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운영 실태 분석 및 음악환경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영의(Yu, Young-Eui),권혜진(Kwon, Hye-Jin),송선화(Song, Seon-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실태 분석 및 음악교육 환경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충청남도 서산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순이(2009), 김나연(2007)의 유아음악교육 인식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총 309부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x²), t검증, 일원변량분석,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음악교육 운영에 대하여 보육교사는 유아음악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음악교육 목적, 목표, 내용, 활동방법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음악교육 수업 환경 요인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수와 다양한 교재교구의 필요성, 음악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음악영역의 물리적 환경 부족에 대하여 보육교사의 높은 인식이 나타났으며 물리적 환경부족의 주 이유로 예산부족으로 인한 자료 부족이라는 인식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gni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The study targets were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san-si, Chungcheongnam-do by analyzing total of 309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operat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x²) test, t-test, one-way ANOVA by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class management: The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goal and object, contents, methods of young children music education. Second,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on young children music class environment: The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highly recognized necessity of continual teacher training, importance of music class environment and lack of various materials on young children.

      • KCI등재

        『삼국유사』 소재 미추왕 설화의 형성배경과 그 의미

        유영(Cho Yu-young)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8

        There are two stories in the king Mi-Chu’s narrative from Sam-Guk-Yu-Sa. Both stories were written after Mi-Chu had become king. So both stories have strong characters of the narrative. Each story has a different background. One is about the fourteenth king, Yu-Ri, of the Shin Ra Dynasty and the other is about the thirty-seventh king, Hye-Gong, of the Shin Ra Dynasty. Looking into the backgrounds of both stories, the former had reflected historical events in King Yu-Ri’s period. But the story had changed, which explains the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by the Kims. The latter was brought forth by the political changes in King Hye-Gong’s period. In detail, the story is related to the redressing of grievance by one of Kim-Yu-Shin’s descendants. And it shows a historic flow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Shin-Ra Dynasty to the late Shin-Ra Dynasty. Looking into the meaning of King Mi-Chu’s narrative with the narratives' readers of Ilyeon’s period in mind, the readers of the narrative focused more on King Mi-Chu as a national hero than on historical events or the moral duty (justice)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by the royal family in the late stages of the Shin-Ra Dynasty. Ilyeon wrote about miracles and heroic stories in Sam-Guk-Yu-Sa about King Mi-Chu who had been a national hero, to stabilize the society and get over the national crisis in the late Go-Ryu Dynasty when there were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flicts.

      •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남유록(南遊錄)』에 나타난 여행 기록의 특징과 의미

