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분석

        서수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파악하여 4년제 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라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에 맞는 전문적이고 심화·확장적인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국에 유아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교육대학원과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생, 앞으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할 계획이 있는 예비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김향진(2008)과 조광명(2012)이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교육대학원생과 재학생,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다.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만족도에 대한 재학생과 졸업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요구도는 재학생 , 졸업생, 예비 교육대학원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카이검증과 F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일부 교과목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대부분의 교과목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교사 양성기관과 교사 재교육 기관 즉, 교육대학원의 설립 목적에 따른 교과목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 째, 각 집단별로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에 진학한 동기는 ‘영·유아 지도를 위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동기에서 졸업생과 재학생은 교육대학원을 선택할 때 ‘교수의 평판이나 학교의 인지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들은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이나 교원자격증 취득’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가장 보상받고 싶은 사항을 분석해본 결과 졸업생과 예비 교육대학원생은 ‘졸업 후 전문직으로의 진출을 가장 기대’하는 반면 재학생은 ‘졸업 후에 자기성취감이나 내적 만족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해서는 대체로 불만족 하고 있었으나 수업이 강의계획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하였으며, 재학생과 졸업생은 수업의 형태가 ‘대부분 교수강의+발표수업+토론수업’이라고 한 반면 예비교육대학원생은 ‘교수강의 형태의 수업’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목표 대상연령은 대부분 ‘영아와 유아를 지도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학위논문 작성은 대부분 ‘4학기에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한 교육대학원이 ‘전임교수의 명성과 인지도 면’에서 타 교육대학원과 차별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는 졸업생과 재학생 모두 보통이거나 별로 만족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 째,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졸업생은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반면 현재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재학생들은 교육과정에 대해 많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학기에 수강하기에 적합한 과목수로 졸업생은 2과목(80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한 반면 재학생은 3과목(45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 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업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대학원의 학생이 대부분 현직 교원임을 감안할 때 수업 시작 시간은 18시30분이나 그 이후에 해야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졸업생과 재학생은 논문작성 과정 시 지도교수의 개별적이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curriculums for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an effort to suggest a more perfect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goal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ultimately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ore professional, enriched and extended curriculu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What is the awareness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3. What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4. What are the needs of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four-year universities that had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ere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grasp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 education students, graduat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prospective graduate education students who planned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odifying Kim Hyang-jin(2008)'s questionnaire and Cho Kwang-myung(2012)'s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look for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in the way of loo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and 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abo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urriculums. Besides, x2(Chi-square) test and F-test were utilized to see if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graduate students,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in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f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of the four-year universities and those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veral courses, but no great disparities were found in most of their course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s of the two according to their goals, namely whether to provide reeducation for existing teachers or foster new teachers. Second, the motivation of the students to enter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most common motivation was to acquire new knowledge necessary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guidance. Their motivation to cho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currently attended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took more considerations on the reputation of professors or the awareness of school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placed more importance on what courses were offered or considered it more important to acquire a teacher certificate. What kind of rewards they expected to receive the most after graduating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asked,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graduates and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o work in a more professional field, while the biggest number of the graduate students expected they woul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or be contented with themselves after graduation. All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way of runn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s on the whole, but they replied the curriculums were managed in a systematic manner according to the prepared syllabus. Concerning their favorite form of instruction, the graduate students and the graduates asked for a combination of professor lecture, presentation class and discussion class, whereas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o atten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They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objects of the curriculums were mostly related to what it took to teach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they started to work on their theses mainly in the fourth term. They chose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y attended primarily because of the reputation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outstanding awareness of the schools. Third,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with curriculum management, both of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replied, "So-so," or were little satisfied. Fourth, their nee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were analyzed. The graduates didn't expect much from the curriculums, whereas the graduate students were demanding. The graduates who numbered 80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wo courses per semester, while the graduate students who numbered 45 considered it most advisable to take three courses per semester.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s for a time to start a class, the largest group replied it should be 18:30,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that aspect. As graduate student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mostly teachers, it will be advisable to start a class at or after 18:30. In regard to writing a thesis, the graduates and the graduate students wanted advisers to give individual and detailed guidance, while the prospective graduate students wanted that a wide variety of courses relate

