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

        전민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to implement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s the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the need for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is increasing. However, teachers still have difficulty practicing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rt classes. For this, I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on community-linked/based art education, analyzed cases that actively collaborate with communities and derived six important elements for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through didactic transposition. These are ‘exploring the community’, ‘searching and collecting materials of community’, ‘searching issues of the community’, ‘collecting stories of members of the community’, ‘arranging time and space for communication’, ‘breaking the boundaries of space for expression’. Finally, instructional plans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were suggested. Through the discussions dealt with in this study, I hope that the interest in community-linked art based o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will increase and that research on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educ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본 연구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다소 실행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느끼는 이유를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의 부족 때문이라 판단한 바, 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 실행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하고,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와 협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미술 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였으며, 이의 교육적 변환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6가지 중점 요소, 즉 ‘지역을 탐방하면서 특징 인식 하기’, ‘지역에서 표현 재료 탐색하고 수집하기’, ‘지역사회의 이슈 발견하기’, ‘지역 사회 구성원의 이야기 수집하기’, ‘소통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마련하기’, ‘표현 공 간의 경계 허물기’를 도출하였다. 또한, 중점 요소를 적용한 주요 수업 활동을 제안 하면서 실제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논의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학교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을 위한 미술가의 발상 분석 연구 -강익중, 최정화, 백남준을 중심으로-

        전민기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5

        In 2015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making idea’ was introduced as a core idea to be taught in the art education. So the necessity of contents organizing for teaching creative thinking to learner was increased.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it will be effective if creative artists’ thinking was used as contents of ‘Making creative idea’ in art education.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deas presented in many books, theses, journals, curriculums and elementary textbooks were analyzed. Next, ‘making idea’, ‘Thinking Tools’ were defined. Three creative artists’(Ik Joong Kang, Jeong Hwa Choi, Nam June Paik) making idea was analyzed and artists’ ‘Thinking Tools’ was der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tents organization of ‘Thinking Tools’ in art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was organized from ‘Thinking Tools’ in this study.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미술교과에서 가르쳐야할 핵심개념으로 ‘발상’이 제시되면서 학습자가 창의적인 발상을 하도 록 지도하기 위한 내용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착안하여 창의적인 미술가들이 발상을 어떻게 하는지 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교육적으로 변환하여 발상 지도의 내용으로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단행본,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교육과정 및 초등 교과서에 제시되는 발상 관련 내용을 정렬하고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발상’과 ‘발상도구’의 새로운 정의 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인 발상을 토대로 작품 활동을 하는 미술가 3인(강익중, 최정화, 백남준)을 선정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미술가의 ‘발상도구’인 ‘수집하기’, ‘관찰하기’, ‘장소의 특징 파악하기’, ‘함께하는 사회 를 원하는 마음 가지기’, ‘우연히 만들어진 것 활용하기’,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기’, ‘유추’, ‘생각나는 것 모두 끄적이기’, ‘예상 하기’, ‘수다 떨기’, ‘놀이’, ‘협업하기’ 12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이며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술가의 ‘발상도구’에 근거하여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

        Comparis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with limited data in South Korea

        전민기,남원호,홍은미,황선아,옥정훈,조희래,한경화,정강호,장용선,홍석영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6 No.1

        Accurate estim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RET) is important to quantify crop evapotranspira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hydrological,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fields. It is estim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direct measurements with lysimeters, or by many empirical equations suggested by numerous modeling using local climatic variables. The potential to use some such equations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the necessary meteorological parameters for calculating the RET in specific climatic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RET equations using limited climatic data and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trends of the RET in South Korea. We evaluated the FAO-56 Penman-Monteith equation (FAO-56 PM) by comparing several simple RET equations and observed small fan evaporation. In this study, the modified Penman equation, Hargreaves equation, and FAO Penman-Monteith equation with missing solar radiation (PM-Rs) data were tested to estimate the RET. Nine weather stations were considered with limited climatic data across South Korea from 1973 - 2017, and the RET equations were calculated for each weather stat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mean error (ME), mean absolute error (MA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FAO-56 PM recommended by the Foo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showed good performance even though missing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data and could still be adapted to the limited data conditions. As a result, the RET was increased, and the evapotranspiration rate was increased more in coastal areas than inland.

