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슬릿 구조를 이용한 EFG 법으로 성장시킨 β-Ga<sub>2</sub>O<sub>3</sub> 단결정의 다양한 결정면에 따른 특성 분석

        장희연,최수민,박미선,정광희,강진기,이태경,김형재,이원재,Hui-Yeon Jang,Su-Min Choi,Mi-Seon Park,Gwang-Hee Jung,Jin-Ki Kang,Tae-Kyung Lee,Hyoung-Jae Kim,Won-Jae Lee 한국결정성장학회 2024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34 No.1

        β-Ga<sub>2</sub>O<sub>3</sub>는 ~4.8 eV의 넓은 밴드 갭과 8 MV/cm의 높은 항복 전압을 가지는 물질로 전력소자의 응용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대표적인 WBG 반도체 소재인 SiC, GaN, 다이아몬드 등과 비교했을 때, 높은 성장률과 낮은 제조 비용으로 단결정 성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1-4]. 본 연구에서는 다중 슬릿 구조를 이용한 EFG(Edge-defined Film-fed Growth) 법을 통해 SnO<sub>2</sub> 0.3 mol% 도핑된 10 mm 두께의 β-Ga<sub>2</sub>O<sub>3</sub>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성장 방향과 성장 면은 각각 [010]/(001)로 설정하였으며 성장 속도는 약 12 mm/h이다. 성장시킨 β-Ga<sub>2</sub>O<sub>3</sub> 단결정은 다양한 결정면(010, 001, 100, ${\bar{2}}01$)으로 절단하여 표면 가공을 진행하였다. 가공이 완료된 샘플은 XRD, UV/VIS/NIR Spec., Mercury Probe, AFM, Etching 등의 분석을 통해 결정면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고전압 및 고온 응용 분야에서 전력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은 특성의 기판을 선택하는 것은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차광 및 혐기처리에 따른 청차의 성분과 향미 특성 변화

        권미진(Mi Jin Kwon),손용휘(Yong-Hwi Son),이재순(Jae Sun Lee),정광희(Gwang Hui Jeong),조경환(Kyung Hwan Cho),황정규(Jung Gyu Hwang),김민정(Min Jung Kim),신지훈(Jihun Shin),신의철(Eui-Cheol Shin),안정희(Jeung Hee An),김종철(Jong Cheol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찻잎은 수확 전⋅후 외부스트레스에 의해 뇌기능개선, 혈압조절 기능이 있는 가바함량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수확 전 차광처리와 수확 후 혐기처리를 통해 찻잎의 가바함량을 증진시켜 각각을 청차로 제다하여 그 성분과 품질을 비교해 보았다. 생엽의 혐기처리 조건은 탄산가스 주입 후 25℃에서 24시간 반응 시키는 조건에서 가바함량이 315.1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가바와 테아닌 함량은 비차광 대비 차광 조건에서 증가하였다. 그중가바함량은 차광⋅혐기조건에서 182.7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테아닌은 혐기조건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카페인함량은 차광조건이 비차광조건, 혐기 보다 무혐기에서 높았으며, 카테킨함량은 비차광조건이차광조건보다 높았으며, 혐기처리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테아플라빈함량은 차광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혐기처리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맛분석 결과 차광⋅혐기처리에서 무혐기처리 대비 신맛, 우마미는감소하는 반면, 짠맛, 단맛, 쓴맛, 떫은맛, 매운맛 등이 증가하였다. 전자코를 통한 향기 성분은 비차광⋅무혐기, 차광⋅혐기에서 propane, propenal, butane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 되었으며, 비차광⋅혐기, 차광⋅무혐기에서는propane, propyzamide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 The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hich improves brain function and regulates blood pressure, increases in tea leaves due to external stress before and after harvesting. This study compared the ingredients of oolong tea by increasing the GABA content in tea leaves through shading before harvest and anaerobic treatment after harvest. In the anaerobic treatment of raw leaves, the highest GABA content was 315.1 mg/100 g under the condition of reacting at 25℃ for 24 hours after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The content of GABA and theanine had increased in oolong tea under the shading condition compared to the non-shading condition. The GABA content was the highest in oolong tea at 182.7 mg/100 g under shading and anaerob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anine tended to decrease under anaerobic conditions. Caffeine content was higher in the shaded condition than in the non-shading condition, and it was higher in the aerobic condition than in the anaerobic condition. The catechin content was higher in the non-shading condition than in the shading condition and tended to decrease during anaerobic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heaflavin content with or without shading, but it tended to increase during anaerobic treatment. In the case of oolong tea, sourness and umami decreased compared to aerobic treatment in shading and anaerobic treatment, while salty, sweet, bitter, astringent, and spicy taste increased.

      • KCI등재

        청각장애인 진로성숙도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달엽,박혜전,이승욱,정광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2

        청각장애인은 장애의 비가시성과 의사소통의 제약으로 인해 진로성숙에 있어 부정적 요소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발달기에 경험하는 대인관계 장벽이나 상호작용상의 어려움은 심리적, 교육적 과정에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청각장애인은 직업배치에서 직장에의 부족한 사회기술이나 부적절한 대인관계 기술로 인해 종종 취업에 실패하거나 고용유지에 실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임상활동과 경험적 연구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필요한 기초를 생성하기 위해 진로성숙 척도개발에 필요한 항목과 영역들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청각장애인용 진로성숙 척도개발을 위한 평가항목들을 일차적으로 다루게 되며, 나아가 자아존중감, 적성 및 흥미, 사회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직장환경, 직업적응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진로성숙 정도를 나타내는 요인들의 항목을 구분한다. 또한 심리측정 척도개발에 선행하여 개인의 진로성숙 정도를 파악하는데 따르는 이론적 접근방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된다. 진로성숙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구성체(construct)와 개별요인들과 심리발달상의 의미를 청각장애인이 지니는 특성의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진로발달이론은 신체, 인지, 사회성과 같이 일에 대한 태도, 지식, 기능 등이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성숙하여 진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일에 대한 가치관, 직업선택, 의사결정양식, 역할수행, 직업적 정체감, 교육기회, 직업에의 적응, 그리고 그와 관련된 현상과 그에 영향을 주거나 상관이 있는 변인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청각장애인 직업적응의 목적 중 하나는 청각장애인이 직업상황에서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취약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청각장애와 잠재능력의 제한 속에서 최대의 기능화를 돕는 것이며 변화하는 현재상황과 다가올 미래에서 성숙된 직업태도와 직업인식을 가지고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생활하는 데에 적으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 career maturity scale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Vocational evaluati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as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areas and items of career maturity in general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se to the special population of hearing impairment. The world of work and the labor market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this information society, making persons with disability to face with a variety of hardships in the areas of work adjustment, vocational stabiliz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Research findings have been indicated tha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end to have limited literacy abilitie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 lack of a compensation mechanism and opportunities of quality education, although the self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in terms of the world of work. Therefore, special attentions are required when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that can be us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 In this study, four major themes of career maturity are identified;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decisiveness, career awareness, and reality orientation. Career maturity inventories should help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 their vocational potentials as well as the world of work in a reality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also provide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with accumulated data about the v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