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ither North nor South? The Identity Paradigm of Kazakhstani Koreans at the turn of the Soviet period

        Eunsil YIM(임은실)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동서인문 Vol.0 No.11

        1937년 러시아의 극동지역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구소련의 한인은 소련의 해체시기에 북한과 남한이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쟁대상이 되었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남북한의 언어 전쟁”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남북의 문화적/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인하여 구소련의 한인을 대표하는 단체들은 경쟁하는 두 개의 축, 즉 친북과 친남으로 나누어졌고 많은 한인들은 남북한의 언어 및 문화의 이질성을 실제로 접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카자흐스탄 한인들이 겪어야 했던 “언어전쟁”이라는 사례연구를 통해 오늘날 카자흐스탄과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문제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Originating in the populations deported from the Russian Far East to Central Asia in 1937 and estimated to more than 400,000 people, the ethnic Koreans residing in post-Soviet states was the object of a struggle for influence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turn of the Soviet period. The inevitable result has been to divide this space into two competing poles, one pro-North Korean and the other pro-South Korean. Thus, the issue of identity today facing the Koreans of Kazakhstan and tho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more generally – – cannot fully be understood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produced by the North/South confrontation within the diaspora.

      • KCI등재

        사회인류학의 눈으로 본 프랑스 ‘한국학’의 현황과 전망

        임은실(Eunsil YIM)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2

        이 글은 파리 시테 대학(Université Paris Cité) 의 한 일원으로서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프랑스에서 ‘한국학’의 역사와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구조적인 여러 문제점을 성찰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1956년 소르본노 동양어 학부에서 첫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이후 최근에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어 및 한국학이 어떤 발전 과정을 거쳤는지 시간 속에서 재구성하며 고찰한다. 현재 프랑스에서 한국 관련 학과가 정식으로 설치된 대학교는 7개에 이르며 한국어 강좌를 개설한 대학교도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한국학 연구소(CRC)는 확대 개편된 동아시아 전문 연구소에 통합되면서 제도적으로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학부 차원에서는 두 개 학과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언어, 역사, 문화 등 종합적 지식체계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학과’(études coréennes)가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영어와 더불어 한국어를 전공하는 ‘한국어과’가 있다. 목적과 성격은 서로 다르지만, 각 대학 및 학과의 여건에 따라 나름대로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다양한 ‘한국어과’와 ‘한국학과’가 공존하고 발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 대학에서 ‘한국학’의 위상 변화는 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프로필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프랑스 대학입시 플랫폼인 파르쿠르슙(Parcoursup)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지원 동기 및 결정 과정, 출신 고등학교 소재 지역 등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초기 연구 단계에서 제한된 조사 결과로 미리 예단을 할 수 없지만, 파리 시테 대학교 한국어과의 최근 신입생들의 경우, 사회적으로 중·상층 출신과 잠재적인 학습 능력이 높은 지원자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를 관찰할 수 있다. 프랑스 대학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이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개선 및 극복해야 할 적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다. 가령 학습 교재 개발, 대학원 프로그램 보완 및 강화, 한국학 연구의 활성화 및 다양화 등을 들 수 있다. S'appuyant sur les expénences d'enseignement à l'Université Paris Cité, l'auteur se propose de dresser l'état des lieux des études coréennes en France afin d'en dégager une réflexion constrnctive sur le devenir de ces dernières. L'attention se focalise d'abord sur l'histoire des études coréennes en tant que formation universitaire dont l'objectif est de restituer les conditions de son développement. En effet, les études coréennes ont connu une évolution rapide : depuis l'introduction du premier cours de coréen à la Sorbonne en 1956, on compte désormais sept universités offrant un cursus de coréen en LLCER (Langues, littératures et civilisations étrangères et régionales) et en LEA (Langues étrangères appliquées) ; et par ailleurs, de plus en plus d'établissements d'enseignement supérieurs ouvrent des cours de coréen. Le dynamisme s'observe également dans le domaine de la recherche comme l'atteste le renforcement du Centre de recherches sur la Corée (CRC) qui, depuis sa fusion avec ceux sur la Chine et le Japon (UMR 8173 « Chine Corée Japon »), est devenu un pôle de recherches incontournable spécialisé sur l'Asie. Pour une meilleure compréhension de la situation des études coréennes dans les universités en France, il convient de distinguer deux types de cursus : la licence LLCER « études coréennes » est tournée vers l'enseignement généraliste articulant les cours de langue et de civilisations tandis que la licence LEA « Anglais/Coréen » met l'accent sur l'enseignement professionnalisant. La coexistence de ces formations permet de diversifier l'offre tout en attirant des profils variés de candidats, et ce faisant, contribue au développement des études coréennes. Leur « montée en puissance » en France aujourd'hui trouve une explication dans l'évolution des profils sociologiques des étudiants. Cette sociographie peut être analysée grâce aux dossiers de candidature déposés sur la plateforme nationale d'admission dans l'enseignement supérieur, le Parcoursup : ce sont en particulier le parcours scolaire, l'origine géographique du lycée sortant et la motivation. L'analyse de ces éléments parmi les étudiants admis en première année montre l'augmentation des profils possédant une bonne aptitude scolaire, issus de classes sociales moyenne voire aisée. Si cette tendance s'observe ces dernières années, il faudra poursuivre les mêmes analyses sur plusieurs années pour qu'elle soit confirmée. L'évolution dynamique des études coréennes en France est incontestable. On ne doit pas pour autant faire abstraction d'un certain nombre de problèmes qui se pose à moyen et à long termes, tels que le développement des manuels adéquats, le renforcement de l'offre pédagogique en master et la diversification active dans le domaine de recherches en coréanologie.

