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과 디자인에 대한 연구

        김수정 디자인 여성학회 2005 디자인여성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1 No.1

        여성과 디자인은 밀접하게 연관한다. 오늘날 디자인분야에서 여성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 한국 사회에서 여성들은 자녀, 남편, 부모의 필요를 판단하여 소비를 대신 결정한다. 이와 같이 상품과 서비스를 선별하고 결정하는 여성의 역할은 대부분 소비에 집중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디자인과 여성은 4가지 범주에 의해 관계된다. 가장 일반적인 관계는 디자인의 소비자로서 여성과 디자인이다. 즉 여성 사용자로서의 역할이다. 다음은 향후 양적 그리고 질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디자인의 생산자 역할이다. 디자인제작과 생산에 직접 참여하는 여성디자이너와 디자인의 관계이다. 그다음은 학술적 연구대상으로서 디자인에 나타난 표현대상으로서 여성이다. 여성의 이미지를 투영하여 디자인에서 재생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재생산된 이미지는 생산자에 의해 왜곡되거나 미화된 개념을 대중적으로 유포시키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디자인에 나타난 여성다움은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여성적 관점에서의 디자인비평, 디자인사 등 디자인의 문화적 역사적 연구가 있다. 오늘날 디자인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주목할 만큼 커지고 있지만, 위의 관계범주로 구분하면 첫 번째에 해당하는 소비자로서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성의 마음을 잡기위해 노력하는 오늘날의 디자인 환경에서 소비자로서 그리고 생산자로서 여성들의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 1950년대까지 여성디자이너는 남성의 조력자일 뿐이었는가?

        김혜수,이영희 디자인 여성학회 2007 디자인여성학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 과거 1950년대 출생한 여성디자이너들을 연구하는 것은 단순히 당시 여성의 위치를 확인시키고자 함이 아니라 현재 여성 디자이너의 역할과 그 방향성을 아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 확신하기 때문이었다. 인터넷 웹사이트 the-artistis.org에 등록된 디자이너와 페니 스파크(Penny Sparke)의 저서 『디자인의 역사 : 20세기의 디자인 선구자들』에서 소개된 여성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과거 여성 디자이너들은 시대와 특성에 따라 크게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여성적인 분야〈텍스타일,공예디자인)에 한정되었을 때 많은 디자이너들이 배출될 수 있었고, 둘째 부부디자이너로서 함께 작업을 하여 명성이 알려진 경우, 셋째, 당대 사고방식에 반하는 행동과 작품으로 파장을 일으켰을 때 자신의 이름을 알릴 수 있었다. 위의 성공한 경우들이 열세한 전반적인 원인은 결국 여성 인권의 성장이 뒷받침되어있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여성은 자신의 창조성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남성의 조력자로서의 역할로만 그것이 가능했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20세기 초반까지도 지배적이었지만 제도화된 교육기관(특히 바우하우스)의 등장과 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인한 가치관의 변화로 말미암아 여성의 인권과 더불어 여성이 창조력을 펼치는 디자인 분야도 점차 넓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공예,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금속이나 가구, 인테리어디자인으로, 나아가 그래픽디자인과 광고, 산업디자인으로 분야가 점차 확장되었다. 이러한 성장은 수적인 성장과 단적으로 일치한다. 하지만 그 위치로 볼 땐, 능력 외적인 성차별 요소로 성장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디자인 역사에서 배제되어, 명성 있는 여성 디자이너 그 수가 손에 꼽힐 정도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능력은 있었지만 역사에서 외면되어져온 여성디자이너들을 발굴하고 그의 디자인사적 성과를 조명해야할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woman designers who were born in 1950s would not just simply take the women's bearings at those days in 1950s, but it is assured as an important indication to know their present role and the direction. The result from studying designers who were registered at internet web site, 'the-artists.org', and were introduced in 『A Century of Design : Design Pioneers of the 20th Century.』 written by Penny Sparke, shown that women designers might b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largely, designers could be known to public as below. First, to those who are limited in feminine fie1ds(textile, industrial art design), secondly, to those who made own reputation by working with artist's wife, and thirdly, to those making public criticism with behavior and work of art which are opposed to the way of thinking in that days. The general reason why above successful cases were inferior is that the human rights for women hasn't been backed up. More specifically women couldn't show own creative abilities by themselves, but being as assistants of men. These types of view points were dominant till early 20th century, but the advent of 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especially like Bauhaus) and changes of values which were derived from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the design field where women could show their creative abilities started to widen also with the human rights for women. Therefore the field has been extended from textile design, arts and crafts to metal crafts or furnishings, interior design and further to graphic design, advertisement, and industrial design. This growth is directly corresponded with numerical growth However examining the status, as there are those who couldn't gain fame or who were eliminated in history of design because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women designers with fame are uncommon. This study, excavating disregarded women designers in the past and illuminating their contributions, to the various design fields is meaningful.

