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사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정모희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왔을 국악교육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에 앞서 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육학 영역 안에서 국악교육사를 살펴보고자, 한국교육사, 음악교육학, 국악교육학 안에서의 국악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음악사 영역인 한국음악사 안에서의 국악교육사를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을 국가음악기관 관련 연구와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논저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서는 음악교육에 관한 언급 자체가 소략하여 국악교육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은 기대하기 어렵고, 음악교육학과 국악교육학에서도 국악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단행본은 찾기 어려웠으며, 국악교육을 위한 한국음악사라는 간단 서술 정도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한국음악사의 여러 논저들은 국악교육사에 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는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국악교육사 연구를 위한 훌륭한 지침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논저들 중 국가음악기관에 관해 음악사적으로 연구한 글들은 다수 보이지만 국악교육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저들은 많지 않다. 그중,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간추려보면 6편이 대표적인데, 전인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 국가음악기관의 교육관련 연구, 현대 교육적 관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관점의 논저들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한국음악 분야에 있어 전통음악 전승의 역사를 음악교육의 역사로 보는 시각이 미미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한국음악사와는 별개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국악교육사가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학적 관점에서 각 시대별로 전승된 음악적 형태들을 찾고 그에 따른 교육 이념과 사상, 교육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정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음악사를 통해 각 시대별 음악의 수용자, 향유계층을 밝히고 그 음악의 전승 형태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onfirm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must have been passed through ancient times. First, I looked 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Then I reviewed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Finally, explored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related to Korean education history. As a result,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music education is rarely mentioned, so detailed mentio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not expected. Also, in a lot of music history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Korean music history books, books that systematically summarized Korean music education history were difficult to find. It was only briefly mentioned as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Research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does not directly include content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but they will provide great guidelines for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Among the research, many of them studied national music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history,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 are 6 research articl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y, and they can be put into three categorie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ll-round education, research of national music institute abou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music scholar, and research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passed down the generation was not typically considered a part of history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from history of Korean music.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Korean music, we must find the forms of music that were performed in each generation, and must organize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 purpos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We must also identify the class which played and enjoyed music in each generation through exploring Korean Music History and systemize research on how each music has been passed down.

      • KCI등재

        성인국악교육 연구성과 분석을 통한 평생국악교육 연구사 고찰

        장윤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is research scrutinizes academic papers and thesis discus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pecifically targeting adults, and sees life long gugak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ts research history. The writings on adult gugak education deal with various programs like event, music therapy, culture welfare, college affiliated coursework, online learning, and stage participatory trainings, revealing how the life long gugak education has unfold showing its developing process. Also, the adult learner group becomes subdivided into middle aged ladies, demented elderly, foreigner, youth, office workers, college students, and members in a club for more detailed academic discussion. Research methodology has also widened its application of reference and materials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observation/particip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actual distant class, and course evaluation. The achievement and tendency of the study on adults’ gugak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 long gugak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growing academic interest during the early 2000s began with master’s thesis, and gradually proceeds to Ph. D. dissertation and scholars’ papers in academic journals. Secondly, Chung Ang University has conferred many degrees to the research on elderly gugak therapy program as well as its remedial value, and therefore the relevant research set one of the major paradigms. Thirdly, after 2015, scholars began to design many gugak programs applying various genres such as creative music, literati songs, vulgar folk vocal music, gayageum, haegeum, changgeuk (theaters), and percussive ensemble music.