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단 활성슬러지 시스템을 이용한 저온에서 하수의 질소제거

        정금희,손정희,박종복,이용희 ( Keum Hee Jung,Jung Hee Shon,Jang Bok Park,Yong Hee Lee ) 한국물환경학회 1998 한국물환경학회지 Vol.14 No.1

        Nitrogen removal study of municipal wastewater was carried out in A City`s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dual sludge system. The dual sludge system consists of anoxic tank, oxic tank, and clarifier followed by Modified Ludzack-Ettinger(MLE) system. For nitrogen removal, methanol was used as an external carbon source in the anoxic tank. This process showed the effluent quality, achieving 81% of COD_(Cr), removal and 71% of total nitrogen removal. Influent wastewater contained 199∼548㎎/l of COD_(Cr), and 51∼83.8㎎/l of total inorganic nitrogen. The final effluent contained 42∼150㎎/l of COD-Cr and 11.2∼33.5㎎/l of total nitrogen. The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and C/N ratio in the anoxic tank were 0.1∼0.34 (gNO₃-N/gVSS/d) and 3.06∼4.64 (gCOD consumed/gNO₃-N removed), respectively, at the range of 4∼14℃ of temp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손상기 예술의 내적 서정성에 대하여

        정금희 ( Kum Hee J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50

        본 논문은 장애를 지니고 있었으나 누구보다 감성적이며, 뛰어난 색채감각을 지녔던 손상기의 내적 서정성이 깃든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손상기는 1980년대 우리나라가 가장 빠르게 변해가던 과도기의 상황 속에서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사회적 상황을 예술로서 승화시켰던 작가이다. 그는 소외 받은 가난한 자들의 삶 속에서 향토적 소재를 토대로 내적 서정성을 뿜어내는 작품을 추구하였다. 그의 예술적 특징은 자신이 살아가던 사회의 변화에 맞춰, 혹은 그가 정착한 장소에 따라 자연스럽게 표출된 내적 직관을 작품의 주요화제로 삼았던 점이다. 손상기가 보여준 내적 심상표현의 형태와 주제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화의 단계를 거친다. 고향이던 여수에서 대학을 다닐 때까지는 주로 고향의 자연에 관한 <흑산>, <화물선>, <국화꽃> 등을 그렸다. 1979년 상경 한 후 아현동에 둥지를 틀면서 <시들지 않은 꽃>, <취녀> 연작을 비롯해 빈민의 삶을 다룬 <공작도시> 연작을 내놓았다. 건강 상 서교동으로 옮겨 죽을 때까지인 말기에는 병상에서 다시 자신의 가족과 고향을 주소재로 한 작품을 그렸다. 이처럼 손상기는 머무는 시간과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삶의 형상을 새로운 주제로 재현해 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손상기의 예술세계에서 보여 지는 내적 서정성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작품에서 나타나는 소재들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 손상기의 작품에 나타난 서정성의 소재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각각에 담긴 의미를 분석했다. 이 중 그에게 특별하고 애절했던 삶의 터전이자 배경이 된 고향에의 애정을 비롯해 자기애와 가족애에 대한 소재를 이용한 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신체적 장애와 가난, 이룰 수 없는 사랑,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고향의 향수가 진솔하고도 특별한 방식으로 묘사돼 있다. 이는 곧 삶이 그의 예술 안에 리얼리티로 반영되고 추구됐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정성은 결국 세상과의 소통을 향한 손상기 내면의 절규와 진정한 외침으로 이해되고 있다. This thesis studied works with inner lyric aspect painted by Son Sang-Ki who was sensitive than anyone else, showed excellent color sense, though he was the disabled. Son Sang-Ki was an artist who overcame his physical disorder and sublimated social situation into the arts in the midst of transition period when our country was changing most rapidly in 1980s. He pursued works with inner lyric aspect based on folk material in the stage of life of the poor who lived on the margins of society. His artistic characteristic is that he naturally created works based on inner intuition in line with social change he experienced or a place he lived in. For form and theme of inner image expression he showed, he had painted works related to nature of his hometown like <Heuksan>, <cargoship>, <chrysanthemum> etc. until university days in Yeosu. After he moved his studio to Seogyo-dong, he painted <drunken lady> series, <flower without withered>. From the time when he moved to Seoul, he painted <city of construction> series where he dealt with social problem centered on Ahyun-dong. His final works were drawn on sickbed with the material about his family, hometown etc. Whenever he moved to other places and times, he naturally reproduced appearance of life with new themes. This study investigated lyric aspect shown in Son Sang-Ki`s inner artistic world, material of works, and their meanings. To do this, his 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 with lyric aspect and each meaning was analyzed. Among them, this study explored works using material about love for hometown, self-love, love for family which are touching, special ground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its background, though such a material is method and process of basic life that common people pursue. Son Sang-Ki`s paintings depicted physical disorder, poverty, hopeless love, longing for mother, nostalgia for hometown in a special method called truth. That is, life was reflected in his theory of the arts as reality and then was pursued. Through lyric aspect shown in Son Sang-Ki`s paintings, inner exclamation and voi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could be identified.

