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공공미술 정책 수립과정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하여

        장연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this study, I analyzed how various decision-making factors dur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ublic Ar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public art-related policies in Seoul by apply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rough my analysis of the process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Seoul Public Art Policy, policy issues that had existed under the surface became clear, including problems with the installation procedure, screening criteria, consensu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maintenance of work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was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policy, and that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opened a window on policy. Through this window, the policy leader was able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media and positively affect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Later, the role of the Public Art Committee as a policy leader was reaffirmed during the revision process, helping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public art policy.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role leadership plays in combining various decision-making factors in making public art policy in Seoul was once again confirmed.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공공미술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과 개정 과정 중에 나타난 다양한 의사결정 요소들이 서울시 공공미술 관련 정책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을 통하여, 서울시 공공미술 정책의 제정 및 개정과정에서 공공미술 작품의 설치절차, 심사기준, 지역사회와의 공감대, 작품의 유지·관리·보수와 관련한 수면 아래에 존재하던 문제들이 정책문제로서 부각되었다. 아울러 조례 제정안이 정책 대안으로 인식되었으며, 결정적으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사건이 작용하여, “정책의 창”이 열린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열린 정책의 창을 통해 공공미술 자문회의는 언론매체를 통한 정책홍보를 적절하게 이끌어 조례제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후, 개정과정을 거치면서, 공공미술위원회의 ‘정책선도가’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 서울시의 보다 체계적인 공공미술 정책이 마련되는데 일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서울시 공공미술 정책의 과정에서의 문제, 대안, 정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의사결정요소가 병렬적으로 나타나다 정책의 창을 통해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책선도가’ 역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퍼즐을 이용한 수학적 경험이 정의적영역과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수열단원을 중심으로

        장연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자는 수학교과 멘토링을 통하여 수학을 어려워하거나 싫어하는 학생들을 보고 효율적인 학습지도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수학에 잃어버린 흥미를 되찾아 줄까’ ‘어떻게 하면 수학을 보다 쉽게 느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학생들에게 간단한 수학퍼즐문제를 주었더니 문제풀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던 학생이 수학퍼즐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기에서 착안하여 4주간의 교육실습기간에 학교현장에서 학급단위의 집단수업에서도 수학퍼즐을 활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는지, 효과가 있다면 어떠한 면 에서 있는지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수학퍼즐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수학퍼즐을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 과의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수학퍼즐을 접목한 실험집단과 수학퍼즐을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들의 수학의 대한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가? 3)학생들의 문제해결력(수학퍼즐, 평가문제)을 관찰하고 , 수학퍼즐이 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일반계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집단과 실험 집단을 나누어 수학퍼즐을 활용한 수업이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학업성취도 평가를 하였고, 수학태도 검사도구인 설문지를 통하여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수학퍼즐을 활용한 수업이 문제해결에는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수학퍼즐을 많이 풀어 수학이 어렵고 지루한 과목이 아니라 쉽게, 재미있게, 실생활에 꼭 필요한 학문이라는 것을 학생들로 하여금 느끼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er came to seek for an efficiently learning-instruction plan with seeing that students feel difficult or dislike mathematics, through the mentoring in math curriculum. So, this researcher came to think about 'how will students be allowed to recover the lost interest in mathematics?' and 'how will students feel mathematics more easily?' In the meantime, when presenting a simple math-puzzle problem to students, a student, who hadn't shown interest in solving a problem, showed the image of striving to solve math puzzle. With having an idea here, the aim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struction with application of math puzzle is effective even for the group teaching in class unit on the school field during the period of educational practice for 4 weeks, and in which aspect it is effective if there is effect.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1)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perience of math puzzle and the comparativ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math puzzle? 2) Does it has influence upon the affective domain on mathema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tegration of math puzzle and the comparativ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math puzzle? 3) Let us observ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math puzzle, evaluation problem), and examine which influence the math puzzle has upon problem-solving ability. It examined about influence of instruction with application of math puzzle upon the affective domain & academic achievements and upon the strengthening in problem-solving ability, by dividing it in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argeting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general high school. Pre-post 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t examined which influence it has upon affective domain through questionnaire, which is test tool of math attitude. Also, it examined which influence the instruction with application of math puzzle has upon solving probl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llowing students to feel that mathematics is not the difficult and boring subject, but is the learning surely necessary for real life easily and interestingly, by solving math puzzle much.

