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miodarone으로 치료한 postoperative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이택연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5 No.9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is one of common atrial arrhythmia after open heart surgery which is often refractory to antiarrhythmic agents. We have experienced refractory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in two patients. In the first, it occured after cryosurgery for AV nodal reentry tachycardia and simultaneous dissection of a posterior septal bypass tract. In the second, it complicated the postoperative course of a patient who received intracardiac repair for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ulmonary stenosis. Conventional therapy with atrial pacing, verapamil, digoxin, and electrical cardioversion were ineffective. Therefore, amiodarone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nd it controlled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The need for accurate and rapid diagnosis of this condition along with results of treatment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양측에 발생한 외상성 횡격막 파열;1례 보고

        이택연,박영식,김광호,Lee, Taek-Yeon,Park, Yeong-Sik,Kim, Gwang-H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5 No.9

        Bilateral traumatic rupture of diaphragm is very rare. One case due to car accident is reported. Preoperative chest X-ray revealed the diaphragm rupture in the left side and the hemothorax in the right side. During the completion of left diaphragm repair through left thoracoabdominal incision, right diaphragm rupture was found incidentally. Left diaphragm was repaired using pledgets which were anchored at the thoracic wall. Right diaphragm was also repaired by interrupted Halsted sutures through seperated right thoracotomy.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KCI등재후보

        활로 4징 환자에서 자가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한 새로운 좌폐동맥 성형술

        이창하,전양빈,이택연,이석기,백만종,김수철,이영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4

        배경: 최근 활로 4징 교정술의 향상된 성적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우심실 유출로 확장으로 인한 좌폐동맥의 뒤틀림과 협착의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좌폐동맥의 협착이 동반되었거나 협착이 없더라도 우심실 유출로 첩포 확장 시 좌폐동맥이 예각을 이루어 좌폐동맥 뒤틀림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첩포를 사용하지 않고 자가 주폐동맥 플랩만을 이용한 새로운 좌폐동맥 혈관성형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24명의 활로 4징 환자에서 완전교정술 시 좌폐동맥 입구를 자가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혈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중앙값)은 10개월(4~145개월)이었다. 주폐동맥 플랩 좌폐동맥 성형술은 좌폐동맥 입구의 협착이 있었던 19예(79%)와 해부학적 협착은 없었으나 주폐동맥과 좌폐동맥이 예각을 이루어 좌폐동맥 뒤틀림의 위험이 예상되는 5예(21%)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수술 사망예는 없었다. 24명 중 15명(62%)에서 경판막윤 우심실유출로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9명에서 폐동맥 판막윤을 보존하면서 폐동맥 혹은 누두부 확장술을 시행하였다. 24명 중 5명(21%)에서는 어떤 첩포도 사용하지 않고 자가 주폐동맥 플랩만으로 좌폐동맥을 포함한 주폐동맥확장술을 시행하였다. 1명을 제외한 23명의 추적관찰 기간(중앙값)은 20개월(6~42개월)이었으며, 만기 사망 및 재수술의 예는 없었다. 2명에서 우폐동맥 근위부 협착으로, 1명에서 좌, 우폐동맥 입구의 협착으로 풍선 혈관성형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주폐동맥 플랩을 이용한 좌폐동맥 성형술의 보다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나, 첩포를 사용하지 않아 이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피할 수 있고, 자가 주폐동맥플랩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주폐동맥과 좌폐동맥 사이를 둔각으로 유지함으로써 향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관련된 우심실유출로 확장에 의한 좌폐동맥의 뒤틀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Loeys-Dietz 증후군으로 진단된 젊은 여자 환자의 상행 대동맥 파열: 국내 첫 번째 증례 보고

