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신상헌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국문요약 본 연구는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이에 따른 우울의 하위영역별로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정서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 신체·생리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둘째,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이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영역별로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셋째, 중년여성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U시에 소재한 35세∼55세의 중년여성으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우울점수 10점 이상인자 30명을 선정하여 참석여부에 따라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6주간 12회기 음악치료를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그대로 두었다. 총 12회기 음악치료를 마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우울의 네 가지 하위영역 중에서 정서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신체·생리적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심리적 안녕감의 여섯 가지 하위영역인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 수용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중년여성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 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회음악 중심 노래심리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이 증가됨에 따라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악선호도와의 관계

        김지혜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악선호도의 관계를 살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문항과 음악선호도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5부를 배포하여 205부를 모두 회수하였고, 이 중에서 결측 설문을 제외한 총 197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음악선호도가 서로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음악선호도의 음악활동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악의 장르, 분위기, 가사내용, 음악요소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의 장르에는 대중가요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중에서도 발라드를 가장 선호하였다. 음악의 분위기는 안정감을 주거나 차분한 음악을 선호하였고, 가사내용으로는 자신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음악을 선호하였다. 음악의 요소에서는 선율(멜로디)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음악선호도는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음악선호도에서 가사내용과 음악요소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가사내용에서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내 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 하였고, 음악요소에는 멜로디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악선호도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악선호도의 선호 요인의 분포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음악활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직무스트레스와 음악선호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music preference by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research survey was implemented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ungsangbuk-do province.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on occupational stress and on music preference by middle school teachers. The surveyees of this study were 205 people, all of whom responded. Among them, 197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missing responses. On the collected responses, SPSS v21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arameters on the study issu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ic preference, musical activities as the lower sphere of music preference did not reveal a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but genre and atmosphere of music, reason to prefer the lyrics and other musical factors revealed a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 In case of music genre, popular music was preferred, and especially ballad style was most preferred. In case of atmosphere of music, the music with the stable and calm feeling was preferred. The reason to prefer the lyrics was mostly because the lyric indirectly expresses the teachers’ minds. For other musical factors, the melody was presented as the most importantly regarded. Secondly, in order to find out what type of distribution music preference reveals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the teachers were divided into highly stressed and low stressed groups in analysis. Both group reveal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lyric contents and musical factors within the music preference. With regard to the reason to prefer lyrics, both groups answered that the lyrics can represent their minds indirectly, and that they regard the melody most importantly within the musical factors. This study is important as the occupational stress and music preference was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ic preference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distribution of preference factors on music pre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for musical activities aimed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tilizing occupational stress and preference on music.

      • 인지재활 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전반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논문개요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재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환자들의 주의력과 기억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 동안 부산 소재 남구 D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DSM-Ⅳ 에 의거하여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발병기간이 2년 이상 경과한 24명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주의력을 측정하기 위해 K-TMT-e A형과 B형을,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해 동작성 기억력(K-CFT) 중 그리기 시행, 즉시회상, 지연회상과 언어성 기억력(K-AVLT) 중 즉시회상, 지연회상, 지연재인을 순서대로 측정하였으며, 언어능력을 위해 K-MMSE를 검사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통제 집단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을 마친 뒤 두 집단 모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인지재활 음악치료를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주의력 A에서는 유의미한 결과(p<.05)를 나타내었으며 주의력 B에서도 유의미한 결과(p<.05)를 보였다. 기억력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동작성 기억력의 그리기 시행과 언어성 기억력의 즉시회상, 지연재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p<.05)를 보였다. 하지만 동작성 기억력의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언어성 기억력의 지연회상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언어능력에서는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p<.05)를 보여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에 있어서 치료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정신사회 재활 및 삶의 질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은정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문제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후 분노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소재한 청소년 회복센터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청소년 10명으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매 회기 50분씩, 주 2회, 총 12회기의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분석은 분노 척도의 사전·사후검사 비교와 자기효능감 척도의 사전·사후검사 비교를 하였으며,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후 분노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사용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시설청소년의 선호도가 높은 대중가요를 바탕으로 음악감상, 노래심리치료, 악기연주, 노래 만들기, 음악과 그림 그리기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분노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다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른 분노조절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과는 달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분노조절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정아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본 연구는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D병원에 입원중인 남성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에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를 실시하고 통제집단 10명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시작 전 두 집단에 스트레스 반응 척도와 정서 체크리스트를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14회기의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종료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스트레스 반응 척도와 정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긍정적 정서 향상과 부정적 정서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 정서 향상 및 부정적 정서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 타악기 연주 중심 음악치료가 알코올 관련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와 정서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지길 기대해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on the stress and emotion of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And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formulat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First, how does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influence stress reduction in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Second, how does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influence emotion in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The subjects of this paper were 20 male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who were hospitalized in D Hospita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1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while 10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 the pre-test was done on the two groups with the stress response scale and emotion checklist. And after finishing the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with 14 sessions, the post-test was performed with the same stress response scale and emotion checkli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stress reduction in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And it also resulted in positive emotion improvement and negative emotion reduction in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This study implies that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bring stress reduction and also positive emotion improvement and negative emotion reduction in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percussion playing-based music therapy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regarding the stress and emotion of patients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afterwards.

