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광 및 혐기처리에 따른 청차의 성분과 향미 특성 변화

        권미진(Mi Jin Kwon),손용휘(Yong-Hwi Son),이재순(Jae Sun Lee),정광희(Gwang Hui Jeong),조경환(Kyung Hwan Cho),황정규(Jung Gyu Hwang),김민정(Min Jung Kim),신지훈(Jihun Shin),신의철(Eui-Cheol Shin),안정희(Jeung Hee An),김종철(Jong Cheol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4

        찻잎은 수확 전⋅후 외부스트레스에 의해 뇌기능개선, 혈압조절 기능이 있는 가바함량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수확 전 차광처리와 수확 후 혐기처리를 통해 찻잎의 가바함량을 증진시켜 각각을 청차로 제다하여 그 성분과 품질을 비교해 보았다. 생엽의 혐기처리 조건은 탄산가스 주입 후 25℃에서 24시간 반응 시키는 조건에서 가바함량이 315.1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가바와 테아닌 함량은 비차광 대비 차광 조건에서 증가하였다. 그중가바함량은 차광⋅혐기조건에서 182.7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테아닌은 혐기조건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카페인함량은 차광조건이 비차광조건, 혐기 보다 무혐기에서 높았으며, 카테킨함량은 비차광조건이차광조건보다 높았으며, 혐기처리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테아플라빈함량은 차광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혐기처리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맛분석 결과 차광⋅혐기처리에서 무혐기처리 대비 신맛, 우마미는감소하는 반면, 짠맛, 단맛, 쓴맛, 떫은맛, 매운맛 등이 증가하였다. 전자코를 통한 향기 성분은 비차광⋅무혐기, 차광⋅혐기에서 propane, propenal, butane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 되었으며, 비차광⋅혐기, 차광⋅무혐기에서는propane, propyzamide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 The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hich improves brain function and regulates blood pressure, increases in tea leaves due to external stress before and after harvesting. This study compared the ingredients of oolong tea by increasing the GABA content in tea leaves through shading before harvest and anaerobic treatment after harvest. In the anaerobic treatment of raw leaves, the highest GABA content was 315.1 mg/100 g under the condition of reacting at 25℃ for 24 hours after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The content of GABA and theanine had increased in oolong tea under the shading condition compared to the non-shading condition. The GABA content was the highest in oolong tea at 182.7 mg/100 g under shading and anaerob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anine tended to decrease under anaerobic conditions. Caffeine content was higher in the shaded condition than in the non-shading condition, and it was higher in the aerobic condition than in the anaerobic condition. The catechin content was higher in the non-shading condition than in the shading condition and tended to decrease during anaerobic treat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heaflavin content with or without shading, but it tended to increase during anaerobic treatment. In the case of oolong tea, sourness and umami decreased compared to aerobic treatment in shading and anaerobic treatment, while salty, sweet, bitter, astringent, and spicy taste increased.

      • KCI등재

        첫물차 수확 시기별 하동 전통 홍차(잭살)의 성분과 향미 특성 변화

        박상기(Sang Ki Park),손용휘(Yong-Hwi Son),정광희(Gwang Hui Jeong),조경환(Kyung Hwan Cho),황정규(Jung Gyu Hwang),신지훈(Jihun Shin),김종철(Jong Cheol Kim),심두보(Doobo Shim)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1