      • KCI등재

        ‘장난감과 혼자 노는 어린이’ : 자동화된 얼굴탐지 영상분석을 통한 장난감 중심 유튜브 키즈 동영상의 사회성 고찰

        정금희(Kum Hee Jung),윤호영(Ho Young Yoon)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1

        본 연구는 유튜브 키즈 동영상에 나타난 아이의 사회성을 탐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키즈 동영상의 대부분이 장난감 중심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동영상에 나타나는 아이의 사회성을 고찰하였다. 어린이 유튜버 채널의 동영상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장난감 동영상’과 ‘장난감 없는 동영상’의 등장 인원수와 전체 장면 중 인물등장 장면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의 차이를 영상 분석한 결과, 장난감 동영상의 등장인원 수가 장난감 없는 동영상보다 2.036명 더 적게 나타났으며, 2명 이상 출연하는 장면의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동영상 속 어린이들의 사회성 수준에도 차이를 보여 장난감 동영상의 경우는 독립자 역할이 주로 부각된 반면, 장난감 없는 동영상의 경우는 독립자의 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촉진자 역할은 장난감 없는 동영상에서 우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난감 동영상에 나타난 아이의 모습이 상대적으로 사회성이 저조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방법론적으로 동영상 분석을 위해 OpenCV를 활용한 자동화된 얼굴 탐지 영상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연구를 커뮤니케이션 내용분석과 결합시킨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paid its attention to the sociability of YouTube Kids video. Particularly, the study has interested in how videos with and without toy differ. We focused on the children YouTuber’s channel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eople appearing in the “toy videos” and the “toy-free videos” and the proportion of the scenes in which the person appears in the entire video. Automated imag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ct human face(s) in the video and to count the number of face appea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ity was analyzed by qualitatively evaluating the sociality of main character. According to the our study result, there were 2.036 fewer people in toy-videos, and the proportion of scenes with two or more people was low.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sociality level of the children in the video. In the case of toy-videos, ‘independent player role’ was appeared 40 times, whereas toy-free videos never appeared such role. Rather, ‘facilitator role’ was dominant.

      • KCI등재
      • KCI등재

        마리 로랑생 예술의 디아스포라 성향 연구

        정금희(Jung, Kum-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2

        마리 로랑생은 파리 아방가르드 회화에 한 획을 그은 화가이다. 야수파, 입체파의 성향을 보이지만 자신만의 독창적 예술세계를 구축한 그녀는 세계 1·2차 대전의 와중에 본의 아니게 망명 생활을 체험하며 조국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과 외로운 감정을 겪게 된다. 인간은 누구든 태어난 고향이나 고국을 가지고 있는데 고국을 떠나 타국에서 살게 되면 고국에 대한 그리움은 생명체의 본능과 다름없다. 디아스포라(Diaspora)는 세계적으로 분산된 민족을 뜻하며, 확장되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질서 속에서 주목받고 있다. 미술계 역시 고국을 떠나 이민자로서 삶을 영위했던 많은 화가들이 있는데 마리 로랑생도 그중 한 작가이다. 과연 마리 로랑생을 디아스포라 성향의 작가로 말할 수 있는가? 그의 예술에서 디아스포라적인 작품 유형은 무엇이며 예술의 가치성은 어떠한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 연구하였다. 마리 로랑생의 예술은 화단의 흐름을 수용하여 브라크, 마티스, 피카소 등 많은 작가들에게 구성, 색채 등 다각적인 면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그녀는 타국에서 느낀 감정을 고독한 자화상과 동성애 감정을 통해 위안을 찾고자 했다. 마리의 그림에 나타난 자신의 초상과 많은 여인들, 그리고 동·식물 그림에 보이는 은유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 속에서 디아스포라적 감성을 추출해 본다. Marie Laurencin as a Paris artist who goes down in the avant-garde, at one time, displayed fauvist and cubist tendencies, also created her own unique art. She experienced a life in exile against her will while going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and, with her longing for her home country, she sublimated her loneliness into art. All human beings have their homes or their homeland, and when one leaves one’s homeland to live abroad, it is the instinct of the creature to long for one’s homeland. Diaspora refers a people dispersed all over the world, and it is receiving attention within the expanding new order of modern society. In the art world also, there are many artists who have lived their lives as immigrants, and Marie Laurencin is such a one. Indeed, can Marie Laurencin be referred as an artist with a diasporan tendency? Then, what is the diasporan patterns in her art? And what is the value of her own work? These are the questions raised for this study. Marie Laurencin’s art accommodated the flow of the art world, having been influenc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form and color from many artists including Braque, Matisse, and Picasso. Also she expressed the metaphorical and fantastic images by choosing the images of her lovers as well as plants and animals as her material in order to find solace in her solitary self portrait and the same-sex, away from the feelings she felt in a foreign land.

