 그리고 이렇게 전파된 인도의 궁형공후 고대 비나는 기원전 3∼4세기부터 굽타왕조인 5세기에 이르기까지 불교와 힌두문화뿐 아니라 왕을 비롯한 귀족들의 모임에서 주요 악기로 연주되었다. 그리고 고대 비나는 1세기경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향한 인도의 이주민과 더불어 다시금 전파되기에 이르렀으며, 그 후 동남아 지역의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특히 미얀마의 경우, 인도의 궁형공후 고대 비나는 문화전파의 차원을 뛰어넘어 전승과 발전을 거듭하며 사운이라는 전통악기로 승화되었다. In this paper I had researched the real condition of the ancient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Maritime Silk Route, especially focusing the case of Arched harp. From around 3000 BC the very first Arched harp started to appear in the region of Mesopotamia and Ancient Persia. And in both of these regions Arched harp was used until around 2000 BC in which Angular harp started to appear. Embowed Arched harp had appeared with the evolution of ancient civilization, and started to disappear with the emergence of Angular harp. But ancient India had accepted Arched harp formerly through the Maritime Silk Route, and only in India Arched harp was acculturated into ancient veena and remained in existence insistently. roughly defined as from the 4~3rd century BC to 5th century AD, Indian Arched harp, namely ancient veena was played as a central musical instrument for the occasion of religious rituals and national events. About in 1st century AD, ancient veena was brought into Southeast Asia once more. Since then it had great influence on Southeast Asian culture. Especially in case of Myanmar, Indian Arched harp surpassed the dimension of culture diffusion, it was developed and sublimated into Saun, namely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of Myanmar.

      • KCI등재후보

        배소와 봉소의 명칭에 대한 문제점 고찰

        조석연(Cho Seogye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이 논문은 소(簫)의 다른 말인 배소(排簫)와 봉소(鳳簫)의 명칭 문제에 관한 글이다. 고려 이후 소의 유입에서부터 조선시대 『악학궤범』과 『세종실록』을 거쳐 1930~4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소’라는 명칭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봉소와 배소는 소의 보조적인 용어로 기록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현재 배소와 봉소는 소의 별칭일 뿐 아니라, 각기 종류가 다른 악기를 가리키는 악기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의 근원적인 생성설화가 봉황과 연결되어 있어 ‘봉소’라는 용어는 낯설지 않으며, 그러한 이유로 관대만을 엮어 만든 고대의 소를 가리켜 봉소라 기록한 문헌이 존재한다. 더불어 『악학궤범』과 『세종실록』의 악기 설명에도 ‘소’라 지칭하는 기록이 나오며, 도설에 기록된 봉소라는 명칭 외에도 훨씬 더 많은 기록이 ‘소’라 지칭하고 있다. 『악학궤범』에 소개된 소는 커다란 가(架)에 쌍날개형인데, 이러한 악기를 설명한 문헌인 『원사』에서는 이 악기를 가리켜 ‘배소’라 칭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악기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어제율려정의후편』도설에도 이 악기는 ‘배소’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악서』의 봉소 도설에 ‘봉소’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는 악기는 관의 수가 도합 18개라는 점과 가(架)의 형태로 미루어보아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는 소와는 전혀 다른 악기를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봉소’라는 호칭을 『악학궤범』의 소와 같은 쌍날개 가형에만 국한시키는 것은 잘못된 점이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문묘에서 쓰이는 악기를 설명한 『산동통지(山東通志)』와 『복건통지(福建通志)』에서는 소에 대한 설명을 하는 가운데 배소와 봉소라는 이름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봉소와 배소를 동일한 악기로 지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볼 때, 배소는 관대만을 엮어 만든 악기를 뜻하고 봉소는 관대를 봉황모양의 나무틀 형태에 꽂은 악기라고 주장하는 기존 학계의 이분법적 분류는 잘못된 것이며, 배소와 봉소는 단지 ‘소’를 지칭하는 또 다른 별칭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aming problems of ‘Baeso’ and ‘Bongso’, which are mere the other names of the musical instrument ‘So’. From the introduction of So during the Koryo Dynasty, throughout the Chosun Dynasty and until the 1940s, in our country the name So was in general use. And the other names Baeso and Bongso were registered only as an additional name. But at present Baeso and Bongso don’t mean only a byname of So. They go one step farther and refer to each different types of musical instrument. Nowadays man used to assert boldly, Baeso designates only the musical instrument made of in a row connected several pipes and Bongso means the musical instrument which connected pipes were sticked into Bonghwang-shaped wooden frame. But after all the analysis of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we can verify that this dichotomous classification is obviously wrong and Baeso and Bongso is just a different way of calling So. The use of dichotomous classification of Baeso and Bongso without clear and conspicuous grounds may affect the forming of common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about Baeso and Bongso. And this may cause diverse academic confusions. Establishing of the name of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convenience and necessity will be very helpful and necessary. And that’s exactly why we should be discretion within the establishing of the name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use of them.

