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 歷史的 變遷에 따른 環境美術의 硏究 : 목포시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송일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23

        환경조형물은 작가라는 특정한 개인이 만들고 특정한 개인이 소유하게 되는 예술품과는 그 특성이 다르다.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사회 속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심미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시민의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한 물건으로서의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다. 그래서 다수가 공유하는 환경조형물은 조형물이 갖는 추상성보다는 다수가 공감하는 합리성이 요구된다. 또한 환경조형물은 환경으로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미술사적으로 살펴보면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미분화된 사회에서는 조형물이라는 개념이 없었다. 그 사회에서 보여지는 대부분의 물건들은 신을 숭배하기 위한 예배의 대상이었거나 생활의 일용품이 대부분이다.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면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순수예술품이 생기게 된다. 오랫동안 지속하던 농경사회를 지나 산업사회로 접어들게 되자 도시라는 새로운 환경이 나타나게 되고 이 새로운 환경을 가꾸기 위해서 조형물로서의 기능과 의미와 확장된 또 다른 조형물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환경 조형물이다. 도시와 인구의 양적 팽창으로 인한 도시의 역기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도시의 환경조형물 에서도 이런 도시화로 인한 역기능이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거나 반영하지 않은 환경조형물은 환경을 미화시키기 보다는 심지어는 환경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환경조형물로 인한 많은 문제들을 풀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사회가 가졌던 여러 가지의 장점을 고려하므로 써 그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전통사회가 그렇게 오랫동안 한국의 자연과 친화관계를 유지하면서 한국의 특유한 미감을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인의 의식 속에 면면히 흐르는 풍수지리라는 지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풍수지리의 사상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형성된 유교, 불교, 그리고 도교사상과의 연장선 속에서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사상은 무량수전 같은 고건축과 탑과 솟대 그리고 불상 등의 많은 민족적 유산을 낳게 하고, 거기서 한국인이 자연과 유지하려 하였던 자연친화사상 즉, 주변과의 조화관계에서 실마리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목포시의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므로 목포시의 도시환경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목포시의 도시환경 조형물의 문제는 한국의 환경조형물의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그것들은 서로가 맞물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목포시의 대부분의 환경조형물은 그 놓여진 위치가 적절하지 못하여 그것은 장소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도시민으로 하여금 충분한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둘째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환경조형물의 재료와 기법으로 된 것이 대부분으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적절히 들어내지 못했다. 셋째는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그 성격상 예술품과는 다르게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하는데 그 운용의 투명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넷째는 환경조형물을 만드는 것은 작가라는 개인이지만 그것을 소유하는 것은 시민들이라는 다수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은 환경조형물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환경조형물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환경조형물의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첫째 외국의 사례연구에서는 구미의 도시가 오랜 기간 형성되었듯이 그 문화의 일부로서의 환경조형물은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되어 그것은 마치 도시의 일부분과 같았다. 그래서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의 제작과 설치는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점차적으로 장기적 계획 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그 일을 위하여 작가와 시민과 행정가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환경예술품 연구위원회의 구성을 요구한다. 둘째 포스코 경영 정보센터의 사례연구에서는 그 건물의 조형물 제작과 설치를 위한 운영의 예에서 보듯이 그 모든 일은 일관성 있고 합리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셋째 광주광역시 북구청 벽화의 사례연구에서는 환경조형물은 개인과의 관계가 있는 조형물과는 다르게 다수의 시민이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민들의 관심을 반영하고, 시민들을 위하고,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98 민족극 한마당’ 야외무대의 사례연구에서는 목포시의 환경조형물은 반드시 목포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목포시의 이미지의 부각과 창출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 기록관리학 대학원 실습교육 방안 연구 : 인턴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정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The field of Korean records management has greatly grown in quantitative respect as compared with its short history, but it did not achieve qualitatively great performance in the education to foster an expert for records management. That is, a systemic practice was not done due to absence of a standard curriculum, insufficiency of a subject and a practice for a field training. If a specialist is arranged at an institution and then takes part in a practical affair, so, they becomes feel difficulty because of the job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theoretical knowledge to apply or an unfamiliar working environment. Records management should combine academic knowledge with practical skills because of the nature of a job. Thus, the graduate school of Archives & Records becomes keenly aware of the necessity that the task to fulfill and learn a practical affair should be strengthened. This study suggests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vi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s a plan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actical training of the graduate school majoring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main body to foster a specialist of records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a practical training of records management, this study practic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graduate students and workers in charge.