      • 중도중복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최해형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위한 커뮤니티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중도중복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ADDIE모형을 변형한 분석, 설계, 개발, 자문의 단계로 주 1회 50분씩 12회기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Cobb(1976)이 정의한 사회적 지지의 구성요소를 재구성하여 ‘지지적 관계형성’(1∼2회기), ‘지지적 관계발달’(3∼7회기), ‘지지적 관계확장’(8∼12회기)으로 단계화하였으며, 커뮤니티 음악치료의 특성인 PREPARE를 각 회기에 일대일 대응방식으로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음악치료 전문가 2인과 특수학교 음악 교사 1인으로부터 자문받은 내용을 수정·보완한 후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음악만들기(Musicking)는 참여자 중심으로 자발적이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강점, 관계적 자원, 커뮤니티의 자원을 중심으로 협업하여 적극적인 음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램의 대상인 중도중복장애 청소년은 장애의 심한 정도로 인해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와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아 사회적 관계망속에 지지가 강력히 요구되는 대상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주변 관계가 확대되는 시기이므로 사회적 지지는 중도중복장애 청소년에게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청소년 대상으로 특화하여 이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커뮤니티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 음악치료놀이극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선정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정서는 유아기에 가장 빠르고 민감하게 성장되며 유아기에 형성된 정서가 이후 인생의 전체를 지배할 수 있기에 유아기의 정서는 매우중요하다.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놀이극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여성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음악중재 프로그램 개발

        이옥경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프로그램은 ADDIE 모형 변형으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자문(consultation)의 단계로 진행하였고 음악치료 전문가 3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단 단계 이론을 근거로 ‘유년기, 청𐄁장년기, 통합 및 노년기’의 3단계로 나누어 구조화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총 12회기로, 매 회기 활동 내용은 도입, 전개, 마무리로 하였다. 도입은 신체이완, 전개는 음악 감상을 통한 회상, 그림책을 이용한 스토리텔링과 음악활동, 마무리는 굿바이송과 함께 활동에 대한 소감을 나누도록 구성하였다. 여성노인은 회상을 통해 과거 삶을 수용하고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자아통합감을 형성하여 성공적 노화에 이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과 같은 시각적 자료를 제시하여 회상으로서 스토리텔링을 유도하고 이는 음악 회상을 보다 구체적이고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악활동은 여성노인의 지나간 삶을 구체화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인생의 이야기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데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삶을 음악회상으로 재경험하고 그 회상을 시각적 자료를 사용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스토리텔링하게 하여 여성노인의 자아통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음악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것에 의의를 지닌다.

      •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황혜진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국문요약 이 연구는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및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 전체와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그룹의 이중문화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둘째, 세 그룹 간 이중문화 스트레스 차이를 비교하였다. 셋째,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 전체와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그룹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넷째, 세 그룹 간 자아정체감 및 하위영역 별로 차이를 비교하였다. 다섯째, 이중문화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상관관계가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N, T, B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1학년∼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중 이중문화 적응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30점 이상의 고득점에 해당되는 아동 18명으로 하였다.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그룹별로 이루어진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는 인사 노래로 시작하여 노래와 관련된 유래나 배경, 이야기 등을 시각적 자료로 소개한 뒤 전래동요 부르기, 손동작을 활용한 동작 활동 및 전래놀이 활동, 가사 토의 또는 치료적 노래 만들기 활동, 국악기 연주 활동을 한 뒤 활동에 대한 느낌을 나누어 보고 헤어지는 노래로 마무리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 이중문화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이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 전체와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그룹의 이중문화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세 그룹 간 이중문화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 전체와 1·2학년, 3·4학년, 5·6학년 그룹의 자아정체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하위영역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도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넷째, 세 그룹 간 자아정체감 및 하위영역 중 주체성, 미래확신성, 주도성, 친밀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이중문화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문화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 중 주체성, 자기수용성, 주도성, 친밀성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 감소 및 자아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래동요 중심의 음악치료를 이중문화로 인해 곤란을 겪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 나아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및 또래 관계,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인식과 선호도에 대한 조사연구

        신완주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인식과 선호도에 대해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교 어학당과 학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과 C문화교육원에 다니며 언어연수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음악인식도, 음악선호도, 일반사항으로 구성된 총 23문항으로 연구자가 각 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담당자와 개별만담을 통해 동의를 얻어 진행되었으며 총 100부가 이메일과 기관방문을 통해 배부되었고 배포하여 7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무응답한 설문지를 죄외한 69부의 설문지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인식에서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 음악인식을 세가지 측면(개인적, 관계적, 집단적)으로 살펴 본 결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 차이는 긍정적 대답이 10.1%, 중립적 대답이 27.5%, 부정적 대답이 62.3%로 부정적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음악과 대인관계에 대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차이는 긍정적 대답이 20.0%, 중립적 대답이 29.0%, 부정적 대답이 50.9%로 부정적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음악과 공동체에 대한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차이는 긍정적 대답이 14.4%, 중립적 대답이 37.7%, 부정적 대답이 47.8%로 부정적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14.9% 중성적인 반응인 31.4% 부정적인 반응이 53.7%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 선호도에서는 선호하는 음악활동은 감상이 63.8%로 가장 높았고 선호하는 음악활동의 참여횟수는 2∼3회로 42.2%였으며 가장 선호하는 음악장르는 대중음악으로 40.6%였고 그 중에서도 힙합을 36.7%로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선호하는 음악의 분위기는 빠르고 경쾌한 음악이 37.7%로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가사의 주제는 사랑으로 42.0%였다. 셋째, 개인변인인 성별, 출생국가, 음악교육 경험에 따른 음악인식과 선호도의 차이에서는 음악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음악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음악인식과 선호도 파악을 통해 이들의 문화적응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