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수경,김경아,정은영,Chung, Su Kyoung,Kim, Kyoung Ah,Jeong, Eun 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16 가정간호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47 junior nursing students at W University. Scenarios to train SP and checklists to evaluate the students''competence were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was conducted based on four steps, namely, selections of scenario modules, standard patient trai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problem-solving skills(t=-2.94, p=.005) and clinical competency(t=-2.84, p=.00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mmunication skill(t=-.32, p=.747) and critical thinking(t=-.68, p=.498) was not different in group. Conclusion: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may be useful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clinical competenc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직유아교사의 전공심화과정 참여경험의 의미

        정수경(Chung, Soo-Kyung),최예린(Choi, Ye-L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가 학사학위 취득을 위해 전문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전공심화과정에 참여하면서 얻게 되는 경험들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전공심화과정의 가치와 이를 통한 바람직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소재 2년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전공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3주간의 연구기간 동안 주 당 평균 2회의 저널쓰기와 인터뷰 및 교사들의 개별 보고서 등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전공심화과정 참여를 통하여 일과 학업병행의 어려움, 동료교사들과의 만남, 배움의 즐거움 등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로서의 자기성찰, 만남과 관계 속에서 얻게 된 돌봄의 힘, 배움의 재창조를 통한 교실의 변화 등 전공심화참여 경험의 의미를 인식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사를 위한 전공심화과정은 유아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고 교사의 삶을 변형시키며 이를 통해 교실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사교육의 한 형태로 그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ursing a bachelor"s degree at junior college and to study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1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journals of participants, interviews and documents recorded for 13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ies related to having a job and learning, meeting with peer teachers, and professors" groups, and feeling pleasure by earning a bachelor"s degree at junior college.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the power of caring in relationships, and the creativity of learning.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s that it"s not only possible to change the class, but to reconstruct the life of the teacher to enhance professionalization.

      • KCI등재

        폭력적 경험을 다루는 탈승화적 현대미술에 대한 고찰

        정수경(Chung Sukyung) 현대미술학회 2016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0 No.2

        폭력과 억압이 인간의 삶에 보편적으로 관여하는 정도에 비례해, 그것은 미술 창작의 주요한 원천이 되어 왔다. 그러나 폭력과 억압, 혹은 그 기억은 날 것 그대로 제시되거나 재현되기 보다는 예술적 승화의 과정을 거칠 것이 요구되어 왔다. 이것은 ‘아름다움의 기술’로서의 미술에 관한 우리의 일상적이고 상식적인 관념과 공명하면서 탈승화적인 작품들의 예술성을 의심하거나 폄하하는 기재로 작동해왔다. 그러나 그러한 예술적 승화는 표면적 아름다움의 이면에 폭력이 있게 한 현실태, 사회적, 문화적 질서에의 순응이라는 함정을 감추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의심 역시 줄곧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의심에 수긍하는 입장에서 본 논문은 정신분석의학자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의 트라우마 이론을 도입하여 탈승화적인 방식으로 폭력적 기억을 다루는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의 트라우마적 작품들이 어떤 미적, 예술적 가능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을 도입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에민의 작품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 ‘승화’(sublimation)라는 개념을 끌어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본 논문은 반대로 ‘탈승화’야말로 트레이시 에민의 작품이 지니는 미적, 예술적 가치의 핵심으로 간주하는데, 이러한 입장은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에서 제시되는 ‘의식 향상’ 개념을 통해 정당화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 향상 개념은 트레이시 에민의 작품에서 특유하게 등장하는 ‘텍스트’ 아플리케 작업을 설명하는 키워드가 될 것이다. 나아가 허먼의 입장을 수용한다는 것은 트라우마의 원사건을 환상이 아닌 실제로 보고 그것을 사회적 현실의 집단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로 본다는 것, 그리고 트라우마를 아주 특수적이고 예외적인 병리적 현상으로 보는 대신 사회 구조적으로 보다 만연해 있는 일상적 현상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점에서 탈승화적 트라우마 미술의 수용적 공감의 지평과 아방가르드적 가치의 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본 논문의 이러한 논지는 그간 ‘병리적 상태의 치유’라는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온 트라우마적 미술 일반이나 트레이시 에민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입장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그간의 선행연구들이 트레이시 에민의 것들을 포함한 트라우마적 미술작품들의 조형적 특성들을 적절히 긍정하지 못했던 한계를 극복하는 의의를 지닌다. As violence and suppression have come to prevail in human life, they also became a major source in art creation. But they are required to be sublimated artistically rather than to be presented or represented straightforward. This request cooperated with our common sense of "beautiful art", which results in the degradation of unsublimated works of art. But the suspicion that the artistic sublimation may conceal the problems of status quo behind those beautiful surfaces has continuously raised. In that viewpoint, this paper has tried to justify th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of the unsublimated aspects of Tracey Emin"s works dealing with her Traumatic memory of violence with the help of Judith Herman"s theory of Trauma. The introduction of Herman"s theory primarily means that this paper doesn"t resort to the notion of "sublimation" to explain and justify the works of Emin. To the contrary, I suggest "de-sublimation" is the keyword to understand her works" values, this position will be supported by Herman"s notion of "consciousness raising." This notion of "consciousness raising" will also explain Emin"s unique mode of "text appliché." Furthermore, introduction of Herman"s theory means that this paper regrads the Traumatic event as real one and as a collective and structural matter in social reality. And that rather as prevailing and routine phenomena than as special and exceptional pathological phenomena. Here the possibility of empathy and sympathy to the de-sublimation of Traumatic works of art can be formed. This assertion of the paper i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on the Traumatic works of art in general or on the works of Tracey Emin which have focused on "the healing of pathological state" and therefore couldn"t deal properly with the plastic properties of Traumatic works of art including Emin"s.