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could understan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cy of a training organization, insufficiency of practice hours, poorness of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a training program, insufficiency of the task force of a training and specialists and etc. In addition, it could get the opinion that an internship is very necessary and should be appointed as a compulsory subject as strong demand of respondents about strengthening and necessity of a practical training and the method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the issue that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is decided as a way of a practical training. An internship program still has not been operated as a practical training in Korea. So, this study investigated foreign cases for an internship program in order to seek the operation solution. Especially, the whol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about the internship programs of University of Michigan (USA) and UBC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Canada) were studied. It could know that students, a school and an institution have thorough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during the period of an internship as the main body and an internship program is systematically operated based on such mutual effort. The key issues which should refer to on above foreign cases to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at Korean graduate schools are to appoint an internship as a compulsory subject, offer an institution list operating an internship to graduate students by constructing an organic cooperate system between an institution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and a school, make a school support step by step a systematic system for the whole internship process, make a school play an active and leading role in operating an internship, make students select an institu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ir interest through an interview with a tutor, make an institution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so that a student is able to learn a practical affair and expertise through qualified specialist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and make an institution feedback a school the result of an internship.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internship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 tha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problems discovered by an questionnaire survey based on implications of foreign internship cases. The outlin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urriculum-based internship under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hould be practiced for the students who complete 2 semesters or more amo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for 2 months during vacation. Also, an internship should be appointed as a compulsory subject of 3 credits during a semester. An internship simply consists of the following processes - 1) issuance of an internship course by a school, 2) enrollment of an internship by a student, 3) selection of an institution operating an internship, 4) operation of an internship under the approval of a tutor, 5) a student submits a final report for an internship to a school and an institution does a final assessment and 6) evaluation of a school (this will be reflected to a score and a credit). For such operation of an internship, an institution in charge of records management should operate an internship program and a government should support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An educational institution can produce the human resource who is excellent for field adaptation of a job and construct a flexible educational system with a field by developing an efficient program through the operation of an internship program. An institution can have actual help for a job through an internship, reduce the cost of job advertisement and use it as an opportunity of talent acquisition. The current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strengthened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foster a qualified specialist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which is a practical study, and an internship program will be able to play satisfactorily the role. <국문초록> 국내 기록관리분야는 짧은 역사에 비해 양적인 부분에서는 많은 성장이 있었지만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양성하는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만큼은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즉, 표준화된 커리큘럼의 부재와 현장실습을 위한 과목의 부족 및 실습의 부족으로 체계적인 실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전문요원으로서 기관에 배치되어 실무를 접했을 때, 이론상 배운 지식을 적용하기 힘든 업무라든가 익숙하지 않은 작업환경으로 어려움을 느끼기에 이르렀다. 기록관리는 업무의 특성상 학문적 지식과 실무능력을 겸비해야 한다. 이에 기록관리학 대학원에서는 학기 중 실습을 통해 실무를 접하고 익히는 일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됐다.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기록관리학 대학원의 실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산학 협력을 통한 인턴쉽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록관리 실습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원생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실습기관의 부족, 실습시간의 부족, 기관의 실습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의 빈약함, 교육 전담부서 및 전문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 인턴쉽 운영을 실습의 방안으로 하는 것에 대한 설문을 통해 응답자들의 실습 강화 및 필요성에 대한 강한 요구와 함께 그에 대한 방법으로 인턴쉽은 매우 필요하며 교과과정에 필수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록관리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실습으로 인턴쉽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 않아 외국 사례를 조사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과 캐나다 UBC의 인턴쉽 운영사례를 통해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과 특징을 연구했다. 