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관한 요인

        임영명,차태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의 여가제약 요인이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자료 변수를 내적제약과 외적제약 요인 그리고 여가활동은 수동적/능동적 참여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 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유형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내적/외적제약과 여가활동 참여유형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동적 여가활동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제약 2개, 외적제약 3개 변인의 설명력은 48%, 능동적 여가활동은 내적제약 2개, 외적제약 5개 변인으로 나타났 으며 설명력은 29%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국내 장애인들의 다양한 제약요인을 바탕으로 여가활동의 참여 촉진을 위해 방안이 마련되어야하며, 여가와 장애에 관련된 두 학문적 주제에 대하여 체계적인 검토와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leisure barriers on participation type of leisure activities in disabled in Korea. The raw data variable of '2014 Disabled People Status Survey’ were categorized as internal/external barriers and leisure type.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causal relationships of types of internal/external constraints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he element that effects on a level of current passive leisure activity type, it resulted as two variables of internal barriers, three variables of external barriers, the explanation ability was analysed as to 48%. it resulted as two variables of internal barriers, five variables of external barriers in active leisure activity, five variables of external barriers, the explanation ability was analysed as to 29%. Therefore, based on various constraints of disabled people in Korea, a plan should be prepar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y, and systematic review and detailed study on two academic subjects related to leisure and disability should be don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가정 기반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차태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가정환경에서 작업치료사가 실시하는 가정 기반 중재의 방 법과 효과에 대하여 국외 연구들을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 검색을 위해 MEDLINE, CINAHL,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관련된 연구를 검색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13편이었으며, 분석 대상에 포함된 연구를 바탕으로 비뚤림 평가와 PICO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에 포함된 13편의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가 가정 기반 중재에 참여하고 있었다. 가정 기 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단독으로 개입하는 중재 혹은 다학제 재활 팀에 구성되어 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가정환경을 배경으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의미 있는 활동 그리고 목표활동을 선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가정 기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대부분 활동 및 참여영역을 촉진시키기 위해 대상 자 중심의 중재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가정 기반 중재를 적용 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overseas literature of the methods and effects of home-based intervention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home environment of the stroke patients was applied. Methods: Data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MEDLINE, CINAHL, and Pubmed databases. A total of 13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extracted and analyzed systematically by applying a Risk of bias assessment and the PICO method. Results: In the 13 studies included in the analysis,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involved in home-based interventions.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me-based interventions consisted of individual intervention and 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teams.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s a role in selecting and improving the daily living, meaningful activities, and goal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ir home environment. Conclusion: In the home-based intervention of stroke patients,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ostly applying client-centered intervention to facilitate activity and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applying home-based intervention appropriate for domestic circumstances.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임영명,박지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노인코호트 database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독립변수로 설정한 라이프스타일의 위험요인은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격렬한 운동, 중간정도운동, 걷기 운동에 대한 변수를 분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그리고 인지기능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과 인지기능은 t -test와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과 일상생활 활동, 인지기능 간의 상관관계와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설명력을 보였다. 기본적 일상생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1.7%로 나타났다.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은 연령과 음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2.6%를 보였다. 그리고 인지기능은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격렬한 운동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5.3%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물학적 노화에 직면한 노년기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개선 및 유지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 : To identify the effect of lifestyle risk factors on the daily activities and cognition of the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geriatric cohort database. Methods : Lifestyle risk factors were defined as body mass index (BMI), smoking, drinking, vigorous exercise, moderate exercise, and walking, and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DL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ex and age were analyzed using a t -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risk factors, ADL, and cognitive function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ir influence. Results : The factors affecting basic ADL (BADL) were sex and walking exercis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7%. Instrumental ADL (IADL) included age, drinking, and walking exercis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 Cognitive function included sex, age, BMI, vigorous exercise, and walking,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3%. Conclusion : Lifestyle risk factors partially affected BADLs/IADLs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is suggests the need to systematically manage lifestyle risk factor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older adults facing biological aging.