      • L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소형화

        장연정 충남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To miniaturize the microstrip patch antenna (MPA), the ‘L’ type plates are attached under the rectangular microstrip patch. The miniaturized linear and circular 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s are designed and fabricated at the resonant frequency of 1.575GHz. In case of the linear polarization, the size of the microstrip antenna attached the 14 plates is reduced to 67.9% compared with general MPA. The gain is 1.19dBd. Also in case of the circular polarization, the size of the microstrip antenna with 13 plates is reduced to 54.6% compared with the general MPA. The gain and axial ratio are 1.36dBd and 1.37dB at 1.575GHz, the 2dB axial ratio bandwidth is 14MHz (0.8%).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icrostrip antenna using ‘L’ type plates is a proper structure for the miniaturization when it is both linear and circular polarization.

      • 等價, 相等, 同値의 분류에 의한 등호 개념 지도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장연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elp eleventh grad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equal sign precisely by giving instructions classified by identity, equality, and equivalence and also reduce the errors of the equal sign in that students make during problem-solving. Hereby, after analyzing the text I studied the method of teaching classified by identity, equality, and equivalence. And then based on this method, the teaching plan was built and manipulated in the real instruction. Lastly, I reviewed the whole process of the instruction. The changes or executions shown among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most of students considered the equal sign as a instruction code of calculation, "After calculating the left member, write the right answer in the right member." In other words, they just understood it as technical order. However, during the class they began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equal sig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objects of both members. At the end of the class, the students we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equal sign which was used technically and the one that was used relationally. Secondly, after teaching the meaning of the equal sign classified by identity, equality, and equivalence, the students could ge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qual sign more widely, obtain the confidence of solving verification-problems through the knowledge of the meaning of equivalence, and hereby, correct errors in the process of the problem-solving. Thirdly,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eachers, students recognized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equal sign and they began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equal sign. As a result, they started not to omit the equal sign in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Fourthly, as students learned that the errors they made with regard to the equal sign were the result of incorrect mathematical concept, they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grasping exact mathematical concept from the beginning. Below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ly, because students imitate teacher''s utterances and process of problem-solving, teachers should use mathematical languages and codes with utmost precision so that the students are not confused about fundamental concepts. Secondly, many of students had a tendency to omit the equal sign just because of the complicated and boring process of calculating the equal sign. In addition, they could not properly understand or use the definition and theorem that they were taught during classes. So the teaching method to teach the systematic and step-by-step process of problem-solving should be designed. Thirdly, Teacher''s prop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ught to come first in order to revise a student''s incorrect notion. Therefore teachers need to look into the text in advance systematically and be fully aware of the content which could cause errors frequently, illustrating both typical examples and counterexamples. As a result,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struction method about teaching the concept of the equal sign which is shown in this study could be beneficial for eliminating incorrect notions and establishing right