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 후기 아동의 놀이성과 또래관계와의 관계: 또래관계 질과 또래갈등해결전략을 중심으로

        임은실(Yim Eun-Sil),김현수(Kim Hyun-Soo)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19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yfulness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use of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ree-hundred-and-sixty-five 5th or 6th graders in Seoul, Gyeonggi, and Gwangju areas completed paper-and-pencil questionnaires assessing these three constructs. The relationships were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cluster analyses, and ANOVA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pper elementary students who had high playfulness showed bett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used more compromise/cooperation, avoidance, dominance, and concession strategies to resolve conflicts with peers than upper elementary students who had low playfulness. Second, social playfulness, among other playfulness dimensions,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shaping the students’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hile emotional playfulness was found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students’ pe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ird,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playfulness clusters, the ‘High,’ the ‘Moderate,’ and the ‘Low’ playfulness clusters. ANOVAs yielded results that demonstrated bette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more use of compromise/cooperation, avoidance, dominance, and concess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he High playfulness cluster than in the Moderate and the Low playfulness clusters. The importance of playfulness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peer relationships was emphasized and ways to develop upper elementary students’ playfulnes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지도 비교연구

        임은실(Yim, Eunshil),서인주(Seo, Inju),김순구(Kim, Soon-Gu) 한국농촌간호학회 2020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status of dispatch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health care in response to COVID-19 according to location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he practitioners’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related to COVID-19. Methods: Among the 193 practitioners surveyed, 175 people in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ccording to work status and differences in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x² and one-way ANOVA, followed by a Scheffé-tes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 in the number of days and places for dispatch teams to respond to COVID-19.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pport, the overall score was low, but Gyeongsang-do, which had the longest number of dispatch days due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confirmation of patients, showed higher support compared to other regions. Knowledge of COVID-19 was high, but there were no regional differences. Conclusion: Regarding performance of COVID-19 response tasks, the support level was low, indicating that psychological support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the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for the provision of alternative services to prevent a work gap in health clinics.

      • KCI등재

        생애전환 초기 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경험 및 내재적 요인 비교

        임은실(Eunshil Yim),김도숙(Dosuk Kim),김보환(Boh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초기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과 낙상의 내재적 요인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66세 생애전환기 건강진단검사를 받은 수검자 중 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제외한 255,505명을 대상으로 2차분석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연구결과: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66세 초기노인의 낙상경험은 전체 10.6%로 남자 8.5%, 여자 12.4%로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낙상비율이 높았다. 남녀에서 낙상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뇨장애 6.2-6.6배, 우울 1.5-1.8배, 보행장애 1.3-1.5배, 및 실명 1.3-1.4배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비록 내적 낙상위험요인이 다양할지라도 효과적인 낙상예방을 위해서 배뇨장애가 중요한 내재적 예측요인이며, 이는 초기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lderly falls and the intrinsic fall risk factor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r medical checkups for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suppor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subjects examined were 255,505 people aged 66 years in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8. RESULTS: The elderly people aged 66 when in the transitional periods of life experienced 10.6% of their first falls. The first falls of women (12.4%) was greater than that of men (8.5%) in the elderly. The risk factors for falls included dysuria with an odds ratio of 6.2 to 6.6, depression with an odds ratio of 1.5 to 1.8, gait disturbance with an odds ratio of 1.3 to 1.5, and blindness with an odds ratio of 1.3 to 1.4 in both elderly women and men. CONCLUSIONS: Effective fall prevention should focus on dysuria because it is a more important predictor of falls, even though many intrinsic fall risk factors can affect falls in elderly people.

