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경찰관서 표준인력 수요모델 개발;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재림,전소연,곽미애,연승준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날로 광역화, 지능화, 디지털화된 범죄양상과 국민들의 고품질 치안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욕구의 증대로 인해 치안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경찰인력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변수를 회귀분석을 통해 찾아낸 뒤 이것을 바탕으로 경찰인력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였으나, 경찰 업무 전반에 걸친 직무를 분석하여 치안 수요 및 업무량에 따른 적정인력을 산출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찰관서 각 기능별 실무자 면담을 통해 직무를 분석한 후 기능별 주요 업무를 선정하였고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능별 경찰관서의 표준인력 수요를 예측하였다. 또한 235개의 관서 모델을 만들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관서별, 지방청별 효율적 인력 운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융합의 시대, 국어와 과학의 만남 -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의 가능성

        정재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secondary education. There as been a growing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graduate schools or professional researchers, and the discourse on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as also become active, starting with the 201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plan for vitaliz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argeting non-speciali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aimed at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convergence experience', and education in which 'subject meets subject, study meets study' should be called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cience by presenting the case of science fiction-based convergence education. Science fic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hat allows convergent thinking about facts and values, as well as science and humanities. 이 논문의 목적은 중등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과 융합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2000년대 이후 융합 및 융합교육 담론이 급증하였다. 전문화, 세분화로 특징지어지는 현대 학문으로는 실제 세계의 난제와 모순을 해명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내려지고, 이로 인해 학문간 소통과 협력으로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런 맥락에서 대학원이나 전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 요구가 급증하였고,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융합인재교육 활성화 방안’을 시작으로 초·중등교육에서 융합교육 담론도 활발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융합교육은 미국의 STEAM을 수용한 것이지만, 미국의 STEAM과 미묘한 차이를 보이며 현장에서 실천되었다. 본고에서는 비전문가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교육에서 ‘융합적 사고력과 융합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력’ 제고를 목적으로, ‘교과와 교과, 학문과 학문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교육을 융합교육으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과학소설 기반 융합교육 사례를 제시하여 국어와 과학의 융합교육 사례를 보이고자 하였다. 과학소설은 사실과 가치,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효과적인 제재이다. 특히, 소설이 융합교육의 제재로 전락하지 않도록 과학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활용한 융합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정재림,문선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ompetence is emphasized more than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petence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do something. Competence-based education criticizes the lack of practicality and contextuality of traditional education. We can see similar limitations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College writing educa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context and situation. Therefore, the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is reduced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is low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 study proposes a ‘scenario- based writing education plan.’ Scenario-based writing emphasizes specific situations and contexts, enabling the use of major knowledge in this process. Also, the drama <Arcangel> is used in writing. Dramas help attract attention and make the scenario more concret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writing, and to help college students realize that writing is an important tool for problem solving.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 그 자체보다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지식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해내는 역량을 중요시하는 역량교육에서는 전통적 교육의 비실제성, 탈맥락성을 비판한다. 대학 글쓰기 교육을 비판하는 지점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대학 글쓰기 교육이 상황과 맥락, 실제성을 결여하고 있으며, 이것이 학습자의 동기 저하, 학습능력의 미성취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실제성을 높이고자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는 대학생 필자로 하여금 글쓰기의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을 체험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전공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시나리오 상황을 구체적으로 체감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입부에서 드라마 <아크엔젤>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시나리오 기반 글쓰기 방안은 학습자의 쓰기 흥미를 높일 뿐만 아니라, 대학생 필자로 하여금 글쓰기가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임을 자각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정재림,최예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to enhance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universities and field experts help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they modify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expertise is developed in this process. This is the result of men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ice teacher's Korean language class design could be confirmed. The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and the field context in common. Through mentoring, it was confirmed that pre-service teachers sought ways to clarify their class difficulties and solve them. 본 논문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보는 것이다.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는 대학과 현장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예비교사가 국어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함양되기를 기대하였다. 멘토링 결과, 예비교사의 국어 수업 설계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수업은 공통적으로 학습자와 현장 맥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특징을 보였다. 멘토링을 통해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 어려움을 명료화하고 그 어려움을 해결할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별사(別辭)?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연구