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communal harmony were highlighted in foreigner gugak education. Fourthly, recent study pays attention to the learner’s point of view and actual teaching scene reflecting and accepting individual ideas or the meaning that the learners imposed to their learning. Moreover, researchers have begun to write about distance learning and media applied education on the basis of VR, e-learning platform, Zoom, and smartphone applications. 본 연구는 성인국악교육 논문 검토분석을 통해 평생국악교육의 연구사적 전개와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성인 국악교육은 공연행사, 음악치료, 문화복지, 대학기관 교과, 온라인학습, 무대참여 등 다양하며, 연구내용은 실태조사, 현장 수행, 수업안, 콘텐츠 구축방안 등 광범위하다. 학문적 성장은 연구방법의 확대와 함께 발전하여, 문헌과 수치통계 중심의 연구에서 점차 현장관찰, 면담, 설문조사 등 학습자 관점을 반영하는 연구로 전환한다. 학습자집단의 구분도 단순히 ‘성인’에서 중년여성, 대학생, 보호시설 이용자, 장애인, 외국인, 20대, 동호회 회원 등으로 세분된다. 평생국악교육 연구의 시기별 경향과 연구사적 관점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초 복지기관 국악교육 실태조사, 현황 연구, 노인 국악활동의 연구가 시작되고, 초기 학위논문 연구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전문 학술논문의 발표와 후속세대 학자의 등장으로 연구성과가 이어지나 연구주제에는 큰 변화가 없다. 셋째, 2010년 이후 노인치료 목적의 국악교육 연구와 학습자 증상 변화에 관한 수치분석 연구가 전형적 형태로 나타난다. 넷째, 2015년 전후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가 국악창작곡, 가곡, 산타령, 가야금, 해금, 창극, 민속악, 모듬북, 난타를 활용한 수업구성안을 제시하며, 외국인 국악교육은 문화교차적 소통과 이(異) 집단 화합의 의미가 부여된다. 최근 연구는 학습 참여자와의 상호소통을 바탕으로 한 의견수렴을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원격교육에 관한 연구가 영상매체, e-러닝 플랫폼, 비대면 줌, 앱 개발 등을 주목한다소속감과 대면 활동의 의미가 컸던 성인, 평생국악교육이 교육공학적 방식 도입으로 비대면, 젊은층 참여 확충, 자기 주도적 활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갖게 된다. 향후 다양한 사례 연구와 타집단과의 비교 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가야금 지도 내용을 통해 살펴본 국악 교육의 변화와 방향

        변미혜,한윤이 한국국악교육학회 2017 국악교육 Vol.44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and directions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focused on Gayageum teaching cont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teaching contents related to Gayageum in the music curriculums and music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bout Gayageum related contents from the 1st curriculum to 2015 revised curriculum, Most of the Gayageum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ppreciation activity and an instrumental activity was add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Gayageum education in the music textbook was mainly focused on the appreciation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In middle school, understanding activity, appreciation activity, and instrumental activity were also conducted. The change 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is recommended not only wind instrument but also strings such as Gayageum in teaching Korean melodic instruments. Second, the Korean music concepts such as Sigimsae are taught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appreciation. Thir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by using Gueum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music teaching methods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generalized in school education. Second, it should accommodate the learning of Korean music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ctivities and is effective. Third,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that can be integrated with singing and making music activities such as Gayageum should be done. Fourth, Korean orchestral ensembl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percussion ensemble education. Teachers should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ges and directions of Korean music education. When they teach based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we can expect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quality of the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가야금 지도를 중심으로 국악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국악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가야금 관련 내용을 고찰하고 현행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가야금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고찰한 결과, 대부분 감상 활동으로 다루고 있었는 데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이 추가되었다. 음악 교과서의 가야금 지도 내용은초등학교의 경우 주로 감상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학교의 경우는 이해와 감상활동 이외에 악기 연주하기 활동도 다루고 있었다. 이를 통해 살펴 본 국악 교육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의 가락악기 지도가 관악기에만 머무르 지 않고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 지도를 권장하고 있다. 둘째, 시김새와 같은 국악 개념을 가창, 기악, 감상 등 여러 활동 속에서 이해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셋째, 구음과 같이 전통적 교수법에 기반 한 국악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국악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교수법에 기반을 둔 국악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일반화해야 한다. 둘째,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교육 적 효과가 높은 국악 학습을 수용해야 한다. 셋째, 가야금과 같이 가창 및 창작 활동과 연계․통합할 수 있는 악기 지도를 학교 교육에 도입해야 한다. 넷째, 타악기 중심의 국악 합주에서 벗어나 국악 관현악합주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국악 교육의 변화와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라 수업할 때 국악 교육 의 발전과 질적인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07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있어 지향해야 할 국악교육의 방향 모색

