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丁자형亭子의 유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정미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지금까지 亭子建築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아직 亭子建築의 시대적, 지역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근래에 들어 ‘丁’자형 亭子가 지역적, 시대적 의미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제기되었지만 아직 실증적 검증이 이루어진 바는 없다. ‘丁’자형 亭子는 ‘一’자형에 비해 공간구성이나 형태의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즉, 다양한 공간구성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지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기에 개성을 추구할 수 있는 형식이라는 점에서 ‘一’자형 亭子보다 진일보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丁’자형 亭子의 발생과 지역적 분포, 건축적 성격 등은 韓國亭子建築의 발전과정을 파악하는데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과 지역적 분포, 조영배경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즉, ‘一’자형 亭子와 차별되는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을 알아보고, 이러한 형식의 발생이 특정한 지역이나 시대와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만일 관계가 있다면 왜 그 시대에 그 지역에서 발생하게 되었는지를 해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한 내용이다. 이 연구에서 ‘丁’자형 亭子는 평면형태가 ‘丁’자형을 이루고, 그에 따라 지붕평면도 ‘丁’자형으로 직교하는 형식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형식의 亭子를 전국문화자산과 문화재 대관류의 문헌에 수록된 亭子의 사례 중에서 색출하였는데 전국적으로 16건의 사례가 검색되었다. 이를 대상으로 소재지를 분석한 결과 2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상북도에 소재하여 지역적 유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혁을 통하여 건립시기를 검토한 결과 ‘丁’자형의 현황이 조성된 시기는 17세기 이후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건립주체나 목적도 개인의 은거생활이라기보다는 문중후손들이 선조를 추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丁’자형 亭子의 건축적 성격을 ‘一’자형과 비교해 보면 우선 규모 상으로 ‘一’자형 보다 규모가 크고, 침실 수나 면적이 넓고, 마루면적도 넓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간구성 상으로는 아주 다양한 형식이 나타나는데 크게 나누어 보면 마루 통간형, 침실.마루 분리형, 침실.마루 혼합형, 특수형 등 4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다양성은 각 형식별로 발생과정이 다르거나, 다양한 사용자들의 복합적 용도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입면과 형태상으로도 ‘一’자형에 비해 다양한 형태를 구사할 수 있었고, 폐쇄적인 마루를 갖는 것도 ‘丁’자형의 특성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세부건축요소에서도 ‘丁’자형이 보다 고급건축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丁’자형 亭子가 성격적으로 ‘一’자형 亭子와 다를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해 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丁’자형 亭子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마루 통간형의 亭子는 이미 고려시대 문헌에서 나타나며 상류계층의 고급건축 형식으로서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나머지 형식들은 17세기 이후 문중亭子의 형식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문중의 위세를 표현하고 문중활동을 수용하기 위한 시설로서, 문중의 기념관이며 문중회관의 성격을 갖는 형식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집회를 위한 넓은 마루와 다양한 계층의 숙식을 위한 다수의 침실, 침실의 실내환경을 위한 돌출형 배치, 마루와 지붕의 천정고 차이 등이 ‘丁’자형 평면구성의 원인이라고 보았다. 한편 왜 이러한 유형이 경상북도에서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다만 亭子建築이 건립주체나 용도, 성격적으로 사랑채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사랑채 형식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경북지방의 뜰집에서 유독 ‘丁’자형 평면이나 지붕형식이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사랑채 건축에서 사용된 건축형식(평면구성이나 지붕구성)이 亭子建築에 쉽게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丁’자형 亭子는 亭子建築의 시대적 변화나 성격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형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든 사례들의 연혁 및 중수과정을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실증적 해석에 이르기에는 부족했다. 향후 문헌적 보완이 이루어져 가설적 수준의 해석이 입증되기를 기대한다.

