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졸업이상 성인장애인의 취업현황 및 취업영향 요인연구

        박혜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loyment situation and contributing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ment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fter their high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e critical factors of careers and employment as the matter of life-cycle that aims effective transition to adulthood are explored in various ways such as sociology of population, disabilities and health, human capital, and employ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identified factors include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affected variables in relation to disabilities and health involve the degree of disabilities,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level of disturbance in working. Moreover, in the perspective of human capi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daptability, and obtaining certific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Lastly, from the aspect of employment, previous working experience was a crucial influ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ways to make successful and smooth transition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rom education to employment need to develop. In addition,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from the view of career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link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which facilitates the transition process, can be discussed and examined. 본 연구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장애인의 취업현황 및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이후의 성인기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생애주기적(life-cycle) 과제로서의 진로 및 취업의 영향정도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 인적자본 요인, 고용관련 요인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배우자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으로는 장애정도, 만성질환 유무, 건강의 일 지장 정도가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인적자본 요인으로는 대인관계 및 조직적응 능력, 자격증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이며 마지막 고용관련 요인에서는 고용서비스 경험 유무가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의 교육에서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진로교육적 관점에서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육 이후의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전문 직업재활과의 연계 방안에 대한 검토를 제안할 수 있다.

      • 발달장애학생의 성인기생활을 위한 직업 및 취업지원 방안

        박혜전 고신대학교보건과학연구소 2016 보건과학연구소보 Vol.- No.-

        우리나라 발달장애학생에 대한 가장 시급한 부분은 중등과정 이후 성인기생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일 것이다. 학교교육은 이러한 과제를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도와주는 과정이여야 하는데 교육의 장에서 학교장면 이후의 성인기생활을 위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독립생활을 위한 자기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을 마련하며, 졸업 후 노동시장 참여를 위한 직업태도와 현장실습 등의 지원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과 직업재활 각각의 책무성과 효율적인 협력방안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슈가 발달장애학생의 학교 후 성인기 생활로의 함의를 높이게 될 것이다.

      • 부산·경남 거주 장애인 재활 및 복지 욕구조사

        박혜전,김정임 고신대학교 고신보건과학연구소 2009 보건과학연구소보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prepar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ies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service satisfaction indicated that the two factor model is appropriate: the general social welfare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Comparing gener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rated relatively low. Also, the necess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high. One of the most satisfied general social welfare services was social adjustment program. In conclusion, it needs to offe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The welfare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must exert all effort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economic and awareness training for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pecialized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sidering the individuals needs.

      • KCI등재

        장애인 취업활성화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서비스에 관한 연구

        박혜전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활성화를 위해 직업(적응)훈련 기관의 훈련 서비스의 질을 분석하여 훈련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고자 하였다. 훈련 서비스의 질로는 유형성, 접근성, 공감성, 신뢰성으로 두었으며, 각각이 훈련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적응) 훈련을 제공하는 기관별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훈련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훈련생들 의 만족도를 높여 취업으로의 전환을 원활히 하는 데에 최종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 자는 142명으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서비스 질에 대한 점수는 5점 리커트 척도로 파악하 였을 때, 4점에 가까운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훈련서비스 만족에 가장 영향이 큰 서비스 질로 는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의 순이었다. 그러나 접근성은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적응)훈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직업능력개발원의 경우 각각의 서비스 질에서 타 기관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apprehend the satisfaction degree on training services by analyzing the quality of training services of vocation (adjustment) train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activat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qualities of training services, materiality, accessibility, sympathy, and reliability were placed. Effect which each of them has on satisfaction of training services was examined. Especially, the study grasped differences by organization to provide vocation (adjustment) training to the disabled. Based on them, it has a final goal to smooth the conversion into their employment by heightening the quality of training services and enhancing the satisfaction degree of trainees. Objects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re 142 people, and the study result is like the next. When points about each service quality were apprehended by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response rate near 4 points was represented to be high. As service qualities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training service satisfaction were reliability, sympathy, and materiality in order. But, accessibility was shown not to influence i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by organization to provide vocation (adjustment) training. In case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t showed a high score compared with other organizations in each service quality.

