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 외국의 직업능력을 고려한 장애기준 적용사례 연구

        이달엽,김형식,최국환,채기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4 용역연구 Vol.- No.3

        생존권은 사회구성원이 경제적 조건을 국가에 요청할 수 있는 권리로 현대국가는 모든 국민의 광범위한 사회보장과 완전고용의 실현을 책임으로 한다. 따라서 국가는 먼저 국민에게 직업을 제공하여야 하고 그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국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보장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세계노동기구(ILO)는 사회구성원들의 사회보장 최 저기준에 관한 협약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적 당위성에 도 불구하고 장애를 지닌 많은 국민들은 아직도 기본 생계에 대한 위협에서 조차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는 빈곤을 초래하고 또 빈곤은 장애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장애인구는 다른 사회적 소수집단들에 비해 규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장애인구에 속하는 사람들에 대한 구분은 연령, 성별, 종교, 인종과 같은 가시적인 단일 특성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장애에 이를 수 있거나 혹은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개인조건과 보건특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Baldwin, 1997). 또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보상이 수반될 때에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장애의 명칭부여에 동참하는가 하면, 부정적 요소가 강할 때에는 장애를 부정하게나 회피하 게 된다. 달리 표현하면 장애는 그 정도와 유형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장애인들은 독특하고 개별적인 욕구와 특정을 갖기 때문에 고용서비스의 제공과 정책의 수립, 시행, 평가시에는 이에 대한 고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이달엽, 1995). 또한, 정부의 서비스제공에 있어서 적격성(eligibility)을 다루는 문제는 한정된 공공기금이나 국가예산만으로 특정한 인구집단에 대해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제공해야 할 상황에서 요구된다. 적격성은 ① 의도 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근접한 인구집단의 대상과 욕구에 초점을 두기 위해, ② 최대의 사업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기준과 조건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투입된 비용의 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대상자에 대한 적격 기준(elig ibility criteria)의 체계화 및 사례관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직업능력을 고려한 장애기준의 적용사례 및 작동체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서비스 적격성을 다루는 여러 나라의 직업적 장애 및 기능 평가와 판정 기준들 중 영국의 Personal Capability Assessment(PCA)와 호주의 Work Ability Tables(WATs)의 우리 나라 현장 활용 가능성 (applic ability)은 매우 높으나 이러한 기준들도 임상 적용시에 아주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주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PCA의 신체적 기능, 계단 오르고 내리기는 건축물 환경 개선과 최근의 공학적 기술발달로 인해 근로 현장에서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 WATs의 직장에서 물건을 운반하는 능력은 지금과 같은 지식 기반 사회의 산업구조 변화로 인해 필요치 않은 직종들도 많이 있으므로 필수적인 평가항목으로 간주하기 어렵다. 정보가 중요한 생산요소로 작용하는 요즘에는 신체기능이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직업재활프로그램과의 매칭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제 외국의 장애 기준과 평가 방법으로 직업능력 결과에 따른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대상자 선정기준을 위해 설정된 구체적 연구목적은 첫째, 장애의 법률상 정의에 따른 직업재활 대상자의 적용범위를 분석하고, 둘째, 직업능력을 고려한 장애기준 유무 및 평가방법을 살펴보고, 셋째, 직업능력의 평가시스템 관 련 법규, 조문, 평가기관의 기능을 분석한 이후에, 넷째,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고용프로그램의 자격요건을 분석하여, 다섯째 직업능력 평가 에 따른 고용과 복지서비스와의 연관성을 다루기 위한 제도적 개선사 항이나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장애인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이달엽,김다혜,이승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직업재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고 적응시키기 위한 직업훈련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훈련을 통해 직업인으로서의 바탕이 되는 자질과 기능을 충분히 갖도록 해야 한다. 직업훈령에 있어서 단순한 직업적 기능의 훈련만으로는 효과를 거둘 수 없고 직업인으로서의 전인적 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인에게 적용되고 있는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직업적응, 직업유지를 위해 가장 바탕이 되는 직업준비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직업훈련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장애인의 직업태도,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직업생활 유지에 필요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적응에 미치는 효과와 장애인 직업준비도 요인간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WPP, VALPAR 17, 진로태도성숙도,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대구직업전문학교 입학생 16명을 대상으로 4-5개월 동안 직업훈련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이후 직업인성,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직업인식,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직업준비도의 변화정도를 파악하였다.