      •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한부모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정미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미술치료에서 흔히 사용되는 집, 사람, 나무, 다리를 상징적주제로 설정하였으며, 조형과정에서 자기이해 및 통찰로 잠재된 가능성을 발견하고, 자기성장 및 개방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한부모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에 부나 모의 사전 동의를 얻은 아동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배치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 7월 13일부터 2010년 9월 16일까지 주 2회, 1회당 90분, 총 20회기에 걸쳐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각 집단의 전체 자기개념 및 사회성의 각 하위영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누어 구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의 사전-사후검사결과는 비 모수 검증인 Mann Whitney U 검증 방법을 실시하고, 각 집단 차이는 Wilcoxon 부호 순위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개념 하위영역별 신체, 가정, 사회, 정서, 학업적 요인에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에서 실험집단의 자기개념 각 하위영역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자기개념 각 하위영역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개념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대해서는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를 근거로 하여 사회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근면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4개영역 모두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한부모가정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자기개념 및 사회성 전체와 하위영역별 요인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은 4가지 상징적 주제를 제시하고 이를 조형하는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 및 성장과 변화를 증진시키고, 내적 가능성을 지각함으로써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타인에 대한 개방성을 증진시켜 주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촉진되고 사회성이 발달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개념 및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and studying its effect on the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Common objects in art therapy such as a house, people, trees and bridges were selected as symbolic main themes. The three-dimensional art therapy program is designed to motivate growth and openness in children while creating objects that help children discover their potential and develop insights about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program. Sixteen single-parent children from a local child center in M City (whose mother or father approved of thei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8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8 children.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90minutes twice a week, 20 times in total, from July to October 2010.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SPSS WIN 18.0 was used to compare the controlled data fro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differences in the pretest-protest results of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Mann-Whitney U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for differences in the result change between those two group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plays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 self-concept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Children had meaningfully higher self-concepts in all of its sub-sectors; their physical, family,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sectors. Over all, the average of experimental children in these sub-se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s means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Secondly, the result shows that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plays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It was found that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ll four sociality abilities: diligence, cooperation, people skills and self-reliability. As we have seen, the overall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ies and their sub-secto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us,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is program helps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develop positive self-esteem by improving their self-expression, stimulating growth and recognizing their potential. These experiences motivate them to open up to other people, stimulate interaction with others and ultimately develop their social abiliti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the three-dimensionally centered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ies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 families.

      • 중학생 영어 수준별 수업에 관한 효과와 연구

        정미라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Education can be defined as the history of endeavor to admit and value individual variances among students and educate them together in a manner to ensure both independence and originality. Nowadays,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has been faster than any other period in the past, and today's education needs to stay abreast with fast-changing environments in the 21st century's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Competent people of distinct individuality who have creativity and originality are required at present, whereas well-trained engineers were necessary in the past, and today's new, promising occupations requires professional knowledge, superb ability and creative leadership. Students and parents who want to show what they can do in the world hope that school education is good enough to address their social and individual needs. Simultaneous teaching of the past was just for the sake of excellent students, and it's now desperately required to provide instruction tailored to the individual abilities of students to gradually improve their abilities. That is, the kind of teaching method that is for the sake of every student is urgently needed. For instance, differentiated, level-based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which is to help every student to show what they can do.