        김환욱,이택연,주석중,정철현,이재원,문덕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5

        Characterized by unique phenotypic features such as aortic aneurysm/dissection, hypertelorism, bifid uvula/cleft palate and generalized tortuosity in the arterial system, Loeys-Dietz syndrome is a newly described aggressive connective tissue disorder associated with mutation in the gene encod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receptor type I or type II. Some phenotypic manifestations of Loeys-Dietz syndrome overlap with those of Marfan syndrome or Ehlers-Danlos syndrome type IV. However, due to its more malignant pathophysiologic nature, physicians should be alert to Loeys-Dietz syndrome. High suspicion, early diagnosis, preventive surgery and serial imaging assessments are warranted for optimal management of Loeys-Dietz syndrome. We present here a case of a young patient with Loeys-Dietz syndrome who had aortic rupture, bifid uvula and hypertelorism. We also present a review of the medical literature. 대동맥 동맥류/대동맥 박리증, 두눈먼거리증, 목젖갈림증/입천장갈림증, 그리고 동맥혈관계의 이상 과다 뒤틀림 등을 독특한 표현형으로 하는 Loeys-Dietz 증후군은 새로이 기술된 공격적 성향의 결체 조직 질환으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receptor type 1 또는 type 2를 encoding 하는 유전자 돌연 변이가 발병 원인이다. Loeys-Dietz 증후군은 Marfan 증후군, Ehlers-Danlos 증후군 4형 등의 표현형과 일부 비슷한 형태를 공유한다. 그러나, Loeys-Dietz 증후군은 다른 질환보다 더 심한 병태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상의들은 이들 결체 조직 질환들을 감별하여야 한다. 강한 의심, 조기 진단, 예방적 수술, 그리고 지속적 영상 검사가 적절한 Loeys-Dietz 증후군 치료를 위해 실행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대동맥 파열, 목젖갈림증, 그리고 두눈먼거리증의 3징후를 가진 Loeys-Dietz 증후군의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상행 대동맥 파열에서 혈관내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

        김관식,이택연,김준범,이승현,김희중,조원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1

        Endovascular stent grafting is regard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approach to open surgical repair for treating various aortic diseases in high risk patients. We report here on a case of a 79-year-old female who underwent endovascular stent-graft insertion in the ascending aorta for treating a complicated ascending aortic rupture that occurred secondary to radiation necrosis during the treatment of recurrent breast cancer. 고위험군의 대동맥 질환 환자에서 고전적인 수술에 대한 대안책으로서 혈관내 스텐트 그라프트를 고려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유방암에 대한 항암 방사선 치료로 인한 전 흉부 괴사와 그에 따른 상행 대동맥 파열이 발생한 79세 여자 환자에 대해 혈관내 스텐트 그라프트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

        김웅한,이택연,김수철,전홍주,한미영,김수진,이창하,정철현,이영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8

        최근 여러 병원에서 선천성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이 보고되고 있다. 해부학적 교정을 받은 수 정대혈관전위 환아의 단기 및 장기추적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심방전환수술에 따르는 대정맥과 심방 문합 부\ulcorner의 협착과 상심실성 부정맥이며 이는 심방이 작은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되고 특히 심첨과 대정맥 이 동측에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이런 경우 이중전환수술시 일부 선택된 환아에서 대정맥폐동맥단락 술을 추가함으로써 수술의 위험성과 심방의 잠재성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원에서는 수정대 혈관전위,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폐쇄가 있으면서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환아의 해부학적 교정시에 대 정맥폐동맥단락술을 추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ver the past several years, a number of centers have reported favorable results of anatomical repair for the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subsequent problems related mainly to the results of atrial switch procedures in patients who had small atriums because of venoatrial obstructions or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picocaval juxtaposition. Cavopulmonary shunt may be a useful addition to the double switch operation in certain circumstances as a means of avoiding potential atrial complications. Herein, we describe the successful anatomical repair of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y with pulmonary atresia,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cavo apical juxtaposition with this modification.