      •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

        정진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발달에 있어 중요함을 인식시키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심리적․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위한 자녀 양육 및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치원 6곳과 어린이집 14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49명과 그들의 어머니 2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학급의 담임교사 28명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평정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해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가 개발한 가정에서의 자기표현질문지(Self-Expressiv 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의 간편형 척도를 여은진(2009)이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은희(2008), 구희정(2010)이 수정․번안한 LeBuffe와 Naglieri(1999)가 제작한 자아탄력성 측정도구인 DECA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를 참고하여 엄소명(2013)이 어머니용 평정문항으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ink(1993)가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우리나라에 맞게 김난영(2001), 안선희(2002), 임원신(2006), 김현경(2009)이 수정․번안하여 일반적응 2문항을 제외하고 사용된 설문지를 재구성한 김현진(201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적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후 Sheffe의 사후검증을 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일반적인 경향은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중간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일반적인 경향은 모두 중간 수준 이상으로 높았다. 어머니 배경변인 중 취업유무와 가구 월평균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고등학교 졸업 및 대학교 중퇴인 학력의 어머니들 보다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이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더 높았다. 유아의 배경변인 중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차이가 없었다. 반면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전체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적응을 더 잘하였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아상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친사회성, 기관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일과에 대한 적응에서 남아보다 여아가 점수가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상관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은 낮은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는 어머니의 유아는 자아탄력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주도성, 자기통제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This study targeted 249 children in 4&5-year old of six kindergartens and 14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their 249 mothers while total 28 room teachers rated the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this study used the simple-scale of the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 Fox(1995), which was modified/adapted by Yeo, Eun-Jin(2009). To measure th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scale used as the rating questions for mothers by Eom, So-Myeong(2013), referring to the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as a measuring tool for ego-resilience produced by LeBuffe & Naglieri(1999), which was modified/adapted by Jeon, Eun-Hee(2008) and Gu, Hee-Jeong(2010). To measure the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his study used the tool by Kim, Hyeon-Jin(2014) recomposing the questionnaire except for two questions about general adjustment, based on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 Kostelink(1993), which was modified/adapted by Kim, Nan-Yeong(2001), Ahn, Seon-Hee(2002), Im, Won-Sin(2006), and Kim, Hyeon-Kyeong(2009) suitable for Korea. After conduct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for the collected data, the Sheffe's post-test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tendency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higher than the medium level while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lower than the medium level. The general tendencies of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were both higher than the medium leve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in accordance with the matter of employment and the monthly average income for household out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 mot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enrollment in graduate school or higher showed the high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the mothers with the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ion of high school & drop out of university. Out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young childre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sex and age of young children, and no differences in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in accordance with age of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ex of young children. In the results of post-test, boys were better than girls in the whole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Examining it in each subfactor, the ego-stat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boys were better than girls for prosociality, emotional state at institutes, adjustment between peers, and adjustment to daily schedule. Seco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of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and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hil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and adjustment to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the low correlation. When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was higher, th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was high. The young children whose mothers showed lots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ou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of mothers, showed the low ego-resilience, and also showed the low scores at initiative and self-control out of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이미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lay belief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belief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se research goals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educational career, final education, institutiontype, class age)? 2.