      • KCI등재

        문묘제례악 소(簫)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조석연 ( Cho Seog-ye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7 공연문화연구 Vol.0 No.35

        본 논문은 문묘제례악 소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세 가지 쟁점을 다루었다. 첫째,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쌍날개 악학궤범가(架)형의 악기는 1116년(예종 11) 송나라 대성아악이 유입될 때 함께 들어온 형태가 아니라, 공민왕 19년 명나라로부터 들여온 원나라 형태의 소이다. 대성아악이 들어온 고려 예종 당시의 송나라에는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배소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한다. 이후의 시기인 공민왕 때 `소`와 함께 `배소`라는 이름의 새로운 악기명이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연유로 해서 이 `배소`가 지금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악기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둘째, 『악학궤범』에 기록된 조선시대 소의 형태는 비록 중국의 것을 따르고 있지만, 그 음고와 배열은 12율 4청성의 음역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음률이 높아지는 배열로 현재까지 그 원형의 맥을 잇고 있다. 중국의 16관 배소는 12율 4배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8율과 8려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 16관 배소는 12율 4청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관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좌에서 우로 황종부터 청협종까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셋째, 1930년대에 이르러 『악학궤범』과 전체적인 형태는 같으나 관 사이가 붙은 것과 관 사이가 떨어진 것으로 존재하였고, 이후로는 현재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것과 문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에서 보듯 관 사이가 떨어진 악기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 사이가 떨어진 형태는 악기학적 관점에서 볼 때 퇴보한 형태이며, 역사적으로도 연결고리를 갖지 못한다. 어떠한 연유로 소가 이처럼 변모하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악기학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악학궤범』의 우리화(化)된 소의 형태를 다시금 정립하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ree issues related to influx and change of the Confucian Shrine Ritual Music. First,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Akhakgwebeom-wooden frame-form used in the current Confucian Shrine Ritual Music is not a form that came in when the Daesung-Aak of the Song Dynasty was introduced in 1116, but it is a Yuan Dynasty form brought from the Ming Dynasty, in the 19th year of King Kongmin. In the Song Dynasty of the Goryeo Yejong era, when Daesung-Aak came in, there was not yet `Baeso`, a musical instrument of the Akhakgwebeom form, which first appeared in the Yuan Dynasty. A new musical instrument named `Baeso` appears with the `So` in the later period of King Gongmin, and it is very likely that this `Baeso` is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Akhakgwebeom form. Second, although the form of the `So` in the Joseon Dynasty recorded in the Akhakgwebeom was followed by the Chinese one, but the pitch and arrangement are the one of the pitch of `12 Yul and 4 Cheongseo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pitch from left to right. Third, in the 1930s, the whole form was the same as that of the Akhakgwebeom, but there existed two types, which several pipes stick together or pipes fall apart. But since then, as seen in the musical instrument locate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in instruments currently used in Confucian Shrine Ritual Music, only musical instruments exist which pipes fall apart. It is unclear for what reason and to what extent the `So` were so transformed, but it would be appropriate to re-establish the form of the `So` in the musical and historical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페르시아와 터키의 관악기 네이(Ney)에 관한 고찰

