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동의 부모를 위한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머니들의 경험

        전혜인,박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1

        장애아동의 부모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은 같은 장애특성을 지닌 장애자녀를 양육해 본 부모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장애특성을 가진 자녀의 어머니들을 일대일로 결연하여 지원을 주고받게 한 ‘부모결연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을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어린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결연활동을 통하여 아픔을 공유할 수 있었고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으며 정보를 획득하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보람과 만족함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결연활동에 참가한 성장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결연활동을 통하여 지난날을 회상할 수 있었고 경험과 감정을 공유하였으며 보람을 느꼈고 스스로 성장하였으며 연대감을 경험할 수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모결연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부모결연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주제어> 장애아동 가족지원, 부모결연프로그램, 가족역량강화, 질적 연구

      •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가족지원 관련 교과목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전혜인 한국발달장애학회 2013 발달장애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experiences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needs of learning “support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teacher training course. 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in-depth interviews. Five themes emerg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1) challenges of building relationship and collaborating with the family, (2) challenges of supporting the family, (3) needs of taking coursework about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university, (4) contents of the coursework, (5) formats of lectur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needs of providing coursework of support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ntents and formats of the coursework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교, 장애전담어린이집에서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를 지닌 아동들을 담당하여 재직 중인 특수교사 7인을 대상으로 대학의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장애아동 가족지원’ 관련 교과목의 역할과 교과목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수업 방식은 어떠해야 할지 등에 대한 질문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에 대한 면담으로 얻어진 결과 다음과 같은 5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아동 가족과의 관계 및 협력 어려움, (2) 가족지원 실행의 어려움과 실천노력, (3) 가족지원 교과목 수강 필요성, (4) 교과목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 (5) 수업방식 제안.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대학의 특수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에 ‘장애아 가족지원’ 관련 교과목이 필수과목으로 개설되어 특수교사를 준비하는 자들이 장애아 가족과의 협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장애아 가족지원 교과목은 가족지원 관련 이론 뿐 아니라 구체적인 실제를 겸한 수업으로 이루어져야 함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구개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연구개거상장치를 제작한 증례

        전혜인,이예찬,김정훈,박규형,차인호,박영범,Jeon, Hae In,Lee, Ye Chan,Kim, Jung Hoon,Park, Kyu Hyung,Cha, In-Ho,Park, Young-Bum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2

        본 증례는 2016년 점액표피양 암종으로 인해 종괴 제거 후 발음이 잘 되지 않는다는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로 의뢰 된 38세 여환으로, 구개 거상장치를 제작하고 연성 이장재를 사용하여 연구개를 거상시켜 발음 및 연하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열중합 레진으로 교체하였다. 이후 환자는 발음 및 연하에 있어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This report is a case of 38-year old female patient who had a chief complaint about having pronounciation disorder after going under mass excision due to mucoepidermoid carcinoma. She was referred t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Yonsei university. Palatal lift prosthesis was fabricated which was then relined with tissue conditioner. Evaluations on phonetics and swallowing were done and improvements were shown. Tissue conditioner was replaced with heat polymerizing resin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reatment.

      • KCI등재

        부모결연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능력강화에 미치는 영향

        전혜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to-Parent programs on parental stress and family empowerment. Parent-to-Parent programs offer parents of children who have special needs the opportunity to receiv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rom another parent who is experiencing a similar set of circumstance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the 18 mothers of developmental disordered children, attending a school for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distress level in the group of the young children's mothers significantly reduced. Second, the family empowerment level in the group of the young children's mothers and trained supporting mothers significantly improved. 본 연구는 같은 장애특성을 지닌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이 1:1로 결연을 맺어 장애자녀 양육의 경험이 많은 어머니가 장애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린 장애아동의 어머니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부모결연프로그램(Parent-to-Parent Programs)에 참여하는 것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가족능력강화 향상에 효과적인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부 신입생 어머니 9명과 같은 학교 고등부 재학생의 어머니 9명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약 5개월에 걸쳐 진행된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한 신입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장애자녀의 ‘양육관련 고민’ 영역의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지원을 받은 어머니들과 지원을 제공한 어머니들 모두의 가족능력강화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 장애아동의 형제를 위한 형제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전혜인,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8 교육과학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의 형제들에게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그들의 자아개념과 장애 형제를 대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세-8세에 해당하는 자폐 및 정신지체 아동의 비장애 형제 23명을 선정하여 그중 11명에게 형제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자아개념 검사와 장애 형제를 대하는 행동에 대한 검사의 차이의 차를 검증한 결과,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실험 집단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후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어머니에 의해 평정되었고, 자아개념 검사 중 '일반적 충족감'과 '또래"요인의 하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장애형제를 지님으로 인해 특수한 경험과 갈등을 지니고 성장하는 장애아동의 형제를 위한 형제지원 프로그램이 그들의 장애형제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아개념 검사의 일부 하위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형제지원 프로그램과 자아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좀 더 다양한 유형의 형제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촉구된다. The concept of family support is a crucial element of recent special educational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blings who have brothers and sisters with disabilities, often experience unique challege and need support to overcome those difficul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lement a sibling support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 effect on sibling's self-concept and behavior toward their diabled siblings. Subject of this study was 23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e and post tests were individually administered in the area of self-concept and behavior toward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5 session play-based sibling support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tes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3 of 4 sub-categories of behavior scale. Those three categories are "receptivity", "hostility", "suppor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receptivity and support, and lower score in hostility.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2 sub-categories of self-concept, but not in the other 3 sub-categories. Overall, it can be concluded that play-based sibling support program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behavior toward siblings with diabilities.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sibling support program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감염병 상황에서 장애학생 가정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코로나19 사례를 중심으로