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career, final education, institution type, class ag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homeroom teachers of 3, 4, and 5-year-old classes and mixed-age classe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the play beliefs tool developed by Kim In-ae(2022) was used, and to measur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tool developed by Lee Jeong-suk(2003)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lay belief from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pertheir educational career and institution type. As for the difference in play beliefs by the educational caree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differences in “An infant is an exitance that needs to be protected and taught”,“Teachers are support and supporters”, and “Teachers are supervisiors and planners”. In “Teachers are supervisiors and planners”, the average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nursery teachers.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by the teacher's teaching career, there was a difference in verbal interaction, 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was higher in overall interaction by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raction by class age. Third, in the sub-factors of teachers’ play belief, there was a notable correlation regarding to teacher-child interactionwhen “an infants is a competent existence to learn by themselves”, “the play itself is learning”, and “teachers are support and supporters”. However,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s’ play belief,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t can be the resul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how the teachers understand themselves, the child, and the play in the child's play, a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is actively performed when the teachers clearly recognize their positions as a support and suppor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ppropriate play belief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re related, and it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play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field. Therefore, professional education for teachers and teachers' voluntary efforts are needed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form positive play beliefs and to support high-leve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정 유아교육전공 이 미 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 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교육경력, 최종학력, 근무기관 유형, 학급연령) 에 따른 놀이신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교육경력, 최종학력, 근무기관 유형, 학급연령) 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3, 4, 5 세 및 혼합연령 학급의 담임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김인애(2022)가 개발한 놀 이신념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이 정숙(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빈 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적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신념은 유아교사의 교육경력, 근 무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놀 이신념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는 보호받고 가르침을 받아야 할 존재’, ‘교사는 지원·지지자’, ‘교사는 감독·계획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 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서는 ‘교사는 감독·계획자’에서 유치원 교사의 평 균이 어린이집 교사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교사의 교육경력, 최종학력, 학급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 호작용의 차이를 살펴보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 의 학력에 따라서는 전체 상호작용에서 대학원 졸업이상 교사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놀이신념 하위요인에서 ‘유아는 스스로 배우는 유능한 존 재’, ‘놀이 그 자체가 배움’, ‘교사는 지원·지지자’일 경우 교사-유아 상호 작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놀이신념 하위요인 중 ‘유아는 보호받고 가르침을 받아야 할 존재’, ‘놀이는 학습의 수단’, ‘교 사는 감독·계획자’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교사가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과 유아, 그리고 놀이를 어떻 게 이해하는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관계가 있으며, 교사가 지원·지 지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인식할 때 교사와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적절한 놀이 신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며, 현장에서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 수준을 높이는데 있어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놀이 신념 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놀이 신념 형성 을 돕고, 교사와 유아 간의 수준 높은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 의 자발적인 노력과 교사 전문성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 연구

        마혜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과정 마 혜 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유치원에 재직, 3-5세를 담당하는 교사와 어린이집·유치원에 자녀가 재원 중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28일~5월 16일까지 방문, 우편, e-mail, 모바일로 배포하여 어린이집 교사 120부, 유치원 교사 100부, 총 220부 중 198부(90%)가 회수되고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 180부, 유치원 이용 학부모 100부, 총 280부 중 255부(91%)가 회수되었다. 그중 누락되거나 부실 기재된 20부를 제외한 43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이기숙 외(2011)의 ‘미디어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내용’과 보건복지부 외(2013)의 전자미디어의 범주 및 활동방법, 미래창조과학부 외(2013)의 미디어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주효정(2009)의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실태 등을 참고해 질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해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인식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은 두 집단이 유사하게 응답한 의견을 중심으로 정리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경험,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에게 위험한 것인지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스마트기기와 그에 대한 관심도는 교사와 학부모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 교육이 누리과정 내용범주에 포함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필요성 정도는 교사와 학부모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와 학부모는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일부 있었고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내용에 따른 필요성 중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기기의 과몰입 위험성에 대한 내용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터넷 세계에서의 인터넷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을 교육할 필요성’, ‘유해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선택 및 활용에 대한 내용 교육의 필요성’에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스마트기기의 적정이용시간에 대한 기준을 안내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가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지도원칙, 적절한 교수매체, 적절한 활동형태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가 없었다. 