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교사의 변형 실천과 반성적 가르치기를 위한 고찰

        김은희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1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변형 실천을 돕고 반성적인 가르치기를 안내하는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먼저,‘변형’의 의미와‘변형지향적 교육과정’을 개념화하고, 변형지향적인 교사가 가져야 할 실천적 태도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변형지향적 교사의 반성적 가르치기를 위해 필요한 반성적 탐구는 반성적 기술과 어떤 차이가 있으며, 반성적 탐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변형’은 지속적인 비판적 접근을 통해 점진적으로 기존교육을 재구조화해 나가는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는 노력으로‘ 기본적인 변화에의 몰입’과 ‘계속적인 성장의 삶’의 의미가 내재되며, 둘째, 변형지향적인 교육과정은 ‘민주주의 삶을 위한 가르치기’와 ‘변형을 위한 탐구와 실천에의 몰입’을 근간으로 함을 개념화하였다. 셋째, 교사가 가져야 할 변형지향적 리더십에는 전문적 변형 모델링, 협력적 탐구 실천, 학교개혁 지원이 포함되며, 넷째, 변형지향적 교사에게 필요한 반성적 탐구는 협력적으로 수행되고, 정답이 없으며, 내러티브, 평생학습자를 강조하므로 반성적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다섯째, 반성적인 가르치기를 위해 필요한 공적 도덕적, 다원적, 신중한, 자서전적, 비판적인 다섯 가지 반성적 탐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변형지향적 리더십과 다섯가지 반성적 탐구의 패러다임에 비추어 영유아교육현장의 변형 사례를 해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provide guidelines for transformative practices of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reflective teaching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Transformative curriculum' was conceptualized, the meanings of 'transformation' and practical attitudes for transformative teachers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reflective inquiry for reflective teaching and reflective skills, and how we should be involved in reflective inquiry were discussed. First, transformative curriculum is based on 'teaching for a democratic life' and 'inquiry for transformation and engagement of practices'. Second, ‘transformation' is restructuring original curriculums and efforts of confronting challenges and changes to adapt through continuous critical approach. 'Engaging in fundamental change' and 'living a life of continuous growth' are included in this concept of transformation. Third, transformative leadership includes modeling professional transformation, practicing collegial inquiry, and assisting with school reform. Fourth, reflective inquiry differs from reflective skills because reflective inquiry is best when conducted collaboratively, does not have a right answer and it emphasizes narratives and lifelong learners. Finally, five reflective inquiries for reflective teaching including public moral inquiry, multiperspective inquiry, deliberative inquiry, autobiographical inquiry, and critical inquiry are presente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to interpret cases of transform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in terms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he five reflective inquiry paradigms.

      •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 여정과 실천 돌아보기

        김은희(Kim, Eun-Hee)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7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1 No.1

        This paper reviews the practices of the learning communities which have participated in the action research(Kim, 2001, 2004) for transform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review of the reality of the childhood education from the critical and the post-modern perspectives demands a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to meet the social needs of the present era. This work has proposed the rational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hy it should be changed in what aspects. The paper has also analyzed the practices of the transformation performed by the teachers and the learning communities by highlighting their past journey. Finally, it has pointed out some remaining challenging tasks in order to extend the transformation. formation. 포스트모던적, 비판적 시각으로 유아교육의 현실을 재고해보면 유아•교사•부모•지역사회 간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은 시대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김은희(2001, 2004)의 실천연구에서 유아교육과정의 변형에 몰입해온 학습공동체의 현재까지의 여정과 실천을 돌아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 교육의 어떠한 국면이 왜 변형되어야 하는지 담론화하고 학습공동체 기관과 교사들이 시도해온 유아교육과정의 변형 여정과 실천 내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변형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필요한 도전 점들을 제시하였다. 포스트모던적, 비판적 시각으로 유아교육의 현실을 재고해보면 유아•교사•부모•지역사회 간 관계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변형은 시대 사회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김은희(2001, 2004)의 실천연구에서 유아교육과정의 변형에 몰입해온 학습공동체의 현재까지의 여정과 실천을 돌아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 교육의 어떠한 국면이 왜 변형되어야 하는지 담론화하고 학습공동체 기관과 교사들이 시도해온 유아교육과정의 변형 여정과 실천 내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변형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필요한 도전 점들을 제시하였다.