      • 고령화에 따른 장애인 고용실태 및 정책과제

        박혜전,김정임 고신대학교 고신보건과학연구소 2010 보건과학연구소보 Vol.20 No.-

        Now, Korea is entering in the aging society. Therefore, elderly people will be continuously increasing as well as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prepar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ging with disabilities were based on Japan's research. Expanding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mployment support policy.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tudies concerning for planning for rehabilitation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tinued. Second, strong employment policie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Third, various works development and job-training efforts corresponding with the needs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ursued. Based on these results, specialized welfare policies and rehabilitation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disabled elderly,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ir handicapped conditions.

      • KCI등재

        직업재활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혜전,손관호,조주현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is survey research was inten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KSVR) was established in 1991. This organization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 KSVR has not yet done research concerning the issues of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manpower.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developments levels and the confident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 roles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ounsel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duties and satisfaction levels as a professional and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ervices by examining of characteristics of their current condit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uration of work period and the length of time spent for their rehabilitation client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ir perception of work efficiency tend to have much stronger when they work longer and spend more time with their immediate clients.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report that they share their work responsibilities with their clients half and half, reflection the recent paradigm shift empower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paradigm, services providers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aspect of service delivery rather than one of the quantity so that disabled persons life changes can be occurred. Therefor,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deal with rehabilitation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full participation aspects. Thir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ism tends to be developed by participation and presenting papers at the conferenc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 Society Voc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ticipated and expected to have research topics of employment assistance programs, knowledge and skill areas of vocational assess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including other issues of roles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한국직업재활학회를 통해 발급되는 자격증을 지닌 직업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재활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직업재활학회는 1991년에 창립되어 28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회를 통해 배출된 직업재활사에 대한 분석연구는 한 번도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의 직업재활사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학회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학회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의 특성으로 학부의 전공은 직업재활학이 67.8%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의 직종도 직업재활사가 60.0%로 나타나고 있다. 하루 중 직업재활 업무에 보내는 시간은 8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내담자와의 직접 관계하는 시간은 1시간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활동에 관한 사항에서는 회원들의 학회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회연수 강좌에 기대되는 내용으로 직업평가의 지식과 기술, 직업재활 관련 제도 ․ 정책에 관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재활에 관한 생애학습 환경에 관한 내용에서는 학습의 기회가 없다는 비율이 73.3%로 나타나고 있다. 직업재활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내담자 간 책임의 비율은 50:5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회 연구의 우선순위에서는 장애특성별 직업재활과 직업재활 전문직의 교육체계, 직업재활 전문가의 전문성과 윤리로 나타나 직업재활사의 역할정립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재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재활 근속기간, 내담자와의 직접적 관계 시간과의 비율로 나타났다.

      • 영도구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현황 조사

        박혜전 고신대학교 영도발전연구소 2013 영도연구 Vol.15 No.-

        A Survey on the Present State for Prevention of Suicide of the Elderly Living in Yeongdo-gu

      • KCI등재

        웹접근성을 지원하는 시각 장애인용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의 구현 및 성능평가

        박혜전,반재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1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장애인이 직업을 통하여 비장애인과 같은 삶을 영위하게 되는 일체의과정으로 정확한 직업평가를 통해 수행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직업평가 방법은 평가도구를 실제로 사용해야 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웹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면 다수의 장애인이 장애는 물론 공간과 시간 등에 구애받지 않고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을이용하여 직업평가를 수행하게 되면 장애인에게 매우 효율적이지만 웹접근성을 지원해야하는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웹접근성이 취약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평가를 수행할 수있는 온라인 적성검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진로지도와 상담에서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를 이용하며 기존의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홀랜드 검사와 구현된 적성검사 시스템의 웹접근성을 비교 평가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시스템의 성능평가는 웹접근성의 진단 도구인 KADO-WHA 2.0을 이용하여 웹접근성 지침에어느 정도로 위배되는지를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을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제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9개 문항에서 평균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박혜전 고신대학교보건과학연구소 2015 보건과학연구소보 Vol.- No.-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업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개입하는 직업재활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에서 장애인이 취업을 한다는 것은 장애로 인한 기능상의 제한, 사회적 불리 등으로 인하여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직업 재활서비스 현황을 토대로 앞으로의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직업재활 과정에서의 직업개발 및 배치에의 중점,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의 민감한 대응, 통합재활서비스 제공에의 노력, 이러한 모든 업무를 담당하는 직업재활 전문가인 직업재활사의 역할과 필요성을 그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 직업재활에서의 학문적, 실천적 협력을 통해 이루어 가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