반면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바람직한 연령을 교사와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만3세~만5세가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연령임을 높은 비율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외의 연령에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적절한 실시횟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그룹형태, 적절한 담당자, 교육 실시에 필요한 자료, 적절한 교육 장소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대상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 경험,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참여 정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거나 소극적인 원인,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행 및 보완점에 대한 개방형 문항에서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과 연계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등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이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실제적인 실행을 위해 국가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a, Hye-Mi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ucksung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about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problem of safety education and activation plan for smart devices. This study was done targeting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 to 5 year old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he children's par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for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120 copies) and kindergarten(100 copi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28, 2004 to May 16 in person, by postal mail, e-mail or mobile and collected 198(90%) out of them, and 255 copies(91%)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280 questionnaires for parents using child care centers(180) and kindergartens(100).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33 copies excluding 20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or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The Needs and Contents for Media Safety Education' by Lee, Gisook, et al.(2011), 'The Category and Activity Method of Electronic Media'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2013), 'A Teacher's Guidebook for Media Safety Education Program' b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3), and Teacher’s Understating and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 by Joo, Hyojeong(2009).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χ²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imilar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smart devices and risk of using smart devices for children.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smart devices effecting on children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smart devic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regards to perception of recognizing whether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is includ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level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ost of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tha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s needed while some of them did not agree with its necessit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among the items of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ncluding 'th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s on children's health',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risk of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ethics consciousness on internet', and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choice and utilization of self-protecting from harmful smart devices'. On the contrary, both teachers and parents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guidelines to criterion of appropriate set time dur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 It had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guidance principl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proper instructional media, and proper type of activity. Although teachers and parents had in common with perception at high rates that children aged 3 to 5 are desirable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there was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any other aged children,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a proper frequenc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 proper type of group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 proper practitioner, a necessary material for implementing education, and a proper educational sit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the related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cours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immediate problems to address the failure or passiveness of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activation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mong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o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complementing problems,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commonly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conne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home'. Accordingly, it also needs to put forth a multilateral and continued effort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o make a national effort for its actual implement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for future studies. First, fur

      • 남자영유아 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남자영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연구

        최종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최종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원장 및 교사)의 직책 및 남자영유아교사의 근무경험 유무에 따라 남자영유아교사의 필요성 인식과 자질과 역할, 현황 및 증가 방안에 대해 유아교육기관(원장 및 교사)의 인식을 연구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관리자 및 교사(5개 유치원, 17개 어린이집)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집 방법은 임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배포는 서울과 경기도에 총 400부를 22개 유치원 및 보육시설에 배포하여 320(80.0%)을 회수하였고 결측자료 31(0.8%)을 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된 유효 응답자는 289명(72.3%) 이었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Frequency)을 실시하였고,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경험 유무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인식차이를 보기 위해 T-검증 및 교차검증(𝝌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남자영유아교사의 필요성 인식은 긍정적이며, 영유아의 성 역할 발달 및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에 적합하여 필요하다는 측면이 가장 두드러진다. 둘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남자영유아교사의 필요성 인식 중 행사, 시설, 행정 관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시각과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셋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교직원의 인식은 남자영유아교사를 경험한 교사의 인식이 보다 더 긍정적이며, 특히 남자영유아교사를 경험 후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남자영유아교사와 여자교사의 능력 차이에 대해 남녀교사의 능력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인식해 성별의 차이는 크게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영유아교사와의 근무 경험 유무에 따라 남자영유아교사의 증가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며, 구체적인 방법은 멘토링(후견인)제도 도입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방의 유치원과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지역적 한계가 있으며, 남자영유아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이같은 제안점을 보완하고, 동시에 남자영유아교사의 경험과 관련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남자영유아교사에게 바라는 점 등을 보다 면밀히 조사하는 질적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자영유아교사를 면밀히 관찰하여 남자영유아교사의 인식, 장단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도구의 개발도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남자영유아교사의 증가를 위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행정부 및 연구기관에서는 남자영유아교사의 증가에 관한 연구를 공모하고 연구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넷째, 남자영유아교사의 증가 뿐 아니라 교직원들의 근로 조건 및 급여, 복지수준이 행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유아교육기관 초. 중등 교직원의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정책이 필요하다 하겠다.

