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안전추구행동의 매개효과

        정정은,김유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3 초등상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안전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5개 교육지원청 소속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57명(남 222명 48.6%, 여 235명 51.4%)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안전추구행동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안전추구행동이 각각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자동적 사고와 안전추구행동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불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안전추구행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日韓における人称代名詞 · 呼称の「あなた」と「当身」

        鄭貞美(정정미)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일·한의 인칭대명사 호칭인「아나타:貴方」와「당신」에 대해서, 문맥에 있어서의 의미를 포함한 다의성을 중심으로 용언의 공기관계에 의거한 대조연구를 하였다. 특히 화용론의 관점에서 각각 쓰이는 장면과 상황, 대인관계 (듣는사람과 말하는사람) 에 입각하여 등칭·하칭·경칭3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경향이 나타났다. 등칭에서는「당신」보다는「아나타」가 사용범위가 넓고, 양자는 주로 중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기하는 용언은「당신」의 사용폭이 넓으나, 양자는 친근함과 정감이 담겨있는 무례한 말투의 용언이 자연스럽다. 하칭에서는 상대를 책망하거나 질책하는 장면에 쓰이는 공통점이 있다. 양자에 있어서 다른 점은 부모가 아이에게「아나타」를 쓰는데 반해「당신」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 등칭과 무례한 말투의 용언과의 공기는 일반적이지만 비방하는 의미가 강하고, 상하의 힘관계에 의해 상위자가 쓴다.「아나타」와「당신」은 양자 모두가 경칭으로 쓰이나 전자는 2인칭, 후자는 2인칭 및 3인칭으로 쓰여져 대조적이다. 상대방을 존경한다는 목적에서「아나타」와「당신」은 정중한 표현의 용언과 공기하여, 특히 신(神)에 대해서는 양자가 모두 최경체(最敬?)를 쓴다.

      • KCI등재

        통계적 특징 기반 SVM을 이용한 야간 전방 차량 검출 기법

        정정은,김현구,박주현,호열,Joung, Jung-Eun,Kim, Hyun-Koo,Park, Ju-Hyun,Jung, Ho-Youl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2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7 No.4

        A driver assistance system is critical to improve a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vehicle driving. Several systems have been already commercialized such as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Efficient vehicle detec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such driver assistance systems. Most existing vehicle detection systems are based on a radar system, which measures distance between a host and leading (or oncoming) vehicles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However, it requires high deployment cost and complexity overload when there are many vehicles. A camera based vehicle detection technique is also good alternative method because of low cost and simple implementation. In general, night time vehicle detection is more complicated than day time vehicle detection, because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vehicle's features such as outline and color under the dim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vehicles at night time using analysis of a captured color space with reduction of reflection and other light sources in images. Four colors spaces, namely RGB, YCbCr, normalized RGB and Ruta-RGB, are compared each other and evaluated. A suboptimal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by Otsu algorithm and applied to extract candidates of taillights of leading vehicles. Statistical features such as mean,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entropy are extracted from the candidate regions and used as feature vector for SVM(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According to our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statistical feature based SVM provides relatively high performances of leading vehicle detection with various distances in variable nighttime environments.

      • KCI등재

        A Correlational Study of Biomechanical Variables and Aesthetic Artistry in Grand Pas de Chat