인턴쉽 주체인 학생, 학교, 기관은 인턴쉽 기간 동안 철저한 책임과 의무가 부여되고 그러한 상호간의 노력을 통해 체계적으로 인턴쉽 프로그램이 운영됨을 알 수 있었다. 외국 사례의 특징에서 국내 대학원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참고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인턴쉽을 교과목에 필수로 지정, 기록관리기관과 학교의 유기적인 연계시스템 구축하여 학생들에게 인턴쉽을 제공하는 기관의 목록을 제공, 학교는 인턴쉽 과정의 전반에 관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 단계별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인턴쉽 운영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함, 학생은 지도교수와의 면담을 통해 자신의 관심분야에 적합한 기관을 선정 함, 기관에서는 자격을 갖춘 전문요원 및 담당자를 두어 학생이 인턴쉽을 통해 실무를 익히고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공정하고 엄격한 평가를 통해 평가결과를 학교로 피드백 등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인턴쉽 사례를 통한 시사점들을 토대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우리 실정에 맞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의 인턴쉽 개요는 산학 협력을 통한 교과과정 기반 인턴쉽으로 기록관리학 대학원 재학생중 2학기이상 수료자를 대상으로 방학중 2개월간에 걸쳐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인턴쉽은 학기 중 필수로 지정하고 3학점의 학점을 부여하도록 한다. 인턴쉽 과정은 간략하게 ①학교의 인턴쉽 과목 개설, ②학생은 인턴쉽 수강신청, ③인턴쉽 대상기관 선정, ④지도교수 승인 후 인턴쉽 실시, ⑤학생은 인턴쉽 최종보고서, 기관은 최종평가서를 학교에 제출, ⑥학교의 평가(성적 및 학점 반영)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턴쉽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록관리 기관에서는 인턴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야 하고, 정부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기관은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현장적응력이 우수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현장과의 유연한 교육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기관은 인턴을 통해 업무의 실질적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인력채용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재확보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적 학문인 기록관리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충분한 자질을 갖춘 전문요원을 양성하고, 실제적 업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실습은 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인턴쉽 프로그램은 .충분히 그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전남도청 이전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노영길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23

        전남도청이전 정책은 정책행위자 즉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의회, 시·군 자치단체,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정치권, 중앙정부 등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정책이 결정되나 정책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시동기부터 재추진기까지의 결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을 통해 광역자치단체의 정책결정에서 나타났던 문제점 제기와 정책제언을 행하고 바람직한 정책네트워크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연구방법을 논의하고, 제2장에서는 정책네트워크 이론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추진과정을 검토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 네트워크 분석을 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연구내용 전체를 요약하고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제언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정책결정이 이루어질 때까지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전남도청 이전정책 결정과정이며, 이를 정책네트워크이론으로 설명해 보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하여 분석요소를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선정하였다. 첫째, 정책환경의 대상은 정치체제의 변동, 정권교체 등의 정치체제의 변화, 시민사회와 정책관련집단의 성격과 활동정도 등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이다. 둘째, 정책행위자의 대상은 공식적 정책행위자와 비공식정책행위자로 나누어, 정책행위자들의 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행위자들의 목표와 이해관계이다. 셋째,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의 내용은 상호작용의 빈도, 상호작용의 성격, 영향력의 관계, 갈등조정기제를 논의하고 있다. 넷째, 정책행위자의 연계성은 구조는 개방성, 연계성, 지속성을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선정하여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가 전라남도로부터 분리된 후 도청 이전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여러 집단들의 상호작용과 참여를 통해 전남도청 이전후보지가 결정되기까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문헌자료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즉 전남 도청에서 발간한 백서 및 보고서, 기존의 연구논문과 국내외 서적, 정부와 관련 집단들의 각종 자료, 공문서, 회의자료, 신문이나 인터넷, 잡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도청 이전정책이 결정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요소는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행위자간의 상호작용,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연구분석요소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환경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환경은 광주시의 직할시 승격으로 전남도청이전문제가 지역민의 여론으로 대두되었다는 점, 정부차원의 행정구역개편 추진으로 지역민의 혼란을 야기시켰다는 점, 전라남도의 도청이전 불가방침과는 다르게 전남도의회는 도청이전을 지속적으로 거론했다는 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의 이슈로 부각이 되었다는 점을 이 시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중단기의 정책환경은 전라남도의 도청이전을 중단하고 광주전남통합을 주장하였다는 점, 김영삼 대통령의 전남도청이전 계획의 특별담화가 있었다는 점, 정부의 시도통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 대구경북의 통합논의가 진행되었다는 점이 중단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환경은 전남서부권의 광주·전남통합론의 부당성의 지속적인 제기, 전라남도 후보의 시도통합에서 도청이전으로 전환하게 된 점, 도의회에서 도청이전사업을 본격추진하기로 행정자치위원회에 공식적으로 보고한 점이 재추진기의 정책환경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정책행위자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행위자는 대통령, 국회,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시, 시·군 자치단체, 행정자치부(내무부),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시민단체(사회단체), 지역전문가 등이다. 