      •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의 효과와 개선점 연구 : 서울특별시 소속 퇴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신은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의 효과와 개선점 연구 - 서울특별시 소속 퇴직 공무원을 중심으로 -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과정 평생교육전공 신 은 주 이 연구는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이 퇴직 후 생활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퇴직준비 교육에 참여했던 20명의 퇴직자를 대상으로 퇴직준비교육이 퇴직 후 삶의 문제에 얼마나 활용되었는지를 개별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퇴직 후 생활상의 문제는 경제적인 것과 사회문화적인 것으로 구분하였다. 응답자 반응을 분석한 결과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이 퇴직 후 생활상의 문제 해결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많은 응답자는 퇴직준비 교육을 일과성의 의례적 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해당 교육이 퇴직 후 생활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었다고 지각하지 못하였다.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은 특히 경제적인 문제의 해결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교육은 퇴직자들이 직업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하는 데 미약했다. 해당 교육은 또한 퇴직 후의 계속교육, 평생교육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퇴직자들은 퇴직 후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평생교육 수강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고 참여 의사도 매우 낮았다. 이 연구는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이 퇴직 후 생활상 문제의 해결 능력 배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퇴직준비 교육은 퇴직자들이 퇴직 후 생활에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당면하게 될 주요 문제를 순조롭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퇴직준비 교육은 이러한 문제 해결 능력들을 전반적이고 종합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공무원 퇴직준비 교육의 목표는 보다 명료하게 설정되어야 하고, 그에 기초하여 보다 적절한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교육의 방법도 성인학습의 원리, 평생교육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퇴직자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고, 퇴직 상황에서의 문제해결에 주안점을 두어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방법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요컨대 퇴직준비 교육은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에 초점을 맞춰 문제해결 중심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퇴직준비 교육이 퇴직 이전과 퇴직 이후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심화, 보완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how much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for civil servants will be helpful to their lives following retirement. Upon this, how much such training has been used for their lives after such retirement was evalua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from 20 retirees having participated in that training. The problems that they would face in their lives after retirement were divided into two: economic and socio-cultural. The analysis of respondents’ reaction has confirmed that the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or education for prospective retirees is of little use to solve their problems occurring in their after-retirement life. Many respondents regarded such education as transient and ritual, and did not recognize that such education would help them deal with their daily life after retirement. The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for civil servants was found to be especially insufficient to solve economic problems. Such training was not effective enough to make retirees get an opportunity to work more or less professionally. Also, such training failed to develop into continui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fter retirement. Retirees failed to make active use of the opportunity to take lifelong education designed to improve their after-retirement quality of life, and their interest in joining such education was very lukewarm too.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for public officials is not sufficient enough to achieve the goal of fostering the problem-solving skills in life after their retirement.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should put emphasis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smoothly tackle majo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which retirees will face after their retirement. However, the existing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do not have the overall, comprehensive contents and methods allowing for development of these problem-solving skills. Thus, the goal of retirement preparation training for civil servants should be set more clearly, and appropriate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principles of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should be utilized actively in terms of training methods. Further, the needs of retirees should be reflected as much as possible, curriculums provided with an emphasis on after-retirement problem-solving,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stressed. In short, it is desirable that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around problem-solving with the focus on the needs and requests of learners. It is necessary as well that such retirement training activates organic relationships with lifelong learning programs within the community so that such training can be deepened and complemented while being made continuously in tandem with conditions before and after retirement.

      • 유아교사의 현직교육에 관한 연구

        김명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천주교 서울 대교구 소속 유아교육 기관 교사들의 일반 현직교육과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에 대한 참여도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여 가톨릭 연합회 소속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현직교육에 대한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일반 현직교육에 대한 참여, 만족, 요구, 저해요인은 교사의 배경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일반 현직교육의 참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일반 현직교육의 만족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일반 현직교육의 요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4. 일반 현직교육의 저해요인은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에 대한 참여, 만족, 요구, 저해요인은 교사의 배경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참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만족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요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4.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저해요인은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32곳 유치원 교사 156명과 어린이집 24곳 보육교사 184명 인 총 340명 이었다. 총 340부의 질문지를 배부한 결과 311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율은 85%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일반 현직교육과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참여도, 만족도, 요구도, 저해요인을 교사의 경력, 학력 및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분석 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현직교육의 참여도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05), 교사의 경력에 따라 1년 이상 3년 미만의 교사들과 5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이 1-3회 현직교육에 많이 참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001), 유치원 교사의 경우 골고루 일반 현직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71.26%가 1-3회 미만으로 현직교육에 참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력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94, 교사의 학력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95, 기관의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95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현직교육의 요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일반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 과목으로 놀이치료 및 음악치료, 유아의 창의성 발달, 부모교육 순으로 교육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 현직교육의 저해요인은 교사의 경력, 학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과중한 업무가 일반 현직교육의 높은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참여도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1), 1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의 참여도가 제일 낮았다. 