      • KCI등재후보

        김환기 예술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전라남도 신안에서 태어난 김환기는 일본, 프랑스, 미국의 뉴욕을 삶의 터전으로 하여 화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고국에서의 짧은 삶을 뒤로 하고 뉴욕에서 성공한 화가로 말년을 보냈으나, 그림의 근원인 정서와 지배적 의식은 고국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었다. 실제 그는 자신이 아무리 변모한다 해도 한국 사람이고 자신의 그림은 세계적이기보다는 민족적이라고 고백한 바 있다. 이 때문에 그의 그림 소재 대다수가 한국의 자연과 생활 속에서 흔히 보았던 기물들이었다. 특히 대표적 소재인 백자는 한국적 특성을 응축하고 있어 김환기의 그림에 가장 많이 등장했다. 섬이 고향인 그는 바다의 색깔이라 할 수 있는 푸른색을 주조로 한 그림을 다수 그렸다. 투명하나 고요히 가라앉아 있는 청색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 차 외롭고 쓸쓸한 화가의 감성을 표현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적합한 색채였다. 김환기는 생전에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조명된 적이 없다. 이는 디아스포라 연구가 1980년대 이후에 시작되었다는 점과 궤를 같이 하나, 김환기의 삶을 디아스포라 삶의 틀에 적용해 보면 뚜렷한 등식이 전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그는 비록 몸은 이역만리에 있으나 종족과 조국에 대한 집합적 기억과 집단 및 귀환 의식, 조국의 발전에 대한 관심과 헌신, 상호작용 등에서 디아스포라 작가임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김환기의 작품은 추상이미지에서도 정체성과 향수를 잘 담아내 보여준다. 특히 우주와 자연의 질서를 담아내는데 있어 음양의 원리를 적용시키고 있으며 인간을 중심으로 한 생명체 하나하나에 무한한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 존중했다는 점에서 동양인과 교집합 된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확실히 드러내 인식시킨다. Kim Hwan-ki, who was born in Shinan, Jeollanam-do, lived his life as a painter having Japan, France, and New York, the U.S., as his homes. Although he finished his short life in his homeland and spent his later years in New York as a successful painter, his emotion and dominant conscience, the sources of his paintings, were longing for his homeland and hometown. Actually he confessed that no matter how much he might change, he would be still a Korean and his paintings would be ethnic rather than international. Thus, most of the materials of his paintings were objects that could be easily seen in Korean nature and lives. Especially, the representative material, white porcelain, contained Korean characteristics and appeared in Kim Hwan-ki’s paintings the most. He, whose hometown was an island, drew many paintings that had blue, the color of sea, as the main color. Blue, transparent yet solemn, was the most appropriate color to express emotion of the painter who was lonely and full of longing for his hometown. Kim Hwan-ki was never focused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while he was aliv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tudies on diaspora started after 1980s, but if we apply Kim Hwan-ki’s life to the frame of diaspora life, we can find that there exists a distinct formula. In other words, although his body was far away from his hometown, given his collective memories about his tribe and homeland, group and returning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devotion to, and intera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his homeland, it can be proved that he was a diaspora painter. The abstract images of Kim Hwan-ki’s works also show his identity and homesickness well. Especially he clearly reveals his identity as a Korean included in Asian in that he used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drawing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nature, and respected every single life including human beings by showing their infinite meanings and values.

