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유동사 구문의 통사ㆍ의미론적 분석과 수여동사 구문과의 인접성에 대한 연구

        조경순(Jo, Kyung­sun)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0 No.-

        The semantic features are structuralized into the semantic structures, and such semantic structur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yntactic structures. Through the diverse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ntence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pproach and analyze semantic feat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possessive construction involving possession and to set the subject­conceptual structure of the possessive construction. The sentence meaning of the possessive construction can be defined as “the agent with a will dominantly owns the target”. To lexical­internal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session, the conceptual semantics(Jackendoff) is used as a methodology. In addition, the possession is semantically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tial construction and ditransitive construction. The existential, possessive and ditransitive constructions are detected through the concept that they are based on a fixed semantic correlation.

      • KCI등재

        보조용언(補助用言)의 판별(判別) 기준(基準)과 통사구조(統辭構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대한 연구(硏究)

        조경순(曺炅舜) ( Jo¸ Kyung-s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3

        보조용언은 본용언의 상대적 용어로 合成動詞·連續動詞 구성과 구분하기 위해 판별 기준이 설정되었다. 그러나 일부 판별 기준은 특성과 동일한 순환론적 문제가 있으며 보조용언 구문의 통사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통사적 현상이 판별 기준에 포함되는 문제가 있다. 內的 非分離性(내적 비분리성), 分離 代用性(분리 대용성), 倒置 不可(도치 불가), 先語末語尾(선어말어미) 결합 위치 제약 등의 판별 기준은 보조용언의 통사적 결합과 통사구조에서 기인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보조용언 구문의 필수논항 수에 따라 통사구조를 분석하고 각 구문을 통합할 수 있는 통사구조를 설정한다. 통사구조에 의해 선행 어미 교체 및 삽입에 관한 내적 비분리성은 CP의 핵인 어미가 V´와 결합에 의한 것으로, 本用言과 補助用言의 代用性(대용성) 및 도치 불가는 계층적 결합 구조에 의한 것으로, 선어말어미 결합 위치 제약도 AVP 아래에 CP가 위치하며 발생하는 통사적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보조용언 구문의 통사구조를 통해 보조용언의 판별 기준을 개별적 현상이 아니라 보조용언의 통사적 결합에 따른 통사적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Auxiliary verbs are defined relative to main verbs, and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them from compound verbs and continuous verbs have been established. There is a problem that some criteria are identical to characteristics and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syntactic structure of auxiliary verbs is included in the criteri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non-separability, separability substitution, inversion impossibility, and constraints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last endings are the phenomena of syntact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syntactic bonding layer of auxiliary verbs. In this paper, the syntactic structure was analyzed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essential arguments in the auxiliary verb syntax. Since there are sentences in which the auxiliary verb requires an argument, the auxiliary verb is combined after the main verb is combined with its ending. Internal inseparability is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suffix V′, which is the nucleus of CP, and the substitution and inversion of the main and auxiliary verbs are due to their hierarchical bonding structure. Through the syntactic structure of auxiliary verbs, it can be seen that the criterion for discrimination of auxiliary verbs is not a unitary phenomenon, but reflects syntactic phenomena arising from the syntactic combinations of auxiliary verbs.

      • KCI등재

        광주 지역어 ‘그러-’ 계열 어휘에 대한 의미론적 연구

        조경순 ( Jo Kyung-sun ),조재형 ( Cho Chae-hyung ),백승주 ( Baek Seung-joo ),이준환 ( Yi Jun-hwan ),조진수 ( Jo Jin-s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호남학 Vol.- No.72