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이지용,조성준,안예슬,유두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 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 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 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remote rehabilitation on stroke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look for its effect and how to apply it domestically. Methods : In order to search data, EMBASE and CINAHL database were used. Relevant research used those terms of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and stroke. A total of 10 studies satisfying the selection criteri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ir qualitative level,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ICO method. Results : Based on the selected 10 studies,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was applied. Sensory and motor feedback was provided with inputting visual and auditory senses through a video in the home environment, and it stimulated changes in the client’s nervous system. Tools to measure the results were upper extremity function, balance and gait, activities of daily living, etc. Those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method had an effect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bility of sense of balance in all studies, and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rtially. Telerehabilitation service to make up environmental specificity improved satisfaction of client. That meane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o maintain the function. Conclusion : The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was applied to upper extremity function, sense of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largely , and it showed that it helped to improve functions through intervention, supervision, and training of therapist in the home environment as well. This study suggests the basis and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n virtual-reality based telerehabilita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ivers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methods and the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의 활동과 사회참여에 따른 군집유형 비교 분석

        임영명,박지혁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1

        To clusters and analyze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oldest-olds. The analysis utilized the 8th Annual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o extract demographic, activities, social participation, lifestyle factors, and successful aging factor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ANOVA, and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The clusters were categorized into 'Active participation' (4%), 'Dependent daily life' (27.1%), and 'Passive participation' (68.9%). Lifestyle differences between clusters included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lcohol, and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aging, such as cognition, subjective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Post-hoc analyses showed the most positive results in the ‘Active participation’. Identified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successful aging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st-olds.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정서적 자각 수준과 스트레스가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임영명,유두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motional and stress factors of the stroke victim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Data collection collected data on the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stres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welfare centers, public health centers, and stroke disabled people using community services.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Emotional factors, stress factors,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s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sub-domains of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social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sub-areas of stress factors, personal internal stress and interpersonal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showed social participation accomplishment was 34% and satisfaction was 33%. Therefore, various approaches should be made considering stressful factors to achieve rehabilitation into the local community,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psychosocial variables that affect social participation.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정서적 요인과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사회적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지역사회 복지관, 보건소, 지역사회 서비스를 이용하는 뇌졸중 장애인에게 정서적 자각 능력, 스트레스, 사회적 참여 수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참여 수준은 기술통계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적 자각 수준, 스트레스, 사회적 참여 수준 간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 사회적 참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참여 수행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요인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 요인의 개인 내적 스트레스와 개인 간 스트레스는 시회적 참여 수행도와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수행도는 34%, 만족도는 33%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사회 뇌졸중 장애인의 성공적인 재활과 지역사회에 재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스트레스요인을 고려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사회적 참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인 변인을 파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가정 기반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차태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Objective: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overseas literature of the methods and effects of home-basedintervention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home environment of the stroke patients was applied. Methods: Data searches were conducted using the MEDLINE, CINAHL, and Pubmed databases. A total of 13 studies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extracted andanalyzed systematically by applying a Risk of bias assessment and the PICO method. Results: In the 13 studies included in the analysis,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involved in home-basedinterventions. Occupational therapists in home-based interventions consisted of individual intervention andmultidisciplinary rehabilitation teams. The occupational therapist has a role in selecting and improving the dailyliving, meaningful activities, and goal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ir homeenvironment. Conclusion: In the home-based intervention of stroke patients,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ostly applyingclient-centered intervention to facilitate activity and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evidence for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applying home-based intervention appropriate for domesticcircumstances.