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se academic standing was higher were more satisfied with 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and had a better learning attitude. The students whose academic standing was lower weren't significantly affected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with level-based instruction and learning attitude, and they didn't feel the instruction produced any learning effects, either. In conclusion, 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has a better effect on students who excel in English, such as learners who are confident thanks to prerequisite learning or upper-tiered students. In order to make level-based instruction work well as intended, teachers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class work study to boost the interest, atten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lower tier. At the same tim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uld be offered in a manner to prevent academic ranking among students to encourage lower-tiered students not to lose confidence nor to have an inferiority complex. In a word, how to conduct level-based instruction in a way to satisfy every student should discreetly be considered.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provide differentiated English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to elevat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improve their learning attitude: First, teachers should try to help lower-tiered students to maintain their self-esteem without feeling interior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and learning effects of every student. In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learners who belong to a low-performing class are likely to lose their self-esteem or have an inferiority complex when they are compared with learners who belong to a high-performing class. Second, the level of students who are divided into different classes by homogeneous ability grouping should be evaluated in a fair and accurate way, and the kind of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contents that can satisfy them and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sel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Third, students who have done prerequisite learning through private education are confident and interactive in class, but other students who haven't are quite passive. More individual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small group for the sake of the latter. Finally,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to assess the actual effect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every school across the nation from diverse angles. To step up the successful goal achievemen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the level of learners who are to receive that instruction should precisely be grasped, and the sort of teaching method that could raise their satisfaction level as much as possible should be applied. In addition, the outcome of this education should correctly be evaluated, and sustained R&D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교육은 학생 개인의 능력과 학생들 간의 차이를 인정, 존중하면서 자주성과 독창성을 하나로 통합하여 서로 다른 학생들과 함께 어울려 교육하는 노력의 역사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과거와는 다른 빠른 경제발전과 문화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교육은 더욱 진보, 발전해가는 환경에 적응하는 즉, 지식․정보화 사회로 발전해가는 21세기 사회이다. 과거와 같은 숙련된 기술자보다는 창의력과 독창성을 갖춘 개성 있는 인재를 필요로 하며, 오늘날 새롭게 창출되는 전망 있는 직업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능력자, 창조성을 가진 리더십을 필요로 한다. 오늘날의 직업 분야에 진출하여 재능을 발휘하길 원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 또한 이러한 사회적․개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를 희망하고 있다. 과거의 일제식 교육방법에서처럼 우수한 인재만을 위한 수업이 아니라 개별적 능력에 맞는 수업을 통하여 점층적으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즉, 모든 학생들을 위한 수업방식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별 수업이 요구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적이 높을수록 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학습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이 낮을수록 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만족도나 학습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효과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어 수준별 수업은 영어 수준이 높은 즉, 선행학습을 통한 자신감을 가진 학습자와 공부를 잘하는 상위권 학생들에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어 수준별 수업이 실시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모든 학생들에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위권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집중력을 높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재 연구와 담당 교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하위권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학습 부진으로 오는 자신감 저하와 열등감을 갖지 않도록 학습 서열화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 모든 수준의 학생들이 수준별 수업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방안이 연구되어져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 수준별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월등히 높이고, 학습태도에 대한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영향을 주어 수업을 하기 위하여, 첫째,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준별 수업 반편성에서 하위분반에 속한 학습자들의 성적이 높은 분반에 편성된 학생들과의 비교로 인한 자존감 하락과 열등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수준별 분반 학생들의 수준을 공정하고 정확하게 평가하여 학생들이 충분히 만족하고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교수방법과 내용을 적용시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셋째, 사교육을 통한 선행 학습이 이루어진 학생들은 자신감과 수업에서의 능동적 참여로 이어지나, 선행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학생들은 수업에서 소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선행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학생들을 위한 수업의 대안으로 소규모 집단 수업으로 진행하여 개별적 수업을 확대 실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준별 수업이 도입된 후, 현실적인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준별 수업의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실현하기 위해 수준별 수업을 받는 학습자들의 정확한 수준을 평가하고 학습자들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적용시켜, 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고 수준별 수업을 위한 폭넓고 다양한 교재 및 수업방법 개발에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지각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지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양적연구문제와 질적연구문제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양적 연구문제로는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지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이에 따른 하위영역으로, 음정지각능력, 리듬지각능력, 음고 변별능력, 음고 재생산능력에 효과를 알아보았다. 