이 중 대통령, 국회,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시, 시·군 자치단체, 행정자치부(내무부)는 공식적 참여자라 할 수 있고 전남발전연구원, 언론, 시민단체, 지역전문가는 비공식참여자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 중단기의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도지사), 대통령, 도의회, 경상북도의회, 대구시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 의회, 행정자치부(내무부), 언론, 시·군 자치단체 등이다. 이중 전라남도, 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행정자치부, 시·군 자치단체는 공식행위자이며, 경상북도의회, 대구시의회, 언론은 비공식참여자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중앙정부, 언론, 시·군 자치단체(목포시, 목포시의회 등), 각종연구소(목포대학교, 초당대학교, 목포포럼, 목포대연안환경연구소, 목포백년회, 광주전남국토도시계획학회)를 들 수 있다.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 중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광주광역시, 광주광역시의회, 중앙정부, 시·군 자치단체는 공식행위자이며, 각종연구소와 언론은 비공식행위자이다. 셋째,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도청이전 시동기, 중단기, 재추진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청이전 시동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은 전라남도와 높은 상호작용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전라남도의회와 전남발전연구원이며, 전라남도와 중간정도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시·군 자치단체와 내무부이며, 전라남도와 낮은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기타 행위자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전라남도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와 전남발전연구원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시·군 자치단체와 내무부이고, 전라남도와 갈등 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동부지역자치단체, 국회, 내무부이다. 시동기의 정책행위자 중 영향력이 가장 강한 주체는 대통령이다. 그리고 국회와 내무부가 영향력이 강한 편이고 전라남도와 도의회의 영향력은 내무부보다는 못하지만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다른 주체들은 영향력이 약한 편이다. 결장치는 없었다. 다음으로, 도청이전 중단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라남도와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대구·경북권, 광주권, 순천권 자치단체이고, 전라남도와 강한 갈등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광주광역시와 목포권 자치단체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도청이전 재추진기의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전라남도와 적극적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도의회, 목포권 연구소, 시민단체이며, 전라남도와 소극적 협력관계를 보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언론이고, 전라남도와 강한 갈등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정책행위자는 일부도의원, 목포시, 일부 시·군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정책행위자의 연계구조를 살펴보면, 정책네트워크의 개방성은 빈번한 상호작용이 부족하여 정책행위자들은 개방적이지 않으며, 연계성은 대통령과 전라남도, 내무부와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각 시·군 자치단체 집행부는 수직적 연계를 나타내고 전라남도와 도의회, 전라남도와 전남발전연구원은 수평적 연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몇몇 정책행위자들간의 네트워크가 간혹 형성되기도 한다. 즉 광주시의원, 전라남도의원, 대학교수, 10여 개 사회단체 대표 등이 모임을 갖고 ‘광주·전남범시민통합운동추진본부’ 결성을 위한 실무준비위원회 구성에 합의하고 본부 결성작업을 진행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는 도청이전정책에서 보여준 정책행위자들의 정책네트워크를 통하여 정책결정과정의 문제점과 정책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발전을 위한 거시적 발전계획의 수립이 절실해 요청된다. 광주·전남을 아우를 수 있는 광주전남의 거시적 발전계획이 수립되어 추후에 도청이전과 같은 정책의 발생으로 장기간에 걸친 사회적, 재정적, 정치적 소모적인 없도록 막아야 할 것이다. 둘째, 정치체계의 광역행정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정치체계의 광역행정체계 구축을 위한 (가칭)광역정치행정협의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광역정치행정협의회는 최고정책결정자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 협의회의 구속력을 갖기 위하여 조례로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선자치단체장의 견제장치의 구축이 절실히 요청된다. 효과적인 견제장치로 주민소환제도를 조속한 시일에 마련할 수 있도록 국회에서 주민소환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언론은 단체장의 견제를 위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인 보도를 지속적으로 행해져야하며, 시민단체는 그 역량을 강화하여 단체장을 견제할 수 있는 이슈화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가 자치구역 개편을 위한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노력을 전개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강한 간섭은 배제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는 신뢰회복이 이루어져야 하며, 서로간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통로가 마련되고, 정직한 정보교환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지방자치의 성숙은 어려울 것이다. 이를 위한 지방정부, 지역기업, 시민사회, 시민 모두가 지금의 지방자치의 사고를 한층 성숙시킬 수 있도록 협력거버넌스 구축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Network' in order to describe the whole decision-making process, starting from the inception of the Jeollanamdo(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all the way through to the period of recommencement. This study also attempts through the analysis to propound sever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policy-decision by the provincial self-government, to propose an opinion on the policy and to explore ways towards a desirable policy network.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Ⅰ comprises the purpose, scope, and means of the research. ChapterⅡ involves the contents of the policy network theory. Chapter Ⅲ reviews the recommencement stage of the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Chapter Ⅳ analyzes the moving policy network for Jeonnam Provincial Hall. Chapter Ⅴ concludes, recapitulates and proposes an opinion on the polic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moving policy for Jeonnam Provincial Hall.