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 박막의 기계적 물성에 끼치는 두께와 미세조직의 영향

        전영선(Young-Sun Jeon),이상주(Sang-Joo Lee),현승민(Seung-Min Hyun),이학주(Hak-Joo Lee)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10

        We have used Visual Image Tracing(VIT) strain measurement system coupled with a micro tensile testing unit to test thickness and microstructure dependent mechanical behavior of Au film. The advantage using this method is to monitor the real time images of specimen during the test in order to determine its Young’s modulus,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0.5, 1 and 2 ㎛ thick films were deposited by sputtering system. Free standing films were prepared through lithography and etching processes. Au films were annealed at 300℃ and 350℃ to achieve microstructure evolution and Focus ion beam (FIB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ere employed to characterize grain sizes of films. Thickness and grain sizes dependent mechanical behavior such as stress-strain curve, Young’s modulus and yield strength of Au thin film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집단적 치유와 제의로서 북한 영화 : <자강도 사람들>을 중심으로

        전영선 ( Young Sun Jeon ),권정기 ( Jeon Kee Kwon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1

        ?집단적 치유와 제의로서 북한영화 읽기?는 영화 <자강도 사람들>이 집단적 치유와 국가적 의례로서 제작 되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자강도 사람들>은 2000년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제작되어, 2001년에 개봉되었다. 2001년 5월에는 조선중앙TV를 통해 방영되었다. <자강도 사람들>은 1990년대중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자강도의 발전소 건설 과정을 다룬 영화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되는 것은 ``고난의 행군``을정면으로 다루었다는 것이다. 북한 문학 예술에서 ``고난의 행군``을 다룬 작품은 많지 않다. 1990년대 중반의 위기 상황은 북한 전체가 겪어야 했던 집단적 위기 상황이었다. 식량난, 자원난, 외화난으로 인해 수만에서 수십만의 죽음이 있었다. 영화에서도 고난의 행군 시기 자강도 사람들이 겪었던 문제를 정면으로 드러낸다. 먹을 것을 찾아 눈 덮인 벌판을 헤매다 죽은 정만호는 <자강도 사람들>을 상징한다. 북한 영화에서 죽음은 수령이나 체제를 위한 헌신적인 희생으로 그려졌다. 북한 영화에서 먹을 것이 없어 눈밭을 헤매다 죽는 장면은 거의 없다. 눈보라 치는 험한 환경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상징되기 때문이다. 그 만큼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겪어야 했던 고난이 어려웠음을 보여준다. 정만호 뿐만 아니라 병실에서 암으로 죽어가면서도 약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발전소 건설단의 여단장인 강호성의 아내 리선희, 발전소 건설을 위해 굴착작업에 나선 노동자들에게 옥수수 알갱이 40알을 확인하고 주어야 하는 처녀대원들의 모습은 고난의 행군에 대한 사실적인 고백이다. 예술이 국가의 절대적인 영향과 통제 안에서 이루어지는 북한에서 이런 영화를 만들고 방영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글에서는 집단적 치유를 명분으로 한 북한 체제의 자기 서사의 회복을 위한 과정으로 분석한다. 고난의 행군은 북한 당국의 이름으로 명명된 것이었기에 고난의 행군이 끝났음을 의미하는 집단적 문화의식이 필요하였다. 2000년 들어 북한 당국이 강조한 강성대국 건설이라는 목표는 고난의 행군에 대한 출구 없이는 설득력을 갖기 어려웠다. 고난의 행군이 완전하게 종결되었음을 선언하는 문화적 행위가 필요하였다. ``고난의 행군``이라는 집단적 트라우마로부터 벗어났음을 확인하는 집단적 치유 과정이 필요하였다. 고난의 행군의 원인을 제시하고 결과로서 승리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고난의 행군 트라우마에서 공식적으로 벗어 났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비판적 기억의 재구성 과정이 아니었다. 북한체제의 개입으로 진행된 집단적 기억의 재구성 과정이었다. 영화를 통해 고난의 행군에 대한 ``집단적 기억의 재구성``이 이루어진 것이었다. 드러내기는 불편하지만 반드시 지나갔음을 선언해야만 하는 ``고난의 행군``에 대한 문화적이고 의례적인 종식 선언이 바로 <자강도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Reading North Korean Film as Collective Treatment and Suggestion?is to illuminate that the film <People of Jagang-do> was produced for collective treatment and as a national occasion. <People of Jagang-do> was produced by Joseon Arts Movie Studio in 2000, and released in 2001. In May of 2001, it was broadcasted through the Joseon Central TV. <People of Jagang-do> is a movie that pictur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power plant in Jagang-do during the period of the ``Arduous March`` during the mid-1990s. The significance of this movie is that it directly issued the theme of the ``Arduous March``. Among North Korean art and literature, there are not many works handling the theme of the ``Arduous March``. The crisis during the mid-1990s was a collective experience that influenced all of North Korea. Food crisis, resource crisis, and foreign currency crisis resulted in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death. Likewise, in the movie, the problems that the people of Jagang-do had to face during the period of the ``Arudous March`` are explicitly revealed. Chung Man-ho, who died while wandering around snow-covered fields to find food,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of Jagang-do>. In North Korean movies, death is commonly portrayed as devoted sacrifice for their leader or the social system. In North Korean films, there are hardly any scenes with people dying in snow-covered field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food. Hazardous environment such as a snow storm would be perceived as a symbolic hardship that needs to be overcome. This implies that the adversity North Korea had to go through during the ``Arduous March`` was tormenting. Not only Chung Man-ho but also the features of Lee Sun-hee, the wife of the power plant construction brigade commander Kang Ho-seong, who had to die of cancer with the lack of medication; and young female workers, who had to make sure the workers of the power plant excavation construction each received 40 seeds of corn, are a realistic confession of the ``Arduous March``. What could be the motives of North Korea to produce and broadcast this film, considering that art activity is usually allowed only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and control of the government.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as a process for restoration of the self-narrative epic of North Korean social system under the pretext of collective treatment. As the ``Arduous March`` was nam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ere was a need to form a collective cultural consciousness signify- ing the end of the ``Arduous March``. The goal of build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increasingly emphasized since 2000, could not be persuasive without finding the exit to the ``Arduous March``. Thus, there was a need for a cultural act to announce the complete end of the ``Arduous March``. A collective treatment process to confirm the escape from collective trauma of the ``Arduous March`` was necessary. By suggesting the causes of the ``Arduous March`` and showing the process of winning as the result, it is to announce that they have officially overcome the collective trauma of the ``Arudous March``. This process was not a critical reconstruction process of memory. It was a reconstruction process of collective memory influenced under the intervention of the North Korean social system. The ``re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regarding the ``Arduous March`` was achieved through the movie. Although it was disturbing to reveal, the passing of the ``Arduous March`` had to be proclaimed, and the cultural and ritual announcement to mark the end of the ``Arduous March`` happened to be precisely the <People of Jagang-do>.