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준비도 요인 변화에 있어서 직업에서 요구하는 일에 적응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는 직업인성은 직업훈련프로그램 적용 이후 향상되었고, 직업준비를 위한직업인성 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훈련프로그램 적용이 장애유형에 따른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인성과 직업인식, 자기효능감에서 장애유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셋째, 직업준비도 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직업인성이 높으면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며,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업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준비도 요인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대상자들의 나이와 장애유형, 대인관계와 사회기술이 직업인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은 아니와 직업인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업생활 유지에 있어서 직업적응을 위한 작업준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직업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영역에 비중을 둘 수 있는 직업훈련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직업훈련프로그램의 직업유지나 직업적응에 대한 효과성 조사와 훈련교사들에 대한 교육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것들이 프로그램구성이나 교과과정 작성 시 반영하는 연구설계가 필요하다. It is essential for rehabilitat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develop employment skills. To maximize vocational potential and abili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required for them to obtain work attitudes and skills. However, the work skills training alone may not be enough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requiring them t o have work preparation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whether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Dae-Gu Metropolitan Training Institut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both work skills and job readiness skills for them. Data gathered included the following areas. The effect of the disabled's vocational behaviour. the personal relations, the social skills,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job readiness areas. The WPP, VALPAR 17, Course Attitude Maturity, Self-Efficacy Feeling Measurement Tool were utilized for the data gathering purpos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for disabled trainees to develop and adapt through individualized service provisors. They are required to have enough appropriate attitudes and skills which basic to average workers. For the vocational training, a simple vocational skills training alone may not be enough. Therefore, this study was aims to figure out whether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which have applied to the trainees in Dae-Gu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DGVTI) was effective or not. This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the work adaptation training and job readiness training. Initial study questions posed are as follows. Whether this training program had effect on the research participants' vocational behaviours, personal relationship skills, social skills,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job readiness skills. The current researcher utilized the WPP, VALPAR 17, Course Attitude Maturity. Self-Efficacy Feeling Measurement Tool. They measure types of vocational personality.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vocational and self-efficacy feeling in comparison with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raining program. The 16 research participants had exposed to 4-5 months in Dae-Gu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DGVTI), operated by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KEPAD). Statistical analyses focused on the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frequencies. Futher analyses included t-tests, correlat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job readiness skills area, after training, vocational personality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 adapting to assignment demanding occupation) is improved, and reveals that the formation of vocational personality for job readiness and, in the vocational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feeling are positively changed. Second. job readiness skills had effect to improve research participants' vocational adaptation skills, vocational recognition and self-efficacy feeling. Third. "correlation between job readiness factors" appeared that if scores of the vocational personality is high, then the self-efficacy feeling also rises. When the self-efficacy scores are high, the vocational recognition rises. Fourt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age and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influenced on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Also, research participants who showed good 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had good job readiness. It is conclusive that the method of improving occupational personality would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 skill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to provide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with their clients and traine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improve quality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 장애인차량 면세유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