        조석연(Cho, Seog-ye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는 페르시안 네이와 터키 네이의 기원, 형태, 연주 및 연주방법 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페르시안 네이는 고대악기로 7마디의 갈대에 6개의 지공을 가지고 있다. 마우스피스에 해당되는 ‘사리’를 치아 사이에 끼워 소리 내며, 혀를 이용해 미세한 음을 연주에 노출시키는 연주법이 독특하다. 주된 연주곡은 페르시아 고전음악인 라디프(Radif)로서 ‘코론’과 ‘소리’의 미분음을 사용하여 12가지 다스트가와 200여 가지 이상의 구셰-하를 연주한다. 페르시안 네이에서 유래된 터키 네이는 주로 종교적인 의식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이슬람의 종교 의식무용인 수피 댄스의 반주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더욱 신비롭고 신성시되는 악기로 거듭났다. 9마디의 갈대에 7개의 지공을 가진 터키 네이는 깨끗한 소리를 내고 입술을 보호하기 위해 이동식 마우스피스인 바스파레를 사용한다. 터키 네이는 터키 전통음악의 미분음인 코마(koma)와 세분 음계로 인하여 더욱 섬세하게 연주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네이는 터키인의 정신적 정화에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로서 사랑받고 있다. 본 연구가 장차 동북아시아 전반에 분포되어 있는 네이와 유사한 아시아 종적의 연관성을 밝히는 초석의 역할이 되기를 바란다. Nay is the original form of the ancient flute. In this paper I had considered the origin, history, structural form and characteristic, performance and playing technique of the Nay. The Nay is an end blown cane flute without mouthpiece or reed. This very significant instrument throughout the Arabic, Turkish and Persian worlds generally has 5 or 6 upper holes and one on the underside for the thumb. It is capable of a range of 2 to 3 octaves and has been used for performing all forms of music: art, folk, and religious. As the musical instrument that belongs in this classification there are Iranian Nay and Turkish Ney. Persian Nay is a ancient musical instrument which is existing from BC 2,500 years. And Turkish Ney is quite similar to Persian Nay. But Turkish Ney has in front one more finger hole than Persian, that is to say seven holes total. The Persian ney is distinct from its Turkish counterpart in that it possesses a small brass cylinder at its upper end, which the performer anchors between his upper incisors, producing a unique timb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 Persian and Turkish nay may be quite differentiated, both in styles of play and construction of instrument. The Persian ney consists of a hollow cylinder with finger-holes. Sometimes a brass or plastic mouthpiece is placed at the top to protect the wood from damage, but this plays no role in the sound production. It has a very compelling and engaging sound, unlike any other wind instrument. Because the ney is blown in a unique manner, which gives it its characteristic sound. The Main Repertoire of Persian nay is Persian Classical Music Radif. With the help of ‘koron’ and ‘sori’ it plays 12 dastgahs and more than 200 Gushehas freely. Microtones and differently-sized semitones are part of Turkish Classical Music. One common theory divides the whole tone into nine koma (commas). There are four commas between B and C, and between E and F, so that there are 53 commas in an octave. Turkish nay is the only authorized woodwind instrument for such complicated Turkish Classical Music performance. And the sensitive and mystical characteristics of its sound made it also the main instrument of Turkish Sufism Music. The Persian and Turkish nay are used in different culture, but the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It is their own distinctive tone. They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to say they are all in exist along the Silk Roa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distinctive tone and their location along the Silk Road, these facts must be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ir spread and mutual exchange. In order to reveal the interrelation and interchange between them the more detailed subsequent study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조선시대 생황의 수용과 융합 양상에 대한 고찰

