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도 조사

        조영석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targeting local residents in the D area of ​​Chungnam, and tri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gram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Methods :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6 citizens of the local community from April 01, 2022 to May 31, 2022, mainly in the D area of ​​Chungcheongnam-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question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6 questions related to the desired service program of a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t was finally analyzed that the response rate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as over 60%. Results : ‘Health and medical service business program (18.6%)’ was the top priority for the desired program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nd by age group,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crisis family support (19%)’ were the highest among teenagers. ‘Psycho-emotional support (26.5%)’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social education program (35.8%)’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Health service program (24.1%)’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en asked about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welfare center service program, 48% and 61.5% of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gave positive answers, respectively, and 85.7% and 61.5%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swered negatively, indicated the answer. 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gram, ‘health treatment (35%)’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habilitation treatment (24.8%)’. As a desir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was the highest at 62% and 54.2%, in teenagers and in their 20s and 30s, respectively, and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program’ in their 40s and 50s and over 60s, 34.7% and 50.6%,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As for the desired leisure activity program, ‘Adult Certification Class (30.9%)’ was the highest among adults in their 20s and 50s, ‘Senior Health Gymnastics Class (54.2%)’ for those in their 60s and over, and ‘Reading Activities (17.3%)’ in the children’s program was the highest. In the elderly welfare program, both men and women had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health counseling and rehabilitation program’ with 55.3% and 57.8%,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most desired service program among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answered most positively about using the community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program was the health care service business program, and among them,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care treatment and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Among the speci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s, cognitive (dementia) rehabilitation was analyzed in the order, and they answered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part of recruit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se program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recruit professional manpower to open and operate these programs at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목적 : 본 연구는 충남 B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04월 01일부터 2022년 05월 31일까지 충청남도 B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시민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보 11문항,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서비스 프로그램 관련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률이 60%이상인 최종 306부가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의 희망 프로그램 1순위로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18.6%)’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연령대별로는 1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과 위기가정지원(1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심리정서지원(26.5%), 40-50대에서는 ‘사회교육 프로그램(35.8%)’, 60대 이상에서는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24.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지관 서비스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40대-50대와 60대 이상이 각각 48%, 61.5%로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으며, 10대와 20-30대에서는 각각 85.7%, 61.5%가 부정적인 답변을 나타냈다. 보건의료서비스 프로그램에서는 ‘보건의료진료(3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재활치료(24.8%)’ 가 나타났다. 희망하는 재활치료 프로그램으로 10대와 20-30대에서는 ‘근·골격계 재활’이 각각 62%, 5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5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인지(치매)재활 프로그램’이 각각 34.7%, 5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하는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20-50대 성인에서는 ‘성인자격증반(30.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0대 이상에서는 ‘시니어건강체조교실(54.2%)’, 어린이 프로그램에서는 ‘독서활동(17.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 프로그램에서는 남녀 모두 ‘건강상담 및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각각 55.3%, 57.8%로 가장 높게 희망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에 대해서 가장 긍정적으로 답한 60대 이상의 그룹에서 가장 희망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은 보건의료서비스 사업 프로그램이며, 그 중에서 보건의료진료와 전문재활치료 프로그램 개설을 필요로 하였다. 전문재활치료 중에서는 인지(치매)재활, 근·골격계 재활 프로그램 순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이들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 충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다. 향후에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에 이들 프로그램 개설과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충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일본의 원격의료현황과 지역사회작업치료의 역할

        김도훈,윤태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5 No.2

        목적 : 일본의 원격의료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작업치료의 역할에 대해 논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원격진료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원격진료에 대한 정의와 형태에 대해 조 사하였고, 일본에서 원격진료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의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결과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의료비의 증가로 보다 효율적인 의료서비스의 제공형태로 원격진료가 등장하였다. 또한 의사수 부족과 도시와 농촌간의 진료편차 및 진료기기와 통신수단의 발달로 인해 등장하였다. 한국의 경우 일본의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있다. 결론 : 원격진료와 관련하여 지역사회중심재활에서 작업치료는 보건의료전문가로써 환자에게 작업치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대한 교육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lemedicine in Japan and discuss the role of the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elemedicine status in Japan. It examined the definition and forms of telemedicine and analyzed for the appearance to the background telemedicine in Japan. Thus, we discussed the role of the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 Due to increased medical costs, low fertility rate and aging in Japan, it had provided the telemedicine as a more efficient form of health care services. Also, telemedicine emerged due to the lack of doctors,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regional deviation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In the case of Korea, similar to Japan,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telemedicine. Conclusion : With regard to telemedicine, occupational therapy i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s expected to be able to treat for patients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refore the reform of the educational system is needed for this.