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policy environment, policy agent,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agents and their connecting structure. The time period specified by this study is from the point where the matter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was forwarded, following City of Gwangju having been separated from Jeonnam Province, until the time the successful candidate city was designated for the hall to be relocated to. Fundamental data relating to this study mainly ar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The contents are summed up as follows, centering on research analysis determinants: Firstly, policy environment around the inception phas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was that local consensus being directed to the issue of the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the realign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pushed for by the central government generated confusion on the part of local community, and that the issu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kept being raised by the provincial council, as opposed to the policy of 'sacrosanctity' in moving Jeonnam Provincial Hall, which candidates for the position of the head of local autonomy pushed efforts to address. Policy environment during the Provincial Hall Moving cessation period experienced a dispute over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coupled with the suspension of the moving policy, with passive participation in the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 special statement by president Kim, Young-Sam on the issue of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and the argument over the issue of Daegu-Gyeongbook unification. Policy environment at the recommencement stage of Jeonnam provincial hall moving was that the impropriety kept being forwarded of Gwangju-Jeonnam integration theory, the public opinion was diverted towards the issue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from that of metropolitan-province unification, and that the provincial council officially reported to the administrative autonomy committee its decision that the moving policy will be carried out in earnest. Secondly, the policy agents at the inception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are the President, National Assembly,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city of Gwangju, local governments(city·county),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Gwangju-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the press, civil groups, local specialists and the like. The policy agents during the cessation are Jeollanamdo, the President, provincial council, Gyeonsangbookdo council, Daegu council,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ouncil,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Gwangju-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the press, local governments(city·county) and others. The policy agents of the recommencement period are Jeollanamdo,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ouncil, the central government, the press, and a variety of institutes. Thirdly, in terms of interaction among the policy agents at the time of inception of the Provincial Hall Moving Policy, Jeollanamdo showed high interaction frequency with Jeollanamdo provincial council and researchers from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Jeollanamdo turned out to have less frequent interaction with local government(city·county) an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Low interaction with other agents was documented. Exemplary agents exhibiting aggressiv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Jeollanamdo are provincial council and researchers from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with those presenting passive cooperation being local government(city·county) and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The interaction among policy agents during the provincial hall moving cessation proves as follows: Jeollanamdo has a strong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ovincial council, passive relationships with Daegu·Gyeongbook, Gwangju, Sooncheon local governments, and obviously conflicting relationships with Gwanju metropolitan city and Mokpo city. In consideration with interaction of policy agents around the recommencement period, policy agents noted for their active cooperation in relationship with Jeollanamdo are provincial council, institutes and civic groups for Mokpo, while the policy agent in passive cooperation with Jeollanamdo is the press and agents in conflicting relationship are some provincial councilors, city of Mokpo, and some regions. Fourthly, concer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mong policy agents, in terms of openness, due to the lack of frequent interaction, policy agents are rarely willing to be cooperative. Surveying the connection, policy agents vertically connected are the President and Jeollanamdo,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Jeollanamdo, and Jeollanamdo and each local government. whereas horizontally connected are Jeollnamdo and provincial council, and Jeollanamdo and researches from the Jeonnam Development Institute. Perceptible openness among policy agents occasionally occur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n opinion on the policy as follows: First, urgently needed is the establishment of all-inclu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sake of local development.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metropolitan political-administrative system must be established. Third, checks mechanism against the head of the popularly elected autonomy must be established. Fourth and finally, strong state government interference must be eliminated in local government developing its autonomous and self-initiated efforts on re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 area at times of local autonomy.