        조석연 ( Seog Yeon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본고는 외국에서 전래된 악기인 생황을 통해 조선시대의 ‘문화수용’과 ‘문화융합’의 양상을 음악적인 면모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조선시대 생황의 궁중 유입 과정과 관련해서는 수용적 양상을 논할 수 있다. 당시 궁중에서는 생황이 유입된 이후 중국에서 들여온 법제와 형태 및 소리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황의 조선시대 궁중으로의 수입과 제작은 절대적 문화 수용의 틀을 벗어날 수 없었는데, 이는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의 문화와 중국의 영향에서 빚어진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생황 공연의 융합적 양상은 조선후기 선비와 서민계층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이뤄진다. 연암그룹을 대표로 하는 선비들의 풍류문화 속 생황은 더 이상 낯선 중국의 악기가 아니라 조율을 바꾼 우리 악기로서 융합되었다. 그리고 김홍도의 <월야선유도>와 18세기 후반의 <태평성시도> 풍속도에 묘사된 바와 같이 삼현육각과 함께 편성되는 악기로 변모한다. 외래 악기인 생황을 중심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조선시대의 문화수용과 문화융합의 양상은 단지 생황을 비롯한 음악문화뿐 아니라 의상, 춤, 문학, 건축, 정치, 경제 등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총체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이는 조선시대가 열린 사고로써 민족주체성의 의지를 확립해나간 과정을 정확하게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Reception of foreign cultures and convergence of different culture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our own culture. Because we have been creating constantly the new culture through the mutu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I had been tri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reception of culture`` and ``convergence of culture`` around the case of Saengwhang. First, as the receptive performance aspect of Saengwhang we could point out the inflow course of Saengwhang to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Royal Court had exerted great efforts to maintain the chinese canon, original form and tone.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was regarded as a political ideology. And this absolute receptive aspect was the natural corollary of the Joseon Dynasty cultural toadyism. On the other hand, the convergent performance aspect of Saengwhang was accomplished by the spontaneous will of scholar and common people class of Late Joseon Period. In the culture of scholar who knew how to appreciate the arts, Saengwhang was no more Chinese foreign musical instrument. It was already converged as our own musical instrument. And as described in many famous genre paintings of the late 18th century, it was transfigured to the musical instrument which is organized with Sam-hyeon-yuk-gak. These two aspects of ``reception of culture`` and ``convergence of culture`` that was examined around the case of foreign musical instrument Saengwhang in Joseon Dynasty are the phenomenon that appear through the social culture overall, not only in music. And this shows clearly that the Joseon Dynasty period had established the national identity and subjecthood with the open-minded thinking.

      • KCI등재

        전주(全州) 삼산리(三山里) 출토 토제장구에 관한 연구: 고려 도제장구와 전북지역 토제장구 비교를 중심으로

        조석연 ( Seog Yeon Cho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9 No.-

        At the time of excavation in 2004 Jeonju Samsanri clay-Janggu was in a relatively good state. Its excavation provided more possibility to activate the research of clay-Janggu. It is assumed that Samsanri clay-Janggu is a relic of the Joseon Dynasty. And main Features of this music instrument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its unique form jorongmok (Gourd-like neck) is shorter and sound box is bigger than typical Goryeo clay-Janggus. Such a unique shape can be found only in our country. Second, its length is only two-thirds of the current wooden-Janggu and rather similar to the size of the ceramic-Janggu of Goryeo Dynasty. It seems to have been used, chosen according to its tone and volume a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usic. Third, Jeonju Samsanri clay-Janggu was made of coarse clay which is cheap and easy to obtain. And it was burned without smearing glaze. Based on these facts Samsanri clay-Janggu is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in the music for the common people rather than in music for the scholars and nobility. Fourth, Samsanri clay-Janggu was excavated not in the famous and official kiln site but in the center of normal residence. And these facts suggest possibility that this instrument may have been used in everyday life. Jeonju Samsanri clay-Janggu is one of Joseon Dynasty`s. Out of tradition of Goryeo ceramic-Janggu and China`s influence it show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Above all, its greatest significance lies just in this fact. I wish that more relics would be unearthed in the future. I also hope that thanks to more excavations of remains, furthermore through more diverse methodological approach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soci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y-Janggu and ceramic-Janggu could be confirmed and clarified.