      • KCI등재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SI)의 적용 - 광주지역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

        김정미,박웅식,장지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2

        목적 : 광주 지역의 독거노인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프로그램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 ESI)의 유용성 뿐 아니라 작업치료 중재 측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독거여성으로 치매예방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 참석한 대상자 중 본인이 사회적 상 호작용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대상자 6명을 모집하여 연구하였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은 이론 적인 체계를 제공하였다. ESI로 사전 검사를 하였고, 5주간의 수공예와 원예 작업 중심의 프로 그램을 제공했고 사후검사로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참여자의 사회기술 수행에 관련하여 치료사의 작업적 중재의 효과성을 ESI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집단의 사전, 사후의 ESI 로짓 (logit)점수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t=-7.362, p=0.001).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일상의 작업을 하는 동안 사회기술 수행과 관련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ESI의 유용성을 제시한 첫 번째 연구이다. 앞으로 OTIPM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배경 안에서 작업치료를 계획하고 효율성에서 ESI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Study purpose is to inspect not only the utility of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ESI) but also the efficiency of occupational therapy measurement in program based local community of solitary senior citizen in G region. Methods : Six solitary senior citizen in G region were participating in a community-based program were a convenience sample for this study. Th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OTIPM) provided the theoretical framework. The ESI provided a pre-test performance measure and also served as a guide for an five-week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and as a post-test to measure intervention effectiveness. Results : This study showed that the ESI was effective in guiding therapist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skill performance of participants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a community-based program. As a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SI logit measures was also significant(t=-7.362, p=0.001). Conclusion : The study provides initial considerations for the utility of the ESI to guide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skill performance during daily occupations in Korea. It further docu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ESI in measur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OTIPM, and supports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provided in a community based program context for those solitary senior citizen.

      • KCI등재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 경험과 또래상호작용 탐구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두한,전병진,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을 통해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여 그들이 겪는 여가활동의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2명의 지역사회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과 또래상호 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 참 여자의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3회 이상 면담횟수를 설정하였고, 가급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서 따라야 하는 4가 지 구체적 단계들을 통해 전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도 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 제한과 소외감으로 집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접근성의 제한은 편중된 여가활동의 원인이 되었다. 장애학생은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에 재미 를 느끼며 소외감을 극복하고 있었지만 게임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도 느끼고 있었다. 게임을 통한 또래 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대화는 주로 가족과 이루어졌다. 장애학생은 재미에 이끌려 무분별적 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사고가 필요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제한점들로 인해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몰입을 통한 재 미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게임의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사고가 필 요하며, 무분별한 게임 이용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Method :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The data collection about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over three times of interviews, until no new data. Meaning units through the four steps for Giorgi's scientific phenomenology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 overall data. Result :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had to spend time at home with physical limitation and alienation,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was mainly using the computer and television. Restrictions of leisure activities wad the cause of difficulties of social accessibility, and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Due to the game for fun, they have no interact with peers. On the other hand, most of conversation about the game were with families. Conclusion :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were feeling pleasure through the game.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and need an alternative solution for a reckless game use.