        유영 ( Jo Yu-young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본 논의는 대산 이상정이 남긴 두 편의 「남유록」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세계를 좀 더 다양하게 바라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기획되었다. 무진년의 「남유록」은 이상정이 최흥원이 살던 대구의 옻골을 방문하여 그와 함께 팔공산을 유람한 기록이다. 그리고 갑술년의 「남유록」은 이상정이 연일현감 재임 시에 표류한 왜인들에 대한 접위관이 되어 동래를 방문했던 기록이다. 이 두 여행은 그 성격 상 하나는 선비의 사적 여행이라 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관직에 나아간 관료로서의 공적 여행이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편의 「남유록」은 글쓰기 방식 및 저술 동기 등 여러 층위에서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리고 이 두 편의 여행 기록들은 장년의 이상정이 남긴 여행 기록이라는 점에서 이 시기 그의 내면세계를 충실히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도 주목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두 편의 「남행록」을 통해 이상정의 여행 기록이 가지는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상정이 쓴 이러한 여행 기록은 그가 행한 여행 체험의 구체적인 기록이라는 점과 함께, 조선 후기 선비의 여행과 일상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상정의 여행 기록에서는 여행 체험의 솔직한 표현이 다수 나타난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록을 통해 우리는 이상정의 인간적 면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정의 「남유록」두 편은 이상정이 가졌던 사적여행과 공적 여행의 여정 체험이 분명한 차이를 가지며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료라는 입장이 우선시 되었던 공적 여행과 그 여정 속에서 나타났던 이상정의 고뇌와 갈등을 갑술년 「남유록」을 통해 우리는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지인들과의 산수 유람이라는 무진년의 「남유록」에서는 선비로서의 사적 여행과 그 속에서의 여행 체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여행 기록을 통해 우리는 이 시기 대산 이상정의 여행과 그의 내면세계를 다채롭게 살필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was proposed that the intention of examining his life and the world of literature through the two types of "Nam-Yu-Rok" which wrote by DaeSan Lee, Sang-Jeong. The Years of MuJin(戊辰) of "Nam Yu-Rok" recorded that Lee, Sang-Jeong visited Choi, Heung-Won’s home in Otgol (옻골) Daegu and visited Palgongsan with him. And the years of GabSul(甲戌) of "Nam Yoo Rok" recorded about Lee, Sang-Jeong visited DongRae, to meet Japanese who drifted in korea during he was in public service. These two trave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ne being private travel and the other public travel. The two types of "Nam-Yu-Rok" records of these two trips show many differences on different levels, such as writing style and writing motive. However, these two travel records reveal his inner world at this time in the sense that he is the travel record of the late Lee Sang-Jeong. The features and meaning of the ideal travel record a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travel record written by Lee Sang-Jeong, It is a concrete record of his travel experience.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journey of Seonbi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Lee Sang-Jeong's travel records show the frank expressions of travel experience. Lee Sang-Jeong not only experienced various situation but also recorded by travel. In this respect, we are able to identify the human aspects of Lee Sang-Jeong. Finally, Lee Sang-jeong's two travels have a distinction between public travel and private travel. This difference is becoming a distinction factors in travel experience.