      • KCI등재

        사회인류학의 눈으로 본 프랑스 ‘한국학’의 현황과 전망

        임은실(Eunsil YIM)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2

        이 글은 파리 시테 대학(Université Paris Cité) 의 한 일원으로서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프랑스에서 ‘한국학’의 역사와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구조적인 여러 문제점을 성찰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1956년 소르본노 동양어 학부에서 첫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이후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어 및 한국학이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는지 시간 속에서 재구성하며 고찰한다. 현재 프랑스에서 한국 관련 학과가 정식으로 설치된 대학교는 7개에 이르며 한국어 강좌를 개설한 대학교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한국학 연구소(CRC)는 확대 개편된 동아시아 전문 연구소에 통합되면서 제도적으로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학부 차원에서는 두 개 학과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언어, 역사, 문화 등 종합적 지식체계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학과’(études coréennes)가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영어와 더불어 한국어를 전공하는 ‘한국어과’가 있다. 목적과 성격은 서로 다르지만, 각 대학 및 학과의 여건에 따라 나름대로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다양한 ‘한국어과’와 ‘한국학과’가 공존하고 발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 대학에서 ‘한국학’의 위상 변화는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프로필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프랑스 대학입시 플랫폼인 파르쿠르슙(Parcoursup)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지원 동기 및 결정 과정, 출신 고등학교 소재 지역 등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초기 연구 단계에서 제한된 조사 결과로 미리 예단을 할 수 없지만, 파리 시테 대학교 한국어과의 최근 신입생들의 경우, 사회적으로 중·상층 출신과 잠재적인 학습 능력이 높은 지원자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를 관찰할 수 있다. 프랑스 대학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이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개선 및 극복해야 할 적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다. 가령 학습 교재 개발, 대학원 프로그램 보완 및 강화, 한국학 연구의 활성화 및 다양화 등을 들 수 있다. S'appuyant sur les expénences d'enseignement à l'Université Paris Cité, l'auteur se propose de dresser l'état des lieux des études coréennes en France afin d'en dégager une réflexion constrnctive sur le devenir de ces dernières. L'attention se focalise d'abord sur l'histoire des études coréennes en tant que formation universitaire dont l'objectif est de restituer les conditions de son développement. En effet, les études coréennes ont connu une évolution rapide : depuis l'introduction du premier cours de coréen à la Sorbonne en 1956, on compte désormais sept universités offrant un cursus de coréen en LLCER (Langues, littératures et civilisations étrangères et régionales) et en LEA (Langues étrangères appliquées) ; et par ailleurs, de plus en plus d'établissements d'enseignement supérieurs ouvrent des cours de coréen. Le dynamisme s'observe également dans le domaine de la recherche comme l'atteste le renforcement du Centre de recherches sur la Corée (CRC) qui, depuis sa fusion avec ceux sur la Chine et le Japon (UMR 8173 « Chine Corée Japon »), est devenu un pôle de recherches incontournable spécialisé sur l'Asie. Pour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e la situation des études coréennes dans les universités en France, il convient de distinguer deux types de cursus : la licence LLCER « études coréennes » est tournée vers l'enseignement généraliste articulant les cours de langue et de civilisations tandis que la licence LEA « Anglais/Coréen » met l'accent sur l'enseignement professionnalisant. La coexistence de ces formations permet de diversifier l'offre tout en attirant des profils variés de candidats, et ce faisant, contribue au développement des études coréennes. Leur « montée en puissance » en France aujourd'hui trouve une explication dans l'évolution des profils sociologiques des étudiants. Cette sociographie peut être analysée grâce aux dossiers de candidature déposés sur la plateforme nationale d'admission dans l'enseignement supérieur, le Parcoursup : ce sont en particulier le parcours scolaire, l'origine géographique du lycée sortant et la motivation. L'analyse de ces éléments parmi les étudiants admis en première année montre l'augmentation des profils possédant une bonne aptitude scolaire, issus de classes sociales moyenne voire aisée. Si cette tendance s'observe ces dernières années, il faudra poursuivre les mêmes analyses sur plusieurs années pour qu'elle soit confirmée. L'évolution dynamique des études coréennes en France est incontestable. On ne doit pas pour autant faire abstraction d'un certain nombre de problèmes qui se pose à moyen et à long termes, tels que le développement des manuels adéquats, le renforcement de l'offre pédagogique en master et la diversification active dans le domaine de recherches en coréanologie.

      • KCI등재

        Neither North nor South? The Identity Paradigm of Kazakhstani Koreans at the turn of the Soviet period

        Eunsil YIM(임은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동서인문 Vol.0 No.11

        1937년 러시아의 극동지역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구소련의 한인은 소련의 해체시기에 북한과 남한이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쟁대상이 되었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남북한의 언어 전쟁”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남북의 문화적/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인하여 구소련의 한인을 대표하는 단체들은 경쟁하는 두 개의 축, 즉 친북과 친남으로 나누어졌고 많은 한인들은 남북한의 언어 및 문화의 이질성을 실제로 접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카자흐스탄 한인들이 겪어야 했던 “언어전쟁”이라는 사례연구를 통해 오늘날 카자흐스탄과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문제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Originating in the populations deported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in 1937 and estimated to more than 400,000 people, the ethnic Koreans residing in post-Soviet states was the object of a struggle for influence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turn of the Soviet period. The inevitable result has been to divide this space into two competing poles, one pro-North Korean and the other pro-South Korean. Thus, the issue of identity today facing the Koreans of Kazakhstan and tho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more generally – – cannot fully be understood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produced by the North/South confrontation within the diaspora.