      • KCI등재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기획 전시를 통한미술관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아르코미술관 ‘배움의 무대’의 '안테,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전민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5 No.-

        It has been around forty years since the museum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It is time to look back on museum education and discuss new dire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ject that conducted the education in museum through the viewpoint of the special exhibition based 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isting viewpoints and new approaches of museum educ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s and museums. Next, this research discussed the implications from <Ante,Nna Project> that is education program of ‘The stage of Learning’ in the Arko Art Center. <Ante,Nna Project> which was directl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s ‘Curatorial’. This project functions as an educational program and work and converges discussion about learning in museum at the center of ‘The stage of Learning’. Th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of <Ante,Nna Project> on the art education. First, art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 for exhibition based on educational methodology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exhibition and education. Second, experts such as art education researchers, curator, art museum educator, and teachers should be communicate and collaborate more actively. Third,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jects should be constructed.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stimulate collaboration among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exhibition planners, educators, and art education researchers as a new example of museum education, and will be the beginning of art education research. 국내 미술관교육 연구가 이루어진 지 약 40년 정도가 흘러서 이제는 지금까지의 미술관교육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방향들에 대해 논할 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관점으로 미술관에서의 교육을 실천한 프로젝트로서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기획 전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르코미술관이 기획한 ‘배움의 무대’ 전시와 더불어 개발된 학교 연계 프로그램인 <안테,나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이것이 미술관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였다. ‘교육의 큐레토리얼화’의 현장에서 본 연구자가 기획 및 진행한 이 프로젝트는 ‘배움의 무대’ 전시와 연계한 중요 교육 프로그램이자 작품으로 기능하며 ‘배움’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한 곳에 수렴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의 분석을 통해 미술관교육의 새로운 방향들에 대한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와 교육의 경계를 허무는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전시 프로젝트를 위한 미술교육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미술교육 연구자, 전시 기획자, 미술관교육 담당자, 학교 교사 등 관련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 간 소통과 협업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지금까지와는 다른 형태의 미술관교육 프로젝트가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술관교육을 새롭게 바라보는 사례로서, 전시 기획자, 미술관교육 담당자, 미술교육 연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협업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교육적 방법론을 표방하는 전시의 근간이 되는 미술교육학 연구의 시작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CsPbBr3-SiO2 복합 나노입자의 소결 조건 연구

        전민기,레자울 카비르,알타바즈 키라코시안,최지훈 한국복합재료학회 2022 Composites research Vol.35 No.4

        Owing to the superior optoelectronic properties, halide perovskites have emerged as next-generation materials for display application. In this study, we reported a novel route for CsPbBr3 calcination into porous SiO2 nanoparticles to overcome the stability issues of halide perovskite via a spatial confinement of crystal growth within SiO2 pores. The resulting CsPbBr3-SiO2 nanoparticles exhibited the photoluminescence (PL) emission peak at 515 nm under optimal calcination condition. In several polar solvents, PL properties of CsPbBr3-SiO2 nanoparticles was maintained owing to the enclosed pores during calcination process, suggesting their promising application for display color conversion film.

      • KCI등재

        동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2-Gbps 인덕터 결합 링크

        전민기,유창식,Jeon, Minki,Yoo, Changsik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1

        본 논문에서는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inductively-coupled link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inductively-coupled link의 경우 채널을 통해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하였다. Echo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고 데이터 전송률 또한 높일 수 있었다. 동시에 양방향 통신 구조에서 각각의 chip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한다. 테스트를 위해 3차원으로 chip을 적층하는 대신 하나의 chip 내에서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구현하였으며 $0.13-{\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 되었다. A simultaneous bidirectional inductively-coupled link is presented. In the conventional inductively-coupled link, data can be bidirectionally transmitted through channel, however not simultaneously. We propose simultaneous bidirectional link for higher data rate with effective echo cancellation technique. Each chip performs TX-mode and RX-mode simultaneously. Instead chip stacking for test, similar test enviroment is realized in a single chip that is fabricated in a $0.13-{\mu}m$ standard CMOS technology.