      • KCI등재

        眉巖 柳希春의 尊朱子 학풍과 經書諺解

        유영옥(Yu Young-O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6 No.-

          宣祖朝 校正廳本 經書諺解書는 그 동안의 우리 諺解史 경험에 바탕하되 당대 經學의 연구성과를 총괄적으로 집약한 16세기 후반 조선 경학의 최고 결정판이다. 교정청의 경서언해 연원은 선조가 재위 7년 柳希春에게 四書부터 유교경전의 吐釋을 詳定하라 命한 데서 출발한다.<BR>  眉巖 柳希春은 선조 초반 精博한 학문으로 君王을 輔導한 經筵의 핵심 인물이었다. 선조는 進講 활동과 다양한 저술에서 보여준 그의 재능을 아끼고 신임하여, 미암에게 官撰의 경서언해를 맨 처음 맡긴 것이다.<BR>  미암은 훌륭한 암기력으로 각종 서적을 두루 섭렵한 博學君子였는데, 그의 학문의 가장 큰 특징은 항상 朱子를 大聖으로 신봉한다는 점이다. 朱子尊信은 당시의 일반적인 현상이었지만 미암의 尊朱子 학풍은 尊信에 尊信을 더하는 매우 유별난 침잠이었다. 따라서 그는 朱子註에 철저히 입각하여 유교경전의 口訣과 諺釋을 상정했을 것으로 판단된다.<BR>  그런데 미암은 자신의 論說만을 고집하는 경직성을 버리고, 諸家의 衆說을 최대한 수렴하여 오류 없는 定本 언해를 만들고자 애썼다. 통합과 절충을 위한 그의 노력은 不斷했는데, 그 중 退漢의 經說을 가장 신뢰하여 힘써 수용하였고, 果谷의 학문을 선조에게 천거하여 경서언해의 王命이 하달되도록 매개하였다.<BR>  경학 연구에 朱子의 『集註』가 기본 텍스트였던 것은 시대적 추세였지만, 미암을 거치면서 『집주』로의 경전해석 집약은 더욱 확고한 경향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朱子를 가치 표준으로 삼되 諸說을 절충한 미암의 언해는 선조 18년 교정청의 경서언해에 습합되어, 교정청도 諸書와 諸說을 商確한 뒤 주자학에 입각한 하나의 특정 해석을 공식화하였다.   Yu Hee Choon(柳希春)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cholars in the early reign of King seonjo(宣祖) in Chosun(朝鮮). He led learned circles of the country through actively engaging in Gyeongyeon(經筵) Jingang(進講) and making lots of writings. He was an intellect of greatest learning in his times. Most characterizing his scholarship was his absolute belief of Chu-tzi(朱子).<BR>  Yu Hee Choon was an official in charge of Gyeongyeon(經筵) who was most reliable to King Seonjo. He was also a man of great learning enough to receive academic inquiries from all scholars of his times. This suggests that Mi Am"s own school tradition of respect for Chu-tzi created a considerable sensation in ChOSlID of the late 16th century.<BR>  As Sung Confucianism socially prevailed in the early Chosun period, there were developments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like Saseo Samgyeong(四書三經). But there were lots of differences among scholars in how they interpreted those classics. For the purpose of making each of the classics given only one interpretation based on Chu-tzi"s Sung Confucianism, therefore, King Seonjo ordered Yu Hee Choon to assume the task of translating those classics into Korean, that is, Gyeongseo Eonhae(經書諺解) in the 7th year of his reign(l574).<BR>  Mi Am started with translating Saseo(四書) into Korean His own way of Gyeongseo Eonhae was best characterized by that in such translation, he tried to coordinate and unite relevant theories, though thoroughly based on Chu-tzi"s annotations. Unfortunately, Mi Am failed to complete Gyeongseo Eonhae of his own till he was dead in the 10th year of King Seonjo. Nevertheless, his accomplishment in relation to the translation considerably affected Gyeongseo Eonhae by Gyojeongcheong(校正廳) later.