on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1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등호의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등호의 개념을 등가, 상등, 동치로 분류하여 실제 지도함으로써 올바른 등호 개념을 정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과서를 분석한 후 등호의 개념을 등가, 상등, 동치로 분류하여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후 이 지도방안으로 교수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로 수업 전 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변화 및 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수업 초기에 등호를 대부분 ‘좌변을 계산하여 우변에 답을 쓰라’는 계산명령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즉, 조작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수업이 진행될수록 양변에 대상을 비교하여 등호의 의미를 이해하기 시작하였고 수업 후에는 조작적으로 쓰인 등호와 관계적으로 쓰인 등호를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등호의 의미를 등가, 상등, 동치로 구분하여 수업을 한 결과 등호의 의미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동치개념을 인지하여 증명문제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문제 해결과정에서 오류가 수정되었다. 셋째, 대화로 의사표현을 하는 과정에 학생 스스로 등호의 오개념을 인지하게 되었고 그 결과 등호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문제해결과정에서 등호를 생략하지 않으려고 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등호의 오류가 발생하게 된 이유가 부정확한 수학적 개념으로 인한 결과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어 수학적 개념을 도입 초기에 올바르게 정착하여야 함을 알게 되었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들은 교사의 언어, 풀이과정 등을 모방하므로, 개념을 처음 도입할 때 특히 주의를 기울여 수학적 언어와 기호를 정확하게 구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오류를 줄일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등호의 계산과정에서 복잡하고 귀찮다는 이유로 등호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더불어, 자신의 배운 정의나 정리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제해결과정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지도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오개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이해와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사전에 체계적으로 교재를 연구하고, 오류가 자주 나타나는 내용을 미리 충분히 숙지하여 학생들에게 전형적인 예와 반례를 보임으로써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제시한 등호의 개념 지도 방안은 학생들의 등호에 대한 오개념을 제거하여 올바른 개념을 정착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지식, 당뇨관련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장연정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지식, 당뇨관련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 당뇨병센터 외래를 내원하는 환자 중 인슐린 치료 경험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5월 1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 18문항, 심리적 인슐린저항성 18문항, 당뇨병 지식 20문항, 당뇨관련 스트레스 20문항으로 총 76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3~6개월 이내 당화혈색소 검사결과, 경구혈당강하제의 종류, 당뇨합병증 유무, 의료보험 종류는 전자의무기록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9.79±11.10세이며, 대상자 151명 중 남성 73명 (48.3%), 여성 78명(51.7%)이다. 당뇨병 유병기간은 8.53±7.21년이다. 2. 연구 대상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은 90점 만점에 평균 63.94±13.40점, 평균 평점은 5점 만점에 3.55±0.74점이었다. 인지심리적 영역은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62±0.78점, 지지적 영역은 평균 평점 3.32±0.95점이었다. 여성(t=-3.537, p=.001), 고졸 이하(t=2.444, p=.016), 현재 직업이 없는 경우(t=-2.071, p=.040), 월 평균 가계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경우(t=1.277, p=.024), 치료비를 본인 외에 배우자나 자녀, 부모가 부담하는 대상(t=-3.658, p<.001)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이 높았다. 3. 연구 대상자의 당뇨병 지식 점수는 20점 만점에 평균 13.49±3.67, 정답률 67.5%였다. 당뇨합병증 영역이 81.0%로 가장 높았으며 치료목표, 저혈당, 식사요법, 일반적 지식 순으로 정답률이 높았다. 당뇨병 지식은 여성(t=-2.334, p=.021), 65세 미만(t=2.689, p=.008), 대졸 이상(t=-2.959, p=.004), 월 평균 가계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대상자가 높았다(t=-2.248, p=.026). 또한 조절목표 혈당수치를 알고(t=3.580, p<.001) 최근 3~6개월 이내 당화혈색소 검사결과(t=6.507, p<.001)와 인슐린 작용기전을 알고 있는 경우(t=4.369, p<.001)에 당뇨병 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 교육을 받은 유무와 당뇨병 지식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가혈당측정기 소유한 대상자(t=2.586, p=.011), 자가혈당 측정횟수를 많이 할수록 당뇨병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t=2.837, p=.042). 4. 연구 대상자의 당뇨관련 스트레스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53.41±14.33점, 각 문항 5점 중에 평균 평점 2.67±0.71점이었다. ‘당신은 당뇨병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가능성과 미래에 대해 걱정을 합니까?’의 문항이 5점 중 3.72점으로 평균 평점이 가장 높았다. 남성보다는 여성이(t=-3.896, p<.001), 월 평균 가계소득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t=2.504, p=.013). 5. 연구 대상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 점수가 높을수록 당뇨관련 스트레스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r=.444, p<.001), 당뇨병 지식 점수와는 양의 상관관계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당뇨병 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당뇨관련 스트레스 점수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은 인지심리적 영역에서 높았다. 