둘째, 질적 연구문제는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활동 상황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변화가 있는가? 하위영역으로는 긍정적인 얼굴표정의 변화, 음악활동에 따른 의미 있는 제스처, 악기연주의 참여도에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만 8세 남자 1명이며, 현재 부산에 위치한 OO초등학교 1학년 재학생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하였으며, 청각장애 이외에 감각적, 신체적, 인지적 및 정서ㆍ행동적인 문제가 없는 아동이다. 연구의 절차는 Gorden의 음악적성검사(PMMA)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에 사용된 음정, 리듬의 음악은 녹음된 CD를 사용하였고, 소리는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었다. 검사의 방법은 각 40개의 음정, 리듬의 문항에 따라 두 개의 짧은 소절로 음악을 들려주고 동일하다고 생각할 경우 두 얼굴이 같은 곳에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다를 경우에는 얼굴이 다른 곳에 동그라미로 표시하였다. 또한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의 하위영역을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마다 음정지각능력, 리듬지각능력, 음고 변별능력, 음고 재생산능력에 대한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양적연구에 대해 살펴보면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지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PMMA검사에서 음정지각능력점수와 리듬지각능력점수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백분위수 순위도 향상되었다. 또한 하위영역인 음정지각능력, 리듬지각능력, 음고 변별능력, 음고 재생산능력에 대한 회기별 수행평가결과가 향상되었다. 질적연구의 연구문제인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음악활동상황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변화가 있는가에 대하여 긍정적인 얼굴표정의 변화, 음악활동에 따른 의미 있는 제스처, 악기연주의 참여도에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인공와우 착용 아동이 음악지각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음악지각력의 변화와 음악상황에서의 즐거움, 참여도에 대하여 변화를 알 수 있다. 청각장애를 가진 아동이지만 음악지각 훈련을 적용할 수 있으며,시간에 따라 음악에 대한 지각력을 도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에게도 음악을 즐기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제공되기 바란다. 또한 음악지각 훈련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우리의 삶 속에서 음악이라는 문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대한다.

      •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이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최근 온라인 수업과 학습자 중심교육 요구의 급격한 확산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과 수업의 실재감을 증대시킬 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이 많다. 이에 실시간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이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K대학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을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는 8주 동안 공감적 발문에 기초하여 설계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에 참여하였다. 의사소통능력 측정 도구는 최일선과 조윤주(2010)가 번안 수정한 것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는 정미경(2004)이 개발한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로 선정하여 각각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후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다.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사소통능력,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검사를 토대로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이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인 분석과 평가, 이해와 분석, 기억, 집중, 반응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소인 자기 효능감, 내현적 목표지향, 내재적 가치, 상위인지(계획), 인지전략(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은 공감적 발문을 토대로 학습자가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을 제기하고, 상대방의 느낌이나 감정을 공감하고 정서적인 유대감을 표현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실시간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는 실재감과 몰입감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최현정, 2015, 김민수, 202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환경을 통하여 서로의 얼굴을 보고 심도있는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실시간 온라인 토론환경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감적 발문에 기초한 하브루타 토론모형을 개발하여 구체적인 공감적 발문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하브루타 발문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감적 발문을 구조화시켜 모형을 도출하여 공감적 특성의 하브루타 토론의 강점을 더 체계화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가 서울 소재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환경과 대상에게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자와 교과에 적용하여 온라인 하브루타 토론활동의 효과성을 일반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의 심층 변화 분석 및 토론 과정의 질적 연구는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이에 후속연구에는 학습자의 심층변화 및 토론과정의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Recently, the rapid spread of demanding online classes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with questions being raised as to which educational methods will best increase the sense of reality within these classes. As such,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online learning methods is essential to allow for succinct communication in a real-tim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based on the sympathetic interrogation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based on sympathetic inquiry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based on empathetic interroga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25 study subjects – all pre-service teachers at K University in Seoul - were randomly arranged to form an experimental group. Subjects participated in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activities for 8 weeks, each designed with reference to sympathetic interrogation model. The researcher used a measurement tool by Choi Il-sun and Cho Yoon-ju (2010) to measure for communication ability, and a measurement tool by Jung Mi-kyung (2004) to measure fo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se tool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pre- and post-testing score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nalyzed to find the effects of real-time online Havrrta based on sympathetic questionnair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s based on sympathetic interrog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alysis and evaluation; understanding and analysis; memory; concentration; and response, which are sub-elements of one’s communication ability.