      • 고려인 이주민을 위한 ‘고려인 한국어 교사 되기’ 내러티브 탐구

        안정민 ( Ahn¸ Jeongmin ),임은실 ( Eunsil Y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출신 교사를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들이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히고, 이들에게 필요한 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 재한 고려인은 약 72,000명이며 한국으로의 고려인 이주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으나, 고려인 이주자의 낮은 한국어 숙달도는 한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데에 장애 요건이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국내로 이주하는 고려인이 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논의도 늘어났으나 ‘학습자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연구 외에 ‘교사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을 수 없다. 지금까지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 대하여 직접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국내 거주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사와 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려인을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교사들도 있고, 학부나 대학원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이후에 한국어 교사가 된 경우도 있다. 특히, 민간단체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 중 고려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인 교사를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을 받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로 나누어 한국어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향후 고려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삶의 역정, 경험, 의지, 세계관 등을 존중하되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자의적인 (재)해석을 미세하게 찾아내고, 다양한 자료와 참여적 현장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에 방점을 둔다. 더 나아가, 이주자가 원래 살아왔던 국가와 이주 후 정착 국가, 즉 고려인 한국어 교사가 속한 국가(예컨대, 우즈베키스탄)에서 삶과 그가 생활했던 혹은 하고 있는 이주국(한국)에서 삶, 그리고 정착 과정, 특히 한국어 습득과 교원 자격 획득 과정을 총체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사를 전문 한국어교사와 비전문 한국어 교사로 나누어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을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경험, 한국어 교사로서의 경험(한국어교육 형태,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로서의 강점/약점,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등으로 범주화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려인 비전문 한국어 교사를 위한 현실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려인을 가르칠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게 러시아어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진행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내 거주 고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이 제도화되고 효율적으로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려인이 다문화가족지원법 등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This study is the product of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individual, group, institution, national, transnational) on the narratives of Koyroin (CIS Korean diaspora)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CIS Korean migrants in Korea. It aims to reveal the process of becoming Korea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development and re-education for them. Currently, there are about 72,000 Koyroin residing in Korea. Although the number of Korean migrants from the CIS continues to increase, their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s an obstacle to a stable life in Korea and is considered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problem. Research on teaching Korean to these people has multiplied recently, but there is no specific discussion of “Koryoin as teachers”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Koryoin as learners.” It is from this observatio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Koryoin teachers, their roles and training while resituating them in the space of the discussion on teaching Korean to CIS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for Koryoin, there ar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no previous professional training. In particular, while the majority of Koryoin language teachers work in private institutions, only a minority of them have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who have undergone professional 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ose who have not. This distinction helps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fa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needed for future Korean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ivilege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center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which gives priority to the interviewee, allows for a more efficient collection of information such as family life,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al experiences, disposition, and worldview, but also for the discovery of the interviewe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re)interpreted trajectory. This analysis must be crossed with various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ravers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our study is also based on a double observation, on the one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the migrant originally lived, and on the other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he/she settled after emigration, without forgetting other elements such as settlement process, mode of acquir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etc.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ethodology, Koyroin language teachers were divided into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the teacher’s experience. The analysis also focu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training programs they attended as well as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Finally,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and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research, we present som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training program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Koyroin teacher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alistic training plan for non-professional Koyroi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Koyroin language teachers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Russi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ir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ircumstances of Koyroin teachers, it is imperative to institute a system that allows them to receiv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인건비 수준과 분포에 관한 실증분석

        김진현 ( Kim Jin Hyun ),임은실 ( Yim Eun Sil ),배현지 ( Bae Hyun Ji ),서동민 ( Seo Dong Min ),정수용 ( Jeong Su Yong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6 장기요양연구 Vol.3 No.2