        하동지역에서 과거부터 햇볕 아래에 산화하는 제다방식으로 홍차(잭살)를 만들어 음용하였다. 첫물차 수확 시기별 ‘잭살’의 성분과 품질(맛, 향기)을 비교하였다. 카페인 함량(%)은 1st HT(4월 중순) 잭살 2.36, 2nd HT(5월 초순) 잭살2.12, 3rd HT(5월 중순) 잭살 1.72, 총 카테킨 함량(%)은1st HT 1.90, 2nd HT 1.99, 3rd HT 2.04로 분석되 었다. 총 테아플라빈 함량(%)은2nd HT 0.5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1st HT 0.40, 3rd HT 0.27로 가장 낮았다. 1st HT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mg/100 g) 2,257 (2.3%)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2nd HT 1,817 (1.8%), 3rd HT 1,357 (1.4%)으로 수확 시기가 늦을수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였다. 테아닌 함량(mg/100 g)은 1st HT 838 (0.84%), 2nd HT 744 (0.74%), 3rd HT 462 (0.45%)로 수확 시기가 지연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 인 검출된 향기 성분은 2nd HT에서 57.4로 가장 높았으며, 3rd HT 55.9, 1st HT 54.3으로 측정되었다. 1st HT에서 짠맛, 감칠맛, 감칠맛 후미, 떫은맛 후미가 강하게 측정되었으며, 신맛, 쓴맛, 떫은맛 등은 약하게 측정되었다. 2nd HT는 감칠맛, 감칠맛 후미, 떫은맛 후미는1st HT 보다 낮았으나, 3rd HT보다 높았고, 떫은맛, 쓴맛은 가장 높게 측 정되어 전체적으로 맛 지표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In the Hadong region, black tea (Jeaksal) prepared by the method of oxidation under sunlight has been consumed since generations. This study compared the ingredients and quality (taste, aroma) of Jeaksal by evaluating the harvest periods. Highest and lowest levels of total caffeine were obtained in the 1st harvest (2.12%, April 15) and 3rd harvest (1.72%, May 14), respectively, as opposed to highest total catechin levels in the 3rd harvest (2.04%) and lowest in the 1st harvest (1.90%). Maximum theaflavin content was detected in the 2nd harvest (May 4). We further confirmed that the free amino acid content decreased with delayed harvest time. Evaluation of the fragrance components revealed that 9-carene with tree fragrance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io, and the total detected fragrance component was the highest at 57.4 in the 2nd harvest, followed sequentially by 55.9 in the 3rd harvest, and 54.3 in the 1st harvest. In the 1st harvested Jeaksal salty, umami, richness (after-umami), and after-astringent taste were strongly detected, whereas sour, bitter and astringent taste were weakly measured. The 2nd harvested Jeaksal, had maximum astringency and bitterness, and an evenly distributed overall taste index.

      • KCI등재

        건조방식에 따른 홍차의 성분과 맛 차이

        박상기(Sang Ki Park),심두보(Doobo Shim),손용휘(Yong-Hwi Son),정광희(Gwang Hui Jeong),조경환(Kyung Hwan Cho),황정규(Jung Gyu Hwang),신지훈(Jihun Shin),김종철(Jong Cheol Kim)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2

        하동지역에서 과거부터 햇볕 아래에 산화하는 제다방식으로 홍차(햇볕잭살)를 만들어 음용하였다. 건조방식별 ‘햇볕잭살’의 성분과 품질을 비교하였다. 카페인 함량은 햇볕건조 1.93%, 솥건조 1.89%, 일반홍차1.82%, 음건 1.73%, 총 카테킨 함량은 햇볕건조 3.31%, 솥건조 2.96%, 일반홍차 1.05%, 음건 0.78%로 분석되었다. 총 테아플라빈 함량은 일반홍차 0.66%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햇볕건조 0.60%, 음건 0.58%, 솥건조 0.46% 으로 가장 낮았다. 햇볕건조에서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 24.9 mg/g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반홍차 20.0 mg/g, 솥건조 18.9 mg/g, 음건 11.5 mg/g로 그늘에서 오랜 시간 건조하는 방식에서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였다. 테아닌 함량은 햇볕건조 11.3 mg/g, 건조방식이 동일한 일반홍차 10.0 mg/g, 솥건조 9.2 mg/g으로 유사하였으며, 음건에서 3.5 mg/g로 가장 낮았다. 장시간 그늘에서 건조한 홍차에서 신맛, 쓴맛, 떫은맛, 쓴맛 후미가 강하게 측정되었으며, 감칠맛, 감칠맛 후미, 짠맛 등이 가장 약하게 측정되었다. 건조방식이 유사한 일반홍차, 솥건조의 맛 경향이 유사하였으며, 햇볕건조 역시 솥건조와 비교적 유사한 맛 경향을 보였다. The traditional black tea, called Jeaksal, has made by the method of oxidation under sunlight and consumed in the Hadong region from the past. This study compared the ingredients and quality (taste) of black tea according to drying methods. The highest and lowest levels of the caffeine were obtained in the black tea sun drying (BTSD, 1.93%), and black tea shade drying (BTSHD, 1.73%), respectively, as opposed to the highest total catechin levels in the BTSD (3.31%) and the lowest in the BTSHD (0.78%). The highest theaflavin content was detected in the black tea (BT) (control, 0.66%). We further confirmed that the free amino acid content decreased with delayed drying time and temperature. Total free amino acid was detected by the highest value in BTSD with 24.91 mg/g, but by lowest value in BTSHD with 11.45 mg/g. In the shade drying 'Jeaksal' sour, bitter and astringent taste were strongly detected, whereas salty, umami, richness (after-umami) taste were weakly measured. BT and black tea pot drying (BTPD) has a similar taste pattern overall because of the same pot-drying method.

