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영명(Young-Myoung Lim) 박지혁(Ji-Hyuk Park)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들을 체계적 고찰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해외데이터베이스 CINAHL, Pubmed, Google scholar, NDSL을 검색하여 관련 자료를 추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한 132편 연구 중9개의 평가도구를 최종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9개의 평가도구에서 사용빈도, 평가목적 및 방법, 하위요인과 위험요인등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도구의 사용빈도는 HPLPⅡ가 74.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은 건강을 위한 행동을 평가하는 평가도구는 6개였으며, 체중관리 1개, 만성질환 관리 1개, 신체활동 1개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9개 위험요인 중 FLQ 7개, HPLPⅡ와 ELQ, YLP가 5개 요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라이프스타일평가도구들의 사용 목적과 문항 및 척도, 결과분석 그리고 분석하고자 하는 위험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할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 review the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lifestyle of middle-aged and aged. For data collection, related data were extracted by searching databases CINAHL, Pubmed, Google scholar, and NDSL. Among the 132 studies that evaluated lifestyle, nine assessment tools were finally extracted. In the nine assessment tool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evaluate purpose and method, frequency of use, sub-factors, and risk factor were systematically classify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for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eassessment tools, HPLPII was used the most at 73.48%, and the purpose of the evaluate was six behavior for health, one weight management, one chronic disease management, one physical activity. Among the nine risk factors for lifestyle, FLQ included seven factors, and HPLPⅡ, ELQ, and YLP included fiv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ntain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select and utilize appropriate instru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evaluate purpose, items and scales, analysis of results, and risk factors to be analyzed of lifestyle assessment tools.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 평가도구(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의 구성 타당성: 이중요인(Bifactor) 모델 접근

        임영명(Young-Myoung L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라이프스타일 행동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측정하기 위한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YLP-V)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기관에 등록된 만 55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및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YLP-V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차별기능문항,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요인구조 추정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4가지 경쟁모델(단일요인, 계층적 요인, 다차원 요인, 이중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목표회전을 통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YLP-V의 활동(activity, 5문항), 관심(interest, 4문항), 의견 (opinion, 9문항)에서 목표행렬에서 0.4 이상의 부하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중요인 모델(χ2 = 164.58**, degree of freedom = 117,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 0.05, standard root mean residual = 0.04, comparative fit index = 0.95, Turker Lewis index = 0.93)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결론: 라이프스타일에서 미시적 접근이 가능한 YLP-V 개발 근거와 일관성 있는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는 YLP-V가 총 18문항의 활동, 관심, 의견에 대한 이중요인 구조로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건강 라이프스타일에서 행동에 반영된 가치체계 측정과 이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YLP-V) were verified to measure the value system reflected in lifestyle behavi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55 years and older who were registered with an online research organization. The YLP-V was used to collect data, which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d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actor structur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and confirm the validity of four competing models (single-factor, hierarchical factor, multidimensional factor, and bifactor).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arget rotation revealed that the dimensions of the YLP-V (activity, five items; interest, four items; opinion, nine items) showed factor loadings of 0.4 or higher, indicating good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ifactor model (χ2 = 164.58**, degree of freedom = 117,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 0.05, standard root mean residual = 0.04, comparative fit index = 0.95, Turker Lewis index = 0.93) demonstrated the best fit among the tested models. Conclusion: We identified a factor structure consistent with evidence for developing the YLP-V, which allows for a micro-level lifestyle approach. The bifactor structure, with 18 items representing activity, interest, and opinion, demonstrated validity, and the YLP-V could be valuable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behaviors within a healthy lifestyle.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임영명(Young-Myoung Lim),김아람(Ah-Ram K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한정민(Jung-Min Han),임영명(Young-Myoung L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중재 방법 중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재 유형 및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 추출은 PubMed, E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검색 기간은 2013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설정했다. 검색어는 (“elderly” OR “older” OR “old adult” OR “age”) AND (“health promotion” OR “health improve”) AND (“living alone” OR “live alone”) AND “intervention”으로 하였다. 결과: 최종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배정 연구 4편, 실험-대조군 연구 2편이었다. 총 6편의 건강증진 중재의 유형은 가정 방문 2편, 전화와 가정 방문 병행한 연구 2편, 전화 1편, 기관 방문 1편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 방문 중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악력을 제외한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건강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독거노인을 위한 건강증진 중재는 가정 방문 중재 유형이 건강관리 교육, 운동 및 인지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중재 유형보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독거노인의 건강증진 측면에서 관련 중재 이점을 인식하고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마련과 적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types and methods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at positively impact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Methods: We used the PubMed, E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DBPia databases to extract papers. The 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13 to January 2023. The search terms were (“elderly” OR “older” OR “old adult” OR “age”) AND (“health promotion” OR “health improve”) AND (“living alone” OR “live alone”) AND “intervention”. Result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four randomized studies and two experimental control studies. Six types of intervention research were conducted: two home visits, two combined teleintervention and home visits, one phone call, and one agency visit. With the home visit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except grip strength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provided through home visit interventions made the most positive effects regarding healthcare education, exercise, and cognitive programs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relevant intervention benefits in terms of health promotion, formulation, and application of strategies to maximize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