      • 연상이미지로서 '여성'에 대한 연구

        김수정 디자인 여성학회 2007 디자인여성학연구 Vol.3 No.1

        디자인시장에서 여성의 영향력은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강력해졌다. 특히 여성소비자의 기호나 정서를 반영한 디자인을 만들지 못하면 기업이 도태되는 위압감을 느낄 정도로 영향력은 변화되었다. 오늘의 산업사회에서 여성은 주요 키워드로 이다. 다양한 개성이 공존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도 여성 개개인의 차이를 가로지르며 관통하는 여성적 특성이 현실에는 분명히 존재한다. 여성들 사이에 공존하는 여성성에 대한 탐구는 다양한 연구를 탄생시켰다. 여성성(feminism)을 학술적으로 접근한 페미니즘 연구는 여성과 여성성(feminity)에 대한 해석이다,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발생론의 여성성, 문화 습득론의 여성성, 재현적 구성론의 여성성(feminity)이라는 통시적 흐름을 통해 여성성을 살펴보았다. 문화는 사회 구성원들의 가치와 신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문화는 여성성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페미니즘의 연구결과들은 여성성(feminity)이 생물학적 발생론보다는 사회의 학습과정이나 문화적 재현과정을 통해 많은 부분이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적 생산자로서 디자이너는 여성성의 사회화 과정이나 문화적 재현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그러므로 디자이너의 여성성에 대한 개념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미친다 대량생산을 통해 유통되는 디자인에 담긴 여성성은 일상생활 깊숙이 파고든다 그러므로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여대생들의 여성성 분석은 유의미한 연구이다. 향후 디자이너가 될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성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언어이미지 분석을 통해 20대가 생각하는 여성성은 진 취적 여성의 개념을 포하고 있으나 고전적 여성성의 이미지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성을 구성하는 대표적 이미지는 차분, 예쁨, 섬세, 연약, 부드러움, 순종이 도출되었다 차분, 섬세, 부드러움, 순종은 여성의 내면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예쁨과 연약은 외형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출된 이미지를 조합하면 전형적인 여성상을 나타낸다. 여성의 개념을 여성 스스로 대부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외모의 평가에서 '여성적이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소통되고 있다. 여성적 성격을 나타내는 여러 개념 중 순종은 오늘의 여성상에 부적합한 것으로 인식된다. Women's influence in design market became tremendously powerful, In today's industry woman is a main keyword. Also in our society where various characters coexist, feminine features distinctively exist and across penetrating individual woman's difference. Through theory flow d biological evolution , culture aspiring, reappearing formation among feminism theory which scientifically approaches women's character, I studied the theory research Features judged as feminism in one society are reproduced by culture. Women student's analysis of feminism preparing to be designer as producer of culture has its meaning Through experimental survey on women students majoring design in their 20s, I analyzed feminine image. Generally, women students in their 20s have progressive ideology of women, but it showed that the image of typical feminine image were the most cases.