        이달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再活科學硏究 Vol.26 No.2

        1. LPG 연료가격 인상과 파급효과 2.장애인 차량 사용의 현황 3.LPG지원제도의 폐지 이슈 4.외국의 이동권 보장제도 5.LPG연료 조상연구 결과 1. LPG 연료가격 인상과 파급효과 2.장애인 차량 사용의 현황 3.LPG지원제도의 폐지 이슈 4.외국의 이동권 보장제도 5.LPG연료 조상연구 결과

      • KCI등재후보

        장애인 직업재활 관점에서 독립생활 운동의 재조명

        이달엽,조영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5 재활복지 Vol.9 No.1

        우리나라 정부가 장애문제에 대해 개입을 시작한 것은 1961년 생활보호법의 제정을 통해서이다. 이 때부터 빈곤장애인. 즉 장애로 인해 근로능력이 결여된 빈곤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가 시작되었다. 장애문제에 대해 방치하던 정부가 군사정권이 들어 선1960년대에 전쟁참여자와 군인에 대한 예우차원에서 생활유지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 대해 먼저 생계보호, 의료보호, 해산보호, 상장보호 등을 실시하였다. 이후 민간차원에서 일반장애인을 시설 보호하던 외원기관들이 국가경제성장과 함께 점차 철수함에 따라 정부는 1970년 사회복지사업 법을 제정하여 이들 시설운영을 담당하도록 사회복지법 인이 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1970년대에는 이 외에도 산업재해장애인들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들이 생겨났지만 일반장애인들에 대한 보호조치는 민간부문과 외국의 원조에 의존했고 단순 수용만 하는 형편으로 장애정책은 시설보호 수준에 머물렀다(조흥식, 2004). 그러나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 등 국가 경제력이 커진 1970년대 후반과1980년대에는 장애정책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전두환 정권은 복지국가 구현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소외계층에 대한 여러 가지 국가정책들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독립생활 (independent living: IL)은 가능한 한 이동과 생산적 활동과 같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최대한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특히, 통상적인 고용으로의 전환이 이러한 노력의 가장 상위목표와 중요한 부분이 되는 동시에 바람직한 사회적 정체감의 확립에 기여하게 된다. IL을 통해 얻게 되는 독립생활이 가능하고 나아가 성취하게 되는 고용은 개인에게 있어서 새로운 자기존중감, 존엄성. 그리고 독립성에 대한 느낌을 전달한다. 전문적이고 정책적인 관점에서도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IL접근은 동료상담을 근간으로 하는 전문 활동인 만큼 중증 뇌성마비와 같은 이동영역에 있어서 제한이 따르는 사람들이 전문 훈련을 통해서 훌륭하게 소화해 낼 수 있는 직무인 동시에 취업에 있어 큰 제한점을 안고 있는 이 사람들이 전국의 IL센터에 적절히 상담사로서 배치된다면 수많은 일자리들이 새로이 제공되어 중증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과 재활이 더욱 앞당겨지리라는 점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 삶의 질도 사회적신분과 더불어 한 단계 상승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보다 자기 충족적 이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사회운동의 성격을 지니는 이 과정은 경제적 존재로서의 역할도 강조한다. 직업재활의 궁극적인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입법을 통해서 공적 부조의 형태보다는 재활을 우선 고려하도록 하고, 공공 의료서비스와 장애수당과 같은 재활을 가로막는 역기능적 요소들도 재활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해결되어야 한다. 남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이러한 스스로의 노력과 활동만이 장애인과 장애를 지니지 않은 시민들 사이에 놓여있는 커다란 걸림돌과 장벽들을 하나씩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and meaning of the independent living (IL) movement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oth IL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important pubic services enabling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navigate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y live and have difficulties in differentiate between them on the continuum. Since the revision of rehabilitation act in 1987 independent l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important government initiativ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United Sates. Many states in United States set a goal to work with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chieve increased independence through the provision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ve and support services in a partnership with all stakeholders. Defining independent living requires an examination of many basic rehabilitation concepts. To live independently,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greatly dependent on the availability of both person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 services. Many observers of society's reaction to disability have described how socially imposed roles of dependency limit the freedom of choi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living (IL) movement can be characterized as apolitical or civil rights movement involving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been denied access to those rights. The civil rights movement with its emphasis on entitlement and benefit rights has provided an effective action-oriented model for the IL movement, The IL movement actively fought for the right to equal access to employment, medial care, education, social services, transportation, etc.