        이 연구는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 계열 어휘의 사용 양상 및 의미론적 특징을 분석한다. 광주 지역어에서 ‘그러-’ 계열에 포함되는 어휘들은 서술어, 부사어, 관형어, 감탄사 등 다양한 언어 형식으로 쓰이면서 화자와 청자가 담화 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중요한 구실을 한다. 또한, 이야기를 나눌 때 담화와 담화를 이어주고 대화 구성원이 대화에 집중하도록 하는 담화 표지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 연구는 지역어는 지역 공동체의 구성원이 소통하는 매개체로 해당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 계열 어휘의 사용 양상과 의미론적 특징을 분석하며 ‘그러-’ 계열 어휘의 지역어적 특색을 살펴본다. 이 연구를 통해 광주 지역어에서 ‘그러-’ 계열 어휘의 의미론적 기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표준어에서 ‘그러-’ 계열 어휘는 앞서 나온 언어 형식을 대신하는 대용 기능과 감탄사로서 수용이나 수긍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서 ‘그러- 계열 어휘도 동일하게 기능한다. 그런데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서는 뒤에 나오는 것을 가리키는 후방 대용 기능도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둘째,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서 ‘그니까’ 등은 화제 전환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래, 긍께’ 등은 화제를 강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고로고, 그니까, 그라고, 그래, 그래도, 그래가지고, 글고’ 등 다양한 어휘들이 ‘인자’와 결합해서 새로운 화제를 열 때 청자의 집중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셋째, 광주 지역어 말뭉치에서 ‘그래’와 ‘가지고’가 결합한 ‘그래가지고’는 앞 문장의 사태를 완결하고 그 사태가 뒤 문장의 원인임을 강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어 가지고’가 실질적 의미를 가지는 용언에 결합함에 비해 ‘그래가지고’에서 ‘그러-’는 실질적 의미가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넷째, 화자가 의도하는 의미를 ‘글잖아’ 등을 통해 특정한 대용 대상이 없이 발화하여 청자가 발화 상황이나 화맥을 통해 의미를 추측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is study analyzes usage pattern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Geureo-” vocabulary that appear in Gwangju dialects corpus. In the Gwangju dialect, the “Geureo-” vocabulary is used in predicates, adverbs, tubular words, exclamations, etc., allowing the speaker and listener to form a sympathetic zone in the discourse. It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a discourse cover that connects discourses to discourses and allows conversation members to concentrate on the conversation. A local language is a medium which the local community communicate, and reflects the culture and emotion of the region. We analyze usage pattern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Geureo-” vocabulary that appear in vocabulary of the Gwangju dialect, and investigate regional language characteristics of “Geureo-” vocabulary. Through this study,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Geureo-” vocabulary in the Gwangju dial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ureo-” vocabulary appearing in the Gwangju dialect corpus performs the function of substitutione and acceptance. In the Gwangju dialect corpus, it can be divided into forward substitution and backward substitution in that it also has a substitute function to indicate what follows. Second, in the Gwangju dialect corpus, “Geureo-” performs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topic, and “Geurae, Geunggge” performs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topic. Third, in the Gwangju dialect corpus, “Geuraegajigo” completes the situation in the previous sentenc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at the situation is the cause of the latter sentence. Fourth, in the Gwangju local language corpus, when “Geujanna” performs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listener to guess the meaning through the situation or context.

      • KCI등재

        한국어 가족어휘에 반영된 가족관 변화 연구

        조경순(Jo, Kyung-Sun),남명옥(Nan, Ming-yu),이서희(Lee, Seo-hee)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9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4

        우리나라는 전통사회에서 근대를 거쳐 현대사회로 오며 가족의 구성, 가치, 의미, 태도 등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거나 겪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사회와 문화는 언어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으므로, 가족의 변화는 한국어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었을 것이고 가족어휘에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예로 가족어휘가 혈연관계가 아닌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호칭이나 지칭으로 쓰이는 경우, 전통적 가족어휘의 차별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가족어휘나 호칭어를 사용하며 가족 구성원으로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인식이 확산되며 반려동물에게 사람 호칭어를 사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가족어휘에서 가족의 변화 양상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런데 가족의 의미나 가치는 한민족의 것이므로, 한국어를 소통 수단으로 삼는 공동체의 가족어휘를 대상으로 연구한다. 구체적으로 남한, 북한, 연변의 언어를 대상으로 가족어휘 현황, 의미, 변화 양상 등을 비교한다. 그리고 한국어 공동체 내에서 전통적 가족어휘 중 일부 집단에서만 사용되거나 사전에 등재되어있을 뿐 잘 쓰이지 않는 것이 있고, 초개인화 시대의 1인 가족과 1자녀 가족 등이 늘어나며 새로운 가족어휘가 생겨나는 현상을 논의한다. Moving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society, Korea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in the composition, value, meaning, and attitude of family. As the society and culture influence the language, it is predictable that such changes in family probably had some effects on Korean language, which would be reflected in the family lexicon. This thesis aims to seek for changes in family and Korean-style family view in the family lexicon of Korean language. As the meaning and value of family belong to the Korean peopl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amily lexicon of communities using Korean language as the means of communication. There are the cases in which the family lexicon is used as title or designation meaning the social relationship instead of the blood relationship. With the criticism on the differentiation of traditional family lexicon, the new family lexicon or titles are used. Due to the spread of perception of including pet animals as family members, the titles for humans are used for pet animals. Concretely, this study compares the current status, meaning, and aspect of change of family lexicon targeting the language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Yanbian. 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how the family relationships have been changed in the communities of Korean language, and how the Korean people think of family. Through this discussion, the aspect of change in family lexicon of Korean languag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raditional family lexicon, there are the words that are used only in some groups or the words registered in dictionary that are not used a lot. Second,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family and single-child family in the super-individualization era, the new family lexicon is generated.