      • 고려인 이주민을 위한 ‘고려인 한국어 교사 되기’ 내러티브 탐구

        안정민 ( Ahn¸ Jeongmin ),임은실 ( Eunsil Yim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이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출신 교사를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들이 한국어 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밝히고, 이들에게 필요한 교사 양성 및 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현재 재한 고려인은 약 72,000명이며 한국으로의 고려인 이주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으나, 고려인 이주자의 낮은 한국어 숙달도는 한국에서 안정된 생활을 하는 데에 장애 요건이며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로 꼽히고 있다. 국내로 이주하는 고려인이 늘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 논의도 늘어났으나 ‘학습자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연구 외에 ‘교사로서의 고려인’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찾을 수 없다. 지금까지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 대하여 직접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는 국내 거주 고려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사와 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는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고려인을 가르치고 있는 고려인 교사들도 있고, 학부나 대학원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이후에 한국어 교사가 된 경우도 있다. 특히, 민간단체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 중 고려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한국어 교사가 많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려인 교사를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 양성 교육을 받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로 나누어 한국어 교사들이 처한 현실을 파악하고 향후 고려인 한국어 교사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심층 인터뷰는 연구참여자의 삶의 역정, 경험, 의지, 세계관 등을 존중하되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해지는) 자의적인 (재)해석을 미세하게 찾아내고, 다양한 자료와 참여적 현장 관찰을 통해 얻은 정보를 역사사회적 맥락 속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에 방점을 둔다. 더 나아가, 이주자가 원래 살아왔던 국가와 이주 후 정착 국가, 즉 고려인 한국어 교사가 속한 국가(예컨대, 우즈베키스탄)에서 삶과 그가 생활했던 혹은 하고 있는 이주국(한국)에서 삶, 그리고 정착 과정, 특히 한국어 습득과 교원 자격 획득 과정을 총체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사를 전문 한국어교사와 비전문 한국어 교사로 나누어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을 한국어 학습자로서의 경험, 한국어 교사로서의 경험(한국어교육 형태, 학습자), 스스로 생각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로서의 강점/약점, 고려인을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자질 및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등으로 범주화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 및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려인 비전문 한국어 교사를 위한 현실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려인을 가르칠 고려인 한국어 교사에게 러시아어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진행하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에 대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국내 거주 고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려인 한국어 교사 양성이 제도화되고 효율적으로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려인이 다문화가족지원법 등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This study is the product of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individual, group, institution, national, transnational) on the narratives of Koyroin (CIS Korean diaspora)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CIS Korean migrants in Korea. It aims to reveal the process of becoming Korean teacher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development and re-education for them. Currently, there are about 72,000 Koyroin residing in Korea. Although the number of Korean migrants from the CIS continues to increase, their low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is an obstacle to a stable life in Korea and is considered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problem. Research on teaching Korean to these people has multiplied recently, but there is no specific discussion of “Koryoin as teachers” other than the consideration of “Koryoin as learners.” It is from this observation that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Koryoin teachers, their roles and training while resituating them in the space of the discussion on teaching Korean to CIS Korean migrants in South Korea.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for Koryoin, there ar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no previous professional training. In particular, while the majority of Koryoin language teachers work in private institutions, only a minority of them have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who have undergone professional 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ose who have not. This distinction helps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y faced by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needed for future Korean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ivilege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center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 which gives priority to the interviewee, allows for a more efficient collection of information such as family life, educational background, professional experiences, disposition, and worldview, but also for the discovery of the interviewe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re)interpreted trajectory. This analysis must be crossed with various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field as well a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traversed by the individual. In addition, our study is also based on a double observation, on the one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the migrant originally lived, and on the other hand, on the life in the country where he/she settled after emigration, without forgetting other elements such as settlement process, mode of acquir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etc.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ethodology, Koyroin language teachers were divided into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described in terms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the teacher’s experience. The analysis also focu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training programs they attended as well as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Finally,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and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research, we present some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training program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Koyroin teacher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alistic training plan for non-professional Koyroin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teach Koyroin language teachers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Russi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Thir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circumstances of Koyroin teachers, it is imperative to institute a system that allows them to receiv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