        성기련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8 국악교육연구 Vol.2 No.2

        현재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해 쓰인 음악교과서에서는 학년별로 구성 비율에 차이는 있지만, 서양음악을 가장 비중 있게 가르치고 다음으로 국악(國樂)을 가르치며, 거기에 곁들여 다른 문화권의 음악을 가르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현재의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할 때 앞으로 국악 교육의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여겨지고 그와 더불어 국악 교육의 질에 대한 고민도 많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현장 적용을 앞두고 있는 지금이 바로 현재의 문제를 개선하고 음악교육이 더 나은 방 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도로 연구하고 고민해야 할 때라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악을 중심에 두고 음악교육의 나아갈 길을 종합적으로 모색하고 논의해 보았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09년부터는 음악적 감각이 뛰어나게 형성되도록 귀를 열어준 후 음악의 아름다 움을 스스로 깨달아 음악을 즐기는 학생들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삼야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음악교육의 첫 단계 는 귀를 열어 소리를 받아들이는 음악적 감각을 일깨워주는 것이어야 할 텐데, 특히 국악교육에 있어서는 이를 위해 악기의 소리를 본따 만들어진 구음 교육을 반드시 해야 한다. 구음은 원래 언어에 있어서 특정 음절이 갖는 지시적 기능으로 인해 장단(長短), 세(勢)의 파악이 용이하며, 선율악기의 경우 고저(高低) 및 음색(音色)도 알 수 있다. 음악교육의 방향 설정에 있어서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예부터 우리 조상이 그러했듯이 음악을 통해 문화적 공감대 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음악교육을 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만이 아니라 누구나 즐기는 음악문화, 어린이와 늙은이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문화, 그리고 학교 안에서 뿐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향유되는 음악문화가 형성 될 때 진정한 생활화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우리말에 근거한 음악어법으로 우리의 정서를 담아 노래하던 민요, 시조, 판소리 등 우리의 노래문화를 되살림으로써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근래 우리가 1세기 동안 잊고 있던 우리 문화의 우수성이 증명되고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더불어 우리 음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소위 국악풍의 곡이라고 하여 교과서의 국악 제재곡으로 싣는 것은 문제가 있 다. 장단과 시김새가 제대로 된 음악이어야 그 속에 우리 열이 살아 숨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음악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우리 음악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도록 국악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단의 길고 짧음을 드러내 줄 수 있는 정간보와 가락선보, 그리고 구음보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양한 문화가 한 공간에 공존하는 이 시대에 우리 음악을 바랙l 인식하고 새로운 우리 문화를 창출해 가기 위해서 는 교사가 역사를 바로 알고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여 교육을 통해 문화의 흐름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21세기에는 우리의 가치관과 문화를 되살릴 수 있도록 새로운 방향으로 음악교육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Music textbook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 prioritize the teaching of western music first, followed by Korean music and then the music of other cultures even though the portion of each field varies by grade. Since the current social climate encourag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the portion of Korean music in music educ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addition, a higher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demanded. Since the 2007 curriculum will soon be in practice, the present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s these and other trends expected to be prominent in the near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One of the main goals articula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is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ir musical senses, learning to independently appreciate the beauty of a variety of forms of music. Therefore, the first step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to open students' ears to receiving musical sound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the Korean music, gueum [mimicking and making the sounds of musical instruments by mouth] should be emphasized. In languages, gueum makesit easy to grasp the length and the accent of a sound because of the indicative functions that a syllable has, and in the case of melody instruments, it is possible to know the height and the tone of a sound. Another important point in setting the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is to cultivate cultural sympathy through music as our ancestors have done. Musical culture is alive when it is played and enjoyed not only by professionals and those involved in formal education, but also by children and the elderly. This will be made possiblemade only after the Korean musical culture, such as folk songs, sijo, and pansori which talk about our emotions in the musical technique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is revived. After having been largely neglected for some 100 years, appreciation for Korean culture in general and Korean music in particular, has recently been strongly revived It is now broadly acknowledged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appropriate Korean music pieces focusing jangdan and sigimsae in culturally appropriateways. To teach the Korean music for students to recover our musical sensitivity and to feel the beauty and the essence of our music, jeongganbo [a kind of musical notation; which can show the duration], melodic contour Notation, and gueum notation should be used.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our music and to create our new culture in this age when various cultures co- exist in the same space, teachers must acquire a careful understanding of history, recognize relevant cultural values, and encourage the flow of cultures through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music education is pois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evival of our sense of values and culture.