        정정은,이경일 한국운동역학회 2016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6 No.2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cientific basis for ballet dancer training method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ballet movement 'Grand pas de cha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Method: The subjects were 14 professional dancers with 15 years of experience on average. Four cameras and a wireless electromyogram were used to examine kinematic factors, and the filmed videos were analyzed by 3 experts for subjective assessment. Results: Although no differences in kinematic factors were found between the excellent dancer group and the non-excellent dancer group divided based on the experts' assessment, some difference was found in electromyographic factor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gastrocnemius muscle, rectus femoris muscle, and erector spinae muscle.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was found, and factors such as right-side rectus femoris activation, time required, left-side gastrocnemius activation, and front-back displacement affected subjective assess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To receive higher scores in subjectiv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hang time by using the lower limb musc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e necessity of weight training in order to improve dancing techniques.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cientific basis for ballet dancer training method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ballet movement 'Grand pas de cha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Method: The subjects were 14 professional dancers with 15 years of experience on average. Four cameras and a wireless electromyogram were used to examine kinematic factors, and the filmed videos were analyzed by 3 experts for subjective assessment. Results: Although no differences in kinematic factors were found between the excellent dancer group and the non-excellent dancer group divided based on the experts' assessment, some difference was found in electromyographic factor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gastrocnemius muscle, rectus femoris muscle, and erector spinae muscle.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was found, and factors such as right-side rectus femoris activation, time required, left-side gastrocnemius activation, and front-back displacement affected subjective assessmen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ssessment and kinematic and electromyographic factors. To receive higher scores in subjectiv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hang time by using the lower limb musc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e necessity of weight training in order to improve dancing techniques.

      • KCI등재

        원불교 마음공부 기반 인성교육 연구동향과 그 과제

        정정임(鄭定任)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인간성 상실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인성교육의 다각적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대안으로 원불교 마음공부 기반 인성교육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동향과 과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원불교 마음공부와 인성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성함양을 위한 원불교 마음공부 연구관련 선행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원불교 마음공부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연구는 1996년 김귀성의 인격교육에 대한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2000년 이후 활발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8편, 조사연구가 4편, 사례연구, 문헌연구가 각 2편으로 실험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다. 대상별 연구 동향은 유아, 중학생, 대안학교 학생, 대학생으로 학령기 청소년이었다. 프로그램에 활용된 원불교 교리는 일상수행의 요법 1조 · 2조 · 3조, 유무념, 일기법이었다. 프로그램 적용 효과는 개인적 측면의 효과보다 사회적 측면의 효과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원불교 마음공부가 보편적 인성교육의 대안이 되기 위한 향후 과제를 6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프로그램의 체계적 개발과정과 이에 대한 효과검증, 단계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교리 활용, 보편화된 전달법, 대상을 성인으로 확대, 끝으로 마음공부와 인성교육의 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원불교 마음공부와 인성교육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기초 마련과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이다. Recently, in the rising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oss of humanity, it is necessary to look character education in multiple ways. This Study explores a research and trend in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Won-Buddhist Mind Practic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discovered a link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an alternative in recovering from a sick society, and examined the trend of a study to build an upright character through a preceding research analysis. The study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Won-Buddhist Mind Practice started by raising a question about character education by Gui sung Kim, and began in earnest 2000. Under the types of research, an experimental resear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8 experimental researches, 4 survey studies, 2 case studies and 2 literature researches. The study trends by subjects were school-age youths such as young children,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doctrines used for the program were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1 to 3, checking mindfulness, diary of Won-buddhism. In the effect of application, social aspects more showed an upward tendency than personal aspects in subareas of building an upright character. The tasks of Won-Buddhist Mind Practice to become an universal 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A system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gram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phasing of program development, utilizing various doctrines, generalized transfer methods, research methods expan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clarifying relationship between mind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tudy had significance for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in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Won-Buddhist Mind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developing related programs through analyzing the study trends and proposing a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가족지원에 관한 국내외 문헌고찰: 2010∼2019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정은,조경현,양지희,박은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suggest support task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68 studies from peer-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2010-2019).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Korean research focused on mothers, and most of the international research focused on fathers and mothers together. The research participants mainly consisted of infants and children, and the study of adolescence and adulthood was significantly less. Second, the research methods showed very few experimental studies, preferring qualitative and investigative studies. Third, the research topics showed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the need for support for families, both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here were also many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parents and non-disabled siblings, family characteristics, and family and expert cooperation. Fourth, Korean research on family support was conducted mainly in the field special education where interna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edical care, welfare, rehabilitation and psychology, and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future family support research for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focus on diverse family members including fathers, non-disabled siblings, and grandparents, giving consideration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all kinds of people around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 가족지원에 관한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가족지원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가족을 위한 지원 과제 및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68편의 국내외 가족지원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는 국내에서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국외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또한 영유아기, 아동기의 지체장애인 가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청소년기, 성인기의 지체장애인 가족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적었다. 둘째, 연구 방법은 질적연구와 조사연구에 비해 실험연구가 매우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주제는 지체장애인 가족 지원 요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부모와 비장애 형제자매의 심리·정서, 가족·전문가 협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체장애인 가족지원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특수교육 분야에서만 주로 이루어졌으나, 국외에서는 특수교육 및 의학, 복지, 재활,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체장애인 가족지원 연구가 지체장애인들의 고유한 특성과 지원 요구를 고려하여 아버지, 비장애 형제, 조부모 등 다양한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특수교육, 의학, 복지, 재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조등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한 야간 사각 지대 차량 검출 기법