        정재림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현대소설연구 Vol.- No.33

        The aim of this thesis is reading again Oh Jeonghui’s 「별사」 by pay attention in style. The analysis of style explanation will do as a favor a dim portion. The death is never present, it is eternal and absolute other. The novel shows the recognition of death by the sense and the image. It treats two methods. The one is observations of others, the other is drawing of ‘his’ consciousness. When ‘정옥’ went to cemetery, she knew that the guard of life between death is not positively. His narrative is going present and future tense. Because His death is incompletion and the expectation against a future. It is not recognized clearly by subject, an absolute other. 이 논문은 문체 분석을 중심으로 오정희의 별사를 다시 읽고자 한다. 문체 분석이, 서사 분석에서 모호하게 남겨졌던 부분들을 해명하는 유효한 전략이 되리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죽음은 결코 ‘현재’일 수 없기에 ‘영원한 미래’이며, 또한 어떤 방식으로도 손안에 거머쥘 수 없는 대상이므로 ‘절대적 타자’이다. 계기적 시간성을 부정하는 별사는, ‘삶/죽음’의 이분법의 체계로 ‘죽음’에 접근하지 않으며, 죽음을 논리적이고 명확한 언어로 표상하지 않는다. 오히려 감각과 이미지에 의해 죽음에 대한 인식을 드러낸다. 소설에서 죽음이 경험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이다. 타인의 죽음을 관찰하는 방식이 하나이며, 예고된 죽음의 행로를 걷고 있는 ‘그’의 내면을 그리는 방식이 또다른 하나이다. 또한 별사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언어가 아닌, 대립적 문체소의 반복으로 죽음의 주제를 심화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대조반복은 ‘삶과 죽음의 양면성’을 암시할 뿐만 아니라 서사적 긴장을 유지시키는 문체적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정옥’은 묘지행을 통하여 삶/죽음의 경계가 확연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과거형 시제를 취하고 있는 ‘정옥’의 서사와 대조적으로, ‘그’의 시각에서 서술된 서사는 현재형, 미래형 시제를 취한다. 현재형, 미래형 시제는 ‘그’의 죽음이 현재의 시점에서 미완이며, 미래에 대한 기대의 형태로 존재함을 보여준다. 죽음에의 도달은 존재의 상실을 전제로 완성되기 때문에, 타인의 죽음이 아닌 이상 죽음은 ‘과거형’으로 실현될 수 없는 것이다. 즉, 죽음이 주체에 의해 명료하게 인식되거나 포획가능한 대상이 될 수 없는 ‘절대적 타자’임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갈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재림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conflict education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nges, the more recent the conflict is being treated as a comprehensive educatio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hich refers to 'capacity-based curriculum', refers to 'medical communication capacity', 'community and interpersonal capacity' and 'self-reflection capability' in relation to conflicts, and the integrated unit was attempted for this purpose. Recently, the sanctions featured in the conflict s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become very diverse and the genre has become diverse. This reflects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of conflict members can be categorized as structure of conflict, evaluation of characters, internalization and application, expression and creative activities. Among them, many of them were able to confirm the structure of conflict and the evaluation of characters, as well as learning activities for the acceptance and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This was the same in textbooks that value capabilities. Therefore, even if it is ostensibly oriented toward competence, it can be judged that actual learning is centered on literature. With regard to conflict members' sanctions or learning activities, excessive moralism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The part that forces a work to be interpreted morally and ethically is found, and moralistic interpretation is less important from a literary and educational point of view. 이 논문은 국어교육에서 갈등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 변천과 함께 보면, 최근 교육과정으로 올수록 갈등이 단순한 문학 이론이 아닌 포괄적인 교육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량기반교육과정’을 표방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갈등과 관련하여 ‘의사소통역량’, ‘공동체·대인관계역량’, ‘자기성찰역량’ 등이 언급되며, 이를 위한 통합 단원이 시도되었다. 최근 국어 교과서의 갈등 단원에 실린 제재는 매우 다채로워졌고 장르도 다양해졌다. 이는 학습자의 흥미,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갈등 단원의 학습활동은 갈등의 구조, 인물의 평가, 내면화와 적용, 표현 및 창작 활동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중 갈등의 구조, 인물의 평가 등 문학작품의 수용과 감상을 위한 학습활동이 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역량을 명시적으로 지향하는 교과서에서 또한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이에 표면적으로 역량을 지향하더라도 실제 학습은 문학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갈등 단원의 제재나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과도한 교훈주의가 문제로 지적될 수 있다. 작품을 도덕적, 윤리적으로 해석하도록 강요하는 부분이 발견되는데, 문학교육적 관점에서는 도덕주의적 해석보다 학습자가 인물의 행동이나 선택을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