      • KCI등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 내용 연구

        모형오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치원의 교육내용에 대한 전국 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 한 것으로 유치원 교육을 문서로 계획한 교육설계도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생활ㆍ사회생활ㆍ표현생활ㆍ언어생활ㆍ탐구생 활 등 다섯 개의 생활영역을 두고 있으며, 이 중에서 표현생활영역은 국악교육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생 활영역이다. 아울러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의 기본이 됨과 아울러 유아의 생활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내용과 생활주제에 따른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유아를 위한 국악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영역에 제시된 내용체계별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고, 각 생활주제별 국악교육 내용을 모색하였다. 표현생활영역은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 즐기기’, ‘감상하기’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에서는 주변의 소리를 관심 있게 듣고 이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과정 과 여러 국악기의 음색을 비교하여 들어보고 표현하는 과정, 그리고 기본적 리듬을 듣고 연주하는 과정이 국악 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술적 표현 즐기기’에서는 전래동요ㆍ국악동요를 부르고 이를 통합적으로 표 현하는 과정,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활동, 음악극과 같은 통합적인 표현활동이 이뤄질 수 있다 . ‘감상하기’는 예술적 표현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는 활동이 중심을 이루며, 음악ㆍ춤 등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창의적으로 표현 하는 과정이 국악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 11가지의 생활주제별 국악교육의 내용을 모색하였다. 각각의 생활주제는 월별로 이뤄지기도 하고, 여러 생 활주제가 교사에 의해 분리ㆍ재조직되어 유치원의 특성과 연령 등에 따라 적용되는데, 이에 따른 국악교육은 유 아의 생활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각 생활주제에 따라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움직임과 춤’, ‘감상’, ‘음악극’ 등의 국악 교육 내용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부터 생활 속 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음악적 모국어를 익히며, 유아의 예술적 표현력을 신장시키고 언어ㆍ신체ㆍ정서ㆍ사회 성 등 전인적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유아국악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Korean music education as laid out in the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Since musical aptitude is developed in early childhood and highly valued in Korean society, exposure to Korean music in the early years of schooling is critical. This study seeks to reinforce the belief that early music education advances the whole person artistically, linguistically, emotionally and culturally and must therefore be considered a key component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후보

        전래동화와 누리과정을 이용한 국악수업 지도안

        박은혜(Park Eun 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본자는 2015년 문화융성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가 주관하는 ‘문화가 있는 날–동동동 문화놀이터’ 사업에서 민간예술단체 우수 어린이프로그램 에 선정된 ‘청개구리야 놀자!!’의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약 822명의 3세에서 5세까지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육 및 교육시설에서 교육을 하였다. 그 프로그램은 전래동화와 누리과정을 이용한 국악수업으로 전래동화를 통한 인성교육과 누리과정의 5가지 영역을 접목시켜 유아의 심신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국악교육이다. 전래동화는 우리 고유의 정서와 문화가 있어 국악과 함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계승시킬 수 있는 좋은 교육 자료이다. 누리과정은 생애 초기 출발점 평등을 보장하는 교육으로 유아기 단계에서 교육의 질을 제고한다. 하지만 2012년부터 공통으로 시행된 누리과정과 국악교육에 연관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전래동화와 누리과정의 5가지 영역을 모두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과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전래동화와 누리과정을 이용한 국악교육 교수학습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전래동화의 감상과 말리듬 창작을 통해 의사소통의 영역을 넓히고, 전래동화의 주인공이나 주변 인물을 몸으로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신체 활동 영역에 참여한다. 사회 영역은 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전래동화의 등장인물과 자신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야기에 나오는 우리나라의 전통, 역사, 문화, 음악 등에 관심을 갖는다. 나아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것을 배우며 우리나라에 관심을 갖고 이해한다. 예술경험 영역은 전래동화와 연관된 국악기, 판소리, 전래동요, 창작동요, 한삼춤, 부채춤 등의 체험을 통해 전통예술을 접하고 아름다움을 찾는다. 자연탐구 영역에서는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생명체, 날씨, 기후변화 등 자연 현상에 관심을 갖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며, 이야기 순서를 맞추기를 통해 규칙성을 이해하며 수학적 탐구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청개구리야 놀자!!’, ‘우리나라의 보물 만파식적’, ‘동물 이야기 토끼와 자라’의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청개구리야 놀자!!’는 전래동화 『청개구리』를 주제로 하여 가족의 의미와 소중함의 교훈을 주고, 전래동요나 창작국악동요, 국악기, 한삼 등을 체험하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우리나라의 보물 만파식적’은 전래동화 『만파식적』을 주제로 하여 화목과 어울림의 교훈을 주고, 국악기와 부채춤을 체험 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동물 이야기 토끼와 자라’는 전래동화 『토끼와 자라』를 주제로 하여, 충성스럽지만 미련한 자라와 어려움 속에서도 지혜를 내는 토끼를 통해 교훈을 배우고, 판소리 감상 및 체험 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교수학습 방안과 지도안을 통해 다양한 국악 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이 소개되고 개발되어 생애 초기 평등한 출발점에서 많은 유아들이 교육을 받고, 우리 민족문화가 계속 보존되고 계승되기를 바란다. 「Tree Frog! Let’s Play」, a program planned by this author, was selected as the excellent children’s program by a private arts group as a part of the Dong-Dong-Dong culture playground project in the Culture Day sponsor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Cultural Enrichment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supported by the Korean Cultural & Arts Centers Association in 2015. The program was used for the education for 822 children aged between three and five in child 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Besides, this program as a less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the korean fairy tales and Nuri curriculum is an education for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harmonious development combining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five areas of Nuri curriculum. The traditional fairy tale containing our own unique emotions and cultures is an excellent educational material that can preserve and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an education that guarantees equality at the stating point in early life,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babyhood stage.