성별, 교육수준, 직업의 유무, 가계 소득수준, 치료비를 부담하는 대상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당뇨관련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당뇨병 지식과는 양의 상관관계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당뇨병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수준 및 가계 소득수준이 선행연구에 비해 높아 당뇨병 지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지식과 관계없이 인슐린 치료 경험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치료에 대해 심리적으로 저항감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인슐린 치료에 대한 심리적 인슐린저항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뇨관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환자뿐만 아니라 지지체계 구축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당뇨병 교육자는 교육과 상담을 통해 인슐린의 작용 및 효과, 필요성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내적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당뇨병 환자가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간호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diabetes knowledge, and diabetes-related stres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ho had no experience of insulin treatment.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and the sample of 151 patients with diabetes was recruited from among patients visiting the diabetic clinic of Y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from May 11 to May 31, 2020. Three questionnaires including 76 items were used to assess patients, including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diabetes knowledge, and diabetes-related stres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one-way ANOVA with Scheffé’s test post hoc using SPSS version 25. Results: Participants’ mean age was 59.79 years (SD=8.66), and more than half of them (n=78, 51.7%) were women. The total mean score and average mean of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were 63.94±13.40 out of 90, and 3.55±0.74 out of 5, respectively. The cognitive psychological domain showed a higher average score of 3.62±0.78 than the supportive domain (3.32±0.95). The women showed higher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than men, and patients for whom their spouse, children, or parent paid their medical expense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than a patient who paid by him/herself. In addition, patients who only graduated from high school showed higher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patients without current job showed higher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than patients with jobs, and patients who had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KRW showed higher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than that of more than 3 million KRW. The diabetes knowledge score averaged 13.49±3.67 out of 20 an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67.5%. Among the items of diabetes knowledge, diabetes complication was the highest with 81%, followed by treatment goals, hypoglycemia, diet therapy, and general knowledge. To be specific, women, under 64 years old, an education level of a college degree or higher, or a household income exceeding 3 million KRW indicated high diabetes knowledge. In addition, patients who knew the target blood sugar level, the test results for HbA1c within the last three to six months, and the insulin mechanism showed high scores in diabetes knowledge. Furthermore, patients who owned a glucometer and used their own glucometer showed higher diabetes knowledge. Regarding diabetes-related stress, the total mean score and average mean score were 53.41±14.33 out of 100, 2.67±0.71 out of 5. Women and patients with low monthly household income showed higher diabetes-related stress. Lastly, the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abetes-related stress. Conclusions: To reduce psychological insulin resistance, we ne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patients, including diabetes stress-related stress, to help them enhance their support system as well as provide a tailored diabetic education. Also, through education and counseling,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diabetic education nurses should take the rol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educators, and advocates to communicate insulin actions, effects, and, needs with patients, and to provide proper knowledge, skills, and motivation for treatment.

      • 강준일 작곡 4인의 해금주자 합주협주곡 “다스름” 분석 : 해금독주선율과 해금합주선율을 중심으로