      • KCI등재

        동시대 미술을 통한 ‘관용’의 증진 가능성에 대한 연구

        정수경 ( Chung Suky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1

        우리 시대는 차이의 형이상학을 정체성 담론의 토대로 삼고, 차이 나는 정체성에 대해서는 관용의 태도로 수용할 것을 윤리적 정언명제로 삼는 다원주의의 시대이다. 그러나 차이의 형이상학과 다원주의는 소수자들의 정체성 표명의 자유를 증진시키는 것만큼이나 혐오 표현의 자유도 허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논리적 난제를 지니며, 이는 논리적 난제로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도 원리주의자들 사이의 충돌과 폭력적인 테러 사태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차이 수용의 어려움 혹은 관용의 작동 오류라는 우리 시대의 문제적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차이를 관용할 수 있는 의식의 역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오랫동안 자신의 정체성을 있는 모습 그대로 재현할 수 없었던 억압의 역사에 대한 당연한 반발의 양상으로 소수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가식 없이 있는 그대로 재현하기를 선호한다. 그것은 존재론적으로 정당하고 윤리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그것은 이상적으로만 그러하다. 차이는 언제나 ‘알 수 없음’으로 인간의 의식에 다가오기 때문에 결코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수용될 수 없다. 차이의 수용에는 의식의 노력이 개입하는데, 이 의식화의 과정과 용량이 기대만큼 무한하지 못하다는 데 관용이 생각만큼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있다. 정체성의 차이와 그에 대한 관용의 태도 사이의 관계는 프로이트의 쾌락원칙과 현실원칙 사이의 관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쾌락원칙이란 외부적 자극을 불쾌한 스트레스로 간주하여 최소화하려는 태도를 가리킨다. 차이에 대해서도 인간의 의식은 우선 쾌락원칙을 따르며, 가능하면 차이를 적게 받아들이고자 한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현실원칙이 쾌락원칙을 제어하여, 현실 속에서 공동체적 삶을 이어가기 위해 외부자극의 고통을 견딜 것을 요구한다고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현실적 삶은 차이의 고통을 공동체적 삶의 윤리를 위해 관용하고 수용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현실원칙이 쾌락원칙에 제어를 가한다고 해서 그것이 외부자극의 고통을 무한적 수용하게 만들 수는 없다. 의식의 방어 능력 자체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 조정에 대해 주디스 버틀러는 ‘박탈’(dispossession)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박탈’에 강제로 빼앗기는 유형 외에 스스로의 선택을 통해 소유하지 않는 유형이 있음을 제안하면서, 버틀러는 자신의 차이 나는 정체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누군가는 설명의 대상에게 자신이 정체성 재현이 이해 가능한 것이 되도록 상대도 이해할 수 있는 어휘로의 ‘번역’을 시도해야 하며, 그런 가운데 생겨나는 정체성의 ‘분산’(dispersion)을 감수해야만 한다고 제안한다. 본 논문은 박탈을 통한 분산을 감수하는 정체성 번역이야말로 차이의 형이상학이 극단적 갈등을 초래하는 시대에 관용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하고, 성적, 민족적 소수자였던 동시대 미술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들을 버틀러가 제안하는 문화번역의 좋은 사례로 제시한다.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는 버틀러와 유사한 인식적 지평 속에서 의식적으로 자신의 소수자 정체성을 일정하게 탈각시키고 은유적으로 번역하여 작품으로 구현함으로써 차이를 보편적 감성에 실어 성공적으로 전달해내었다. Now is the age of pluralism whose spiritual foundations are the metaphysics of difference and the attitude of tolerance. But the metaphysics of difference and the pluralism have their own aporia, or a deadlock in that they cannot but to allow the same amount of freedom to the expression of hatred as to the expression of identical differences of the minority. And it causes the actual crash and violent terrors between the opponent fundamentalists. This paper suggest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limit of tolerance to solve this problem of malfunction of tolerance in the actual life, not in theory. As a just and natural reaction to the long history of suppression of their genuinely different identities, the minorities prefer the frank and straight representations of their identities. This is existentially proper and ethically right. But it is only ideologically. Someone’s