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lf-efficacy; intrinsic goal orientation; intrinsic value; upper cognition (planning); and cognitive strategy (regulation), which are sub-elements of on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s such, it is therefore apparent that the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based on the sympathetic questionnai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participants by raising questions that allowed students to empathize with the feelings of other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to express emotional bond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at the effectiveness of real-time online Havruta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sympathetic interrogation was verified. Looking at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may be identified in the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in non-real-time online discussions (Choi, 2015, Kim, 2021). As such, in this study, a real-time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 was presented so that we could see one another's faces and have in-depth discussions through a real-time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at a Havruta discussion model based on empathetic questioning was developed to suggest specific empathetic questioning principles, thereby developing a model that students could easily fol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strength of the Havruta discussion with empathy characteristics is further systematized after deriving a model by structuring the sympathetic interrog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ertain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colleg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a limitation exists in this study’s difficulty to generalize its results to accurately describe various other environments and subjects.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it would be necessary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Havruta discussion activities by applying them to various subjects and topics. Second, this study was limited by its lack of qualitative research when discussing the in-depth change analysis and discussion process of students. Therefore, in subsequent studies, a qualitative approach that more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changes of students and the discussion process it self is recommended.

      • 기독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교수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

        정미라 아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n Christi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y composing a 'good class' Jeong, Mi-Ra Ph. D. in Christia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ACT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r the competitiveness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to manage the quality of classes, and to examine the teaching capabilities that constitute a ‘good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general meaning of good teaching and teaching competency was considered,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studied in general education. Also, the Christian meaning of good teaching and teaching competency was considered,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Christian curriculum and the teachings of Christian school education by North American scholars. After that, an initial model of teaching competence in Christian teaching was presented by comparing good classes and teaching competence in gene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studies, an interview study was conducted with 35 ‘Good Class Essays’ by students of A University, a Christian University, and 10 students and graduates of A University.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In this wa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Christian college students were identified by linking the theory and the meaning of the field, and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constitutes a good class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good classes perceived by Christian college students were recognized as good classes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and classes that experienced a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constitutes a 'good class' perceived by Christian college students is teaching for the integration of science, faith, and life. Teaching competency was suggested as an important factor. As the basic competency of the instructor,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subject,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worldview, and spiritual qualifications are required.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a creative evaluation method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as required. Therefore, when supporting the teaching competency to secure the excellence of clas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of teaching competency in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be considered.

      • 보육교사의 팀티칭 수업 과정 분석연구