      • SCOPUSKCI등재

        변형술식에 의한 완전방실중격결손의 교정

        김웅한,김수철,이택연,한미영,정철현,박영관,김종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7

        Background: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anatomy of the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including right-dominant unbalanced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have led to alternative methods of repairing these defects. Material and Method: From May 1997 to July 1998, 8 consecutive infants(age range, 2 to 28 months, mean body weight 6.0$\pm$2.2 kg) received a single-stage intracardiac repair of the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modified surgical methods. Depending on the specific anatomic structure, the procedure was simplified in 3 patients by a direct closure of the ventricular element of the defect(Group I). Two patients judged unsuitable for direct closure due to a potential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had received a standard two-patch repair(Group II). The remaining 3 patients with right-dominant unbalanced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underwent biventricular repair; to enlarge the orifice of the left atrioventricular valve, the ventricular septal patch was placed slightly more to the right of the ventricular crest, a left sided bridging leaflet was augmented with an autologous pericardial patch, and the leaflet was repaired with a double- orifice(Group III . Result: In all 8 patients, the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good hemodynamics. Seven patients were weaned from the ventilators after a mean 3$\pm$1 days, and 1 patient was weaned after 24 days due to a reoperation and emphysematous lung problem. A reoperation was performed in 1 patient for progressive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due to leaflet tearing. There were no early and late mortalities. At the time of the latest review, judging from the echocardiographic criteria, left atrioventricular valve stenosis was mild in 1 patient(mean pressure gradient 6.5 mmHg, 13.5%), lef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absent or grade I in 7 patients(87.5%). The right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absent or grade I in all 8 patients(100%). Conclusion: Infants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were treated with either a simplified approach with direct closure of the ventricular element of the defect or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a right-dominant unbalanced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depending on the anatomic structure. The results were no operative mortalities and low morbidity. 배경: 최근에 완전방실중격결손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증가됨에 따라서 본원에서는 수술방법에 있 어서 여러 가지 변형을 시도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7월까지 8명의 완전방실중 격결손 환자를 수술하였다. 남녀 각각 3명, 5명이었으며 나이는 2개월에서 28개월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몸무 게는 6.0$\pm$2.2 Kg이었다.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서 3명의 환아에서는 심실중격결손을 일차적으로 봉합 하여 수술을 단순화하였다(Group I). 좌심실유출로 협착의 가능성이 있는 2명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대로 2개의 포편을 이용하였다(Group II). 그리고 불균형 완전방실중격결손의 경우에는 심실중격결손을 막는 포편 을 우심실에 치우쳐서 막고 심방중격을 새로 만들거나 좌측 방실판막의 부족한 판막부위를 자가 심낭막으로 메꾸어 주거나 좌측 방실판막이 parachute valve 인 경우에는 2개의 판막입구를 만들어 주었다(Group III). 결과: 모든 환자가 수술후 만족스러운 혈류역학을 보였으며 7명에서는 평균 3$\pm$1 일만에 인공호흡기 이탈이 가능하였으며 1명의 환자는 심장의 문제없이 폐질환으로 24일만에 인공호흡기를 이탈하였다. 수술후 합병증 으로 III군에서 판막성형을 시행한 좌측 판막이 찢어지면서 판막역류가 점진적으로 심해진 1명에서 2주만에 재수술을 하였다. 조기 및 만기사망은 없었으며 수술후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약간의 좌측 방실판막협착이 III 군에서 1명 있었으며(평균압력차 6.5 mmHg), 좌측 방실판막역류가 7명(87.5 %)의 환아에서 Grade I 이하였으 며, 우측 방실판막역류는 모든 환아에서 Grade I 이하였다. 결론: 완전방실중격결손의 수술시 해부학적인 구 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일부 환아에서는 심실중격결손을 일차적으로 봉합함으로써 수술을 단순화할 수 있 으며 우심실이 발달된 불균형 완전방실중격결손에서도 변형수술방법을 통하여 양심실성 교정을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대동맥판막 치환술중에 발생한 우관상동맥 폐색증

        정철현,허재학,이택연,이윤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4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대동맥판막수술중에 우관상동맥의 급성폐색은 우심실부전을 일으켜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심한 대동맥 판막부전증을 가진 67세 여자 환자에서 19 mm Hancock II 조직판막을 이용하여 대동맥판막치환술을 시행한 후 심폐기에서 이탈하는 과정주에 우심실부전이 발견되었으며, 우관상 동맥의 폐색을 의심하여 우측 내흉동맥을 사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하였고 이후에 심폐기에서 순조롭게 이탈할 수 있었다. 수술후 9일째 시행한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우관상동맥 근위부에 색전에 의한 폐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우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우심부전증이 우관상동맥우회수술후에 회복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