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범에 대한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문영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법학 Vol.21 No.1

        The first day of Jun. 2007. the relevant provisions of Criminal Procedure Act has been revised significantly. Nevertheless, the Supreme Court succeed the previous precedents about the requirement of evidential admissibility of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statement of accomplice is recorded, drawn by judicial police officer. Then, the following questions occur. ① In previous precedents, The relevant provisions were correctly interpreted and applied or not. ② In spite of substantial revision of the relevant provisions, the Supreme Court's acception of the position of previous precedents is reasonable or not.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elevant provision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evidential admissibility of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statement of accomplice is recorded, drawn by judicial police offic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① When accomplice is a co-defendant, evidential admissibility of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is decided on the basis of Article 312③. But accomplice-original statement maker should recognize the content of it. Because in this case, accomplice-original statement maker is the only defendant who was ‘the suspect’. ② When accomplice is not a co-defendant, evidential admissibility of suspect-interrogation protocol is decided on the basis of Article 312④. Because in this case, accomplice-original statement maker is not a ‘defendant’ but the suspect. If accomplice could not attend the court because of disease, death, unknown whereabouts, foreign residence, Article 314 may be applied. 2007. 6. 1. 형사소송법의 조서관련 조항이 대폭 개정되었다. 그런데도 대법원은 공범에 대한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요건에 관하여 종전의 판례를 그대로 승계하고 있다. 그렇다면, ① 종전의 판례는 개정 전 조서관련 조항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한 것이었나, ② 조서관련 조항이 대폭 개정되었음에도 대법원이 종전의 판례 입장을 그대로 수용한 것은 타당한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이 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정 전후의 조서관련 조항과 판례를 미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범에 대한 사법경찰관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甲과 乙의 공범사건에서 경찰이 乙을 조사하고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가 피고인 甲에 대한 증거로 제출된 경우, 甲과 乙이 공동피고인인 경우에는 제312조 제3항을 적용하되 그 조서의 ‘내용 인정’은 원진술자인 乙이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법문상 ‘내용 인정’의 주체는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인데, 이 경우에는 乙만이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이기 때문이다. ② 공범사건이 분리 기소되어 甲에 대하여만 공판절차가 진행중인 경우에는 乙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 제312조 제4항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경우에는 乙이 ‘그 피의자’이기는 하나 ‘피고인’은 아니기 때문이다. 乙이 사망‧질병‧외국거주‧소재불명 등으로 법정 출석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乙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 제314조가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의사소통 역량 평가도구 유형과 방향 제언

        문영식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evalu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evaluation tool. By attempting to analyze the three types of evalu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developed so far, problems with evaluation tools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a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diagnosis is sought.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 a way that college students can easily diagnose in a short period of time for free by developing a second type of test tool in the method of a self-report/self-diagnosis evaluation and to develop it in the direction that can measure even the non-cognitive 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that existing evaluation tools overlook. The conclusion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self-report/self-diagnosis evaluation,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non-cognitive factor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verify and analyz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lass effects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son under evaluation, that is, a user.