        정미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팀티칭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경험에 녹아들어 있는 이야기에 귀 기울여 봄으로써 어린이집 교사들의 수업과정에서 나타나는 팀티칭 경험을 알아보고 교사들의 팀티칭 운영을 통한 수업 진행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정하였다. 가.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과정은 어떠한가? 1)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계획 과정은 어떠한가? 2) 팀티칭에 의한 수업 실행 과정은 어떠한가? 3) 팀티칭에 의한 수업 평가 과정은 어떠한가? 나.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가 직접 선택하였고 평소 팀티칭을 통한 수업의 개선에 관심을 가졌던 어린이집 교사들과 원장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있는 국공립, 법인․단체 등, 직장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7인과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어린이집 원장 3인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2년 8월 2주부터 2012년 10월 4주까지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 전 2012년 8월 1주까지 연구 참여자 7인과 각 기관의 원장 3인에게 연구의 목적 및 진행 과정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의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팀티칭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기 때문에 12주 동안 수업에서는 관찰자로서 참여관찰 즉,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저널쓰기, 공식적 인터뷰, 비공식적 인터뷰를 통해 연구에 참여하였다. 원장님과의 인터뷰는 수업 참여관찰 전 후 시간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교사와의 사전 면담, 인터뷰 자료(메일 및 메신저를 통한 비공식적 인터뷰 포함), 연구자의 관찰 기록 및 저널,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저널, 기타 관련 자료들이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의 전사 및 수집 자료의 통합, 자료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과정 1)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계획 과정 첫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계획 시 팀교사간 협력관계가 좋지 않거나, 팀티칭에 참여하는 교사가 팀티칭의 목적을 분명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 수업 계획 시 필요한 정보 공유 즉, 교수학습방법과 개별 영아들의 발달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보 공유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팀교사간 상호호혜적인 협력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 하고 팀티칭의 목적을 분명히 이해한 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영아들의 발달에 적합한 의미 있는 수업 계획이 이루어졌다. 둘째, 팀티칭에 참여하는 교사들은 시간이 없거나 바쁜 상황 때문에 수업 계획을 위한 정보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사들은 영아들의 발달에 적합한 프로그램 제공으로 보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업을 위한 계획 단계에서 팀교사들이 서로 충분한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셋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이 효율적이고 의미 있게 실행되는 팀은 실행 할 수업의 목표 및 문제인식이 팀교사간에 서로 일치한지 확인한 후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며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을 함께 경험하였다. 넷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계획 과정에서 수업 실행 시 팀교사들의 역할 분담이 분명하게 계획된 경우 서로의 역할이 정해지지 않아 빚어지는 갈등을 줄일 수 있었으며, 팀교사간의 긍정적인 상호 관계에 따른 성공적인 팀티칭을 이룰 수 있었다. 반면 역할 분담이 분명하게 계획되지 않은 경우 팀교사간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으며 성공적인 팀티칭을 경험하지 못하였다. 2) 팀티칭에 의한 수업 실행 과정 첫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 실행 과정에서 팀교사간 상호호혜적인 협력관계와 팀교사간의 원만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팀티칭에 참여하는 교사가 서로에 대한 신뢰와 긍정적인 믿음, 존중하는 마을을 가지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수업 실행 과정에서 교사 협력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영아와의 안정적인 상호작용과 원활한 수업 진행을 도울 수 있었다. 둘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의 실행 과정에서 성공적인 팀티칭을 경험한 팀교사들은 맡은 반 영아들의 개별적인 발달을 정확히 이해하고 함께 지도해야 하는 공동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팀티칭을 통한 교수의 실제가 영아들의 개인별 성향이나 발달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되며 팀교사가 함께 계획한 놀이를 통해 영아들의 개별 발달과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었다. 반면 공동책임의식이 없이 수동적으로 팀티칭에 참여한 교사들은 팀티칭에 의한 수업 과정이 주는 교육적인 효과를 경험하지 못하였다. 셋째, 팀티칭에 의한 수업 실행 과정에서 팀교사간 모델링은 팀티칭에 참여하는 교사들에게 교사-영아간 상호작용을 위한 나침반의 역할을 해 주었고, 교사에게는 생활 속에서 겪는 경험으로 ABSTRACT Analysis of Team-Teaching Process of Childcare Teachers Jung, Mi-R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Prof. Lim, Seung-Ryoul, Advisory Professor This study examines team-teaching experiences of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principals by listening to their stories to devise a qualitative analysis of significance of team-teaching experience. Following study objects were established to examine team-teaching : A. Running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1) How is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planned? 2) How is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lesson executed? 3) How is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team-taught lesson evaluated? B. What are some improvements that can be made for a more effective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For this study, seven childcare teachers and three directors of kindergarten from various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group who have been interested in improving classes through the team-teaching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twelve weeks (August to October of 2012).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with the research contents and objects in advance of the study. During the study, the researcher attended lessons as an observer to examine how childcare teachers were using team-teaching methods. Also,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 journal while both official and unoffici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dditionally. Finally, the directors were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observing the class. Collected information includes preliminary surveys, both official and unofficial interviews (interviews conducted via e-mail and messenger), observer’s notes and journals, participants’ reflective journals, and other materials. As for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as first transcribed and integrated which then was classified and transl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Running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1) The stage of planning According to the study, teachers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team-teaching and those who maintained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were more active in sharing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to plan a better and more effective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did not understand the objects or did not have a good cooperative relationship tended not to share much information. Second, teachers’ lack of time together was another factor that cause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Teachers required more time at the stage of g to devise a more effective lesson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ird, teachers who were able to run a meaning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checked and verified each other throughout the stage of planning for their and continued adjusting ideas on the teaching methods. Fourth, teachers who divided their roles at the stage of planning were able to reduce conflicts by creating a positive mutual relationship, and thus were able to accomplish a success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On the other hand, those who were not assigned with clear roles faced more troubles. 