      • KCI등재

        정치 유튜브 개인 방송에서 ‘정파성’은 어떻게 발현되는가? : 청년 정치 유튜버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정금희(Kum Hee Ju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뉴스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되는 중심에 들끓고 있는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에 주목하고, 그 현상에서 새로운 뉴스 공급원으로 부상한 정치 유튜브 개인 방송을 연구주제로 삼았다. 1인 미디어로 정치 채널을 운영하는 청년 유튜버 6인을 심층인터뷰하여, 언론 비전문가이지만 어떻게 정치 시사 관련 동영상을 제작하며 정치 채널을 운영하는지 그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인터뷰가 진행됨에 따라 기존 언론과 정치 유튜브의 가장 도드라진 차이점으로 ‘공표된 정파성’을 꼽을 수 있다고 판단하여, ‘정치 유튜브 개인방송에서 정파성은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최종 연구 문제로 심화하였다. 연구 결과, 정치 유튜브 정파성의 발현은 정치 채널 운영 흐름에 따라 4가지 차원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동기’ 단계는 정파성을 표명하고 채널을 시작하는 과정, 둘째 ‘규범’ 단계는 나름의 정파적 성향에 따라 새로운 규범을 만들고 축적해나가는 성장 과정, 셋째 ‘압박’ 단계는 이용자 및 유튜브 환경에서 요구된 정파적 압력에 갈등하고 ‘적정선’을 찾아가는 위기의 국면이다. 마지막으로 ‘집단 정파성’은 동일한 정치색을 띤 정파적 시청 공동체를 결성하고, 동기, 규범, 압박 등 모든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완성되지 않는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더욱 현실감 있는 높이와 거리에서 조명했다는데 의의를 찾는다.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Youtube journalism phenomenon,” where news are served as a entertainment and focuses on the political YouTube personal broadcastings, which has emerged a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at phenomen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young YouTubers who are operating their own political channels alone, in order to see how they perform the process of producing political content even though they are not professionals in journalism. As the interview progressed, it could be found out that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media and political YouTube was ‘manifested partisanship’, and the final research question was decided ‘how the Partisanship is being revealing in the political YouTube personal broadcast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YouTube political Partisanship could be understood in four dimension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political channel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first is a ‘motivation’ stage in a level of starting a channel, the second is a ‘norms’ stage as a growth process that creates and accumulates new norms according to its own political convictions, and the third is a ‘pressure’ stage demanded by users and YouTube environments. It is a phase of crisis in which they might have some conflict with a lot of kinds of environmental demands, so they have to search for the ‘appropriate choice’ for their political convictions as well as for their benefit from supporting. Finally, the last dimension is a ‘collectivity’ stage formed by users community with the same political partisanship and affect all processes, including ‘motivation, norms, and press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uld shed light on the political YouTube personal broadcasting as a discussion of Youtube journalism, which has yet to be conceptualized, at a more realistic and close height of view.

      • KCI등재후보

        초창기 재일한인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성향 연구

        정금희(Jung, Kum Hee),김명지(Kim, Myeong 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디아스포라 연구 Vol.6 No.1