        장연정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해금은 음색이 독특하며 역안법을 사용하여 음악적 표현이 비교적 자유로운 국악기이다.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해금독주곡과 해금협주곡이 발표되었으며, 특히 근래에는 현대적인 연주기법을 요하는 곡들도 꾸준히 작곡되어 해금 창작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작곡가 강준일은 해금의 다양한 표현력에 주목하여 기존에 시도되지 않던 현악기만을 위한 앙상블 작품을 다수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앙상블 작품 가운데에서도 독주선율과 합주선율이 모두 합주로 이루어진 <4인의 해금주자 합주협주곡 “다스름”>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4인의 해금주자 합주협주곡 “다스름”>은 단악장의 곡이긴 하나 리토르넬로 형식을 바탕으로, 총 2번의 총주 부분과 2번의 삽입부, 그리고 종결구(Outro)로 구성되었다. 모든 선율은 레가토를 중심으로 한 긴 프레이즈의 [제 1주제선율]과, 스타카토와 짤막한 리듬구조를 중심으로 한 [제 2주제선율]에서 변주된 선율들로 짜여졌다. 한편 이 곡의 악기편성은 4인의 해금독주와 해금합주 Ⅰ ․ Ⅱ ․ Ⅲ, 그리고 소아쟁 ․ 대아쟁으로 이루어졌다. 즉, 타악기나 관악기 없이 현악기만으로 앙상블이 진행되는 고도의 앙상블 수련곡이다. 그리하여 작곡가는 트레몰로 ․ 피치카토 ․ 아르코 등 찰현악기의 특징적인 주법과 싱커페이션 ․ 헤미올라 등의 리듬요소, 아티큘레이션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악상기호와 표현기법, 폭넓은 음역 사용 등으로 풍부한 앙상블을 만들 수 있도록 작곡하였다. 또 이 곡은 1인의 해금독주를 위한 협주곡이 아닌 4인의 해금주자를 위한 협주곡으로써 카덴차(Cadenza)가 없으며, 해금독주군과 해금합주군이 함께 주제선율을 진행한다. 그 진행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한 주제선율을 두 해금군이 함께 진행하거나, 두 번째로 한 해금군이 주제선율을 진행할 때 다른 해금군이 반주를 하거나, 세 번째로 각 해금군이 서로 다른 주제선율을 동시에 각각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앙상블의 요소들은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동종악기 합주형태의 단점을 피하고, 다채로운 앙상블을 이루는 장치 역할을 하였다. 해금의 창작곡은 독주곡과 협주곡뿐만 아니라 이제 현대음악에도 그 영역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연주자에게 곡을 해석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특히 앙상블을 연주할 때는 전체 곡의 흐름을 분석하여 자신이 맡은 선율의 의미나 역할 등을 정확히 해석해야 완벽한 앙상블을 이룰 수 있다. 아직까지 해금 앙상블에 대한 관심과 훈련은 독주곡에 비해 그리 높지 않지만, 하나의 장르로서 많은 발전을 기대할 가치가 충분하다. 그런 의미에서 해금 앙상블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aegeum is a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which is unique in timbre and is relatively free to express musical expressions by using Yeokanbeop.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numerous haegeum solo pieces and haegeum concertos have been released. In recent years, the music that require modern playing techniques have been consistently composed,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created traditional music of haegeum. Among those composers, composer Gang Jun-il specifically focused on various expressions of haegeum and made a lot of ensemble pieces for stringed instruments that were not tried in the past. Among these ensemble pieces, <“Daseureum”, Concerto Grosso for Four Haegeums>, which is composed of solo melodies and ensemble melodies together, is analyzed in this study. <“Daseureum”, Concerto Grosso for Four Haegeums> is made of a single movement, but consists of two total tutti, episode, and an outro, based on the Litornello format. All melodies were composed of melodic variations in [the first theme melody] with long phrases centered on legato and [the second theme melody] centered on staccato and short rhythms. Moreover, the instrumental composition of this piece consists of four haegeum players, a haegeum solo and haegeum ensemble (Ⅰ, Ⅱ, Ⅲ), soajaeng and daeajaeng. In other words, it is a high-class ensemble only for stringed instruments without percussion or wind instrument. Thus, the composer composed to make a rich ensemble with characteristic playing styles of bowed string instrument such as tremolo, pizzicato, arco, etc, rhythmic elements such as syncopation, hemiola, etc, a variety of symbols and expressions that can form an articulation, and use of wide range. This is a concerto for four haegeum players, not a concerto for solo soloists. There is no Cadenza, and the theme melody is performed by the soloist and the haegeum ensemble. There are three main ways of proceeding. The first way is two haegeum groups perform a theme melody together. Secondly, when a haegeum group performs the theme melody, other haegeum groups accompany it. Thirdly, each haegeum group performs different theme melodies at the same time. These elements of the various ensemble avoided the disadvantages of the form of ensemble of homologous instruments, which could be monotonous, and acted as a device for forming various ensembles. Haegeum created traditional music is expanding its scope not only in solo and concerto but also in modern music. At this point,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music is essential to the player. In particular, when playing an ensembl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low of the entire music and accurately interpret the meaning and role of the melody it plays so that a perfect ensemble can be achieved. The interest and training of haegeum ensemble is not so high as solo piece yet, but it is worth to expect much development as one genre. In this sense, research on haegeum ensemble should be done constantly.