      • KCI등재

        진양 『악서』공후의 세 종류 완목(腕木)에 관한 고찰

        조석연 ( Seogyeon Ch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본 연구는 진양『악서』에 도설된 공후의 완목에 관한 연구이다. 『악서』에 나타난 다섯 종류의 공후 완목을 면밀히 살피기 위해 현지 조사를 통해 루브르박물관과 대영박물관, 이집트박물관, 일본 쇼소인(正倉院)에 현재 남아 있는 유물과 도상의 완목과 중국 각 지역의 도상과 문헌의 완목을 비교 연결하여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로써『악서』에 기록된 공후의 완목은 원통형 완목, 나무못형 완목, S자형 완목의 세 종류완목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악서』의 대공후의 원통형 완목은 원통형태의 완목에 현을 매는 방식이 다. 이 방식은 공후가 사용되기 시작한 기원전 2000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집트 공후와 신강 지역의 공후 실물 및 돈황 벽화 등 수많은 도상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조율 방식은 둥근 완목을 돌려 음을 조율하는 방법으로, 정확하고 세밀한음 조율은 불가능하지만 조율된 음이 쉽게 풀리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둘째, 『악서』의 소공후와 와공후의 나무못형 완목은 악기의 음을 더욱 쉽게 조율하기 위해 완목의 나무못에 현을 묶어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원통형 완목과 같이 완목에 현을 고정시켜 완목을 돌림으로써 전체 음을 조율하는 대신 현 하나하나를 완목에 부착된 나무못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통형 완목보다 훨씬 섬세한 음을 만들어 낸다. 또 현 홀더로서 기러기발 역할을 하며,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게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나무못형 완목은 이집트 카이로 박물관의 공후 실물과 일본 쇼소인 소장 나전 공후의 실물에서도 확인된다. 셋째, 『악서』의 수공후의 S자형 완목은 고대 공후의 완목 중에서 가장 독특하고 발전된 형태이다. S자형 완목이 명확하게 표현된 고대 공후의 실물은 일본 쇼소인 소장 옻칠 공후이다. 완목 형태는 두껍고 긴 통나무 원목에 두 개의 홈을 깎아 S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로 만든다. 이로써 전수(轉手)가 3단계의 나무 조임 단계를 거치는 효과를 가져 오게 한다. 이렇게 전수가 완목의 3단계 나무틀을 통과하면 현이 쉽게 풀리지 않으면서 미세한 음의 명확한 조율이 가능해진다. 음 조율을 위해 현을 감는 전수는 쉽게 풀리지 않도록 손잡이 부분에서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기러기발 역할을 하는 현괘 역시 완목 위쪽에 삽입하여 전수에 묶인 현이 공명통과 바로 연결되지 않게 함으로써 맑은 소리를 내게 한다. S자형 완목은 고대 악기의 조율법이라고하기에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과학적인 구조로서, 음을 고정하고 조율하는 탁월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rossarm, the tuning-device of the ancient string instrument Gonghu. For this, crossarms which were used in the ancient string instrument Gonghu were examined closely. And the present writer had conducted spot investigations in Louvre Museum, the British Museum, the Egyptian Museum, Shosoin Treasure House of Japan, and many principal regions of China. In there numerous important relics of ancient times and research materials are housed. I had compared and contrasted various types of crossarm on these objects, the graphic materials and literatures each other. And I could draw a conclusio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that for the purpose of tuning three types of crossarm had been used in ancient Harp Gonghu: cylindrical crossarm, wooden nail crossarm, S-shaped crossarm.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First, cylindrical crossarm is a form which ties the strings on cylindrical crossarm. From about 2000 BC in which the Gonghu was invented to the present this type is being widely and steadily used. This form tunes up by turning of cylindrical crossarm. This type is not appropriate for aaccurate and minute tuning of sound, but it has the virtue that the tuned sound don``t easily come loose. Second, wooden nail crossarm is a way which ties strings at wooden nail on the crossarm. This type has the virtue of simplicity and possibility of more delicate tuning. Above all by maintaining of the space between the strings and the body this type enables the instrument to make moreclean and pure sound. This type of wooden nail crossarm could be found in the Gonghus which were housed in the Egyptian Museum and Shosoin Treasure House. Third, S-shaped crossarm is the most distinctive and advanced method of three types. This type is to confirm in the lacquered Gonghu which was possessed in Shosoin Treasure House. This type was made by cutting two grooves in S-shape on a thick and long wood. By doing this, the strings which passed three-level wooden frame doesn``t easily come loose and it makes possible to tune accurate and delicate sound. This S-shaped crossarm is very scientifically constructed type, it shows excellent ability in tuning and fixing of sound. Above-mentioned three types crossarm are all essential and fundamental type for ancient string instru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need they could be also engrafted into the contemporary musical instrument.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ree types of crossarm could play fundamental roles not only in case of Gonghu but also in study and restoration of whole ancient string instrument.