      • KCI등재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평가와 심박변이도 측정을 이용한 예비연구

        홍서진,박치수,이재신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1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program on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community elderly. Methods :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program was provided to two elderly women. Baseline(A) of 3 sessions, intervention(B) of 11 sessions, and baseline regression(A') of 3 sessions were performed.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for depression and 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53 (KRQ-53) for resilience were measured for subjective evaluation at the last session of each period. QECG-3 was measured for heart rate variability, at each session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depression and physiological resilience. The amount of change in each period of subjective depression and subjective resilience was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and physiological depression and physiological resilience were visually analyzed to confirm the average and ±2 standard deviation band results for each period. Results : Depression decreased in both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depression. Subjective resilience decreased in subject 1 and increased in subject 2, and physiological resilience increased in all subjects. Conclusion :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program was effective for subjective depression, physiological depression, and physiological resilience for elderly in community. Through this, the group study that applied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program to prevent of depression and increase of physiological resilience of elderly in community could be considered. 목적 :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관적 평가와 심박변이도 신호에 대한 생리적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여성 노인 2명에게 단일사례 연구방법 중 ABA' 설계로 기초선(A) 3회, 중재기(B) 11회, 기초선 회귀(A') 3회 총 17회를 진행하였다. 중재 기간에는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주관적 평가를 위하여 우울은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회복탄력성은 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53(KRQ-53)를 각 기간별 마지막 회기에 측정하였다. 심박변이도는 생리적 우울과 생리적 회복탄력성을 알아보고자 QECG-3를 매회기 반복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주관적 우울과 주관적 회복탄력성의 각 기간별 변화량을 알아보았고, 생리적 우울과 생리적 회복탄력성에 대한 측정결과는 시각적 분석으로 각 기간별 평균값과 ±2 표준편차 밴드(기준값)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 결과에서 우울은 주관적 우울과 생리적 우울에서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회복탄력성은 대상자 1에서는 감소하고 대상자 2에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생리적 회복탄력성에서는 대상자 모두 증가하여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주관성과 객관성 결과에 상반된 차이를 보인 회복탄력성에는 추가적인 재검증이 필요하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에게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이 주관적 우울, 생리적 우울, 생리적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예방과 생리적 회복탄력성 증가에 작업기반 회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 연구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이동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 체계적 고찰

        조은주,감경윤,장문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지역사회이동을 위한 작업치료적 중재를 분석한 논문으로, 임상에서 지역사 회이동에 대한 중재를 사용하는데 있어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 checklist와 diagram을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is (PQDT),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과 코리아메 드(KoreaMed)를 이용하였다. 검색기간은 2005년부터 2018년 9월까지로 하였다. 연구에 선택된 문헌의 질 평가는 RoBANS (Riks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문헌은 총 8개 이었다.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들은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문헌의 연구디자인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 유사실험연구, 전후비교연구, 환자-대조군연구, 횡단적 연구로 다양 하게 나타났다. 포함된 문헌의 질적수준은 levelⅠ이 1편(12.5%), levelⅡ가 6편(75%), level Ⅲ가 1편(12.5%)으로 나 타났다. 문헌의 ‘편향 위험 낮음’ 비율은 62.5%~87.5%로 각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문헌에 사용된 중재는 가상 현실 및 가상환경을 기반으로 한 중재가 4편(50%)으로 가장 많았고, 프로토콜을 이용한 중재가 3편(37.5%), 휠체어 사용훈련이 1편(12.5%)으로 나타났다. 각 중재의 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이동에 대한 작업치료의 중재효과를 체계적으로 보고하여 임상적 적용근거를 제공하였다. 추후 지역사회이동성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the community mobility for stroke patients, and to provide evidence of intervention in the clinical fields. Methods : A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PRISMA checklist. The accessed database was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is (PQDT), RISS, and KoreaMed. We included the articles published from 2005 to September 2018. RoBANS checklist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articles. Included articles, totally eight,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Results : The study design of the literature was varied from two-group randomized trial, quasi-experimental study, case-control trial, one group pre-post comparison study, and cross-sectional study. In the evidence level, 6 articles were included in level Ⅱ (75%). The percentage of low risk of bias in each article ranged from 52.5%~87.5%. Four studies (50%) provided interven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or virtual environment. The three (37.5%) provided intervention based on the protocol, and the other (12.5%) did wheelchair training. All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effects of the intervention.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d evidences to use proper intervention in the clinical fields. Various type of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community mobility.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 : 사례연구