교사의 학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관의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01), 어린이집 보육교사들 보다 유치원 교사들이 가톨릭 연합회 현직교육에 더 높게 참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력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79, 교사의 학력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76, 기관의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평균 3.79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교육에 관련된 과목보다는 유아교육 전공과목에 대한 현직교육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여덟째, 가톨릭 연합회 주최 현직교육의 저해요인은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ing a random sampling of participants from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s kindergarten instructors and daycare providers, the subjects they should study or want to study during their in-service training.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desired subjects, and difference in the challenges felt by teachers in their in-service training?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felt by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1-3.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what subjects teachers want to study during their in-service training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1-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llenges felt by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desired subjects, difference in the challenges felt, by a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a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felt by a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2-3. Are there any differences on what subject teachers want to study by a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2-4.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llenges felt by a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In order to collect this data, questionnaires were sent to participants of this survey. 32 kindergartens and 24 day-care centers belonged to the Catholic Archdiocese of Seoul. 340 questions were distributed for use in this analysis and 311 were retuned, for an 85% return rat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between experience levels.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erience, 56.52% of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in-service training courses 1 to 3 times annually however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the participation level was lower. Also, depending on the education level, most teachers, on average, participated in 1 to 3 training courses annually though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at the graduate level. In regards to the kindergarten and caregivers cen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most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more than three training sessions annually but caregivers did not participate more than 1 to 3 times annually. Secon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as felt based on the level of experience, education levels,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between education levels. Additio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s between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ird, among the desired subjects to study; 109 teachers wished to study play and music clinics while 84 teachers wished to study childhood creativity development and 79 teachers wished to study childhood and parental counsel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what subjects teachers want to study during their in-service training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giver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allenges felt by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depending on the experience level 67.22%, educational level 67.0% said their workload prevented them from furthering their studies. This answer was most prevalent among teachers with fewer than 1 year of experience. The second biggest hindrance to furthering their studies was a lack of fun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 There appears to be difference between caregivers or kindergarten teachers.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Among experience levels,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the low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the Catholic Teachers' Union traine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among education levels. There appears to b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between caregivers or kindergarten teachers.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Catholic Teachers' Union trainees was lowest among all caregivers. Six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was felt based on the level of experience, education levels,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between education levels, education levels. Additio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s between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Seventh,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the most requested subjects based on experience levels, education levels,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e 65.55% of all teachers said that they wanted to major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during their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teachers' in-service training. Eigh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allenges felt by within the Catholic Teachers' Union sponsored in-service trainees based on the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the teachers' educational level.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level 53.98%, educational level 54.36% said their workload prevented them from furthering their studies. The results stated above show the biggest problem that must be solved is the teacher's lack of time to continue their studies. Furthermore, teachers must be provided with education in specific subjects and an effort must be made in providing top quality education.

      •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교사교육 요구 조사

        이희나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Knowledge of food allergy in infant and child teachers teacher Education Needs Surve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Lee, Hee 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allergy knowledge and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on food allergy. The research problems set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infant and child teachers on their knowledge of the food allergy? 1-1. How are infant and child teachers the level of knowledge of food allergies? 1-2. How are knowledge of the food allergies of infant and child teacher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type? 1-3. How are knowledge of the food allergy by its personal variables, i.e. career, marital status, presence of children, experience of guidance for infants with food allergy, and experience of teacher education on food allergy? 2. What is the teacher education requirement for food allerg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subjec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oriented to 436 teacher in total composed of 177 kindergarten teachers and 259 day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food allergies of infants and toddler teacher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s of Kang Min-jung(2017), Go Se-rin(2017), Kim Soo-bin(2016), Lee Eun-yong(2018), Choi Hyun-joo (2017), Food Safety Agency(20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tety(2016), Han Young-shin and Lee Yoon-na(2016)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llergy teachers for infants and toddlers, we used the questionnaire of Jung Mi-sun(201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ne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infants and toddlers.