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studie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in common from 2012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suggest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sson plans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both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five areas of Nuri curriculum.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and five areas of Nuri curriculum is as follows. It is to expand of the scope of communication by appreciat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reating rhythms of speech, and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ctivity area with others by expressing main or minor characters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 using body. In the social area, it is to have an interest in oneself as well as several contents including our tradition, history, culture and music in the story, and to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a character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 and oneself. Children can understand and have interests in our country by learning diverse materials representing our country. In the artistic experience area, children can contact traditional arts and find its beauty by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pansori,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children’s songs, hansam dance and fan dance. In the natural science area, children can be interested in natural phenomenon such as creatures, weather, and climate change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 and carry out scientific inquiry. Furthermore, children can understand regularity by matching up story sequence and carry out mathematical inquiry. Based on this, lesson plans for the 「Tree Frog! Let’s Play」, 「the national treasury, Manpasikjeok」 and 「the animal story, Rabbit and Turtle」 were suggested. Firstly, 「Tree Frog! Let’s Play」, a tree frog-themed story, gives a lesson about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family. The lesson plan on experienc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ive korean classical children’s songs,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hansam dance was suggested. Secondly, 「the national treasury, Manpasikjeok」, which is a legendary tale about a magical wind instrument, teaches a lesson about harmony and consonance. The lesson plan for the story that ca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fan dance was suggested. Thirdly, children can learn a lesson from the slow and steady turtle and wise rabbit in the story of 「Rabbit and Turtle」. The lesson plan related to the appreciation and experience of pansori was suggested for children. We expect that a divers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Korea traditional music will be introduced and developed based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sson plans suggested in this paper, and used for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초등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 고찰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올해부터 새롭게 쓰이는 3~4학년군 음악교과서 가운데 4학년 9종(㈜금성출판사, 동아출판, ㈜미래엔, 비상교육, 음악과생활, 와이비엠, 지학사,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음악교과서를 연구 범위로 설정하여, 2015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내용은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 나타난 ‘생활 속의 국악’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토대로 실제 초등 4학년 9종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생활 속의 국악’ 관련 내용이 수록된 단원의 현황을 살펴본 후, 단원별 학습목표, 관련 제재곡 및 악보제시 방식, 관련 학습활동, 관련 사진 및 삽화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국악의 생활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국악의 가치를 보다 더 인식할 수 있도록 학교급 별로 차별화 된 내용 요소를 제시하고 있는데, 3~4학년군에서는 ‘생활 속의 국악’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둘째, 실제 초등 4학년 9종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을 살펴본 결과, 9개의 모든 음악교과서에서 관련 단원을 수록하고 있었고, 각 출판사마다 1개에서 3개까지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원별 학습목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인 ‘생활 속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악을 찾아 발표한다.’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거나 성취기준의 문장을 그대로 구현하지는 않았지만 국악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내용과 관련된 학습목표를 대부분 제시하고 있었다. 관련 제재곡과 악보제시방식은 대부분 악보 없이 제목으로만 제재곡을 소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밖에 오선보, 가락선 악보, 그림 악보를 통해 제재곡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활동은 노동, 의식, 놀이와 관련된 ‘생활 속의 국악’ 내용 중 노동과 관련된 학습활동 제시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관련 사진 및 삽화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실제 장면을 나타낸 사진보다는 삽화나 그림 등으로 관련 단원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emphasizes the famili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this study has chosen 9 4th grade music textbooks (Geumsung Publishing, Dong-A Publishing, Morae N Co. Ltd., Visang Education, Music and Life, YBM, Jihaksa Publishing Co. Ltd., Chunjae Education Inc. and Chunjae Textbooks) that are newly put to use from this year as the research subject among 3rd to 4th grade music textbooks, in order to analyze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on Everyday Life’ section that is presented in the familiarization part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is realized in textbook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ed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hich is in the familiarization section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parts of 9 different music textbooks for 4th graders. In detail, the chapters of the textbooks were sorted so that the on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ere selected. Such chapt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how their lesson objectives, related songs and presentation of music scores, learning activities, related pictures and illustrations a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famili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s differentiated contents factor according to different school grades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3rd to 4th grad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is specifically stated.