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실험연구

        유두한,홍덕기,최성열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2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3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실험과정 동안에 주 5회 하루 2회 30분간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받았다. 가상현실 중재는 중재기간 동안 주 5회 하루 중 오후 1회 30분간 실시하였다. 기초선과 중재과정 동안에 상지의 협응능력과 시각운동기능의 변화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 Block Test, BBT)와 Dynavision2000을 통해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로 한글판 울프운동기능 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Korean, WMFT-K)와 운동기술·처리기술 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 운동활동지표(Motor Activity Log, MAL)로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상지 협응능력과 시각운동기능의 측정에서 평균변화량의 향상을 보였고, 중재 전·후로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변화량에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통상적인 치료와 비교해 많은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난이도와 피드백을 갖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과제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of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was conducted in 3 stroke patients. During the baseline period, all subjects received a conventional treatment for 30 minutes twice a day a week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all subjects received task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for 30 minutes a day a weeks. The Coordination and visuomotor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were evaluated after each sessi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s(ADL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Visual analysis was conduced using a graph, and the changes in the value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ordination and visuomotor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and ADLs of all patients improved positively. The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covery of the upper extremity and ADLs of stroke patients. Despite these promising results, virtual reality systems including a range of difficulties and feedback will be need in the future.

      • KCI등재

        치주기구사용 전·후의 손의 근력 및 민첩성 비교분석

        유두한,경소진,백은정,오현회,원솔희,장솔,채나리,강경희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2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by measu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hanges in muscular strength, grasping force, and agility of hands before/after practice, targeting the dental hygiene students taking the scaling practice course. Targeting total 15 students(4th-year) of Dental Hygienics who had no problems with anatomical structure, muscular strength, grasping force, and senses of hands, the muscular strength, grasping force, and agility of hands were measured before/after the scaling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using the PASW Statistics 18.0(SPSS) Program.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uscular strength and grasping force of hands were decreased after the practice compared to the ones before the practice. The agility of hands was increased after the practice compared to the one before the practice.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avoid such exhausting hand gestures for scaling, and also to develop the preventive exercise to build up the strength of hands like stretching before/after scaling. 본 연구는 치석제거 실습수업을 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 전·후의 손의 근력, 파지력, 민첩성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치위생학과 4학년 재학생 중 손의 해부학적 구조, 근력, 파지력 및 감각에 이상이 없는 15명을 대상으로 치석제거 실습 전과 실습 후에 손의 근력, 파지력, 민첩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손의 근력과 파지력은 실습 전과 비교하여 실습 후에 감소하였다. 손의 민첩성은 실습 전과 비교하여 실습 후에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케일링 동작 시 피로를 줄 수 있는 손동작을 자제하고, 스케일링 전후로 스트레칭 등 손의 힘을 기르는 예방운동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두한,이재신,전병진,김수경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 을 통해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중재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15명 의 실험군은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하였고, 13명의 대조군Ⅰ은 기능적 전기자극만을 실시하였으며, 11명의 대조군Ⅱ는 과제훈련만을 실시하였다. 6주 후에 분산분석을 통해 세 그룹 간에 손의 근력과 상지의 기능, 운동 활동 지표와 일상생활활동에서 평균변화량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결과에서 상지기능의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손의 근력과 상지 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서 나타난 각 요소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변수간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는 근력(R2 = .17), 모형 2에서는 움직임의 질(R2 = .28), 모형 3에서는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 중재법(R2 = .37)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운동 활동 지표 중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에서 실시한 중재 방법이 상지 기능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Ⅰ,Ⅱ보다 손의 근력과 상지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움직임의 질과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과제훈련 적용이 작업치료사에 의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o confirm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irty-nine hemiplegia with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fifteen patients. Control groupⅠ conduct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irteen patients and Control groupⅡ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non-sounded upper extremity for eleven patients.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in six week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effect function of upper extremity. Results : Hand muscle strength, hand function, motor activity log were compared in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0.05). These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Hand strength and MAL, interventions were 37% of the variance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QOM of MAL test and task-oriented training interventions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Conclusion :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more than the those of control groupⅠ & Ⅱ. Voluntary and repetitive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ll be clinically useful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역할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 분석: 국회의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유두호(柳杜昊),엄영호(嚴永鎬) 한국공공관리학회 202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회의원의 신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및 영역 확대 필요성 인식의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사회적가치 연구원의 국회의원 대상 <사회적 가치 서베이> 2016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적 기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신뢰의 유형을 세분화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에 대한 신뢰 즉, 사회적 기업이 정부 보조금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수익창출을 한다고 믿더라도 사회적 기업의 역할 및 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법적·윤리적 신뢰와 전문경영능력에 대한 신뢰는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기업을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은 하지만 경제적 가치에 대한 여전한 의문이 존재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국회의원들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하여 신뢰를 가지며,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있어 사회적 기업의 명확한 역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의 자체적인 역량 향상과 국회의 원으로 하여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신뢰를 통해 관련 법 제정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시골지역 거주 장애인의 버스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

        유두한,박헌경,전병진,Yoo, Doo-Han,Park, Hun-kyung,Jeon, Byoung-Jin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관한 경험을 이해하고, 버스의 이용에서 성공적인 전략을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대한 행동과 언어 그리고 그 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연구 중 현상학적 접근법과 해석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현상학적 방법과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 기술과 해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에서 보행 가능한 장애인은 버스 이용에 대한 자신감이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버스 탑승과 하차의 긴박한 승부의 순간에 버스 안에서 좌석을 이용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항시 긴장을 놓지 않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버스 이용 시 좌석에 앉기와 이동 시에 환자의 부담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 보행 가능한 장애인의 버스 이용에 있어 자신감이 독립적인 이동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항상 넘어짐에 대한 경계를 하고 여러 심리적 어려움과 돌발 상황을 예측하고 극복하며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aking a bus, investigate successful strategie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 In this study, a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 approach was us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the language, the process. For participants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way through technology and to evaluate the results. Result : Ambulatory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have confidence in the bus-independent movement in the community possible. And get on and off the bus at the moment of urgent strategies to use in the bus seats were taken.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like that do not put stress was confirmed. In addition, by bus and go sit on the seat to look at the patient's burden was to. Conclusion : Ambulant disabled people's confidence in the bu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ependent movement. Always on the lookout for falling, and many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to overcome unforeseen circumstances to predict and know that public transportation could be.