      • 디자인의 숭고미 해석

        장연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의 숭고미 개념과 그 특성 및 특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미학적 측면에서 숭고미의 계기와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숭고미의 미학적 개념을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전제하였다. 이어 연구는 전제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의 목적에 숭고미 실현이 부재함을 밝히고 구성, 취향, 일상미, 순수미로 분류하여 주장을 방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 사회, 기술, 의사소통에서 유형, 무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숭고미를 해석하고 그 특성 및 특징을 연구의 결과로 도출하였다. 숭고미란 마음속에 내재되어있는 기준을 넘어설 정도의 상황 또는 대상 앞에서 새로운 인식능력의 확장으로 무한성의 이념을 떠올릴 때 부정적 쾌감을 동반하는 미적 경험이다. 연구는 먼저 미학적 측면에서 숭고미의 발생 계기를 ‘무한성’과 ‘부정성’으로 정의하였으며 숭고미는 초감각적 이성이념의 확장으로 여타 다른 미적 경험들과 차별화되는 ‘부정적 쾌감’의 감정을 동반한다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예술과 미학의 범주에서 제한되어 숭고함을 느낀다는 것은 일종의 환영이라고 전제하였다. 연구는 이어 숭고미의 개념이 무형식의 상태에서 느끼는 부정적 쾌감을 동반하는 심리적 체험이라는 점에서 결과물로서 구체화되는 디자인의 목적에 숭고미 실현이 부재하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우선 ‘디자인의 정의’, ‘구성’, ‘취향’, ‘일상미’, ‘순수미’로 분류하여 주장을 방증하였다. 역설로 본 연구는 디자인의 창조적 행위를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정신적 과정의 측면으로 이해하고, 디자인에서 숭고미의 사유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위해 사회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숭고한 변화의 지점에서 ‘새롭고 유용한 것을 만들기 위한 창조적 행위’ 가 디자인의 숭고미의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았다. 연구는 이어 디자인과 사람, 디자인과 사회, 디자인과 기술, 디자인과 의사소통의 사례를 고찰하였고, 숭고미의 경험에 따른 그 특성 및 특징을 ‘자각성’, ‘감각성’, ‘가변성’, ‘무한성’, ‘우월성’, ‘연속성’, ‘가치성’, ‘지향성’ 8가지로 도출하였다. ● 자각성의 숭고미 : 기존의 사회적 상황의 부정적 결과들에 대한 투쟁정신을 보여주는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시대를 초월하여 기억되며, 사회의 고정관념과 선입견을 깨트리고 무한히 확장되는 새로운 인식의 지평위에서 디자인된 것으로 그 과정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감각성의 숭고미 : 디자인을 감상의 대상으로 확장시켜 정신적 만족을 주는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기술적 효율과 완벽한 미학으로 귀결되던 현대의 디자인에서 기능성과 심미성만으로는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부정적 사유로부터 디자인된 것으로 그 과정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가변성의 숭고미 : 이전 건축 구성의 기본원리에서 벗어나 대담한 구조적 시도와 재료 그리고 기술을 사용하면서 인간의 정신적 만족감을 주는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이는 건축에 담아야하는 사회의 모습과 가치 그리고 물리적 구조물 사이에서 생겨나는 오류와 필연적 모순을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무한성의 숭고미 : 거대하고 위압적으로 느껴지도록 만들어진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크기에 대한 도전의 결과로서 상상력의 범위를 벗어나 동시적으로 대상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없는 압도적 크기는 인간의 모든 감각의 척도를 넘어서는 초감각적 인식능력의 확장으로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우월성의 숭고미 : 기술의 가공할만한 힘이 적용된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그 힘으로 단단하고 촘촘하게 막혀있는 틀을 깨트리는 순간 인간 내부의 우월한 힘이 발휘되는 과정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연속성의 숭고미 : 기술혁신의 가속화로 끊임없이 감각의 자극이 도출되는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가상세계로 이어지는 아무것도 드러나지 않은 경계가 없는 한계의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가치성의 숭고미 : 다양한 사람들에게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설득하는 것 이상의 마음의 고양을 불러일으키는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던 시도로부터 나오는 메시지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만큼의 정신적 만족감을 주며 이러한 감정정화의 측면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 지향성의 숭고미: 사회 또는 도시의 위기에 대한 자각으로서 반성적 차원의 디자인에서 경험된다. 기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과거에 대한 부정적 사유로부터 새로운 실천의 가능성을 찾으며, 미래를 향한 심미적 지향의 과정에서 숭고미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숭고미의 개념적 이해와 발생계기 및 발생과정, 디자인에서 일상미와 순수미의 의미 그리고 디자인의 숭고미 경험에 따른 특성 및 특징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약하지만 이 짧은 고찰이 디자인에 대한 사유에 있어 숭고미의 실천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초등 과학 영재 판별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도구 개발 : 자연 관찰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장연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연 관찰 탐구 활동 과정에서 초등 과학 영재 학생을 판별하기 위한 과정 중심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 생성 과정에 근거하여 자연 관찰 탐구 활동을 귀납 · 귀추 · 연역적 과정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교수 학습 및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개발된 평가 문항은 대회용 1종, 일반 학급 수업용 1종, 영재 학급 수업용 1종 등 총 3종이며, 평가 기준은 대회용 1종, 수업용 1종 등 총 2종이다. 