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sections of 9 music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9 textbooks included related chapters while the number of chapters including such section varied across publishing companies. Most of the lesson objectives for such chapters either directly refl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familiarization part of 2015 revised curriculum: ‘search and present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can be found in our everyday life’, or present related objectives that ask students to apply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ir everyday lives with different wording. It was also found through the analysis that related songs were introduced with only the titles of such songs without their music scores while some songs were presented with staff notations or Garakseon scores. Among learning activities of work, play and ceremony,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learning activit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veryday Life’ was work-related activities. in terms of related pictures and illustrations, most of the textbooks included illustrations or paintings of chapter contents instead of including pictures of real life scenes.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의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박주만(Park Joo M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3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인 학교 국악교육 평가의 활용을 위한 수행평가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평가 루브릭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3,4학년 국악 제재곡과 단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동 영역별로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준비 단계, 개발 단계, 평가 단계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 과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루브릭 개발을 위한 수행평가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을 통해 루브릭의 개발 절차와 평가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둘째, 국악교육에 대한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국악 활동의 수행 과제와 평가 방법을 결정하였다. 셋째, 국악활동 영역별 주제에 따라 루브릭의 형태를 선정하고, 과제의 준거를 설정한 후 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루브릭에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1차 루브릭을 현장교사와 국악교육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검증을 받아 다시 수정하여 최종 국악 수행평가 루브릭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국악교육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의 특징으로는 첫째, 국악 제재곡의 목표와 활동을 분석하여 영역별 구체적인 성취 수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국악 활동에 대한 음악 성취결과 및 산출물에 대한 루브릭의 준거를 목록화 하였다. 셋째, 학생은 물론 학부모들이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등급에 따른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국악교육 평가의 객관성을 높여 보다 공정한 참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국악 교수-학습의 모든 과정을 중시하는 활동 중심의 국악수업을 가능하게 하여 학교 국악교육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Rublic which may be utilize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developed Rublic aimed 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unit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Rublic was proposed by being categorized by each activity area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music composition, and appreciation). Concerning research methods for this, Rublic was developed by being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arts : preparation stage, development stage, and assessment stage. The contents of detailed development process regarding its procedur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study analyzed literature data relative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developing Rublic, and deduced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Rublic and the category of its assessment through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 Second, the study determined the performance assignments and assessment method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y based o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the study selected the type of Rublic according to the subject of 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area, and developed assessment scales after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assignments. Fourth,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developed Rublic, the study asked current teachers and professional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review of the early form of Rublic; thereby, the study requested the verification of problems and things to improve concerning Rublic, and then the study modified and completed the final form of Rublic. The characteristics of Rublic which was developed in this way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volve the following. First, Rublic proposed detailed achievement levels according to each level by analyzing the goal and activi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unit. Second, Rublic categorized the standard of Rublic regarding any results and produc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by students. Third, Rublic proposed detailed grading standards according to rating, with which the understanding not only of students but also of parents may also be promoted. The following educational effects are expected from above research results. Rublic will make it possible to conduct a fairer authentic assessment by raising the objectiv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sessment, and furthermore, it will enable the offering of activity-focus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which values all process of the teaching-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will be committe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chools.