      • KCI등재

        ‘와/과’ 명사구의 의미역과 참여자역 연구

        조경순 ( Jo Kyung-sun ) 한국어의미학회 2023 한국어 의미학 Vol.80 No.-

        Korean Semantics, 80. Semantics represent the semantic function of an argumen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the predicates that make up a sentence and corresponds to the argument of semantic structure. Humans recognize an incident, compose it in language, and give it a semantic function to an objec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cident. The meaning area must know the role in the case and how the role appears in the text. There has been much debate about integrating or excluding companion main meanings from other meanings, compared to the meanings commonly presented in some studies. This is because the “wa/gua” noun phrase in Korea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sentence components. “wa/gua” is used to connect words to words, to connect sentences to sentences, and to represent the function of companionship and comparison with an actor or subject in a certain case. Therefore,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held in research dealing with “wa/gua” noun phrases and meaning area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at the noun phrase of “wa/gua” was discussed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at the joint role was discussed in the semantic relation theory. The Korean “wa/gua” noun phrase may be necessary to realize the meaning of the predicate. If you set this noun phrase to discussion, discuss the corresponding semantics and see if you can set other noun phrases to the common station besides the “wa/gua” noun phrase. In this paper,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ame noun phrase can be given multiple semantic areas, the function of discussion in semantic structure and verb structure is explained without setting semantic areas such as “comparison” and “criteria”. In this paper, we explain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aning area and the participants and the knowledge of the world are reflected in the text, and the “wa/gua” noun phrase is introduced.

      • KCI등재

        인문대학 캡스톤 디자인 수강생의 교과 인식 및 수업 만족도에 대한 사례 연구

        조경순 ( Jo¸ Kyung-s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용봉인문논총 Vol.- No.59

        최근 대학의 교육과정과 수업 형태의 변화를 촉진하는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대학의 교과목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팀워크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배양하는 캡스톤 디자인이 인문계열 대학에 적용된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이론 설명식 강의에 비해 수업 만족도의 상승 정도를 살펴본다. 캡스톤 디자인 수강생의 역량 강화 효과는 공학·자연계열에서만 아니라 인문계열에서도 입증된 바와 같이 캡스톤 디자인이 인문계열에서도 충분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강의 평가 결과는 대학 평균보다 10% 높으며, ‘교수-학생 간 유익한 상호작용’ 부분에서도 대학 평균 및 전체 평균인 4.30 대비 높은 수치인 5.00이었다. 또한, 심층조사 결과 수강생들은 협동심 및 의사소통 능력, 업무 조율 능력, 발표력, 아이디어의 구체화 능력, 주제에 부합하는 의견 발표 및 선별능력 등에서 자신의 역량이 상승하였다고 답변하였다. 그러나 인문대학의 캡스톤 디자인 과목 운영과 설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여전히 인문계열 대학에서 캡스톤 디자인의 적용 수준이 미흡했다.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s for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of universities, the types of classes are also being diversified. In this study, a case study is conducted in which the capstone design class, which develops thinking, problem-solving, and teamwork skills, is applied to the college of humanities while conducting a project that comprehensively utilizes knowled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is investigated,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crease compared to theoretical or discussion-type lectures is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students who took capstone design has also been proven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but the current status of capstone design course operation and lectures at the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Humanities are still insufficient. In the capstone design class, the lecture evaluation details are 7% higher than the university average and 10%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t was 5.00 compared to the university average and the overall average of 4.30. As a result of the in-depth study, the students’ cooperative spirit, communication ability, work coordination ability, presentation ability, and the ability to materialize ideas and the ability to present opinions that fit the topic increased.

      • KCI등재후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 제언

        조경순(Kyung Sun Jo),이효인(Hyo In L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본다.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 수에 비해 제한적인 인원만이 한국어 교육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 지원이 집중되며 상대적으로 학습 한국어 교육은 부족하다. 또한, 의사소통 한국어 교육에 비해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을 학교에서 진행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고는 중도입국 및 외국인가정 학생의 ‘학습 한국어’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웹 기반 학습한국어 교육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 수에 따른 학급 구성, 교육 접근성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맞춤형 코칭 서비스를 웹 기반 학습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적극적인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기반으로 학습 한국어를 익힐 수 있음을 논의한다. In this thesis, w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entering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and suggest ways to develop their skill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Since Midway Immigrant stude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have to study, not only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erformance is needed.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is examin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fewer students were recei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large imbalance in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 is placed on communi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for immigrants and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but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eglecte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chool class. In this paper, a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is proposed as a way to teach Korean language to students entering Korea midway and from foreign families.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can eliminate problems such as class composition and educational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customized coaching service to the web-based learning Korean language learning platform, learners can acquire systematic and ac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