      • KCI등재

        순차적 2중차광에 따른 차나무의 생육변화

        심두보(Doobo Shim),권미진(Mi Jin Kwon),강은주(Eun-Ju Kang),조경환(Kyung Hwan Cho),손용휘(Yong-Hwi Son),송성화(Seong-Hwa Song),정광희(Gwang Hui Jeong),김종철(Jong Cheol Kim),황정규(Jung Gyu Hwang)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1

        말차는 차광하여 재배한 찻잎을 비비지 않고 건조한 것을 덴차라고 하며 이를 분말기기로 갈아 미분상으로 제조한 것을 의미하는데 차광기간, 형태 등의 재배기술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본 연구는 순차적 2중차광에 따른 찻잎의 생육과 생리적 변화가 고품질 말차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찻잎 수확 전 엽록소함량은 순차적 2중차광(52.7) > 1중차광(49.9) > 비차광(40.2) 순으로 높았으며, 엽록소형광(Fv/Fm)은 순차적 2중차광(0.73) > 1일차광(0.67), 비차광(0.53) 순으로 측정되었다. 정규식생지수(NDVI)는 순차적 2중차광(0.72) > 1중차광(0.70) > 비차광(0.65) 순이 였으며, 단순식생지수(SR)는 순차적 2중차광(3.04) > 1중차광(2.82) > 비차광(2.30) 순으로 조사되었다. 엽장, 엽폭 및 엽면적은 1중차광 > 순차적 2중차광 > 비차광 순으로 생육이 높았으며, 절간길이는 비차광 > 순차적 2중차광 > 1중차광 순으로 조사되었다. 잎 표면의 녹색도(G-value)는 순차적 2중차광(62.9) > 1중차광(56.4) > 비차광(51.9)로 측정되었다. 전체적인 생리 및 생육상태를 보면 순차적 2중차광이 1중차광보다 찻잎의 색도를 증가시켜주고 차나무의 차광 스트레스 경감에도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The term “matcha” means that tea leaves cultivated by shading are prepared by pulverizing the leaves with a grinding machine (such as using a stone mill or a ball mill) and this makes the tea leaves into a fine powd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quality depending on cultivation techniques such as the shading period and the type of shad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tea leaves on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green tea according to the use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As a result, the chlorophyll content before harvesting of tea leaves was higher in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52.7) > single shading (49.9) > non-shading (40.2),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Fv/Fm)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ielding (0.73) > single shielding (0.67) > non-shielding (0.53). The order of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s sequential double shading (0.72) > single shading (0.70) > non-shading (0.65), and the simple ration index (SR) was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3.04) > single shading (2.82) > non-shading (2.30). The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higher in order of single shading > sequential double shading > non-shading, and the internode length was in the order of non-shading > sequential double shading > single shading. The G-value of the leaf surface was in the order of sequential double shading (62.9) > single shading (56.4) > non-shading (51.9). The overall physiological and growth status shows that the sequential double shading increases the color of the tea leaves better than does single shading, and sequential double shading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hading stress of tea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