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one-way ANOVA, Scheffé's post test was conducted.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llergy of infants and child teachers according to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food allergy items of infant and child teacher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infants with food allergy. However, the knowledge score for the definition of food allergy was low. Second, knowledge of food allergie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of daycare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kindergarten teachers. Third, Knowledge of food allergi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infant and chil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 of knowledge of food allergy, such as teachers with a lot of experience, married teachers, presence of children, teachers with xperience in teaching infants with food allergy. It can be seen that teacher education is necessary to increase knowledge of food allergy. Kindergarte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less food allergy teacher education compared to those who had more experience with infants with food allergy. The education of food allergy teachers in kindergarten should be relatively strengthened. Fourth, Most infant and child teachers were wanted for food allergy teacher education needs. This i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symptoms and the lack of food allergy knowledge. The frequency of food allergy education was higher than twice a year, and the food allergy teacher education for infant and child teacher should be done through the Children Food Service Management Support Center. However, in the case of kindergarten, there was more demand for the Education Support Agency. The type of education respond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education in the form of visi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food allergy teachers demanded coping method and food allergy management manual in case of food allergy. The demand for guidance on the training schedule was high in the answers that the Education Support Agency wanted to guide. Through this survey, ca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at are increas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is needed. Knowledge of food allergies is highly proportional to education of food allergy teachers, so teacher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know food allergy. The education of food allergy teachers should be expanded so that infant and child teachers can receive food allergy teac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ood allergy teacher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aking teacher education materials. 국 문 초 록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교사교육 요구조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 희 나 본 연구에서는 생명을 위협 할 수 있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해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지식과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은 어떠한가? 1–1.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지식수준은 어떠한가? 1–2.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은 기관유형에 따라 어떠한가? 1–3.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은 개인변인(경력, 결혼 여부, 자녀유무,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 지도경험 여부,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경험 여부)에 따라 어떠한가? 2.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유치원(국공립, 사립, 부설), 어린이집(국공립, 민간, 가정, 직장)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총 4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지식은 강민정(2017), 고세린(2017), 김수빈(2016), 이은용(2018), 최현주(2017)의 설문지를 수정·보완한 도구와 식품안전추진단(2010), 식품의약품안전처(2016), 한영신, 이윤나(2016)의 선행연구 문헌을 수정·보완하여 조사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미선(2011)의 설문지를 주제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지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적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독립적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 문항별 지식의 수준을 조사한 결과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에 대한 이해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품알레르기의 기본적인 부분인 식품알레르기 정의에 대한 지식평균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기관유형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지식은 유치원교사보다 보육교사가 전반적인 식품알레르기 지식 평균이 높았다. 이는 어린이집에서는 ‘3차 평가인증 통합지표’에 식품알레르기 관련 항목이 포함되어 자체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방문교육이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지식은 경력이 많은 교사, 결혼을 한 교사, 자녀가 있는 교사,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를 지도해본 경험이 있는 교사,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가 식품알레르기 지식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치원교사의 경우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들을 더 많이 경험한 것들에 비해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은 적게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치원에서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이 상대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 요구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가진 원아의 증가, 식품알레르기 지식의 부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식품알레르기 교육의 횟수는 1년에 2회 정도가 적절하며,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를 위한 교사교육은 어린급식관리지원센터를 통해 이루어지면 좋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유치원의 경우 소속된 지원청인 교육지원청에 대한 요구가 더 많았다. 교육의 형태는 유치원, 어린이집을 방문하는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 졌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고,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 내용으로는 식품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법과 식품알레르기 관리매뉴얼이 필요하다고 요구, 교육일정안내에 대한 요구는 교육지원청에서 안내를 원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증가하고 있는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영유아들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며, 영유아와 가장 가까이 있는 영유아교사들이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도 나타나듯이 식품알레르기 지식은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과 비례하여 높게 나타나므로 식품알레르기를 알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교사들이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사교육의 방향이 제시되고 교사교육 자료를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

        최가영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경력, 근무기관 유형, 학력)에 따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을 알아보고,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경력, 근무기관 유형,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만 3∼5세 유아의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양유진(2018)이 개발한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김원준, 김은아, 오세경(2019)이 개발한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설문지’와 이민영(2017)이 개발한 ‘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산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르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공립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립유치원 교사보다 직장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르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대학원 재학 및 졸업한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요인에서 대학원 재학 및 졸업한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 인식 전체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테크놀로지 유아교수내용 지식이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장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테크놀로지 지식과는 가장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사의 학력,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과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함양을 위한 교육 및 코딩교육과 관련한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에 일관적으로 적용되는 국가 차원의 구체적인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