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의료 정보 평가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김회진 ( Hoi Jin Kim ),이현정 ( Hyun Jeong Lee ),이준행 ( Jun Haeng Lee ),심상군 ( Sang Goon Sh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인터넷상에서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해서 검색되는 웹사이트들이 정확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식도역류질환"과 "역류(성) 식도염"을 핵심 단어로 2006년 7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7개의 검색엔진에서 검색된 각각 상위 15개 웹사이트(총 108개)를 대상으로 JAMA 핵심기준과 대한소화기 운동학회의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치료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만든 점검표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108개의 사이트 중 개인 병의원의 검색 빈도가 가장 높았고(21.3%) 대부분 환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87.0%). JAMA 기준에 3개 이상 부합하는 사이트는 11개(9.3%)였고 3개 미만으로 만족시킨 웹사이트보다 정보의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2). "Heartburn"에 대한 정의는 50%의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정확히 언급되었고 진단 시 초기에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고 언급한 사이트는 48.1%, 내시경 검사 없이 24시간 pH 검사 등을 초기에 시행한다는 언급은 26.9%, 식도내압 검사나 번스타인 검사, 식도조영술을 일반적으로 시행한다고 언급한 웹사이트는 28.7%였다. 치료에서는 65.7%에서 생활습관 조정을 언급하였고 생활습관 조정 단독만으로 증상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웹사이트는 47.2%였다. 치료약물 중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언급한 웹사이트는 57.3%였는데 임상적으로 가벼운 경우에 양성자펌프억제제 4주 투여 후 필요 시 투여나 단계적 하향 투여에 대한 언급은 8.3%, 임상적으로 심한 경우에 양성자펌프 억제제 8주 투여 후 지속 투여에 대한 언급은 11.1%의 웹사이트에서 있었다. 결론: 일반인들이 검색엔진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에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위식도역류질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사이트마다 정보의 양과 내용에서 차이가 많았다. 이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ackground/Aims: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al information not only for medical personnels but also fo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ternet based medical information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in Korea. Methods: The first 15 internet sites using the key words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were retrieved from the 7 most frequently used internet search engines. The quality of information from a total of 108 website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Results: Among total 108 sites related to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fifty-six sites (51.8%) were made by hospitals or clinics and 94 sites (87.0%) were made for patients. Of the 108 sites, eleven web sites (10.1%) had more than three JAMA benchmarks (authorship, references, currency, and disclosure). Higher quality sites (at least three JAMA benchmarks) were less likely to contain inaccurate information than lower quality sites (fewer than three JAMA benchmarks)-3/11 (27.2%) vs. 60/97 (61.9%) (p<0.01). Despite the fact that articles in the literature emphasized an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the lifestyle, dietary behaviors, and GERD, such guidelines continue to be recommended as first-line therapy in most websites. Conclusions: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ere incomplete in the majority of medical web sites. These would bring about confusion to patients seeking for an information about GERD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need for better sources in evidence based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eal reflux diseases on the web.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1-237)

      • KCI등재

        이해관계자와 이용객 설문 조사를 통한 국내 ODA 산림협력사업 평가 연구 - 인도네시아 룸핀양묘장 사업을 대상으로 -

        이현정 ( Lee Hyun-jung ),김휘문 ( Kim Whee-moon ),김경태 ( Kim Kyeong-tae ),김영 ( Kim Young ),최재용 ( Choi J Ae-yong ),송원경 ( Song Won-kyong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2

        It is essential that the evalua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is conduct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 for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the project. This study intended to quantitatively figure out the actual status and performance of ODA projects. The performance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project implemented by the KOICA was evaluated in items of relev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impact, sustainability, which ar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evaluation criteria. From August 26, 2019 to August 29, 2019,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visitors and 54 stakeholders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Through on-site survey, problems in the donation project and operation in Indonesia were identified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as grasp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ue scored by OECD DAC evaluation criteria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project ba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EDCF) evaluation grade was evaluated as a very successful class in all items. The average score of the recognition question was 4.08 points for visitors and 4.08 points for stakeholders, and the average score for the satisfaction question was 4.37 points for visitors and 4.11 points for stakeholders, which were high overall in both group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project awareness of the visitors was the fact that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was created based on Korean technology, and it was confirmed that Indonesia's own items related to similar projec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ject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takeholders, project support in Korea affected their recognition, and it was found that relev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item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evel of project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derived from the DAC individual evaluation results. Effor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main factor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each item and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pro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ODA project based on empirical data, an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pplementing and strengthening the project in the future.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임신중기 양수천자 후 태아 손실률

        서백경 ( Back Kyoung Seo ),정진훈 ( Jin Hoon Chung ),양재혁 ( Jae Hyug Yang ),신중식 ( Joong Sik Shin ),김문영 ( Moon Young Kim ),류현미 ( Hyun Mee Ryu ),김민지 ( Min Ji Kim ),이현정 ( Hyun Jung Lee ),유영 ( Young Yu ),최준식 ( J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에서 임신중기 양수천자에 따른 태아 손실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은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 임산부 중, 임신중기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13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기간 양수천자를 하지 않은 두 융모막성 쌍태임신군 595명과 동일한 날, 동일한 시술자에 의해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단태임신군 40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쌍태임신에서 태아 손실은 임신 28주 이전 양측태아 모두에서 손실이 발생한 경우를 태아 손실로 분류하였다. 결과: 임신 중기 양수천자 후 시술 후 4주 이내에 발생한 태아손실은 쌍태임신군에서 1예 (0.75%), 단태임신군에서 2예 (0.49%, P=.729) 이었고, 같은 임신 주수에서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임신군 8예에서 태아 손실이 발생하였다. (1.34%, P=.581) 임신 28주 이내에 발생한 태아 손실은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쌍태임신군에서 4예(3.03%),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 대조군에서 16예(2.69%, P=.83) 단태 대조군에서 2예 (0.49%, P=.017)이었다. 결론: 쌍태임신 시 임신 중기 양수천자 후 태아손실률은 단태임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양수천자를 시행 받은 쌍태임신군의 태아 손실률은 양수천자를 시행 받지 않은 쌍태임신군의 태아 손실률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Objective: To assess the fetal loss rate among dichorionic twin gestations undergoing genetic amniocentesis compared with singletons undergoing the procedure and untested twins. Methods: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total 132 pregnant women with dichorionic twin gestation with mid-trimester amniocentesis at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control group, 595 women with untested dichorionic twins during the same period and 402 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with amniocentesis performed by the same physician at the same date of study group were selected. Excluded were fetuses with known structural anomalies, cases in which amniocentesis was done in only one fetus, and cases of which pregnancies were terminated due to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Fetal loss was defined as the loss of both fetuses and subdivided into two categories: within 4 weeks after amniocentesis and before 28 gestational weeks. Results: Up to 4 weeks after the procedure, one case (0.75%) in the tested twin group, two cases in post-procedure singleton group (0.49%, P=.729), and eight cases in the untested twin control group (1.34%, P=.581) were aborted spontaneously. Up to 28 gestational weeks, four fetal losses occurred in post-amniocentesis twins (3.03%), sixteen cases in untested twins (2.69%, P=.83), and two cases in the singleton pregnancies with amniocentesis (0.49%, P=.017). Conclusion: The risk of fetal loss in twin underwent mid-trimester amniocentesis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tested singletons in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tal loss rates between amniocentesis twin group and untested twin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