        전혜인,임장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학생 가정이 경험한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남, 전남의 장애학생 학부모 35명에 대해 총 6개 그룹으로 나누어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8개의 대주제와 3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대주제의 내용은 가족 전반의 어려움, 자녀 발달 문제, 원격수업 적응 문제, 가족의 노력, 긍정적인 면, 지원에 고마움, 교육적 지원 요구, 제도적지원 요구였다. 코로나19 기간을 지나며 장애학생 가정에서는 가족들의 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장애자녀의 전반적인 발달 저하 뿐 아니라 가족 간 갈등, 경제적 어려움, 원격수업 적응의 어려움 등 다양한어려움이 있었다. 장애학생 부모들은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자녀의 발달에대한 욕구가 커져 있는 상황이었다. 코로나19 시기를 계기로 장애자녀 교육에 대해 높아진 관심과 요구를 반영하고 가족과 협력하여 장애학생 교육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amilies with disabilitie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how to support them.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dividing 35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in Seoul, Gyeongnam, and Jeonnam into six groups. Eight major topics and 33 subtopic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of major topics were overall family difficulties, child development problems, remote class adaptation problems, family efforts, positive aspects, gratitude for support, educational support needs, and institutional support needs. Throughout the COVID-19 period, familie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ir families’ entire lives. In addition to the overall decline in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family conflicts, economic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remote classe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increased interest in school education and their children’s desire for development was growing. In the wake of the COVID-19 perio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 for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ctively and effectively carry ou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operation with their families.

      • KCI등재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에서 활용되는 자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Focusing on Korean Geograph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전혜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2

        지리적 탐구는 지리와 관련된 질문을 제기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증거를 획득하여 결론 및 일반화에 도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자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료를 통해 탐구 문제를 선정하여 지리적 탐구를 시작할 수 있고, 결론 및 일반화의 판단 근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은 지리적 탐구를 중심으로 평가 목표, 내용, 형식이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대표적인 예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의 문항이다. 그런데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수험자에게 직접 자료를 찾아보는 기회를 부여할 수 없는 한정된 평가 장면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과 관련된 자료가 문항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문항에서 활용되는 자료의 특성은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탐구형 지리평가 문항의 자료의 특성 및 활용을 분석, 조사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특성 분류와 고등학생의 자료 활용 특징을 통해,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 출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자료 제시 전략을 제안하였다. Geographical inquiry is emphasized as one of educational purposes in contemporary education. To do geographical inquiry, data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play key roles as an inquiry starter and a basis for reaching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Questions designed to evaluate the ability for geographical inquiry are called ‘inquiry questions in geography’. Questions in Social Studies Inquiry S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re good examples. But students take a CSAT in closed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they have no opportunity to search for data by themselves. Therefore, to do meaningful inquiry, data required for settling questions should be included. Considering these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data can be one of the standards to evaluate the fitness of inquiry questions in geography.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nd investigated the use of data in the process of answering geography question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nd the students’ way of using data, I proposed the strategies of data presentation.

      • KCI등재후보

        장애자녀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태 및 부모의 요구

        전혜인,이명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of those parents. Survey was distributed to 640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in Korea.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other disabilities along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were also included as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parents were not satisfied with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20% of the parents had never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ose satisfied with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tent covering child development, roles of parents, and parental guidance appeared to be helpful. Parents were not satisfied with parent education programs if the programs convey unrelated to the needs of their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cover legislation and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vocational skills training, and the nurture and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주로 국내 전 지역의 지적장애(정신지체) 및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동반한 뇌병변장애가 있는 자녀의 부모 6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여성(91.1%)이 남성(8.9%)보다 많아 주로 장애인의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조사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장애인 부모들은 부모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특히 조사대상 장애인의 부모 중 약 20%는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에 만족한 경우 이에 대한 사유로는 아동발달 이해, 부모역할 이해, 아동지도 도움 등이 높은 응답비율을 나타냈다. 부모교육에 대한 불만족 사유로는 자녀와 관련이 없는 내용의 교육을 받았을 때를 들었다. 부모교육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장애인 관련 법령 및 정책 정보교육, 진로 및 직업교육, 양육 및 돌봄 등의 분야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