      • KCI등재

        토양수분자료를 활용한 밭가뭄 취약성 평가지표 개발

        전민기,남원호,문영식,옥정훈,황선아,허승오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4

        Recently, with changing rainfall patterns worldwide due to climate change, the effects and damages of upland crops are increasing. A water supply system from irrigation facilities such as agricultural reservoirs and pumping stations has been established in paddy fields, whereas irrigation uplands equipped with water supply facilities account for only 18.5% of the upland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vulnerable areas of upland droughts because they depend on natural rainfall and lack the ability to respond to drought damage. Currently, there is limited drought information to respond to an upland drought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crops and actual cultivation period are not analyzed. Soil moisture directly resulting from rainfall shortage is highly related to drought, especially for upland crops and vegetation. Therefore, upland crops drought can be evaluated using soil moisture and weather data. In this study, an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index based on runs theory and entropy method was developed using effective soil moisture, soil moisture drought index, and groundwater level. Soil moisture and meteorological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oil moisture observation network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weather observation network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Index (UDVI)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upland drought vulnerability.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강우에 큰 영향을 받는 밭가뭄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논벼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 양수장 등과 같은 농업수리시설물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는 반면,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전국 밭 면적의 18.5%에 불과하다. 밭작물 용수공급의 경우 대부분 자연 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의 부족으로 가뭄 피해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기 때문에 밭가뭄 취약성 및 취약지역 평가가 요구된다. 현재 기상 및 농업 가뭄 정보의 경우 작물의 특성과 재배기간을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밭가뭄을 대응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강수량과 토양수분은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밭가뭄 평가를 위하여 농촌진흥청 토양수분관 측망과 기상청 종관기상관측소에서 수집한 토양수분 및 기상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토양수분관측망의 경우 전국 168개 지점에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토양수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기상관측망의 경우 종관기상관측소(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102개 지점, 방재기상관측소(Automatic Weather System, AWS) 510개 지점에서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시군단위 밭가뭄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국가지하수관측망의 지하수위 데이터 및 공공관정 등 관개시설물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토양유효수분, 토양수분가뭄지수, 밭작물 필요수량, 지하수위 등을 활용하여 밭가뭄 취약성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 Cu-SiO₂촉매상에서 메탄올의 메틸포메이트로의 탈수소 반응에 관한 연구

        김경림,박해경,설용건,이태희,전민기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0 논문집 Vol.22 No.2

        Cu-SiO₂촉매상에서 구리의 함량을 달리하며 메탄올을 반응물질로 하여 탈수소 반응을 고정층 연속흐름 반응기에서 행하였다. 조작조건의 범위는 온도 175∼250℃, 압력 ?? 접촉시간 0.013∼0.043g.cat.hr/mL이었다. 구리의 함량에 따라 전화율과 선택도가 달라지고 구리의 함량이 1.5wt.%일 때 메틸포메이트로의 수율이 가장 좋았다. 최적 조작 조건은 온도와 접촉시간이 각각 225℃, 0.033g.cat.hr/mL 부근이었다. 이온 교환법으로 제조된 1.5wt.% Cu-SiO₂촉매상에서 메탄올의 탈수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3.73kcal/mol이었다. The dehydrogenation of methanol to methylformate was studied over Cu-SiO₂catalyst prepared by ion-exchange method with the change of copper content in a fixed bed, continuous flow reactor. The ranges of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 at the temperature between 175℃ and 250℃, pressure at ??, and contact time between 0.013 and 0.043g.cat.hr/mL. Conversion and selectivity were changed with Cu content and yield of methylformate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1.5wt.% Cu. The optimum conditions were 225℃, 0.033g.cat.hr/mL for reaction temperature and contact time,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of dehydrogenation of methanol to methylformate was 3.73kcal/mol over 1.5wt.% Cu-SiO₂.

      • KCI등재

        위성영상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수분을 활용한 밭가뭄 평가

        전민기(Jeon,Min-Gi),남원호(Nam,Won-Ho),이희진(Lee,Hee-Jin),홍은미(Hong,Eun-Mi),황선아(Hwang,Seonah),허승오(Hur,Seung-Oh)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 현상이 야기되고 있으며;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7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 등 다양한 농업수리시설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논벼 작물과 비교하여;밭작물의 경우 관개시설이 부족하여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높다. 밭작물은 자연 강우만으로는 작물에 필요한 용수를 충족시킬 수 없는 수분 부족량은 관개를 통해 공급하며;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환경;수자원 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생육하기 때문에 이러한 밭작물의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은 증발산량 뿐만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분 부족량을 산정해야 한다. 토양유효수분은 밭가뭄 평가에 활용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물순환의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에서 제공하는 기근조기경보 시스템네트워크(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FEWS NET)의 증발산량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 수분 기반의 밭가뭄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Agricultural drought can have long-lasting and harmful impacts on both the agricultural ecosystem and economy. Recently;as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global warming;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s are increasing as weathe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agriculture are rapidly changing. In South Korea;severe droughts have occurred every year for the past seven years. Compared to paddies supplied with water from agricultural reservoirs;upland crops are highly vulnerable to drought due to a lack of irrigation facilities. The consumption requirements for upland crops cannot be satisfied by rainfall alone and require supplementation through irrigation. The amount of upland crop consumption and irrigation water should be calculated not only by the amount of evaporation but also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il moisture movement. Soil moisture is a key variable for defining the agricultural drought index; however;in situ soil moisture observations are unavailable for many areas. Remote sensing techniques can allow surface soil moisture observations at different tempo-spatial resolutions. Soil available water content is an important factor used in evaluating upland drought impacts. It is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in water resource circulation.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method to perform drought risk assessments for upland crops based on evaporation and soil moisture by utilizing 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evaporation acidity satellite images provided by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