      •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활성화 방안

        변경선(Byun, Gyeong-sun)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7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에 즈음하여 평가인증제도의 출발점이 되어야 할 보육시설의 현재 운영실태와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인식, 조력 및 장학지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보육시설 종사자 4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 보육시설의 정원충족율은 44.9%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주변 보육시설이 많다는 데에서 주된 이유를 찾고 있었는데, 이는 지금까지 양적 확대만을 가져온 보육서비스에서 질적 향상이 추구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은 평가인증제도에 찬성하지만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50.5%) 평가인증제도를 통한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과정적 접근과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평가인증제도 이전의 외부평가에 대한 인식에서는 평가를 위해서는 외부평가와 자체평가를 병행해야 하고(65.1%), 둘중 자체평가가 더 중요하다고 하여 평가인증제의 본연의 목적인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자체평가과정에 대한 종사자들의 기본 인식이 바람직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조력 또는 장학지도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에서는 61.4%가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기존의 평가와 조력 또는 장학지도와의 통합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수준(53.7%)이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by studying the child-care work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validation and supervision which can be the supplementation with the accreditation system. From the results, the suggestions can be summarized. The evalu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mutual cooperation, not one-way directions because the process is more important and meaningful than the results. And the aid service from various methods was reasonable. The evaluation or accreditation should begin with the actual condition of each care center. Moreover, it should focus on the helpful remedy with human and financial support, not derections. Therefore, the method to support care centers based on the local societies with various resources should b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structurally and contextually. The validation in the accredita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eventually it has to make orientation forward to the helpful supervision, not management audit. The role of Pedagogista in Reggio Emilia and the system gives meanings to Korean accreditation system. And we need to consider it and apply to our society.

      •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유자(JANG, YOU-JA)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9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이 어떤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교사효능감과 교직만족도에 더욱 효과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유아교육 기관의 원장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리더십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분하였으며, 교사효능감은 일반적 교사효능감(general teaching efficacy)과 개인적 교사효능감(personal teaching efficacy)을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교직만족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동료 교사와의 관계, 원장과의 관계, 직무 성취, 근무 환경, 보수와 승진 기회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장의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날 것을 기대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며,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결측치를 제외하고 194명이었다. 연구 결과,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모든 영역의 교사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하였을 때 교직만족도는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이나 거래적 리더십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경우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원장의 리더십 유형과 교직만족도와의 관계는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에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보다 교사의 교직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most efficient leadership of preschool director, which could influenced 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Leadership of preschool’s director is divided into two part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eaching efficiency is divided into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iency. Teacher satisfaction could be influenced in 6 factors, which are by co-working teachers, the director, and achievement of work, environment of work, payment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This study is based on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do, and total teachers are 200. Except of bad data, this study used total raw data has 194 persons. As a result of study, when a preschool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ives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efficiency. However, in the other hand, preschool director's transactional leadership made not statistics meaning but make negative relationship on general teaching efficien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iency. Also, on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eschool director's is better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to make better teacher satisfaction and more teaching efficiency. As a result of this study, neit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or transactional Leadership make more general teaching efficacy. But personal teaching efficacy is m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Conclusion of the relationship pattern of leadership and teacher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eacher satisfaction.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making teacher efficacy more formational leadership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make positive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to teacher satisfaction,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make negative relationship teacher satisfaction.

      • 유아의 기질이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9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변인에 대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의 하위요인들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관계 관계에서, 기질은 교사-유아관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교사-유아관계를 예측하는 기질의 하위변인들은 기질의 규칙성, 정서성, 활동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질의 하위요소인 정서성은 교사-유아관계에 대해 관련 변인 중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286 Day care Center children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was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정은주(Jung, Eun-Joo)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비판적 관점에서 다문화주의의 담론들을 분석하고 다문화 담론에 매몰된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통해 교육의 방향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의 필요성과 연계시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교육적 대안을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은 첫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한 지식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삶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은 다양성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관점에서 유아 다문화교육에 접근하는 교사는 첫째, 정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 및 자료의 선택을 폭넓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화적 감각을 지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 스스로가 능동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to discuss some issue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re buried in the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by investigating the preceding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t was designed to provide a new educational alterna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connec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 with the need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rough such discussions.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re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a variety of knowledge can be experienced, seco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taught in the context of life and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approached in a way that encourages the way of critical thinking about diversity. For this, teachers who approach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first, need to be honest, second, need to consider a wide sel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and third, should have a cultural sense. Lastly, teachers need to be activists by themselves.

      • 후기산업사회 보살핌 위기의 관점에서 본 보육

        허라금(Heo, La-Geum)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9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3 No.1

        후기산업사회로의 변화들은 보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변화 속에서 등장하는 보육의 문제들은 이전과는 다른 공적인 보육 논의와 적극적인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서 미래 인력 생산 및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여성인력의 활용이라는 도구주의적 논리에 따르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접근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도 역부족이다. 사회 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의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서는 보육을 포괄하는 보다 넓은 개념인 보살핌의 사회화라는 새로운 틀을 가지고 문제에 다가가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더 이상 성별분업에 따른 역할 분담과 가족 내에서의 양육이 가능하지 않은 현실 상황에서 보살핌의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부장적인 '보편적 부양자 모델'에서 벗어나 '보편적 양육자 모델'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것은 보살핌을 공적 정책의 중심 가치로 삼는 사회 공동체로의 가치전환의 선행을 필요로 한다. The changes to the post-industrial society demand for new aspects of 'care.'Child-care problems within social changes present the necessity of aggressive discussions and policies for public-care. The current policy of care in Korea, as a part of solutions for the low birth-rate, follows an instrumental logic by using of womanpower in order to develop human resources and to enhance reg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it is wanting in ability to solve the point at issue. For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social changes and collecting demands in the society, we approach social issues with a new frame which is socialization of care as a broader concept. In other words,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division of labor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impossibility of home-ca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a patriarchal fosterer model into a universal fosterer model for solving the crisis of care. It needs to be ahead of a change in values as a social community for 'care' as official policy-oriented values.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