      • 미항목포가꾸기 事業의 展開過程에 關한 硏究

        황정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포는 아름다운 해변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도시이다. 또한 산, 바다, 섬, 강이 아기자기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항구 도시이며, 한반도 서남권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대불공단, 삼호공단 등을 중심으로 신산업 지대가 점차적으로 조성되고 있고, 무안공항, 목포 신외항 등 국제교통 시설이 건설되도 있어 산업, 관광, 교통 및 교역의 중심입지로서의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목포를 세계적인 미항으로 만들기 위해 목포시에서는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1단계에는 시민관심과 공감대 형성, 2단계에는 『미항목포개발마스터플랜』수립에, 3단계에는 지구별 개발실행을 통한 국제적 미항 개발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적 미항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목포 발전에 대한 기본 청사진도 없이 비조직적이고, 비계획적인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미항목포개발마스터플랜』 수립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사업의 추진과정이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문제점을 고찰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항 목포 가꾸기 사업의 향후 전개 방향을 올바르게 제시하고자 한다. Mokpo is the city which possesses a beautiful water-front. Also the mountain, the Ocean and the island, the river is charming and composed a port city which it is, rising rapidly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Southwest volume. The new industrial zone is continued Dae-Bul industrial complexes and Sam-Ho industrial complexes in the center and it is created. The Mu-an international airport, Mokpo new harbor back international traffic facility being constructed, the center of industry, sightseeing, traffic and trade it does not put on as it equips the condition of optimum. Like this Mokpo world-wide it is famous and it is endeavoring constantly from hazard Mokpo city which it makes in the beautiful harbor. To 1 phase to citizen interests and sympathy formations and 2 phases in 『Beautiful Harbor Mokpo Development Mastering Plan.』 establishment, to 3 phases it finishes utmost efforts hazard it develops the beautiful harbor the international which leads an endurance sector development execution. But makes an international beautiful harbor and in spite of the basic master-plan against Mokpo development without non-systematize and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non-plan enterprises are propelled even in the effort. This study is beautiful harbor it propelled the enterprise which it makes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and before and after 『Beautiful Harbor Mokpo Development Mastering Plan』 establishing it divided and there probably is a portion where the propulsion process of the enterprise changes it investigated, after trying to observe a problem point, it proposes an improvement direction with beautiful harbor Mokpo properly the hereafter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nterprise.