문항 정보, 교수 학습 과정안, 교사용 체크리스트와 채점표, 학생용 평가표도 함께 개발하여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평가 도구를 경남 M시의 M 초등학교 4학년 1개 반, 5학년 1개 반, 5학년으로 구성된 과학영재학급 1개 반에 투입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만족도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과학 영재 교육 전공 교사와 일반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평가 도구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일반 학급 학생들 뿐만 아니라 영재 학급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진단할 수 있었고, 잠재적 과학 영재 학생도 판별할 수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자연 관찰 탐구 활동 수업에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며, 교사의 피드백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 또한 과학 지식 생성 과정에 근거하여 평가 루브릭이 세분화되어 있어 단계별로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과학 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관찰추천제의 보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연구는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과정 중심 평가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이다. 또한, 수업 중에 이루어진 과정 중심 평가는 영재의 선발과 판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피드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미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프로그램의 개선점을 보완하여 평가 도구의 소재와 영역, 수준을 다양화하고, 피드백 자료를 구체화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는 가장 기초적인 과학 탐구의 기능인 관찰을 비중있게 다룬 활동이기 때문에 영재 교육 진입 전인 어린 잠재적인 과학 영재 학생들에게 좋은 체험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상백피로부터 α-Glucosidase 저해제의 분리, 동정 및 정량

        장연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identify, and quantify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L. The ethanolic extracts from four different parts of Morus alba L., such as mulberry fruit, leaf, twig, and root bark, were prepared and their biological actions, including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an in vitro assay systems using DPPH,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lipoxygenase, respectively. As a result, among four ethanolic extracts examined, the ethanolic extract of Morus root bark showed the high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IC50=12.01 μg/mL).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anolic extract of Morus root bark by Diaion HP-20, silica gel, ODS-A,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was led to isolation of four α- glucosidase inhibitors, including Comp. 1(IC50=2.22 μg/mL), Comp. 2(IC50=2.01 μg/mL), Comp. 3(IC50=4.27 μg/mL) and Comp. 4(IC50=4.33 μg/mL).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morusin(Comp. 1), kuwanon H(Comp. 2), mongolicin(Comp. 3) and chalcomoracin(Comp. 4) by UV and NMR spectral analysis. Finally, four α-glucosidase inhibitors in the Morus root barks produced in different areas were quntified by HPLC. The root bark produced in "Uljin" had considerable higher amounts of α-glucosidase inhibitors than other Morus root bar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nylflavonoids of Morus root bark may be useful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of diabetes.

      • 슈베르트 「Mass in G Major」의 분석·연구

        장연정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특히 예술 가곡과 합창 음악 등의 성악 작품을 많이 남겼다. 슈베르트의 「Mass in G Major」는 Kyrie, Gloria, Credo, Sanctus, Benedictus, Agnus Dei 의 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Kyrie는 가사의 내용과 음악적인 특징에 따라 A-B-A'-Coda로 구성되며 호모포닉한 합창과 소프라노 독창이 애절한 선율로 가사를 표현한다. Gloria는 A-B-A'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호모포닉한 합창과 소프라노와 베이스독창이 서로 대화하는 형태로 주고받는 이중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Credo는 악상의 변화에 의해 A-B-C-A'로 구분되는데 A부분은 pp로, B부분은 p로, C부분은 f와 ff로 점차 음량이 증대된 후 A'에서 pp로 조용히 마무리 된다. 이 곡은 전례문에 들어 있는 'Et in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ecclesiam(하나뿐인 교회와 거룩한 공회의 사도로부터 내려온 교회를 믿습니다)'라는 가사가 생략되었다. Sanctus는 A-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가사와 합창부분의 음악적 특징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 A부분에서는 호모포닉한 합창이, B부분에서는 폴리포닉한 합창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Benedictus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A-B의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A부분은 소프라노 독창, 소프라노와 테너의 이중창, 그리고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삼중창으로 이루어지고 B부분은 폴리포닉한 합창으로 Sanctus의 ‘Osanna in excelsis’부분이 그대로 반복된다. Agnus Dei는 가사의 반복과 조성의 변화에 따라 A-A'-A''의 세 부분으로 구분 되는데, 조성은 e minor - D Major - b minor - A Major - a minor - G Major로 단조와 장조를 교대로 전조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연구자는 슈베르트의 「Mass in G Major」의 분석·연구를 통하여 이 곡이초기 낭만주의 시기의 합창 음악 특징과 함께 슈베르트 특유의 선율과 화성, 전조, 악상의 대비 등을 잘 나타내는 작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연주자들에게 올바른 연주 기법과 음악적 지식을 제시하여 보다 나은 연주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