2) The stage of execution First, the study showed a close connection between teachers’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and their smooth and active interaction. When teachers interacted with trust, positive faith, and respect for each other, it helped them to collaborate better during the lesson and thus resulted in a more effective and stable teaching for the infants. Second, teachers who were able to run a success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had an acut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development and shared a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as co-teachers. Also, those teachers tended to seek educational purposes through co-developed plays and were more inclined to believe that the team-teaching method is a better tool for understanding the traits and the growth of each student. Third, modeling between the teachers during the stage of execution helped them to have a better interaction with infants as well as providing them a chance to reflect themselves. 3) The stage of evaluation Teachers and directors who ran a success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cross examined each other during the feedback stage of the team-taught lesson. During this stage, teachers and directors were able to follow up the issues raised during the stage of execution and were able to provide more proper teaching based on each children’s needs.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teachers prided their accomplishments and developed a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for their teaching as well. Over all, the evaluation process gave teachers a cha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On the contrary, those who did not conduct the evaluation were not able to give a proper teaching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but only worked as a formality. B. Suggestions for a more effective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First, teachers suggested that their opinions should be more accepted so that the greater number of teachers will voluntarily participate in employing the team-teaching methods. Second,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re has to be clear division of roles among the teachers to run a success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and that the teachers should execute their roles with great responsibility. To do so,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the teachers. Third, the study revealed a case where teachers were not able to run a meaningful teaching process by team-teaching due to children’s irregular attendance a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qu

      • 유치원 교사의 신체활동 지도 스트레스 요인 및 개선방안 탐색

        정미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신체활동 지도 시에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신체활동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도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3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별하였고,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신체활동이 유아들의 전인적인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을 하였고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신체활동이 필요하며, 신체활동이 다른 유형의 활동보다 지도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신체활동 지도 시에 교사의 전문성, 수업환경 여건, 교사 개인의 소홀, 교육과정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이 신체활동 지도 시에 받는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노력 방법으로는 지도력 향상, 수업 결손, 장학, 교사 개인의 노력, 환경 개선으로 다섯 가지 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끝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 자질 및 전문성 향상, 교사 지원, 환경 개선을 통해 신체활동 지도 시 스트레스를 개선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유치원 교사의 신체활동 지도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지도에 필요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efficient oper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analyzing the stressors of kindergarten teachers when guiding physical activi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31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G-d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following meaningful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ope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physical activity as beneficial to the overall growth of infants, required systematic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recognized that physical activity was more difficult to guide than other types of activities.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re found to be stressed in terms of teacher expertise, classroom environment conditions, teacher neglect, and curriculum when guiding physical activities. Third, kindergarten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five areas: improving leadership, class deficits, scholarships, individual efforts of teachers,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Finally,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that stress in physical activity guidance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ism, supporting teachers,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it is hop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guid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will relieve stress and be used as useful materials for guidance.