      • KCI등재

        권리질권을 설정한 임차인이 질권의 목적인 전세보증금채권을 변제받은 경우 배임죄의 성부

        문영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3

        March 29, 2016. The Supreme Court ruled in the case of 2015do5665 as follows. As long as the bank B as pledgee meet the requirements of defiance in that case, even though the lessor A pay back deposit money the defendant as pledger, without the consent of the bank B, the bank B as pledgee can still exercise the right of pledge to the lessor A. Even if the defendant as pledger receives deposit money that is the purpose of the pledge, the defendant's behavior does not constitute ‘breach of trust’, because it can not be caused any damage of property(or risk of damage) to the bank B. It is reasonable that the defendant is recognized as ‘the person handling the affairs of the other person’ in ‘breach of trust’.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 defendant's behavior corresponds to ‘breach of faith’, and it is unreasonable that the defendant's behavior is judged innocent because of the lack of the ‘occurrence of damage’ The defendant spent 140 million won on the deposit money paid by the lessor A, and the lessor A disposed the apartment which was the object of the lease. This civil dispute became a criminal case, because the bank B failed to withdraw the loan from the defendant. If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that the bank B is not able to claw back the loan are recognized, ‘breach of trust’ can be established. Once damage of property(or risk of damage) has been incurred, even if damage has been recovered later, it does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As far as, the defendant is ‘the person handling the affairs of the other person’ and the defendant's behavior is recognized as ‘breach of faith’, the defendant's offense is found the attempt of ‘breach of trust’ regardless of ‘damage of property’ requirement. In this case, the defendant may be caused substantial damage of property(or risk of damage) to the Bank B due to breach of faith. As long as ‘breach of trust’ is recognized compromising crime, the defendant's conduct shall constitute a completion of ‘breach of trust’. 대법원은 2016. 4. 29.ᅠ선고한 2015도5665 사건의 판결에서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임대인 A가 질권설정 승낙서를 작성하여 피해자 B은행에 교부하여 질권설정을 승낙함에 따라 전세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한 근질권자인 B은행이 대항요건을 갖추게 된 이상, 임대인 A가 B은행의 동의 없이 피고인(임차인)에게 전세보증금을 변제하더라도 B은행에 대항할 수 없으므로, B은행은 여전히 임대인 A에 대하여 질권자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질권설정자인 피고인(임차인)이 질권의 목적인 전세보증금반환채권의 변제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질권자인 B은행에 대한 관계에서 ‘타인의 사무 처리자’로서 배임행위를 하여, B은행에 어떤 손해를 가하거나 손해 발생의 위험을 초래하였다고 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의 행위는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시한 것이다. 대상판결에서 피고인을 배임죄의 주체인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로 인정한 점은 타당하다. 그러나 피고인의 행위가 ‘배임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불분명하다는 점에 문제가 있고, 피고인의 행위에 ‘손해의 발생’ 요건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무죄라고 판단한 부분은 타당하지 않다. 피고인은 임대인 A로부터 전세보증금 중 1억 4,000만 원을 지급받아 소비하였고, 임대인 A는 전세계약의 목적물인 아파트를 처분하였다. 민사적 분쟁이 형사사건으로 비화된 것은 질권자 B은행이 누구로부터도 대출금채권을 회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피고인이 ‘타인의 사무 처리자’이고, 피고인의 행위가 ‘배임행위’로 인정된다면, 이 사건은 ‘손해의 발생’ 요건과 상관없이 최소한 배임죄의 미수범은 성립한다고 보아야 한다. 피고인이 배임죄의 실행에 착수한 사실 자체는 명백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B은행은 담보채권인 대출금채권의 회수가 곤란하게 되었으므로, 피고인은 배임행위로 인하여 B은행에 실질적으로 손해를 가하였거나 재산상 손해 발생의 위험을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보는 태도를 관철한다면 이 사건은 배임죄의 기수범이 성립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기이용계좌(대포통장)의 명의인이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금을임의로 인출한 경우 횡령죄의 성부

        문영식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2

        As embezzlement is a property crime, if the behavior object is a property interest, embezzlement cannot be established. The fraud victim is presumed to have transferred his savings bond to a fraud-use account, which can constitute a crime of fraud. However, since savings bond is a property interest,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is denied. Even if the victim withdraws his savings bond, cashed it, and then remitted the cash to a fraud-use account, embezzlement cannot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fraud victim. Since property must be regarded as having gained the property itself when a property crime which destined for the protection of the property reaches consummation, and then unless there is any particular circumstance, the property can be only an object of a inevitable after-action or a stolen property crime.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fiduci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fraud victim was recognized by using the case law on the ‘mistake money-transfer case’, but the structure of the victim's remittance by the ‘mistake money-transfer cas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voice phishing. So it is inappropriate to treat it the same. In the subject matter, the point of fraud-aiding was acquitted because it was not proven that the account holder recognized ‘his account will be used for fraudulent act’. However, in the triangle of ‘fraudster’, ‘account holder’ and ‘fraud victim’, the target decision denied the fiduci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fraudster, while recognizing the fiduci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unt holder and the fraud victim. This judgmen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deliberate responsibility in the criminal law. In the subject matter, the account holder was already determined to withdraw the money before handing over the account, so not only did he deceive the account transferee but also admitted that he would be willing to illegally gain the money. In addition, the transferee’s call to the fraud victim and lie to remit money to that account while impersonating the prosecutor can be regarded as a disposition act. Therefore, the account holder can be regarded as a separate guilty of fraud in relation to the account transferee.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사기피해자는 자신의 예금채권을 계좌이체 방식으로 사기이용계좌로 송금한 것으로 추단되므로 사기죄가 성립할 수는 있다. 예금채권은 재산상 이익이므로 재물을 객체로 하는 횡령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피해자가 예금채권을 인출하여 현금화한 다음 그 현금을 사기이용계좌로 송금하였더라도 사기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횡령죄가 성립할 수 없다. 소유권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재물죄가 기수에 이르면 그 재물자체를 영득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재물은 본범의 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불가벌적 사후행위 또는 장물죄의 객체가 될 수 있을 뿐이다. 대상판결은 ‘착오 송금 사례’에 관한 판례법리를 원용하여 계좌명의인과 사기피해자 사이의 위탁관계를 인정하였으나, 보이스피싱 범죄에 의한 피해자의 송금은 사기범의 편취행위의 결과라는 점에서 송금인 스스로 착오를 일으킨 ‘착오 송금 사례’와는 사태의 구조가 전혀 다르므로 양자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따라서 계좌명의인과 사기피해자 사이의 위탁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 대상판결은 ‘사기범’과 ‘계좌명의인’ 및 ‘사기피해자’의 3자 구도에서, ‘계좌명의인과 사기범’ 사이의 위탁관계는 계좌명의인의 계좌가 사기범행에 이용되어 횡령죄로 보호할 만한 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부정하는 한편 ‘계좌명의인과 사기피해자’ 사이의 위탁관계를 인정하였다. 후자의 위탁관계가 인정된 것은 전자의 위탁관계가 부정됨에 따른 반사적 효과이다. 그러나 3자 구도에서의 위탁관계가 어느 2자 사이에서 인정되지 아니하면 다른 2자 사이에 인정되는 보충적·예비적 관계라고 할 수는 없다.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계좌명의인은 그 계좌가 불법 스포츠토토 환전에 이용될 것으로 알았을 뿐이어서 그 계좌에 입금된 자금은 계좌양수인의 소유로 인식한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사기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신의칙상 위탁신임관계마저 인정할 여지가 없다. 계좌명의인 입장에서는 사기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 ‘위탁관계에 의한 보관자’임을 인식할 수 없는데도 횡령죄의 성립을 인정한 것은 고의책임의 원칙에도 반한다. 한편, 대상판결의 사안에서 계좌명의인은 계좌를 양도하기에 앞서 그 계좌에 돈이 입금되면 계좌양수인보다 먼저 돈을 인출하기로 마음먹고 있었기에 계좌양수인을 속인 것일 뿐만 아니라 그 돈에 대한 불법영득의 의사가 인정되고, 계좌양수인이 사기피해자에게 전화하여 검사를 사칭하면서 거짓말을 하여 위 계좌로 돈을 송금하도록 한 것은 계좌양수인의 처분행위로 볼 수 있으므로, 계좌명의인의 인출행위는 계좌양수인에 대한 관계에서 별도의 사기죄가 성립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형법조문의 용어와 문장에 관한 고찰