      • KCI등재후보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육과정(커리큘럼)의 변천

        이소영(Lee, So-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근대적인 전문 국악교육은 20세기에 들어서 그 틀이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세기 전반기에 비제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악교육은 후반기에 들어 학교교육 내의 제도권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창설은 이러한 전문 국악교육의 분수령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 국악과 창설이 후반기 제도권 교육의 시작점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교육과정이 다른 대학 국악과의 교육과정에 모범적으로 확립되면서 전문 국악교육이 더욱 공고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울대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는 것은 대학에서의 전문 국악교육의 변천을 살피는 데에 있어 기본이 되는 작업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68년도부터 2006년도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국악과의 전공 관련 교과를 실기교과목과 이론교과목으로 구분하고, 이들 교육과정의 변화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국악과의 졸업 최저 이수학점은 점차 축소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음악인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선택의 기회를 마련해 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실기교과의 경우 양악 관련의 교과가 점차 축소되고 국악 관련 교과는 보다 구체화되고 세분하게 운영하도록 체계화 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수업내용 면에서 볼 때, 정악, 산조, 창작악의 순으로 학습하던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졌고, 과목별로 사회적 현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증설하거나, 편제에 변화를 주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운용하여 시대에 맞는 음악인을 양성하고자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교과과정의 변화가 훌륭한 전문국악인의 양성하고자 하는 꾸준한 노력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과과정이 우리나라 국악교육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서 서울대학교 국악과는 차세대 국악인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과 운영방법에 대해서 끊임없이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Gugak was educated in modern scholar system from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foundation of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hereinafter, referred to as “SNU”) can be judged to mark a watershed in such a professional Gugak education. It is not only because the foundation of Dept. of Korean Music at SNU was a starting point of the institutional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but also because Gugak education became more consolidated with the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NU becoming established as an example to the curriculum of the Dept. of Korean Music at other universities.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 of Gugak education system to look into history of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investigated curriculum list published by the SNU Press from 1968 until 2006 and confirmed the matter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hange aiming at gradually reducing the lowest Gugak credits for graduati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the school authorities arrangement of an opportunity for Gugak majors to select diverse educational options with the needs of the times for musicians changing. Second, in the case of performance classes, this paper could confirm the aspects, in which the number of classes related to Western music was gradually reduced while the classes for Gugak were systematized to make it possible to be managed more concretely and minutely. Third, basically performance classes have been assigned to students in the order of Jeongak-Sanjo-Creative Gugak, which is still valid for current Gugak education system and program of Gugak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found that some of classes were added or its class hours were modified responding to changing times. This paper showed that history of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NU was the process of steady efforts to train a splendid professional Gugak musician. Furthermore, it implies that Dept. of Korean Music at SNU should endlessly inquire into the effective way of providing next generation Gugak musicians with useful education. It shall be also reminded that curriculum for Dept. of Korean Music at SNU makes influence on other Gugak education system directly or indirectl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