        장기요양서비스의 수가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인건비를 파악하였다. 자료는 표본집단으로 선정된996개 기관을 대상으로 2014년7월~8월 동안 전문조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수집하였다.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14,505명의 인건비 분석결과 2014년 9월 기준으로 직종 중 요양보호사가 79.8%로 가장 많았고, 종사자들의 4대 사회보험 가입률은 79.5%로 조사되었다. 월평균근로시간을 고려한 요양보호사의 시간당 인건비는 방문목욕이 10,517원으로 가장 높았고, 노인요양시설8,082원, 주야간보호 7,817원, 단기보호 7,750원, 방문요양 7,226원, 공동생활가정6,320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서, 중소도시보다 농어촌에서 급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설의 규모가 클수록 월평균급여가 높게 조사되었다. 2014년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평균급여는 2012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2년간 임금인상률, 장기요양 수가인상률을 고려할 경우 수가인상분이 급여인상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사자의 임금수준을 적정선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요에 기반을 둔 공급체계 수립, 적정 규모의 장기요양기관 활성화 방안, 임금의 하한선 제시 등 제도적 보완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wage level and distribution of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provide the empirical cost data for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in Korea. A national labor cost survey questionnaire for long-term care institutions was developed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in a way that professional investigators visited the 996 sample institutions which were selected randomly during July to August, 2014. The number of subjects was 14,505 employees who has worked at the sample institu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care-givers were the largest proportion(79.8%) of personnels working at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a 79.5% of the workers was under the coverage of social-security insurance. The average monthly wage level in institutional service facilities was higher than one in home care service facilities and it was higher in small cities than in metropolis. By scale of the facilities, the larger facilities paid higher wage levels than smaller ones. Overall the wage level of workers delivering long term care services are estimated to be lower than the reimbursement for the services. An alternative policy to support the wage level of workers in providing long-term care services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한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관련 요인분석

        고영(Ko, Young),임은실(Yim, Eun shil)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on Dietary Behavior Change of the vulnerable elderly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1,262 elderly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case management program. Total 984 participants who responded all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variabl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stag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rend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s. Results: about twenty four percent of the vulnerable elderly subject was pre-contemplation stage and 46.1% of them was contemplation stage of dietary behavior. Having a depressive mood, dependance of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being medicaid affected on starting or on maintaining healthy dietary behavior in vulnerable elderly negatively. Conclusion: The tailored nutritional intervention depending on dietary behavior stage are needed for the vulnerable elderly to improve the health. The program which can maintain the function remained of elderly and give psychological support together will be more effective. 본 연구는 변화단계 이론에 근거하여 취약계층 노인의 식 행위 변화단계를 파악하고, 식 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자 중 노인 사례관리 대상에게 수집된 기초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1,262명 중 설문문항에 모두 응답한 98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변화단계이론을 기반으로 한 식 행위 변화단계 문항과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건강행위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담당 사업부서의 협조로 제공받았다. 자료는 서술적 통계분석, 경향성 분석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24.6%가 계획전단계였으며, 46.1%는 계획단계로 나타났다. 우울할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의존적일 수록, 의료급여의 경우가 식 행위 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 노인의 영양 상태는 생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수준 및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노인에서의 식 행위 변화단계와 행위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에 중점을 둔 맞춤형 영양중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식 행위 이행을 위해서는 보유능력을 유지하고 정서적 지지를 함께 제공한다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다요인적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요실금,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최현경(Choi Hyun Kyoung),임은실(Yim Eunshil) 한국농촌간호학회 2019 한국농촌간호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multifactorial program for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lder women.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with no control group was used. Nineteen women completed weekly 90-min group sessions for eight weeks. The group received a multi-factorial program comprised of Kegel exercise, education and psychosocial programs over 8 weeks. Data on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collected twice: before the intervention and 8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by non-parametric statistics. Results: Total scores for the 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Incontinence Questionnai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pretest 7.95±5.48, posttest 5.15±4.72, p<.05). The scores fo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mprov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multifactorial program for older women is feasible to prevent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와 미이용자의 의료비 지출 차이 및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정운숙(Jung, Woon-Sook),임은실(Yim, Eun-Shi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장기요양 1등급 건강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와 미이용자의 의료비 지출 차이를 비교하고,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건강보험가입자로 200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등급 판정을 받은 21,213명 전수를 대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급여, 건강보험급여 자료를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 2007년부터 2009년의 연간 총 진료비 변화량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5,337천원 증가하였 으며, 연간 요양병원 진료비 변화량은 5,449천원 증가하였다. 연간 총 입원일 변화량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 는 87.31일 증가하였으며, 요양병원 입원일 변화량은 79.47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 서비스 미이 용자의 의료이용, 특히 요양병원의 의료이용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미이용자에 대한 적정의료와 요양서비스 지원 정책을 통해 장기요양과 의료서비스의 효율적 연계가 필요로 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elderly.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data that comprised of total 21,213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the level 1 elders who received either service or non-service.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long-term care service on the probabil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experience and costs of health care utilization. The total medical cost, geriatric hospital's medical cost, inpatient day and geriatric hospital's inpatient day by 2007-2009 wer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long-term care utilization. This study suggests long term care system should proper medical service linkage system. The curren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should more resource allocation on long-term care utiliz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suranc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