        문영식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3

        People must comply with the criminal law which has the compelling force and provides norms of decision-making. Accordingly, the terms and sentence structures of the criminal law must have clear meanings. But some linguistic expression in the Korean criminal law are not exact, and some do not meet common linguistic sense. And so people of all thinks that law is difficult and incomprehensible. The reason is that many difficult Chinese letters and numerous Japanese style expression used in Korean criminal law. Such problems mainly originated from the history of the Korean criminal law. Therefore, this report describe about pu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erms and sentences in Korean criminal law. This report suggests solutions for those parts to be purified in Korean criminal law ; inappropriate use of terms, ungrammatical sentences. The goal of this report is make a suggestion, using plain and modern Korean terms and expressions, to make preparation for amendment of the Korean criminal law. I hope this report will serve as an assistance for purification of the terms and sentences in Korean criminal law. 형법은 그 강제적 효과를 통하여 범죄로부터 사회를 보호하는 한편,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따라 인권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형법은 수범자인 일반 국민으로 하여금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사결정규범이기도 하고, 일정한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어떠한 행위가 범죄인가 아닌가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평가규범이 된다. 형법은 그 기능적 성격에 비추어 보더라도 ‘법문 표현의 명확성’과 아울러 ‘법문 이해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더구나 2008. 1. 1.부터는 ‘국민의 형사재판참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국민은 형법의 수범자에 그치지 않고 배심원으로서 형사절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형법이 그 역할을 다 하기 위해서라도 형법 조문은 가급적 평이한 일상용어로 구성되고, 우리말다운 문장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말의 어법과 일반 국민의 용어 관용례에 비추어 볼 때 형법조문에 사용된 용어와 문장에 문제점이 많기 때문이다. 형법의 개정과정에서는 우선 현행 형법조문을 기초로 하여 ①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과 ② 의미적으로 부적절한 용어와 문법에 어긋난 문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다음에는 ‘전문용어’로서의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③ 형법조문에 사용되는 ‘전문용어’와 일반 국민의 ‘일상용어’를 일치시키고, 우리말 용어의 관용례와 문법에 맞는 문장으로 조문을 작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에서는 형법전의 편별 순서에 따라 형법조문의 문장에서 잘못되거나 부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용어와 문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보면, 난해한 단어와 모호한 문장, 동일한 용어를 다의적으로 사용하는 사례, 같은 대상에 대한 표현이 통일되어 있지 않은 사례, 일본어 번역투의 어색한 용어나 문장, 문법적으로 부정확하거나 잘못 사용된 조사와 어미, 단일 문장에서 능동태ㆍ피동태의 혼재사례, 문장성분 간의 수식관계 또는 접속관계가 제대로 호응하지 않는 사례, 입법과정상의 실수로 보이는 사례 등이다. 이 글에서 형법조문의 문장과 용어에 관한 모든 문제점이 망라되어 검토된 것은 아니고, 검토된 내용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학계와 실무계에서 신속하게 많은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형법개정에 반영되어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법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HD-MAC의 화질향상을 위한 부호화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문영식 한양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1993 공학기술논문집 Vol.2 No.1

        In this paper, encoding algorithms for the HDMAC system -European HDTV system - have been studied, which is a crucial factor for improving the picture quality . (1) A symmetric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method hart been analyzed. (2) A new scheme for handling even-frame motion vectors is proposed. (3) The performance of a route control algorithm based on temporal/spatial consistency has been simul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