      • KCI등재

        高麗 肅宗의 즉위과정에 대한 朝鮮 史家의 인식

        유영옥(Yu, Young-Og)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7 No.-

        『高麗史』와 『高麗史節要』 및 『東國通鑑』은 肅宗이 모반을 꾀하던 李資義를 주살한 뒤 獻宗의 禪讓을 받아 즉위했다고 서술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 綱目體 史書를 대표하는 『麗史提綱』『東史會綱』『東史綱目』은 성리학의 正統論과 義理名分論에 더욱 투철하여 기존의 시각과는 정반대로 숙종을 찬탈군주로 단정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16세기 후반 尹根壽의『月汀漫筆』에서부터 시작된다. 윤근수는 이자의가 헌종을 보호하고자 도모했을 뿐 亂逆을 범한 적이 없다고 옹호하였다. 다만 『월정만필』은 숙종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기에, 숙종의 즉위를 찬탈로 보기 시작한 선두주자는 17세기 전반 서인계 俞棨의 『麗史提綱』이라고 할 수 있다. 유계는 “숙부가 다섯이라도 어린 헌종이 즉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 李齊賢의 王贊에 근거하여, 조선전기 官撰史書가 헌종-숙종의 교체에 ‘禪位 · 卽位’라 썼던 것을 ‘遜位 · 立’으로 바꾸어 숙종의 찬탈 의혹을 드러내었다. 다만 ‘遜位 · 立’은 ‘禪位 · 卽位’보다는 선양의 의미를 퇴색시키지만, ‘廢王 · 自立’보다는 찬탈의 의미가 확연하지 않다. 이에 18세기 초 소론계 林象德의 『東史會綱』은 숙종이 ‘廢王自立’했다고 기술하고, 또 헌종을 ‘前王’이 아니라 ‘廢王’으로 지칭하여, 숙종의 찬탈을 비로소 명확히 적시하였다. 게다가 숙종의 쿠데타를 도운 邵台輔와 王國髦를 폄삭하여 그들의 卒記에 官職을 제거하고 姓名만 적었다. 18세기 말 남인계 安鼎福의 『東史綱目』은『동사회강』이 “鷄林公熙 폐왕자립”이라 한 데서 작호 ‘계림공’은 빼고 “熙 폐왕자립”이라고만 써서 숙종의 簒逆을 더더욱 또렷이 각인시켰다. 뿐만 아니라 廢王이 잠저로 ‘出居’했다고 적지 않고 廢王을 ‘放’했다고 적어,『여사제강』은 물론『동사회강』보다도 가일층 찬탈의 史評을 극대화하였다. Some on History books governmentally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cluding 『Koryosa』, describes that Sukjong of the Koryo dynasty was abdicated to the throne by Heonong out of goodwill after removing Lee Ja-eui. But in contrast, 『Yeosa Jegang』, 『Dongsa Hoegang』 and 『Dongsa Gangmok』,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of history books written in the so-called Kangmok in the late Joseon period, defines that Sukjong usurped the throne. It was Yu Ge who first regarded that Sukjong ascended to the throne by usurping it. In his 『Yeosa Jegang』(written in 1637~1640), Yu Ge said that Sukjong forcedly persecuted Heonjong as his predecessor to abdicate the crown. He suspected Sukjong’s seizure of the throne on the grounds of a historic review from Lee Je-heyon who claimed “it was resonable for Heonjong to ascend to the throne even though he had five uncles”. 『Dongsa Hoegang』(1711∼1719) by Lim Sang-deok made clear that Sukjong deprived his predecessor of the crown by describing “Gyerimgong Hee dethroned the king and stood on his own feet”. Especially, 『Dongsa Gangmok』(1778) by Ahn Jeong-bok extremely criticized Sukjong’s usurption even more than 『Yeosa Jegang』 and 『Dongsa Hoegang』 just by describing “He dethroned the king and stood on his own feet” with his peerage title ‘Gyerimgong’excluded. In the late Joseon period, Kangmok was the main form of history description. That form did thoroughly sticked to the principles of legitimacy and those of loyalty and justice, all of which were based on Zhu Xi’s Sung-Confucianism. The above mentioned three historic books reviewed here were all written in the Kangmok form. They all continued to extend legitimacy-oriented writings of history, concluding that Sukjong was the monarch who usurped the throne.

      • KCI등재

        한약재 추출물의 피부 염증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Young Eun Yu(유영은),Eun Young Park(박은영),Dae Hwa Jung(정대화),Sung Hui Byun(변성희),Sang Chan Kim(김상찬),Sung Min Park(박성민)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한약재 70종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4종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는 한약재는 황련, 소목, 오배자, 대황과 단삼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오배자와 황련을 물,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황련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련의 항균성은 berberine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열수 추출물 중 berberin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13.88%로 조사되었다. Berberine에 의한 항균성과 다른 항생제와의 항균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berberine chloride와 3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600 ㎎/ℓ 이상의 berberine chloride 농도에서 KCCM 35494 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성만 나타내었으며 다른 공시균주에 대한 항균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 사용한 공시균주에 대한 C. japonica 열수 추출물의 항균성은 고 농도의 berberine 또는 다른 물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70 kinds of oriental medicinal herbs on four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 epidermidi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C. japonica, C. sappan, R. javanica, R. tanguticum, and S. miltiorrhiza ha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all the strains used. Among these, C. japonica and R. javanica, which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were extracted with water, ethanol, methanol, and ethyl acetate for further study of antibacterial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iled water extract of C. japonica had the best antibacterial activity. Assuming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 japonica originated from berberine, which has been reported many times, the berberine content of the boiled water extract of C. japonica was analyzed and the result was 13.88%. To compa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berberine with that of other antibiotics, berberine chloride and three other kinds of antibiotics were investigated, which showed that berberine chloride had an antibacterial activity on KCCM 35494 S. epidermidis only when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600 ㎎/ℓ, and it did not show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other strai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oiled water extract of C. japonica on the strains used in this study originated from high concentration of berberine or substances other than berberine.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 substance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鶴峯 金誠一의 父親喪 行禮 儀節