differences cannot be accommodated comfortably enough for they always become kind of ‘the unapprehensible’ to someone else’s consciousness. So the effort of the conscious is called for the reception of the existential differences. But the capacity of this effort has its own limit, so the tolerance also cannot be limitless. This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tial differences and the attitude of tolerance to tho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the principle of pleasure and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The basic setting of our mind attitude to the external stimulus is the repulsion and the displeasure, so we don’t like the reception of the differences. But on behalf of the community, we are required to endure the pain. It’s tolerance. But for intrinsic limit of the consciousness, we cannot be forced to endure too much. Moderation is needed. Judith Butler’s own notion of this moderation is ‘dispossession.’ According to her, dispossession has two different modes, one voluntary, the other forced. The voluntary dispossession means we should translate our representation of ourselves with the words of the others to make it communicable, meanwhile should sacrifice some portion of our existential identities in its representation. It’s the identical dispersion. This paper regards the translation of identical/existential differences through the voluntary dispossession can be a viable solution to the malfunction of tolerance caused by the fundamentalist modes of the metaphysics of difference. This paper suggests the works of Felix Gonzalez-Torres as a good example of the culture translation Butler conceived. As a double minority in his sexual and ethnical identity, Gonzalez-Torres chose a metaphoric way of representation rather than a straightforward way, well recognizing th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the identical differences, finally achieved his goal to be sympathized.

      •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의미와 경로

        정수경(Chung, Sookyung)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8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의 핵심 요인인 유아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학력 고양을 위한 교사교육의 일환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교육 및 현직교육과의 관계 속에서 계속교육의 일반적 의미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유아교사의 계속교육 의미로 재 개념화함과 동시에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당위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우리나라 계속교육의 경로를 탐색하여 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학위취득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o activate it for kindergarten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who graduated from a junior college. For this, a general meaning of continui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with life-long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Based on a general meaning of continuing education, a specific meaning of it for kindergarten teacher was re-conceptualized with what it should be. By investigating path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 in Korea, it was presented the ways that improve professionality, and acquire a bachelor's degree for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