      • 소상공인 경영컨설팅의 컨설팅 서비스 품질과 정부신뢰가 컨설팅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미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Management consulting has been perceived as a useful tool to provide a positive influence on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putting the consulting industry at the center of interest among researchers as well as consultants in Korea. Earlier studies mostly focused on macroscopic aspect such as overall direction of the industry but recently there are more specialized research with greater attentions to consulting and consultants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ing consultant department at colleges. The government also actively supports management consulting industry to help enhance competitiveness, especially of small businesses with limited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However, uncertainties of consulting as an intangible knowledge service have a number of risks in time, effort, and cost, which are taken by the consulting client firms. This limit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companies’ attitude toward consulting leaving many of them doubtful about the consulting results and its cost-efficiency. Not only that, many studies on consulting still concentrate on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or business performance across the businesses from SMEs to large conglomerates. However, consulting can vary depending upon the scale of business, industry, or client company’s history and it does not seem reasonable to generalize and measure all these elements. Also, it is believ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measuring an abstract concept of business performance in a quantitative index such as sal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et limits on the object of research to small business management consulting and the subjects to Korea’s small businesses who have experience with the consulting support, aiming for a positive research with the focus on perceived values of the consulting service, satisfaction about the service, and intentions to reuse the service. To this end, survey was conducted and 204 copies of vali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First, SPSS 23.0 was used for identify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long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n, with AMOS 23.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As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moderating effect was also analyzed. Unlike the expectations, posi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angi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do not influence perceived values while empathy does not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with consulting service. All th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influence parameters such as perceived values 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consulting service. Trust in the government, out of all variables,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consulting service and the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consulting service on intentions to reuse the service is bigger than that of perceived values or trust in the govern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reference material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on related themes by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affecting client intentions to reuse service as well as measuring user’s intentions to reuse the small business consulting service and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to offer basic data to help promote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경영컨설팅은 그동안 기업 경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국내 컨설팅 업계와 학계를 비롯해 컨설팅 산업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최초의 연구에서는 컨설팅 산업의 전반적인 방향성과 같은 거시적 측면의 연구들이 주를 이루다가 최근 들어 경영컨설팅 전문학과가 개설되면서 컨설팅과 컨설턴트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아지고 관련 연구는 보다 전문성을 띠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경영컨설팅 산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인데 특히 내·외부 자원이 부족한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경영컨설팅 서비스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하지만 무형 지식서비스인 컨설팅이 갖는 불확실성으로 초래되는 시간, 노력, 비용 등 여러 가지 측면의 리스크는 경영컨설팅 서비스를 지원받는 기업이 일방적으로 떠안아야 한다는 한계도 존재하기 때문에 국내 상당수의 기업들은 컨설팅 결과물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품고 있으며 투자한 비용 대비 컨설팅 효과가 높지 못하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산업적 측면의 문제점들에 이어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여전히 컨설팅 관련 연구의 초점을 고객 만족이나 경영성과 측정에 두고 있으며 연구의 범위는 중소기업으로부터 대기업까지 회사규모 전반에 거쳐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회사의 규모, 산업의 종류, 회사의 연혁, 회사의 지리적 위치 등과 같은 면에서 차이를 보이면 컨설팅의 성격도 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모든 요소들을 단순하게 일반화하여 측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며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경영성과와 같은 개념은 매우 추상적인 것으로써 매출액이나 순이익과 같은 양적인 지표로 측정하는 것도 타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의 범위를 소상공인 경영컨설팅으로 한정하고 연구 대상을 경영컨설팅을 경험해 본 국내의 일반 소상공인으로 구체화 하였으며 연구의 중심을 컨설팅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 컨설팅 서비스 만족, 컨설팅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포커스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4부의 유효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의 순서로는 우선 SPSS 23.0으로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AMOS 23.0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타당성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에 대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유형성, 응답성, 공감성 등 3개의 독립변수는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성은 컨설팅 고객 서비스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들은 전부 매개변수인 지각된 가치와 컨설팅 고객 서비스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정부신뢰가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가치가 컨설팅 고객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컨설팅 고객 서비스 만족이 컨설팅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가치와 정부 신뢰에 비해 크다는 결과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경영컨설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경영컨설팅 서비스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더러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 간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주제의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