        유영옥(Yu Young-O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鶴峯 金誠一은 禮學을 깊이 考究하여 ?喪禮考證?과 편지 ?與或人? 등 喪禮에 관한 저술을 많이 남겼다. ?상례고증?과 ?여혹인?은 모두 父親인 靑溪公 金璡의 초상을 치르는 과정에서 지어진 글이다. 학봉은 父親喪을 계기로 여러 禮書들을 硏?하면서 나름대로 喪禮의 의미와 절차들을 규정해 나갔다. ?상례고증?과 ?여혹인?은 바로 그런 과정에서 형성된 산물이다. 한편, 그의 둘째 형인 龜峯 金守一이 쓴 ?終天錄?도 부친상의 葬禮과정을 일부 보여주고 있어 高評된다. 본고는 이들 자료를 중심으로 鶴峯家의 3년상 예법을 살펴보고, 그를 통해 학봉의 禮의식과 조선중기 喪禮문화의 일면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16세기는 ??家禮??가 보편화되어 상례도 대개는 ??가례??에 근거하여 거행되었기에, 학봉 집안에서도 크게는 ??가례??를 따라 부친의 3년상을 치렀다. 하지만 成殯의 장소, 反哭의 폐지와 侍墓, ?祭의 시기와 거행 방법 등이 ??가례??와 크게 달라 주목된다. 成殯 장소는 묘소 인근이고, 反哭의 절차는 폐지했으며, ?祭는 大祥 이후에 거행했는데, 이는 모두 侍墓 때문에 발생한 일종의 變禮이다. 학봉 집안은 3년 내내 그 당시 成俗이었던 여묘살이를 시행했기 때문에, 장례 이후 返魂의 절차를 제대로 거행하지 못했고, 虞祭와 卒哭에 이어져야 할 ?廟도 25개월의 大祥 이후로 미루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학봉 부친상의 큰 특징은 時俗과 국가제도를 禮書와 절충하려는 학봉의 學的 태도에 기인한다. 학봉은 ??가례??를 완성된 저작으로 여기지 않았고, 더욱이 조선의 당대 時俗과 國制도 아울러 수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스승인 退溪 李滉이 지향하는 예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학봉은 부친상을 치르는 과정에서 三禮 중에 특히 ??禮記??를 천착했고, 禮書와 時俗을 절충하고자 하는 퇴계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고 다단한 상례절차들을 거행해 나간 것이다. Hakbong, Kim Sung-il from the Kims of UiSeong(義城金氏), Toegye(退溪)"s disciple, had a great interest in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禮學) and wrote many works on mourning manners such as ""Sanglyegojung"" (?喪禮考證?)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與或人?). Hakbong wrote ""Sanglyegojung""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 in the period of mourning for his father, Chunggyegong Kim Jin(靑溪公金璡). He laid down the import and form of mourning manners(喪禮), examining books on manners with the mourning for his father. ""Sanglyegojung"" and ""A Letter Sending to Someone"" were the products of this process. ""Jongchunlok(?終天錄?)"" which Gwibong Kim Su-il(龜峯 金守一), his second elder brother wrote also showed an aspect of the mourning for his fa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akbong"s thoughts of courtesy and the mourning manners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by examining manners and formalities that Hakbong"s family observed the mourning of their father for three years. Because a mourning was generally performed on the baisis of Garae(??家禮??) in the sixteenth-century, Hakbong"s family also observed the mournig for his father according to Garae. But Hakbong didn"t think Garae as a perfect book on courtesy. He tried to accept customs and national institutions of those days as well as Garae. This attitude is a characteristic of Toegye"s Courtesy scriptures theory. While the mourning for Hakbong"s father was observed in the form of the mourning of three years(三年喪) according to Garae, its manners was different from ones of Garae in respect of place laying the remains in state(殯所), the abolition of bewailing in shrine after holding a funeral(反哭), manners of protecting a tomb and living by the side of it, the method and the time of performing Buje(?祭). Hakbong studied hard Yegi(??禮記??) out of Three Books on Courtesy(三禮), reflecting on his faults in procedures of the mourning for his father. He accepted national institutions and a popular custom on the basis of the teaching of Toegye which tried to harmonize the books on courtesy with popular manners. In conclusion, Hakbong performed a mourning on the basis of this thoughts.