      • KCI등재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전단성능 평가

        전영선,이장화,전중규,Choun,Young-Sun,Lee,Jang Hwa,Jeon,Joong Kyu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콘크리트 전단벽 구조는 지진과 같은 큰 수평 반복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이상적인 구조시스템이다. 특히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전단벽에서는 연성이 크게 향상되어 취성파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진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콘크리트에 강섬유와 폴리아미드 섬유를 혼합하여 제작한 전단벽의 전단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복하중에 대한 벽체의 이력거동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대전단력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통콘크리트 시험체에서의 최대전단력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는 못했다. 변위 연성능력과 에너지 소산능력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 탁월하게 나타났으며, 폴리아미드 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에서는 보통콘크리트와 강섬유 콘크리트 시험체의 중간 정도의 전단성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 concrete shear wall system is an ideal structural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large horizontal cyclic loads such as earthquakes. In particular,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ductility in fiber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can prevent a brittle failure and thus can enhance seismic resisting capacity significan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ear resisting capacity of shear wall specimens, which are constructed with steel fibers or polyamide fibers reinforced concrete, by comparing hysteresis curves obtained from reversal cyclic tests. The shear resisting force in the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was larger than those in plain and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s, but the increase was not great. The shear resisting capacity of the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was larger than that of plain concrete specimen, but smaller than tha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pecimen.