      • KCI등재

        지역사회 지체장애노인의 구강건강과 장애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두한,이재신,김수경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1

        Purpose :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oral health and disability on the quality of living of senior citize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how the variable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how well they explain their causality. Method : The study included 117 senior citize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For testing, Oral health status assessment (OHAT), WHODAS 2.0, and quality of life (EQ-5D) were used. Additionally,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Results : Oral health and dis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ving.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of oral health and disability on quality of living. Among the sub-factors of WHODAS 2.0, self-maintenance and socializing with others exert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 : The findings indicate the significant effect of oral health and disability on the quality of living of senior citize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variety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so tha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maintain their swallowing function and physical health and lead an independent life.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지체장애노인의 구강건강과 장애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변수들간의 상관성 및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지체장애노인 1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강건강상태평가(OHAT)도구,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조사표 2.0(WHODAS 2.0), 삶의 질(EQ-5D)도구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 장애상태, 삶의 질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인과관계를 통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결과: 구강건강과 장애상태는 삶의 질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구강건강과 장애상태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HODAS 2.0의 하위요인 중 자기관리,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지체장애노인의 구강건강과 장애상태는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지역사회 지체장애인의 삼킴 기능 및 신체 건강 유지와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두한,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운동과 감각 그리고시 지각적인 변인들을 고려하여 상지기능과 자기관리활동과의 인과적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16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과 감각 그리고 시지각적인 요인과 함께 상지기능과 자기관 리활동의 상관성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경로모형에 따른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뇌졸중 환자의 자료는 통계적 절차를 위해 부호화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손의 근력과 감각력, 시지각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매개변인인 기능적인 상지의 수행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의 독립성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Amos 16.0의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을 통해 경로분석의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과 매개변인이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 대한 측정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인 상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손의 근력(β=0.964)으로 나타났고,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감각(β=-0.590)과 시지각(β=-1.228)으로 나타났다. 운동과 감각그리고 시지각적인 요인들은 상지기능의 매개변인을 통해 자기관리활동에 유의한 직접·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요인 등을포함 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추론적 연구들이 필요하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에서 FES의 중재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유두한,이재신,김형민,홍덕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서 FES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그 효과를 결과 측정도구에 따라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 결과를 통해 FES의 중재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EBRSR과 Cochrane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기준에 적합한 23편의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질적 평가를 통해 준거분석 틀에 따라 대상자 특성과 연구 특성으로 나누어 코딩하였다. 그리고 사용빈도가 높은 측정도구를 선택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표본수를 가지고 주제에 따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23편의 연구는 Pedro score 3점 이상의 무작위 실험연구로 다양한 FES 중재를 통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많았다. 주된 결과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과 운동활동지표 그리고 일상생활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또한 FES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짧은 시간 동안의 집중적인 적용, 부착방법의 차이, 높은 강도의 자극, 특정과제와 함께 수행하거나 자발적이거나 능동적인 수행 등이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FES 중재를 통한 상지기능, 운동활동지표에 관한 메타분석에서 상지기능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지만 운동활동지표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FES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특히, 특정 과제와 함께 적용되는 FES는 과제의 특성에 따라 효과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인지상태와 동기유발을 통한 개별화된 적용은 FES를 통해 상지기능 증진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 을 것이다. 더불어 국내 작업치료 연구에서도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한 FES의 활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 경험과 또래상호작용 탐구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두한,전병진,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학생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을 통해 또래상호작용을 탐구하여 그들이 겪는 여가활동의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2명의 지역사회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게임세계에 대한 경험과 또래상호 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 참 여자의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3회 이상 면담횟수를 설정하였고, 가급적 새로운 자료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과정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에서 따라야 하는 4가 지 구체적 단계들을 통해 전체적 인식을 바탕으로 의미단위를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도 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 제한과 소외감으로 집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시간적이며 공간적인 접근성의 제한은 편중된 여가활동의 원인이 되었다. 장애학생은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에 재미 를 느끼며 소외감을 극복하고 있었지만 게임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도 느끼고 있었다. 게임을 통한 또래 와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고, 대화는 주로 가족과 이루어졌다. 장애학생은 재미에 이끌려 무분별적 으로 게임을 하고 있어,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사고가 필요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제한점들로 인해 게임을 접하게 되었고, 몰입을 통한 재 미로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지역사회 장애학생은 게임의 시간 사용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사고가 필 요하며, 무분별한 게임 이용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Method : In this stud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the game world experience and peer interaction of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The data collection about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subjects was conducted over three times of interviews, until no new data. Meaning units through the four steps for Giorgi's scientific phenomenology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 overall data. Result :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had to spend time at home with physical limitation and alienation,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was mainly using the computer and television. Restrictions of leisure activities wad the cause of difficulties of social accessibility, and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Due to the game for fun, they have no interact with peers. On the other hand, most of conversation about the game were with families. Conclusion :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were feeling pleasure through the game. They need the correct thinking and self-control in the use of the time, and need an alternative solution for a reckless game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