      • KCI등재

        西行 시절 頤齋 黃胤錫의 交遊 원칙 : 京華士族을 중심으로

        유영옥(Yu, Young-Og)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8 No.-

        18C 鄕儒 황윤석은 博學能文하여 서울 사대부들이 만나보기를 희망하는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재가 평생 깊이 교유한 京華士族은 김원행, 조정, 정경순과 그 주변 인물들에 불과하였다. 그 까닭 중 하나는 바로 그가 宰相 名士라도 함부로 교유하지 않는다는 소신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신은 이재난고 1771년 4월 11일 일기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일기는 43세의 이재가 경화사족 18인과의 교유를 회고한 내용인데, 이들과의 교유에서 이재가 지킨 원칙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公・私를 엄히 구분하는 것이다. 이에 이재는 ‘公朝에서 관작을 받고 私室에 私恩하지 않는다’는 옛 道에 따라 자신의 음보 출사를 도와준 정홍순과 서지수를 찾아가지 않았다. 한편, 근무 부서의 上官에게는 이재가 먼저 찾아가 公禮로 인사를 드렸는데, 이는 公的인 일이기 때문이다. 둘째, 홍봉환・홍계희 등 4인은 여러 번 이재를 만나고자 했으나 이재는 선뜻 그들을 찾아가지 않았다. 왜냐면 선비의 自守하는 지조를 지켜 스스로를 팔지 않으려 했기 때문이다. 셋째, 이재가 김이신・조정 등과 교유하게 된 것은 先代나 부친과의 교분이 이재 자신에게로까지 이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재는 처음 조정을 찾아뵐 때 ‘子道’를 내세워 부모를 대신해 그에게 감사드리면서 두터운 교유를 시작하였다. ‘子道’를 앞세운 교유 원칙은 선비의 자존심이나 義理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교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유익한 방책이었다. 鄕儒에게 경화사족과의 교유는 출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재 또한 경화사족과 연계하려는 열망이 컸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이재는 선비로서 自守하려는 열망도 컸다. 그 속에서 이재는 지조를 지키고 자존감을 고취하고자 나름의 치열한 내적 투쟁을 계속하였다. Yijae Hwang Yun-seok was a figure of the 18th century who were from Jeolla province. He was highly reputed for being much knowledgable so that many of the noble class in Seoul wanted to meet him. But Yijae maintained a stance that he wouldn’t thoughtlessly keep company with others however they may be high officials or distinguished persons. Such stance is clearly found in a journal that he contributed to Yijae Nanko on April 11th, 1771. That journal is about his social exchanges with powerful men of noble families based in Seoul[Gyeongwha Sajok]. Its content suggests Yijae’s three main principles of companionship, which can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First, it is a strict discrimin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Accordingly, Yijae didn’t ever privately visited Jeong Hong-soon and Seo Ji-soo both of whom helped him get into office for the first time. Second, Yijae strived to protect his identity as being a Confucian scholar. In a similar vein, he persistently kept himself away from some high officials including Hong Bong-han and Hong Gye-hee who intended to see him several times. Third, Yijae’s social interactions with Jo Jeong was because it was just an extension of relationships between his ancestors or late father and Jo Jeong. In other words, keeping a way that an offspring should abide by was an initial motive for his companionship with Jo Jeong. At the time, in fact, social success was heavily dependent on companion-ship with Gyeongwha Sajok. Yijae had strong desires for relating him to Gyeongwha Sajok on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for protecting his identity as being a Confucian scholar. Thus, he fiercely struggled to improve his own pride based on that protection.