      • 목포의 지역주의와 선거

        장대홍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1987년 민주화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선거와 정당 정치를 규정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지역주의(Regionalism)였다고 말 할 수 있다. 물론 민주화 이전에도 특정 지역민들 사이에는 지역감정의 형태로 상대 지역에 대한 배타적인 정서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역이 본격적으로 정치적 의사표출의 수단이 된 즉, 특정 지역에서 특정 인물이나 정당이 압도적 지지를 받아온 것은 1987년 민주화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의 지역주의를 본 논문에서는 목포지역이라는 한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어떻게 지역주의가 형성되어 왔으며,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주의가 어떻게 변화, 발전할 것인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주의를 분석하는 것은 목포지역이 호남 정치의 1번지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즉 목포는 해방 이후에는 야당의 주요 근거지로서 민주화의 기반이었으며, 민주화 이후에는 광주와 함께 근 50년 만에 여야간의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끄는 등 목포가 한국 정치사에서 차지한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목포지역은 다른 어느 선거구보다 지역주의 선거가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목포는 지역주의 선거의 전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목포의 지역주의에 대한 이해는 한국 지역주의를 이해하는 기본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포지역의 지역주의에 대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지역주의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글의 두 번째 부분으로 민주화 이전과 이후의 선거 변화 양상을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목포지역의 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목포지역 선거의 특징을 도출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포지역 대통령 선거의 특징으로 민주화 이전에는 한국의 선거에서 나타나는 “촌고도저”와 “여촌야도”현상이 보였으며, 민주화 이후에는 전남의 농촌이나 도시지역의 차이가 없이 전국의 투표율보다 높은 현상을 보이는 호남 지역의 “지역주의적 결집” 현상과 특정 후보나 특정 정당 출신의 후보자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를 보이는 지역주의 투표 현상이 나타났으며 강한 야당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목포지역의 국회의원선거의 특징으로 민주화 이전에는 대통령선거와는 다르게 “촌고도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지역주의 등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민주화 이후에는 전남의 다른 지역에 비해 강한 지역주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민주당 분당과 열린우리당의 창당이라는 정당체제의 재편이 목포지역의 정당 지지구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지난 목포지역의 제 17대 국회의원선거 결과와 2005년 4.30 자치단체장 보궐선거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최근 선거결과의 분석은 소위 “지역맹주”인 김대중과 지역주의의 연관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목포시 시민들에 대한 설문자료의 경험적 분석을 지역주의 분석에 초첨을 맞추어 지역주의의 요인으로 여겨지는 비합리적 연고주의, 정치적 동원, 사회·경제적 차별 의식등이 지역주의적 정당지지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 글의 경험 분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는 한편, 이것이 목포지역과 한국의 지역주의에 관한 논의에 함축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포지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정당과 지역을 발전시켜줄 정당 그리고 지역을 대표하는 정당을 민주당이라 응답하였고 이에 대한 응답률은 비슷한 수치를 보여 각각의 설문문항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부분은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의 표출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가장 싫어하는 정당은 한나라당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정당지지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지지하는 정당을 분석해 보았는데 성별에 따른 지지율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력과 세대에 있어서는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의 차이가 존재하고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특정 정당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근대적인 요인이 후보자나 정당 지지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보고 위해서 후보자의 학력, 경력, 고향, 출신고교 등에 따른 투표시 고려여부를 분석해 보았는데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투표시 후보자의 학력, 경력, 고향, 출신고교등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력이 높은 사람이 투표시 학력이나, 경력 부분에 대해서 상당히 고려한다는 응답이 보여 어느정도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결국 전근대적인 요인으로 목포지역의 지역주의를 설명하기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치적 동원이라는 측면에서 볼 경우 현재까지 투표시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DJ의 동원과 정치적 동원으로 나누어서 설명했을 경우 DJ의 동원 부분이 정치적 동원보다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까지 목포지역의 경우 DJ의 영향력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차별의식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적인 지역차별의식과 집단적인 지역차별의식으로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는데, 개인적인 지역차별의식을 경험한 응답자의 경우 특정 정당에 대한 지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빈도수가 너무 적은 관계로 지역차별의식의 경험 여부가 정당 지지에 큰 영향을 보였다고 설명할 수는 없으며, 집단적인 지역차별의식을 경험한 응답자의 경우 투표시 지역을 발전시켜줄 정당과 좋아하는 정당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투표시 영향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목포지역주의에 관한 본 논문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목포지역민들의 지역 정당에 대한 지지는 역사적으로 매우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목포지역의 정당지지에 대한 영향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함께 전라도라는 특수한 정치적 환경과 정치적 동원, 그리고 목포지역의 정당·후보구도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목포지역의 경우 현재에 있어서도 지역주의 선거가 유지되고 있지만 정당지지가 개인이나 지역발전에 대한 전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경우 지난 17대 국회의원선거와 같이 정치지형의 변화 같은 효과가 다시 나타난다면 목포지역의 정당지지의 특징인 강한 결속력을 가진 지역주의는 정당 구도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One of important factors prescribing Korean election and party politics up to now since democratization in 1987 was regionalism. Of course, there is exclusive emotion on region of the other in the form of regional emotion among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before democratization. However, it was before democratization in 1987 when region became the means of expression of political opinion, that is, when specific figure or party received overwhelming supports in specific region. This thesis analyzed how the regionalism was formed focusing on restricted area of Mokpo, what is the cause and how the regionalism would change or develop in depth. The reason why this thesis analyzed regionalism focusing on Mokpo was because Mokpo was regarded as the 1st street of Honam Politics. That