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 Collective Border Building or Secret Enmit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72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정착 과정에서 문화적응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의 하나...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정착 과정에서 문화적응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정착은 북한이탈주민의 일방적인 적응의 문제로 접근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문제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남북한의 문화적 갈등이 생각보다 크고, 문화적 차이가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에 큰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문화적 갈등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편견에 그치지 않는다. 문화적 차이는 폭력적 현상과 연관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타적 인식, 경멸과 무시의 폭력적 시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이지 않은 폭력에 대한 무감각 등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폭력성은 다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고, 다시 폭력적인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를 형성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는 남한 주민의 잘못된 시각이 결정적이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시선으로 옮겨진다. 북한에 대한 정보가 제한된 남한 주민들은 북한에 대한 인식을 그대로 북한이탈주민에게 전이(轉移)하거나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특성을 무시하고 과도하게 일반화 한다.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주민의 부정적 시선으로부터 차이를 인식하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드러나지는 않지만 남북의 문화적 차이는 남한 사회 내에서도 새로운 적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paper is analyzing collective border building or secret enmit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The issue of en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Social settleme...

      The aim of the paper is analyzing collective border building or secret enmity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The issue of encultu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Soci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considered as unilateral adaptation issue. However,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s becoming a major question recently, becaus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larger than thought, and it has been a barrier to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cultural confliction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Korean is more than a prejudice. Cultural differences are related to violent phenomena. It appears as exclusive recognition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abusive gaze of contempt and ignorance, insensibility to invisible violence towards North Korean defectors. Such violence forms negative atten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again, leads more violent phenomena, and becomes a vicious circle.
      The wrong perspective of South Korean is crucial to difficulty of North Korean defectors during the enculturation process. Negative awareness on North Korea affects the perspective on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Koreans, who have only limited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project their perception of North Korea to North Korean defectors, or even overgeneralize North Korean defectors igno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North Korean defectors realize difference from negative gaze from South Korean and develop their own identities. It is invisible but cultural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orms new hostility in society of Sou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문화적응
      • 3.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과 충돌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문화적응
      • 3. 북한이탈주민의 문화 적응과 충돌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주, "학교 밖 탈북청소년 심층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이민규,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 문화계발 효과와 문화 동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8-273, 2004

      3 신현옥,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기초조사 연구" 여성가족부・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4 이정철, "이탈주민을 통해 본 북한 주민의 언론과 사회에 대한 이해"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5 민영, "이주 소수자의 미디어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적대적 지각: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탐색" 한국언론학회 56 (56): 414-438, 2012

      6 박정란,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연구원 21 (21): 239-270, 2012

      7 강태영,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텔레비전 시청 행위와 사회 적응" 한국언론학회 55 (55): 82-102, 2011

      8 곽정래, "북한이탈주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사회적 가치 수용과 삶의 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19-247, 2011

      9 하지현,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소통 방법의 이해" 인문학연구원 53 : 303-329, 2012

      10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 체계로서의 인터넷 활용에 관한 질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49-86, 2012

      1 이태주, "학교 밖 탈북청소년 심층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이민규, "탈북자들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따른 남한사회 현실 인식에 관한 연구 : 문화계발 효과와 문화 동화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48-273, 2004

      3 신현옥,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기초조사 연구" 여성가족부・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4 이정철, "이탈주민을 통해 본 북한 주민의 언론과 사회에 대한 이해"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5 민영, "이주 소수자의 미디어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적대적 지각: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탐색" 한국언론학회 56 (56): 414-438, 2012

      6 박정란,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연구원 21 (21): 239-270, 2012

      7 강태영,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텔레비전 시청 행위와 사회 적응" 한국언론학회 55 (55): 82-102, 2011

      8 곽정래, "북한이탈주민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사회적 가치 수용과 삶의 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19-247, 2011

      9 하지현,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소통 방법의 이해" 인문학연구원 53 : 303-329, 2012

      10 김현경,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 체계로서의 인터넷 활용에 관한 질적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9 (29): 49-86, 2012

      11 박균열, "북한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 북한연구소 29 : 2004

      12 이민영,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통일이야기-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결혼생활에 관한 네러티브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13 김현경,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적응에 관한 연구 -남한주민과 결혼한 북한출신 배우자의 부부 적응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41-69, 2010

      14 오기성, "남북한 문화통합론" 교육과학사 1999

      15 김현경,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7

      16 정진아,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박이정 2012

      17 박명규, "2013 통일의식조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