      •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윤정 디자인 여성학회 2009 디자인여성학연구 Vol.5 No.2

        디자인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미와 역할이 그 시대의 상황과 함께 작용한다. 디자인 영역이 국내에 유입 되었을 시점에서 디자인은 하나의 경제적 발판이었고, 디자인 가치 증대에 대한 인식과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판단을 통해 ‘디자인 서울 올림픽’, ‘세계 디자인 수도 서울’등 디자인 대중화 방안이 실시되면서 이제 디자인 분야가 21세기 사회를 특정 하는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21세기 디자인 시대에 대중 모두가 디자인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중이 디자인 분야가 정신적, 물질적인 욕구를 조화 있게 충족 시켜 삶의 질을 고양시킨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디자인 교육은 전 국민의 문화의식과 미적 안목을 높여 준다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며, 좋은 디자인을 생산하고 고르고 소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춘 대중이 중심이 되는 교육이여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을 통해 대중의 디자인 의식을 함양하고 디자인이 생활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더 나아가 대중은 삶의 특별함을 느끼고 안목을 향상시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어 더 가치 있는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며, 국가적으로는 디자인 분야가 더욱 발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임을 기대한다. Design has clos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fe, so its meaning and role are working along with situations at the time according to change in social environments. When the realm of design was introduced into our country, design was just a economic foothold only and some plans for popularization of design such as ‘Design Seoul Olympic’, ‘World Design Capital Seoul 2010’ started in our life, which had been executed through judgment of that efforts should be made for awareness and popularization of design value increase. Now, the field of design has formed as a new realm to specify the society of the 21st century. Making it possible to good design by all the public in this time of design of the 21st century, it needs to educate the public to have the awareness of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satisfy the mental, physical needs harmoniously and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Design education should approach in the aspect to raise the cultural conception and aesthetic discrimination of the whole people and it should be the public-oriented education focused on the direction to produce, select and consume good designs. This study expects to promote the public's sense of design through design education and to perceive that design is a part of life, and furthermore, it intends the public to lead more valuable life by feeling the specialty of life and improvement of discrimination, and expects, at the national level, that the field of design can be a driving force to develop much more.

      •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연구

        정진숙 디자인 여성학회 2008 디자인여성학연구 Vol.4 No.1

        어린이의 창의성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는 시점에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 지고 있으며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을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란 시각적인 이미지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시각적인 이미지를 일어내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올 말하는 비주열 리터러시는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의 교육목표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하겠다 비주얼 리터러시에 의한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인 디자인 과정으로 진행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특히 어린이의 디자인 교육 분야에서 시각적인 이미지를 해석하고 밝혀내며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의 함양은 궁극적인 어린이 디자인 교육의 목표가 된다. 비주얼 리터러시의 선행연구 조사와 문헌 조사를 통해 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디자인 여성학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어린이 디자인 학교의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중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본 연구자가 진행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여 비주얼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분석하고 새롭게 2008 DWCA 여름 어린이 디자인 학교에서 진행할 시각디자인 프로그램과 영상 디자인 프로그램에 대한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한 어린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At a time when education of children's creativity is stressed and emphasized,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is attracting much attention, which in turn has heightened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on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grams. Against this backdrop and in consideration of the rising and pending need and importance of research on children's desig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research and analyze developing desig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drawing o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Visual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visual images. While literacy was once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letters, as of recent such concept has been broaden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types. And now, the concept of literacy encompasses much more than before. Consequently, visual literacy may serve as a viable pedagogical objective and an effective pedagogical method. And garne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express visual images, in particular, can be the ultimate goal of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Considering the above, the present research attempts to ⅰ) define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iterature; ⅱ) research and analyze a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visual design) that the author conducted at the children's design school hosted by the design for Women's Concern' Association (DWCA); and ⅲ) suggest children's desig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visual literacy' to be integrated into the visual design and video design programs held at the 2008 DWCA summer children's design school.