        정정은,김현구,박주현,호열,Joung, Jung-Eun,Kim, Hyun-Koo,Park, Ju-Hyun,Jung, Ho-Youl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1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6 No.5

        The blind spot is an area where drivers visibility does not reach. When drivers change a lane to adjacent lane, they need to give an attention because of the blind spot. If drivers try to change lane without notice of vehicle approaching in the blind spot, it causes a reason to have a car accident. This paper proposes a night-time blind spot vehicle detection using cameras. At nighttime, head-lights are used as characteristics to detect vehicles. Candidates of headlight are selected by high luminance feature and then shape filter and kalman filter are employed to remove other noisy blobs having similar luminance to head-lights. In addition, vehicle position is estimated from detected head-light, using virtual center line represented by approximated the first order linear equation. Experiments show that proposed method has relatively high detection porformance in clear weather independent to the road types, but has not sufficient performance in rainy weather because of various ground reflectors.

      • 시각적 사고를 통한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안

        정정은 디자인 여성학회 2010 디자인여성학연구 Vol.6 No.1

        우리나라 교과과정에서 통합교육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1981년 제 4차 교육과정 부터이다. 이어 여러 차례에 걸친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어왔지만 결과적으로는 또 다른 교과목으로 인식되고 현실적인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각각의 교과내용을 이어주는 보다 원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통합교육과정에서 교육과 실생활과의 연계성, 인과성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이해를 기반으로 각각의 관련 교과영역을 아우를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교육이 필요하다. 이처럼 통합교육에서는 지식과 행위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적 경험은 시간적으로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연결되고, 공간적으로는 타 교과와의 연관이 많기 때문에 한쪽이 소멸 되려 해도 다른 쪽에서 에너지를 공급하여 그 지식을 살려 낼 수 있다. 더불어 통합교육에서 시각화하는 학습은 사고의 유동성과 융통성과 통합적 안목을 기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교과의 학습보다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를 개발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를 통한 주제중심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교과에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기존 좌뇌의 언어중심 사고 교육에서 시각적 사고의 우뇌가 융합되어 다른 지식의 영역을 서로 밀접하게 관련짓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세분화된 지식전달이 아닌 창의적으로 통합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총체적인 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It wa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in 1981 when Korea began to undertake the integrated education. Despite the series of attempts made for this new system over several reforms in the curriculum program, this yet-ongoing process became recognized today merely as another teaching subject without any practical success. The real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therefore, needs an approach more fundamental that links the contents of different subjects. It needs to be a system focusing on the principal matters of education, so that it can compromise related teaching areas of each subject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nection and causality between education and actual life. The educational integration should be in terms of knowledge and act together. An educational experience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emporal sense, as in the way it relates different curriculum subjects spatially: if put to perish at one side, the knowledge can still revive with the energy supplied from the other side(s). Moreover, visual-learning under the integrated education provides students with spontaneous and flexible thinking as well as broad insight.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a topic-oriented program of visual thinking, respectably applied for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hich offers higher potential of synergy effect in comparison to the independently directed learning of subjects, and further promotes creativity. As contemporary practice of education to stimulate left-brain use with language-based thinking is combined with the visual thinking for right-brain activity, this is a total-teaching method that nurtures intellectual ability to derive clos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of different origins, assisting development of broad insights with creative approaches rather than serving to deliver the fragmented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