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거주하고 있는 가정환경에서 작업치료사가 실시하는 가정 기반 중재의 방법과 효과에 대하여 국외 연구들을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 검색을 위해 MEDLINE, CINAHL,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관련된 연구를검색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13편이었으며, 분석 대상에 포함된 연구를 바탕으로 비뚤림평가와 PICO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에 포함된 13편의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가 가정 기반 중재에 참여하고 있었다. 가정 기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단독으로 개입하는 중재 혹은 다학제 재활 팀에 구성되어 중재가 이루어지고있었다. 작업치료사는 가정환경을 배경으로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의미 있는 활동 그리고 목표활동을선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가정 기반 중재에서 작업치료사는 대부분 활동 및 참여영역을 촉진시키기 위해 대상자 중심의 중재 방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가정 기반 중재를 적용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Young-Myoung Lim) 박지혁(Ji-Hyuk Park)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들을 체계적 고찰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해외데이터베이스 CINAHL, Pubmed, Google scholar, NDSL을 검색하여 관련 자료를 추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한 132편 연구 중9개의 평가도구를 최종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9개의 평가도구에서 사용빈도, 평가목적 및 방법, 하위요인과 위험요인등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HPLPⅡ가 74.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은 건강을 위한 행동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는 6개였으며, 체중관리 1개, 만성질환 관리 1개, 신체활동 1개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9개 위험요인 중 FLQ 7개, HPLPⅡ와 ELQ, YLP가 5개 요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라이프스타일평가도구들의 사용 목적과 문항 및 척도, 결과분석 그리고 분석하고자 하는 위험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할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 review the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lifestyle of middle-aged and aged. For data collection, related data were extracted by searching databases CINAHL, Pubmed, Google scholar, and NDSL. Among the 132 studies that evaluated lifestyle, nine assessment tools were finally extracted. In the nine assessment tool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evaluate purpose and method, frequency of use, sub-factors, and risk factor were systematically classify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for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eassessment tools, HPLPII was used the most at 73.48%, and the purpose of the evaluate was six behavior for health, one weight management, one chronic disease management, one physical activity. Among the nine risk factors for lifestyle, FLQ included seven factors, and HPLPⅡ, ELQ, and YLP included fiv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ntai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select and utilize appropriate instru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evaluate purpose, items and scales, analysis of results, and risk factors to be analyzed of lifestyle assessment tools.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 평가도구(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의 구성 타당성: 이중요인(Bifactor) 모델 접근

        임영명(Young-Myoung L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라이프스타일 행동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측정하기 위한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YLP-V)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기관에 등록된 만 55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및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YLP-V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차별기능문항,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요인구조 추정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4가지 경쟁모델(단일요인, 계층적 요인, 다차원 요인, 이중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목표회전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YLP-V의 활동(activity, 5문항), 관심(interest, 4문항), 의견 (opinion, 9문항)에서 목표행렬에서 0.4 이상의 부하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중요인 모델(χ2 = 164.58**, degree of freedom = 117,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 0.05, standard root mean residual = 0.04, comparative fit index = 0.95, Turker Lewis index = 0.93)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 라이프스타일에서 미시적 접근이 가능한 YLP-V 개발 근거와 일관성 있는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는 YLP-V가 총 18문항의 활동, 관심, 의견에 대한 이중요인 구조로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건강 라이프스타일에서 행동에 반영된 가치체계 측정과 이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YLP-V) were verified to measure the value system reflected in lifestyle behavi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55 years and older who were registered with an online research organization. The YLP-V was used to collect data, which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d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actor structur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and confirm the validity of four competing models (single-factor, hierarchical factor, multidimensional factor, and bifactor).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arget rotation revealed that the dimensions of the YLP-V (activity, five items; interest, four items; opinion, nine items) showed factor loadings of 0.4 or higher, indicating good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ifactor model (χ2 = 164.58**, degree of freedom = 117,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 0.05, standard root mean residual = 0.04, comparative fit index = 0.95, Turker Lewis index = 0.93) demonstrated the best fit among the tested models. Conclusion: We identified a factor structure consistent with evidence for developing the YLP-V, which allows for a micro-level lifestyle approach. The bifactor structure, with 18 items representing activity, interest, and opinion, demonstrated validity, and the YLP-V could be valuable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behaviors within a healthy life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