        이영만(Lee, Young-Man),박영숙(Park, Young-Sook),이병호(Lee, Byung-Ho)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1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들이 사회구조의 변화 속에서 자녀와 관계변화, 조기교육의 열풍에 초등학교 진학 후에 생각하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사회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할 수 있고 유아교육기관 안에서 변화를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하였다. 이에 2010,10~2010,11월까지 서울 강남지역과 수도권 지역의 사회 계층적 배경이 다른 3명을 선정, 유치원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학부모참여와 지원을 심층면접과 문서 자료 수집을 병행하여 연구 하였다. 첫째, 가정에서 자녀-부모와의 관계에서는 자녀는 자신들의 분신이며, 가족의 결속력을 이어주는 끈이라고 생각하고 부모는 희생적인 존재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에서 부모들은 유아교육에 있어서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발달을 중시하는 교육내용보다는 초등학교 준비 교육과 특기교육의 성격이 강한 교육내용을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 기관에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이미지는 미소와 사랑, 돌봄으로 가르치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Webster-stratton, 1995)와 일치 하였으며, 넷째, 양육/교육환경과 정책(국가적인 제도)등의 문제점에서는 아이가 중심에 있는 좀 더 현실성 있고 실현가능성이 있는 그러한 정책을 원함을 알 수 있었었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양육/교육환경과 제도의 문제점 및 희망하는 서비스는 방과 후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과 대상자들의 이용편리성과 다양한 기대를 수용하는 맞춤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elementary school parents’ perception on preschool institutions in recent circumstances including changes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high social fever for early education. The study was expected to draw implications about social politics and it can lead to substantial changes for preschool institutions. The specific survey process involved, from October 2010 to November 2010, selecting three interviewees from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and execu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main agendas include mothers’ perception of preschool and their participation and support. Collecting relevant study materials was also done.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parents responded that they are required to be selfless in the family while the children are their alter egos and strips connecting the family together. Secondly, it was shown that parents prefer preschool curriculums that focus on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and specialty development to whole-rounded education programs. Parents’ perception regarding preschool educators corresponds to the previous study of preschool teachers with smile, love and caring (Webster-stratton, 1995), and another study of more official school teachers who are less oriented to parent-teacher relationship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environments and politics, parents want more substantial and realistic policies which make children the priority. Furthermore, parents reveal their needs for diverse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ustomized service.

      • 조기영어교육 현장을 통해 본 어머니들의 개별화된 욕망과 계급 불안에 대한 연구

        하정희(Ha, Jeong-hee)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07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취학이전 연령의 자녀에 대해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한 문화기술지이다. 이들이 조기영어교육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를 세계화된 자본주의적 축적구조의 변화라는 연결고리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들이 영어에 대하여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지, 그래서 실지로 어떤 방식으로 영어교육을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미시적인 이야기들과 함께 그것이 거시적인 차원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어머니들이 공적 교육에 대한 신뢰와 기대를 상실하면서 개인적인 교육에 대한 욕망이 대두되었으며 그것은 글로벌 엘리트 계급으로의 이동이냐 아니면 계급하락으로의 이동이냐에 대한 기대와 불안이 만나는 지점이기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research is an ethnography about mothers educating their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intended to inspect the reasons concentrating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mothers by connecting globalization and so explain what they were thinking about english education and actually in what way supporting, and how these narratives was connected with globalization. Data was collected by depth interviews with 9-mothers educating english for their young children in defferent way and 2-staffs at english institute. Research shows mothers' desire of Individualized education by losing expectations of public education and this is a point of the conflict between desire and anxiety for class change.

      • 수학 개념이 포함된 동작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손미애(Son, Mi-Ae),김은심(Kim, Eun-Shim)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수학개념이 포함된 동작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에 수학개념을 동작으로 표현해 보는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수학개념이 포함된 동작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 후 수집된 자료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수학개념이 포함된 동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사후 검증한 결과 전체 수학능력접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능력의 하위요인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개념이 포함된 동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과 비교집단의 유아들의 수학적 태도 점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ether the movement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is effective or no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This study selected two 5-year-old classes of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and randomly assigned 23 children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the movement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while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was implemented activity of mathematical playthings with free-choice-activity time like the experimental group's theme. t-test was performed to data collected from pre-test and post-test, by means of SPSS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fi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mplementing the movement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rks in terms of mathematical abil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Especially, the algebra, numbers and counting, geometry, measurement by the subordinate factors of mathematics ability, statistically, experimental group showed to significant higher than comparison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children showed no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