      •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자인과 여성에 관한 연구

        박선욱 디자인 여성학회 2006 디자인여성학연구 Vol.2 No.1

        물리 공간과 전자 공간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하여 이전과는 다른 환경을 제공하게 될 유비쿼터스 혁명은 이미 각 분야로부터 미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양한 물리적 변화를 예고함은 물론 개념의 전환으로 이전 시대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그러므로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자인에 대한 다각적인 입장에서의 검토와 연구 또한 시급히 요청된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디자인을 여성의 입장에서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미 여성은 소비재 뿐 아니라 산업재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구매에서 유일하고 주도적인 의사결정자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성적 차이에 기인하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디자인과 여성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대안적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시대의 특성과 여성 디자인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유비쿼터스 시대에서 여성은 테크놀로지에 대한 컴플렉스를 극복하고 여성의 관계지향적 성향을 활용하고, 실천적 아이디어 제공자로서 역할하게 될 것이다. 이는 비단 디자인과 여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뿐 아니라, 유비쿼터스 디자인의 개념 정립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론의 제안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 구체적인 실천방안의 모색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The ubiquitous revolution is drawing attentions as a new paradigm for the future in very field, which can provide new environments and overcome the limit of physical space and cyber space. This predicts various formal changes in design as well as new conceptual change which overcome the limit of old ages, and provides new opportunity, therefore consideration and research from diverse perspectivesin the design of ubiquitous era are strongly required. This paper tries to outlook the design in ubiquitous era from women's standpoint. Women are already regarded as dominant decision makers in even' decision making for the purchase of consumer goods as well as industry goods. However, many issues are put forward regarding the design and women due to old view regarding the gender difference, I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r ubiquitous era and possibility of female design as a alternatives of current methodologies. Women in ubiquitous age will overcome the complex to the technologies, make use of female relation-oriented attitude, and serve as providers of practical ideas, In this way, we can provide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 of women and design,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ubiquitous design concept. We also need to pursue concrete action items in the following research, since proposal of new issue is primer concern in this paper.

      • 디자인여성학의 학문적배경과 좌표

        이영희 디자인 여성학회 2005 디자인여성학연구 Vol.1 No.1

        Historically and socially, women were the weaker sex, always passive and subordinate, and the objects they used and the space they filled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DWC(Design For Women's Concerns) is defined as to 1)admit the heavily male-biased design in a traditional male-oriented society 2)rebuild the design from a woman's perspective, who has become an active player in the consumer society and cultural setting, and 3)complete the world of design which is 'convenient' to both men and women and not sway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purely 'feminine'. DWC falls into the category of design as well as sociology and women's studies. DWC can be put to practice through 'design and Korean studies' by understanding unique aesthetic mind and values and through studying 'Korean women'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design as well as designers themselves.

      • 신라유물의 컬러 및 시각적 재질을 통한 가전 디자인 방향 연구

        김자영 디자인 여성학회 2009 디자인여성학연구 Vol.5 No.2

        As the role of products has been expanded in contemporary society, style, brand and design of products have become key factors whe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ccurs as well as quality, price and function, thus, design development has been continuously invigorated and the lifespan of products also has shorten. The importance of design which decides succeed or failure of new products in market has underlined so that corporate is in dire need of developing and innovating new items for it.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new design development, in its midst, it seeks answers of new idea from remains in Shilla dynasty. It limits the extent of its research to colors and visual materials excluding shapes and patterns as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nalysis and new design of products. To apply this concept, premium luxury and naturalism which are common culture code both in Shilla dynasty and contemporary society are extracted and relevant colors and materilas of remains from Shilla dynasty analyzed. Also, it analyzes the design trend of current products, and the direction of new design is proposed based on its results. To analyze the material of remains of Shilla dynasty, the items of remai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types of surface and analyzed precisely, and the research from trend and color analysis research association, relevant articles and news are employed to extract the current tendency of using colors and materials. To analyze colors, Korean traditional color standards and NCS(Natural Color System) are applied and set up, the ton and extent of color are analyzed, transformed and interpreted based on IRI(Image Research Institute) color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 through the attempts derived from analysis of design items of Shilla dynasty and to improve current product design with the case of thi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design. 현대 사회에서 제품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있어 그 품질이나 가격, 기능뿐만 아니라 스타일, 브랜드, 디자인이 결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자인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제품의 수명주기 또한 짧아지고 있다.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신제품 디자인과 트렌드 개발의 중요성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에게는 새로운 디자인을 위한 아이템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해 한국적 문화 요소를 차용하였고, 그 중 신라 시대의 유물로부터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 연구를 위해 첫 번째로 신라와 현대사회의 공통된 문화 코드인 프리미엄 럭셔리와 자연주의 트렌드를 추출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신라 유물의 컬러와 재질을 분류 분석하였다. 신라 유물의 재질 분석을 위해 표면의 스타일에 따라 제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고, 컬러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 전통 표준색과 NCS에서 제품의 대표 컬러를 찾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컬러 톤과 색상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IRI 컬러시스템에서 추상적 이미지로 전환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가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아이템을 신라로부터 차용하고 그 중 일부를 선정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시도를 통해 한국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고, 또한 디자인 발전을 위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써 그 역할을 수행하기 바란다.