is, Mokpo was the foundation of democratization as the main base of opposition party after liberation and its meaning in Korean politics is significant as shown in the case when Mokpo took the lead in the peaceful transfer of political power in about 50 years, together with Kwangju. In addition, regionalism election was dominant in Mokpo than other election district. Accordingly, Mokpo can be regarded as the model of regionalism election and thus understanding on regionalism of Mokpo can be regarded as the basics for understanding of Korean regionalism. This thesis on regionalism of Mokpo is formed as follows: First part examin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regionalism. Second part deduced the features of elections in Mokpo focusing on results of presidential election and congressman election before and after democratization. In more details, as the feature of presidential election, it showed "high in rural area, low in city area" and "ruling party in rural area, opposition party in city area" which showed in Korean election before democratization. After democratization, it showed regionalism voting phenomenon that shows overwhelming supports on the specific candidate from specific party and the "regional concentration" phenomenon in Honam area with higher voting rate than general voting rate of the country, whether it is agricultural village or city area in Jeonnam, and showed strong trend for opposition party. As the feature of congressman election in Mokpo, it did not show "high in rural area, low in city area", different from presidential election before democratization, and was affected much by small regionalism. After democratization, it showed strong regionalism tendency than other areas of Jeonnam. Third part analyzed the results of by-election for head of local government on Apr. 30, 2005 as well as results of 17th congressman election in Mokpo to examine which change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system, that is, formation of a political party of the Uri Party and split of Democratic Party. It is because analysis on results of recent election can give much help in understanding connection between regionalism and Kim Daejung, the regional leader. Fourth part analyzed the effects of irrational nepotism, political mobilization, social and economic discrimination on the support of regionalism political party, focusing on empir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on Mokpo citizens. The last part of this thesis summarized results of analyzing experience, while summarizing the implication of discussion on Mokpo area and regionalism of Korea. In more details, Mokpo region answered Democratic party is the party to develop and represent the region, and the party they like most. Answer rate was similar and each question showed similar relations. In the end, it can be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expect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mean time, they answered Grand National party. In addition, this thesis analyzed the supporting party depending on sex, age and educa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upport of political party,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support rate according to sex. There exists difference in support for specific party depending on education and generation, and similar trend was also found in support of specific party. I analyzed the consideration of factors in voting depending on education, experience, hometown and high school of candidat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modern factors on support of candidate or political party.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education, experience, hometown and high school of candidate in voting according to sex or age, but person with high education answered they considered education or experience in voting, showing that it is somehow affected. In the end, it can be judged that it is hard to explain the regionalism of Mokpo area with premodern factors. From the aspect of political mobilization, it has affected the voting up to now. When explaining it by separating them into mobilization of DJ and political mobilization, mobilization of DJ has more influence than political mobilization. Up to now, the influence of DJ still exists in Mokpo. In the end, for social economic discrimination, this thesis analyzed it by separating into personal regional discrimination and group regional discrimination. Answers who experience personal regional discrimination showed supports for specific party, but cannot explain that experience of regional discrimination affects much political party since the number of frequency was so few. In case of answers who experience group regional discrimination, the party they thought would develop the region and the party they liked were similarfor voting, showing that there is influence in voting. In conclusion, it is found out that support of Mokpo residents for regional party is deep rooted from the analysis of this thesis on Mokpo regionalism. In addition, effects of Mokpo on support of political party are influenced by specific political environment and political mobilization of Jeonlado together with social/economic factors as well as political party/candidate structure of Mokpo area. While regionalism election still retains in Mokpo at present,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support of political party is closely related to outlook for development of person or reg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egionalism with strong connection which is the feature of political party support of Mokpo may change according to structure of political party if the effect of changes in political map appears as in the last 17th congressman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