        재일한인사(在日韓人史)의 시작은 일제의 조선 식민지 정책 이후 몰락한 조선농민층이 도항한 1910년을 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후 일본에서 활동한 한인 미술가들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유학을 온 동경유학생들과 한국의 정치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일본으로 올 수밖에 없었던 작가로 구분된다. 동경유학생들은 유학 후 상당부분이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지만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고 일본에 남아서 작품 활동을 했다.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일본미술사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정치, 사회적 문제 때문에 그동안 재일한인 미술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자는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의 작품을 디아스포라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일본미술단체에 참여하여 일본미술계에서 그들만의 영역을 형성했으며 재일한인을 중심으로 하는 ‘재일조선미술가협회’, ‘재일조선미술회’ 등의 민족미술단체를 만들고 이 단체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였다. 유학생들은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모더니즘 성향을 보였으나,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리얼리즘 경향이 더 강했다. 재일한인들에게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가장 큰 특징은 모국을 지향하는 성향과 모국에 대해 정치?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과 한국, 북한과의 특수한 관계 속에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경계인으로서의 존재 즉, 변형된 초국가적 양태를 보였다. 이러한 재일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인 특징은 이들 작가들의 작품에 잘 표현되었다. 민족적 정서를 추구했던 재일한인들의 삶은 고향의 모습과 모성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경계인으로 살아야 했던 그들의 내면적인 갈등은 가면의 이미지와 혼란스러운 자화상 등으로 표현되었다. 더불어 이들이 겪은 현실적인 삶의 고통은 일용직 노동자, 불법행상을 주제로 다루어졌다. 초창기 재일한인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흔적이 어떻게 반영되어 표현되었는지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고찰했다. This study is to review works of Korean Japanese artists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diaspora. The Korean Japanese" history began in 1910 when many people went over to Japan after the fall of peasantry due to Japan"s colonial policy. Korean artists in Japa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ose who were born in better-off families and went to Japan for study and those who had no choice but to go to Japan due to Korea"s polit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Under this circumstance, Korean Japanese" artistic works varied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along with changing histor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It might be right to study for each generation group. Howeve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subjects are only to be looked into: first, the background of Korean Japanese" art formation and second, analysis of artistic works of Korean Japanese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Japanese artists formed their own territory in Japan"s art sector by participating in Japan"s art associations. Moreover, they created self-organized art groups such as "The Joeseon Artists" Association of Korean Japanese" and "The Jose on Art Society of Korean Japanese". Korean students in Japan created Modernism-styled works of art which was in vogue at that time. Meanwhile, Korean Japanese artists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created Realism-styled works that reflected the desperate situation of Korea and their strong homesick for their home country. Second, they showed in their works the sorrow and emotional conflicts they experienced while living in Japan as strangers who were not either South Korean, North Korean or Japanese. Korean Japanese artists reflected in their artistic works the hidden persecution, disdain and their suffering while living in Japan, Korea"s situation in which the nation is divided into two due to differences in ideologies and consequential division among Korean Japanese. In short, the works of Korean Japanese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howed the propensity of diaspora. Furthermore, how their life as diaspora was reflected in their works and the meaning of them could be figured out.

      • KCI등재후보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 Hee),조사라(Cho, Sa Rah)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1955년 도미한 화가 김보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마지막 남은 추상표현주의 1세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굴곡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좌우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고국을 등진 후 60년 가까이 뉴욕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김보현은 한국에서 3차례나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고통을 겪게 되면서 한국 화단과 40년 간 단절하였다. 도미 후 그의 60여년 화업에 있어서 고국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는 예술의 근원으로 작용했다. 디아스포라의 전형적 삶을 살았던 김보현의 예술세계도 자연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아스포라적인 김보현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재미 한인사와 미술사를 알아본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초기에는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1950년대 이후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다. 김보현이 도미했던 당시 뉴욕은 현대미술의 메카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많은 미술가들을 비롯해 한국 작가들도 서서히 모여들었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김보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성이 무엇이며, 그의 예술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시켜 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오늘날 디아스포라 미술의 의미와 디아스포라의 정의 및 형성을 알아보고 김보현 예술을 이러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주는 김보현이 미국으로 이주한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창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김보현 예술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분석은 현대미술에 드러난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과 특질을 연구한 사례로 의미를 가지며, 한국근현대미술사의 한 영역으로서 재미 작가 재조명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o-hyun Kim, Korean-American artist, went to America in 1955. He is the last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expressionists, hav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rt history. Kim was scapegoated in the long and wi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and forced to leave his native country. He has been in New York for six decades. After he suffered both mental and physical pain three times in Korea, Kim had to cut himself from the Korean artist community for over four decades. The trauma he has had to endure over the past six decades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his artistic inspiration. Kim who had to flee his native country is a classic example of ‘diaspora’.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American history and the American art history first to understand his works inspired by diaspora. The Korean-American history traces back to 1903 when the Gaelic docked in Honolulu with around 100 Korean immigrants - who left their home country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 aboard.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n, and around two million Koreans now live in the United States. Early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settled first in Hawaii and Los Angeles, and, in the 1950s, they started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the 40 percent of Korean Americans live in New York and Los Angeles,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When Bo-hyun Kim arrived at New York first, the city was rising as the mecca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attracting many artis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from Korea and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trend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melted in his works, and raises questions on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his works in art history. To do so, the implications of today’s diaspora art and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iaspora are reviewe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im’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nalyzing Kim’s works from the aspect of diaspora will serve as a ground to extract general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expressed in modern art. It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dentity and characters of Korea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global era, as well as for contributing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by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Korean-American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