      • KCI등재

        장애인재활 분야의 상담실천기술에 관한 연구 장애인재활 분야의 상담실천기술에 관한 연구

        이달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rehabilitation counselors' skills in practicing on various work settings. For the research purpos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general questions of demographic information of respondents with 44 specific counseling skills, and 18 items are asking for counselor characteristics. Based upon a series of factor analyses, both the 39 counseling skills and the counselor characteristics can b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① Direct Response, ② Cognitive Motivation, ③ Overt Attitude, ④ Subjectivity; ① Professional Development, ② Experty, ③ Fidelity, ④ Burn-out Tendency.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between research participants' gender and work position. Male counselors tend to self evaluate more highly on the Overt Attitude factor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Counseling is a process involving an interaction between a counselor and client in a private setting. It also emphasizes on a dynamic and purposeful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in which procedures vary with the nature of the client's need. Counseling embraces goals for the client as clear self-perception and harmony with environment. As a helping profession, there have been many facilitative skills, including listening, assuming responsibility, reversal, summarization, reflection of feeling, and interpretation of defense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important counseling skills that rehabilitation field practitioners consider as being very important. Field practition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scrutinized in terms of their general background such as income and age. Research findings are suggest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unseling is the person-hood of the counselor. The counselor must be willing to invite the client who is struggling, evolving, risking, evaluating self, problem-solving, and experiencing all the normal human emotions. Overall counseling skills are grouped into five different dimensions; understanding factor, response factor, encouragement factor, analysis factor, and process factor. Counselor characteristic scales are also grouped into the three factor model, containing person-hood factor, emotional factor, and technical factor. In conclusion, meeting the needs of a diverse disability group such as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other types of physical disability would seem to call for the attention and care for personal development.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must be competent in scientifically selecting, integrating, and applying parts or whole theoretical systems appropriately, either to specific clients or to problem categories. The establishment of the therapeutic climate depends on the trust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본 연구는 장애인재활 분야에서 장애인과 그 가족들을 상담하는 현장종사자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 상담기술들을 중심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재활상담에서는 일반 상담기술들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장애라고 하는 특수한 현상에 따라 공통의 상담 요인 외에도 장애상태나 정도에 알맞는 상담기술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고 이것은 지금까지 학문적으로 쉽게 규명되지 않았다. 상담성과나 상담사의 의도를 치료효과와 연결 짓기 위한 시도로써 객관적으로 추정된 상담기술의 평가는 상담사 교육에 필요한 경험적 요소의 하나이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실천현장 종사자들의 상담기술은 모두 4개의 요인 모형으로 설명될 수 있었고 종사자의 연령이나 교육과 같은 중요한 독립변수들 사이에서 상담실천기술은 다르게 나타났다. 상담실천기술의 중요성은 학교폭력에 대처하는 일반 교육영역에서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여전히 탐구가 활발하지 않지만 재활은 심리적 부분의 비중이 높아 성취동기와 같은 개인적 교육측면뿐만 아니라, 환경조성을 통해 자아실현에 이를 수 있도록 도우는 원조가 필요하다. 추후연구에서는 물질중독이나 정신장애, 다문화 영역과 같이 재활상담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는 학문적 이론적 시도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응답자의 반응에서 상담사 특성 면에서는 상담사의 자기개발과 전문성 증대에 높은 가치를 두었다. 따라서 상담사교육이나 교과과정을 마련할 시에 실천분야의 특성에 따른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들에 대한 공식적 교육체계는 질과 양 모든 측면 충분한 준비와 실행이 요구된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 진로성숙도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달엽,박혜전,이승욱,정광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2

        청각장애인은 장애의 비가시성과 의사소통의 제약으로 인해 진로성숙에 있어 부정적 요소를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발달기에 경험하는 대인관계 장벽이나 상호작용상의 어려움은 심리적, 교육적 과정에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청각장애인은 직업배치에서 직장에의 부족한 사회기술이나 부적절한 대인관계 기술로 인해 종종 취업에 실패하거나 고용유지에 실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임상활동과 경험적 연구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필요한 기초를 생성하기 위해 진로성숙 척도개발에 필요한 항목과 영역들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청각장애인용 진로성숙 척도개발을 위한 평가항목들을 일차적으로 다루게 되며, 나아가 자아존중감, 적성 및 흥미, 사회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직장환경, 직업적응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진로성숙 정도를 나타내는 요인들의 항목을 구분한다. 또한 심리측정 척도개발에 선행하여 개인의 진로성숙 정도를 파악하는데 따르는 이론적 접근방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된다. 진로성숙이라는 하나의 개념을 구성체(construct)와 개별요인들과 심리발달상의 의미를 청각장애인이 지니는 특성의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진로발달이론은 신체, 인지, 사회성과 같이 일에 대한 태도, 지식, 기능 등이 어려서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성숙하여 진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일에 대한 가치관, 직업선택, 의사결정양식, 역할수행, 직업적 정체감, 교육기회, 직업에의 적응, 그리고 그와 관련된 현상과 그에 영향을 주거나 상관이 있는 변인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청각장애인 직업적응의 목적 중 하나는 청각장애인이 직업상황에서 적절히 기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취약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청각장애와 잠재능력의 제한 속에서 최대의 기능화를 돕는 것이며 변화하는 현재상황과 다가올 미래에서 성숙된 직업태도와 직업인식을 가지고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생활하는 데에 적으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 career maturity scale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Vocational evaluati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as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areas and items of career maturity in general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se to the special population of hearing impairment. The world of work and the labor market has been changing rapidly in this information society, making persons with disability to face with a variety of hardships in the areas of work adjustment, vocational stabiliz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Research findings have been indicated tha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end to have limited literacy abilitie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due to the lack of a compensation mechanism and opportunities of quality education, although the self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in terms of the world of work. Therefore, special attentions are required when developing an assessment tool that can be used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tting. In this study, four major themes of career maturity are identified; occupational attitude, career decisiveness, career awareness, and reality orientation. Career maturity inventories should help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 their vocational potentials as well as the world of work in a reality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also provide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with accumulated data about the v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