      •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여성언어에 관한 연구 : 화장품 SKⅡ체험후기 중심으로

        백원선 디자인 여성학회 2006 디자인여성학연구 Vol.2 No.2

        구전(Word of Mouth)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현상이며 소비자의 경험에 의한 전달(Experience Delivery)이기 때문에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보다는 메시지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여성은 강력한 소비주체이면서 마케팅 전파의 홍보 역할까지 수행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허브로써 남성보다 우월한 특질올 갖는다 여성의 관계 지향적 성향은 구전의 수신자인 동시에 전달자의 역 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구전커뮤니케이션의 행동적 특정올 가지고 있는 여성을 네트워크 허브로써 간주하였다. 구전커뮤니케이션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제품 특성에 따른 적합한 구전마케팅 계획을 구가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구전휠동의 당사자 즉 정보원(소비자)에 대한 변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발 빠른 여성들의 입소문올 기업의 제품 마케팅에 활용함에 있어서 이들의 언어와 의사소통의 특정을 연구하여 이에 동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여성언어의 연구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상의 온라인 소비자 리뷰를 통해 여성 언어를 분석하여 입소문의 주인공인 여성의 언어의 성향 및 특성을 알아보고 추후 광고홍보 제작에 있어 실중적 자료를 삼고자 한다. The Word of Mouth provides more reliable information than the media advertisement as a form of transmission personal and experimental information in various developing networks, and it also superiors than the advertisement on the mass media because it is based upon personal experiences. For years, woman attains to power in the market as a network hub that they are able to not only consumers, but also transfers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is point relationship ability is attributed to be a special featurein woman by nature. With these reasons, this study analyzes a woman as a network hub that has abilities of consumption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bout goods; therefore, the suitable plans and competitive strategies for advertisement are required to study the word of mouth. The minute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ment plans on women who transfer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word of mouth by woman has special features which are very fast and sensitive, thusthe company needs that establish specific and suitable plan on woman's linguistic features for attain to power in the market. With these supportable reasons, this study will analyzes special features about woman's language on the internet, and hopefully these research results are used an actual proof for to make a successful advertisement.

      • 디자인 조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사례 연구 : 영국형 디자인 조기교육

        임채린,박미정,박신형,이유리,이형영 디자인 여성학회 2006 디자인여성학연구 Vol.2 No.2

        디자인을 매개로 하여 디자인사고(Design way of Thinking)를 훈련하는 디자인 조기교육은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능력, 즉 우뇌적 특성을 기르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이러한 디자인 조기교육의 가치를 깨닫고 선진국을 모델로 커리큘럼과 시스템을 연구하는 등 의욕적인 출발을 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시류에 맞춰 인재육성의 한 방안으로서의 디자인 조기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그 선도자 격인 영국을 사례를 탐방, 우리나라의 디자인 조기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rimary design education' that makes children practice 'design way of thinking' through 'design' is one of the best way to educate creativity, wholeness, intelligence, etc. In develpoped country, primary design education is used as not just design education, but also the way of educate creativity. Korea recently noticed the value of primary design education and just started studying and educating. This paper tries to outlook primary design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study about primary design education in England that is the leader of primary design education, and find a way of Korean primary design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why the primary design education in England is successful; historical background, dear philosophy about 'design' and 'design education', efficient design education system, active function of non-government organization(like the Nuffield Design & Technology Project and the Design & Technology Association), and great design infrastructure. And this paper raises several points about the Korean primary design education, and then makes suggestions as to what Korean primary design education should do to be success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