      • KCI등재

        조선시대 『尙書』 <禹貢> 이해의 정치경제적 시각

        유영옥(Yu, Young-O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상서』는 上古 聖賢의 昌言盛事를 기록하여 일찍부터 治國에 종요로웠지만, 분분한 진위논변에다 經文 곳곳이 難讀處라 접근하기 매우 어려운 史書이자 경전이다. 그 때문에 현행 우리의 尙書學 연구도 아직은 지극히 일천하여 『상서』 연구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상서』는 여느 儒經과는 달리 총 58편 중 <우공>과 같은 몇몇 편은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 <우공>은 정치의 핵심원리인 德治를 곧바로 운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공>은 山川地理書이자 稅法書이므로 德治와 절대 무관하지 않다. 地理와 그에 기반한 稅政은 德治를 구가하기 위한 필수 전제요건이기 때문이다. <우공>은 大禹가 治水에 성공하여 중국을 9州로 나누고, 각 지역의 土品에 따라 貢賦를 부과하며, 5服제도를 두어 제후를 분봉하여, 天子의 聲敎를 온 세상에 미치게 한 위대한 功業의 기록이다. 大禹의 王業이 여기에서 비롯되어 <우공>편이 「夏書」의 첫머리가 되었고, 군주의 실질적인 통치사업을 보여주기 때문에 孔子는 <우공>을 '觀事'의 글이라 하였다. <우공>의 貢[貢物]과 賦[田稅]는 '任土作貢'에 의해 부과된다. 임토작공은 각 지역의 토지 생산성에 맞추어 貢賦를 부과하는 원칙으로, 고대 聖王의 제도요 後世가 추구해야 할 이상정치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다. 『상서』 <우공>에 내재된 임토작공의 원칙은 세종조 貢法 창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조선시대 田稅 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또 조선 국초부터 大同法 시행 이전까지는 貢物 부과의 원칙으로도 당연히 수렴되었다. 따라서 <우공>은 실질적인 經世 측면에서 『상서』의 어느 편보다 조선의 國政과 긴밀히 연관되어 그 가치가 결코 적지 않다. 본고는 여기에서 연구주제를 포착하여, 「우공」의 「하서」 수록 배경과 '觀事'의 내용을 요약하고, <우공>이 조선시대에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었는가를 살펴, 『상서』 <우공>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그로 인해 향후 『상서』 연구의 활성화 및 연구방향의 다양화도 아울러 촉구하고자 노력하였다. Throughout its all 58 chapters, Sangseo suggests that ruling with virtue is the most critical principle of politics. Among those chapters, <Wugong> is a provis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on one hand, but guidelines for tax laws{taxation] on the other hand. It has no apparent message regarding ruling with virtue. For this reason, <Wugong> is often considered less important. But since it deals with national territory and geography and tax policy all of which may be basic elements of virtuous ruling, however, <Wugong> is even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hapters of Sangse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reality. <Wugong> is a sort of records that after controlling floods successfully, Wu divided the entire territory into 9 provinces and levied 'Gong'[land tax] and 'Bu'[tributes: native produce] depending on the land productivity of each of the provinces and these moves contributed to making him the Son of Heaven. Thus, <Wugong> allows inspecting very great acts of the state by the emperor[Gwansa]. According to <Wugong>, Gong and Bu have to be levied depending on land productivity. This principle was named 'Imtojakgong'. As the very basis of Joseon's land tax policy, Imtojakgong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reation of Gongbeop in the reign of King Sejong. It was the most dominant principle of tribute collection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But that principle was gradually faded away as Daedongbeop began to be enacted and implemen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Daedongbeop provided that local regions offer rice, hemp cloth or money as tributes to the state, instead of their native produce. The act played an epoch-making role in converting the medieval national collection system into the modern one. Accordingly, however, Imtojakgong, or the principle of taxation depending on land productivity became meaningless and invaluable. In addition, th meaning and value of <Wugong> which was underlying by that principle were deterio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