      • KCI등재

        북한 문화예술에서 리얼리즘과 환상의 접점

        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9 No.-

        이 글은 고전소설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의 분석을 통해 북한문학과 환상의 접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문학은 리얼리즘을 유일한 창작방식으로 한다. 때문에 민족문학의 수용에서 ‘환상’은 논란이 되었던 요소이다.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을 비롯한 김시습의 작품은 북한문학사에서 높게 평가되는 작품이다. 동시에 리얼리즘과는 대척적인 위치에 있는 작품이다. 이 논문은 북한 문학계에서 문학사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두 작품에서 ‘환상’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를 살폈다. <심청전>은 광복이후 북한에서 창작된 최초의 연극 작품이었다. 연극에서는 심청의 개안(開眼) 장면이나 용궁장면은 꿈으로 처리하였다. 문학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인민들이 즐기던 고전문학이었지만 환상적인 요소를 그대로 수용할 수 없었다. 연극을 본 김일성은 <심청전>의 환상부분에 대해 ‘당대 사회 인민의 염원과 지향’으로 규정하면서, 다시 무대에 올릴 것을 지시하였다. 김일성의 언급은 이후 고전문학의 환상적인 요소를 민족문학적 특성으로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환상적인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그속에는 인민대중의 염원과 생활감정, 그들의 재능과 지혜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중세적 환상’의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용궁부연록>은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수록된 다섯 작품 가운데 한 작품이다. 글 잘하는 선비 한생이 용궁에 가서 상량문을 쓰고, 잔치에 참석하고 돌아온다는 이야기이다. <용궁부연록>의 환상성에 대해서는 시대적인 제약으로 드러낼 수 없는 현실 문제를 환상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수법으로 평가하였다. 북한문학에서 유일하고도 올바른 창작 방식으로 인정하는 것은 주체사실주의이다. 하지만 <심청전>과 <용궁부연록>에 대한 해석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문학에 대한 수용에서 그리고 아동문학이나 아동영화에서 환상성은 창작의 요소로 인정된다. 뿐만 아니라 최고지도자의 우상화와 관련된 혁명설화나 혁명역사의 등의 ‘환상’이 공존하고 있다. 고전 수용에서 적용된 인민의 염원이라는 명분은 최고지도자와 관련된 환상적인 이야기를 수용하는 토대이기도 하다. The study focused on how the fantasy is embraced and diffuses in North Korea where the realism is the solid principle of creation. Subjects of analysis are classic novels <SimCheong-Jeon> and <Yong-Goong-Bu-Yeon-Rok>. Both novels are highly appreciat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y are mostly confronted with the realism which is strongly stress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 way two meaningful novel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dealing with fantasy will be studied. <SimCheong-Jeon> is the first play work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pertories of publication or theatrical production until 1950s. However, it became hard to find records of <SimCheong-Jeon> from North Korean literature after 1960s. It was 1990s when <SimCheong-Jeon> came back to stage. 30-year-gap was caused by the controversy over the fantasy of <SimCheong-Jeon>. Kim, Il-Sung defined the fantasy of <SimCheong-Jeon> as “people’s desire and aim of the day” and commanded to put the play on the stage. <Yong-Goong-Bu-Yeon-Rok> is one of the five stories in 『Geumo Sinhwa』 by Kim, Si-seup. It is about the story of Han-Saeng who writes well; the king of the sea called scholar Han-Saeng to write ‘Sang-Ryang-Moon’ and threw a party for him. Fantasy was the problem when Kim, Si-seup’s literary value was evaluated. The usage of fantastic elements while describing the life of people was explained as periodical limitation. It was possible to be called “classic” because the fantasy was justified as indirect expression of practical problems in restricted age. North Korean literature allows realism on Juche ideology as the only way to create a work. However, fantasy such as interpretation of classical novel, creating principle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story of revolution related to idolization of supreme leader has also coexisted.