        김지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2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 에 대한 소개와 중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난 2009년 7월 처음 내소한 63세 여성 뇌졸중 환자 1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중심 재활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일상생활동작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바델지수 (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이용하였고,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다. 중재 기간은 2011년 4월 27일부터 2011년 11월 30 일까지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안한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와 일반적 작업치료를 제공하였다. 결과 : 환자의 MBI는 35점에서 55점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증가하였고, BDI는 26점에서 14점 으로 우울증세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초기 5~10분이던 서기 훈련이 30분 이 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보아 근력 및 근지구력도 증가하였다. 치료시간에 환자의 기분변화가 심했던 이전과 달리 안정되고 웃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보호자 역시 환자가 심리적으 로 안정된 상태를 체감할 수 있었다. 결론 : 지역사회로 복귀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를 적용하여 기능수준 및 삶의 만족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proposed a introduction and result of the disabled with stroke in community using service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Methods : The subject was a 63-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stroke who first visit to Public health center in July. She was evaluated on activity daily living action level by using the Modified Barthel Index(MBI) and depression level by using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intervention that was suggested by WHO wer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CBR) an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e were applied from April, 27th 2011, to November 30th, 2011 by occupational therapist. Results : The patient's total MBI score increased from 35 to 55, it means that activity daily living performance capacity was improved. And BDI score decreased from 26 to 14, it means that depressed symptoms were in great decline. She could stand until 5-10 minutes at first, but later stand over 30minutes now. It means her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level was increased. The patient's mood condition also was stabilized and then she often showed her smiling face during the therapy. And her protector feels the client's change too. Conclusion : We could know that function level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with stroke who return to the community was improved through servic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 KCI등재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이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변화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에게 교육매체를 접목한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검사로 자아효능감 및 KNISE-BAAT 쓰기검사 ‘가’ 형과 ‘나’형을 사용하였다. 중재는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 적용 결과 자아효능감(학교, 사회), 쓰기능력(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에 유의미 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은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쓰기능력을 향 상시킬 수 있는 유익한 중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육매체를 접목한 과제 중심 다감각 운동 중재모형을 다양하게 구안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after applying a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to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Methods : A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to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order of a pre-test,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intervention, and a post-test. The first session involved a pre-test, in which the children’s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were examined using self-efficacy test and type ‘A’ KNISE-BAAT writing test. The multisensory group activity program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In the last session, a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elf-efficacy test and type ‘B’ KNISE-BAAT writing test. Data collected from the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 Results : According to the tests taken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school, society), writing ability(command of vocabulary and sentence). Conclusion :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may be used as a beneficial measur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It is necessary to design various intervention models by combining educational media based on a multisensory approach.

      • KCI등재

        지역사회 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박영주,장문영,김경미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2 No.1

        목적 :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 재활치료의 중재방법 및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 고찰 을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는 데이터베이스인 Ovid와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사용된 검색어는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와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이었다. 그 중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 으로 지역사회 재활치료를 실시한 7편의 연구결과를 가지고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중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의 수, 연령, 손상정도, 손상기간은 다양하였다. 연구 설계는 모두 실험연구의 형태로, 평 가도구는 작업수행을 평가하는 영역이 5개(27.7%)로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은 작업치료사가 참여하는 전 반적 재활프로그램,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정방문 작업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재효과는 결과측정 방 법에 따라 작업수행, 참여, 예방, 그리고 작업 정의 영역에서 효과적이었고 적응, 건강과 안녕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효과를 보였으며, 역할능력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 지역사회를 기초로 한 재활치료는 작업수행, 참여, 예방, 작업 정의에서 효과적이었으나 역할능력에 서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지역사회 재활에서 각 영역별 중재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 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methods and result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e materials of the research were collected by retrieving research items in the area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nd "traumatic brain injury" from the data base of Ovid and PubMed. Among the collected materials, 7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in community-based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terms of subjects, measurement tools, cure methods and results. Results :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diverse in numbers of subject, age, level of impairment and duration of disease. Research designs were all experimental studies and the most outcome parameter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as occupational performance(27.7%). Cure methods were u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concerning rehabilitation programs, cognitive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ed that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s effectiv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participation, prevention, and occupational justice, partially effective on adaptation, health and wellness, and non effective on the role competence. It is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need to be done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and studies in every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