      • SCOPUSKCI등재

        수술적 접근으로 치료한 식도 점막하종양의 임상적 고찰

        조수 ( Su Yeon Cho ),문현종 ( Hyeon Jong Moon ),김지원 ( Ji Won Kim ),조석기 ( Suk Ki Cho ),김병관 ( Byeong Gwan Kim ),주세경 ( Sae Kyung Joo ),김영훈 ( Young Hoon Kim ),박진선 ( Jin Sun Park ),최원제 ( Won Jae Choi ),김수환 ( S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목적: 저자들은 식도 점막하종양을 수술로 치료한 예를 분석 하고 과거 보고와 비교하여 국내에서의 식도 점막하종양의 특 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방침을 세우는 데 참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특별시보라매병 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식도 점막하종양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받은 18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48.9세였고, 남녀 비는 2.6:1였고, 대부분 무증상(77.8%)이었다. 대부분은 중부(55.6%)와 하부 식도(44.4%)에 위치하였고, 크기는 3-5 cm (55.6%)과 3 cm 이하(33.3%)인 경우가 많았다. 내시경초음파에서 병변은 대 부분 네번째 층(83.3%)에 존재하였고, 저에코 (72.2%)로 관찰 된 경우가 많았으며, 고에코 (11.1%) 또는 혼재된 에코(11.1%) 로 관찰된 경우도 있었다. 평활근종으로 진단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55.6%), 수술을 시행한 이유는 악성이 의심되거나 (38.9%)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33.3%) 및 크기 증가(11.1%) 등이었다. 수술은 대부분 흉강경을 이용한 적출술(83.3%)을 시행하였고, 병변의 평균 크기는 5.4 cm였으며, 6-10 cm 사 이인 경우(38.9%)가 가장 많았고, 3-5 cm 사이인 경우 (33.3%)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최종 진단은 평활근종이 대부 분이었고(88.9%), 나머지는 위장관 기질종양(11.1%)이 차지 하였다. 결론: 식도 점막하종양은 평활근종이 가장 흔하였으나, 내시 경초음파로 위장관 기질종양과의 감별이 매우 어려웠다. 악성 이 의심되거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흉강경을 이용한 최 소 침습 수술이 치료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Submucosal tumors of the esophagus are rare lesions among all esophageal neopla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treated by surgical approach.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and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18 esophageal submucosal tumor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approach at Boramae Medical Center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2. Results: The mean age was 48.9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2.6:1. Asymptomatic patients were most common (77.8%). In endoscopic ultrasonographic finding, the majority tumor arouse in the middle (55.6%) and lower (44.4%) esophagus, and appeared as hypoechoic lesion (72.2%) in the 4th layer (83.3%).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surgical approach was unclear biological behavior of the tumor. Minimally-invasive technique using thoracoscopy was applied for the enucleation (83.3%). The mean diameter of the tumor was 5.4 cm, and the final diagnosis was leiomyoma (89.9%)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11.1%). Conclusions: Leiomyoma was the most common submucosal tumor in esophagus. However, endoscopic ultrasonography was not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leiomyoma and gastrointesinal stromal tumor. For mor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minimally-invasive approaches may be suitable for the surgical enucleation of indicated esophageal submucosal tum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