      • KCI등재

        통일문제의 생태주의적 인식과 문화번역의 가능성

        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0 No.-

        이 글은 한반도 통일을 촉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문정신의 구조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시론적 접근이다.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통일문제를 사유하고, 생태주의적 가능성을 진단하고, 과정으로서 인식 전환과 소통을 위한 문화 번역을 제안한다. 생태주의와 문화번역을 횡단하는 것은 ‘상호의존성의 원리’이다. 생태주의에서 다양한 개체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자기 존재를 규명하고, 서로에 의지하여 존재하고, 성장한다. 생태주의에서는 주체와 객체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동시에 하나의 생태계 속에서 상호역할을 수행할 때 건강성을 유지한다. 문화번역의 문제에서도 핵심은 상호성이다. 올바른 번역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에 대한 존중이 전제되어야 한다. 통일문제에서도 다양한 주체의 의미 해석이 상호 존중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통일’ 그 자체가 번역대상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무엇이 통일이고, 어떤 것이 통일인지는 한반도 지형 안에 살고 있는 다양한 주체의 경험적 차이, 인식적 차이에 따라서, 시대적 환경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본다면 통일은 분단의 문화적 현상을 해석하고, 통일의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s by which humanistic perspectives necessary for promoting Korean reunification can be systemized. It suggests Korean reunification be considered with an ecological perspective, examines ecological potentials of the reunification, and proposes a paradigm shift to the processes and a cultural translation for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two Koreas. It is a "principle of mutual reliance" that traverses ecology and cultural translation. Ecology refers to the processes in which diverse subjects define themselves, exist, and live together by mutually relying on each other. Subjects and objects do not separately exist. Every single subject maintains its health by carrying out its role simultaneously with others in the entire ecological system. Reciprocity is essential in cultural translation. A proper cultural translation requires a mutual respect for other cultures. Diverse interpretations of diverse subjects on the reunification issues should be equally respected as well. Above all, the term of "reunification" itself should be open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It is imperative to accept that ideas about a form and a process of a reunification can differ from one an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iv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nd historical environments. With a perspective of cultural translation, a reunification of two Koreas is a process in which cultural phenomena of national division are interpreted, and cultural practices for a reunification are made.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전영선(Jeon, Young S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8 No.-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정착 과정에서 문화적응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정착은 북한이탈주민의 일방적인 적응의 문제로 접근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문제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남북한의 문화적 갈등이 생각보다 크고, 문화적 차이가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에 큰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문화적 갈등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에 그치지 않는다. 문화적 차이는 폭력적 현상과 연관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타적 인식, 경멸과 무시의 폭력적 시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이지 않은 폭력에 대한 무감각 등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폭력성은 다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고, 다시 폭력적인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를 형성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남한 주민의 잘못된 시각이 결정적이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시선으로 옮겨진다. 북한에 대한 정보가 제한된 남한 주민들은 북한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북한이탈주민에게 전이(轉移)하거나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특성을 무시하고 과도하게 일반화 한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주민의 부정적 시선으로부터 차이를 인식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드러나지는 않지만 남북의 문화적 차이는 남한 사회 내에서도 새로운 적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The aim of the paper is analyzing collective border building or secret enmit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The issue of en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Soci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considered as unilateral adaptation issue. However,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s becoming a major question recently, becaus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larger than thought, and it has been a barrier to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is more than a prejudice. Cultural differences are related to violent phenomena. It appears as exclusive recognition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abusive gaze of contempt and ignorance, insensibility to invisible violence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Such violence forms negative atten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again, leads more violent phenomena, and becomes a vicious circle. The wrong perspective of South Korean is crucial to difficulty of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enculturation process. Negative awareness on North Korea affects the perspective on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Koreans, who have only limited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project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 to North Korean defectors, or even overgeneralize North Korean defectors igno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North Korean defectors realize difference from negative gaze from South Korean and develop their own identities. It is invisible but cultural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ms new hostility in society of South Korea.

      • KCI등재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전영선(Young-Sun Jeon),허창구(Chang-Goo H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감소시킬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안하고,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매개로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중 가족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감소시켜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 및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줄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낮춤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고 있었다. 지역사회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노인이 느끼는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가족, 친구, 지역사회)은 자살생각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주기보다, 다른 부정적인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화 사회와 핵가족화 사회에서 자칫 소원해 질 수 있는 가족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과 노인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지원, 그리고 지역사회 지원정책의 이용을 장려하는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verifying the influences of social support(family, friend, community) o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and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In results, family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mediating rol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s well as ser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Friend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parallel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Community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mediating role of hopelessness. Social support show not direct effect but in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reduction of negative influencing factor(burdensomeness, hopelessness). In conclusion, we proposed it were needed that various efforts which improve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age of nuclear family and ageing era, social policy support which development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and the efforts which keep informed the social policy support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